맨위로가기

군 표현의 지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 표현의 지표는 군과 체에 대한 벡터 공간과 군 표현이 주어졌을 때, 표현의 정보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지표는 군의 켤레류 위에서 동일한 값을 가지는 류 함수이며, 기약 표현의 지표는 기약 지표라고 불린다. 지표는 군 표현의 직합과 텐서곱에 대한 덧셈과 곱셈을 보존하며, 복소수 표현에서 켤레 복소수와 관련된다. 유한군의 경우, 기약 지표의 개수는 켤레류의 개수와 같고, 지표는 대수적 정수이다. 지표표는 유한군의 기약 복소수 표현을 나타내며, 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압축된 형태로 제공한다. 지표 이론은 유한 단순군 분류, 번사이드 정리, 브라우어-스즈키 정리 등 군론 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며, 리 군과 리 대수의 표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표 이론은 1896년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유도 지표와 프로베니우스 상호성을 통해 기초가 확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현론 - 매케이 화살집
    매케이 화살집은 유한군 G의 기약 표현을 꼭짓점으로, 텐서곱 분해를 통해 변을 정의하여 군의 표현론적 구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이다.
  • 표현론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군 표현의 지표
개요
분야군론, 표현론
연구 대상군의 선형 표현
주요 개념기약 표현, 지표, 직교 관계
관련 인물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 이사아이 슈어, 리차드 브라우어
역사
기원19세기 후반,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에 의해 시작
발전이사아이 슈어, 리차드 브라우어 등에 의해 발전
주요 내용
지표군 표현의 지표는 표현의 성질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도구
기약 표현모든 표현은 기약 표현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
직교 관계지표들은 서로 직교하는 성질을 가짐
활용
응용 분야군론, 수학, 물리학, 화학
예시분자 진동 분석, 결정 구조 분석
관련 개념
표현론군을 선형 공간에 작용하는 변환으로 나타내는 방법 연구
기약 표현더 작은 표현으로 분해할 수 없는 표현
지표표현의 각 원소에 대한 자취 (trace) 값
참고 문헌
서적"Character Theory of Finite Groups" by I. Martin Isaacs
"Linear Representations of Finite Groups" by Jean-Pierre Serre

2. 정의

G k에 대한 벡터 공간 V, 그리고 군 표현 \rho\colon G\to\operatorname{GL}(V)가 주어졌을 때, 표현 \rho의 '''지표''' \chi_\rhoG의 각 원소 g에 대해 그 표현 행렬의 대각합을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chi_\rho([g])=\operatorname{tr}\rho(g) (g\in G, [g]g의 공액류)

지표 \chi_\rho가 기약 또는 단순하다는 것은 \rho가 기약 표현임을 의미한다. 지표 \chi의 차수는 \rho의 차원이다. 표수가 0에서는 이 값은 \chi(1)과 같다. 차수가 1인 지표는 선형이라고 한다. G가 유한이고 F가 표수 0일 때, 지표 \chi_\rho의 핵은 다음과 같은 정규 부분군이다.

:\ker \chi_\rho := \left \lbrace g \in G \mid \chi_{\rho}(g) = \chi_{\rho}(1) \right \rbrace

이는 정확히 표현 \rho의 핵이다.

3. 성질

지표는 클래스 함수이며, 주어진 켤레류에서 각각 상수값을 갖는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주어진 군의 기약 지표 집합은 체로의 모든 클래스 함수의 기저를 형성한다.[1] 동형 표현은 동일한 지표를 가지며, 표수가 0인 체에서 두 표현이 동일한 지표를 갖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이다.[1] 표현이 직합인 경우, 해당 지표는 해당 부분 표현의 지표의 합이다. 유한군의 지표를 부분군으로 제한하면 결과는 부분군의 지표가 된다.

모든 지표 값은 n개의 m번째 단위근의 합이며, 여기서 n은 지표를 갖는 표현의 차수이고, m은 원소 g의 위수이다. 특히, 복소수체 위에서 모든 지표 값은 대수적 정수이다.

복소수체 위에서 χ가 기약이면,

:[G:C_G(x)]\frac{\chi(x)}{\chi(1)}

는 G의 모든 x에 대해 대수적 정수이다.

F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이고 char(F)가 G의 위수를 나누지 않으면, G의 기약 지표의 수는 G의 켤레류의 수와 같다. 또한, 이 경우 기약 지표의 차수는 G의 위수의 약수이다.

3. 1. 산술적 성질

지표는 군 표현의 직합텐서곱을 준수한다. 즉, 다음과 같다.

:\chi_{\rho\oplus\sigma}=\chi_\rho+\chi_\sigma

:\chi_{\rho\otimes\sigma}=\chi_\rho\chi_\sigma

표현의 텐서 제곱 \rho\otimes\rho대칭 및 반대칭 성분으로 분해할 수 있다.

:\rho\otimes\rho=\operatorname{Sym}^2(\rho)+\rho\wedge\rho

이 경우, 다음과 같은 공식이 성립한다.

:\chi_{\rho\wedge\rho}(g)=\frac12\left((\chi_\rho)^2(g)-\chi_\rho(g^2)\right)

:\chi_{\operatorname{Sym}^2(\rho)}(g)=\frac12\left((\chi_\rho)^2(g)+\chi_\rho(g^2)\right)

복소수 벡터 공간 위 표현의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chi_{\rho^*}=\bar\chi_\rho

여기서 \rho^*는 복소 표현의 행렬 원소들의 (전치 없는) 복소켤레 표현이고, \bar\chi_\rho\chi_\rho의 복소켤레이다.

3. 2. 직교 관계

유한군 G|G영어의 복소수 값을 갖는 류 함수의 공간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내적이 정의된다.

:\left \langle \alpha, \beta\right \rangle := \frac{1}

\sum_{g \in G} \alpha(g) \overline{\beta(g)}

여기서 \overline{\beta(g)}\beta(g)켤레 복소수이다. 이 내적에 대해, 기약 지표들은 류 함수 공간의 정규 직교 기저를 이루며, 이는 지표표의 행에 대한 다음 직교 관계를 유도한다.

:\left \langle \chi_i, \chi_j \right \rangle = \begin{cases} 0 & \mbox{ if } i \ne j, \\ 1 & \mbox{ if } i = j. \end{cases}

G|G영어의 원소 g, h에 대해, 지표표 열에 대한 직교 관계는 다음과 같다.

:\sum_{\chi_i} \chi_i(g) \overline{\chi_i(h)} = \begin{cases} \left | C_G(g) \right |, & \mbox{ if } g, h \mbox{ are conjugate } \\ 0 & \mbox{ otherwise.}\end{cases}

여기서 합은 G|G영어의 모든 기약 지표 \chi_i에 대한 것이고, |C_G(g)|g의 중앙화 부분군의 크기이다. gh가 같은 켤레류에 속할 때만 0이 아닌 값을 가지므로, 지표표의 열은 직교한다.

이러한 직교 관계는 다음과 같은 계산에 유용하게 활용된다.[1]

  • 미지의 지표를 기약 지표들의 선형 결합으로 분해.
  • 일부 기약 지표만 알려져 있을 때 완전한 지표표 완성.
  • 군의 켤레류 대표 원소의 중앙화 부분군 크기 계산.
  • 군의 크기 계산.

4. 지표표

유한군의 기약 복소수 표현은 '''지표표'''(character table)로 요약될 수 있다. 지표표는 정사각 행렬이며, 행은 기약 표현, 열은 켤레류에 대응된다. 지표표의 각 칸에는 해당 켤레류에 대한 기약 표현의 지표 값이 들어간다.

지표표의 첫 번째 행은 자명 표현에 해당하며, 모든 원소가 1이다. 지표표의 첫 번째 열은 항등원에 대한 지표 값, 즉 기약 표현의 차원을 나타낸다.[2]

다음은 세 개의 원소와 생성자 ''u''를 가진 순환군 C_3 = \langle u \mid u^{3} = 1 \rangle의 지표표이다.



여기서 는 원시 세제곱근이다.

지표표는 기약 표현의 수가 켤레류의 수와 같기 때문에 항상 정방 행렬이다.[2]

4. 1. 지표표의 성질


  • '''군의 위수:''' 군 ''G''의 위수(원소의 개수)는 지표표 첫 번째 열에 있는 원소들(기약 지표의 차수)의 제곱의 합으로 주어진다.
  • '''정규 부분군:''' 군 ''G''의 모든 정규 부분군은 지표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지표 χ(키)의 핵(kernel)은 χ(''g'') = χ(1)을 만족하는 ''G''의 원소 ''g''들의 집합이며, 이는 ''G''의 정규 부분군이다. ''G''의 모든 정규 부분군은 ''G''의 기약 지표들 중 일부의 핵들의 교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교환자 부분군:''' 군 ''G''의 교환자 부분군은 ''G''의 선형 지표들의 핵 전체의 교집합이다.
  • '''단순군 여부:''' 지표표를 통해 군이 단순군(자명하지 않은 정규 부분군을 갖지 않는 군)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 '''아벨 군 여부:''' 군 ''G''가 유한군이면 지표표는 정사각 행렬이며, 켤레류의 수만큼 행을 가진다. 각 켤레류가 단일 집합이면, 즉 ''G''의 지표표가 |G| \!\times\! |G| 이면, 즉 각 기약 지표가 선형이면 ''G''는 아벨 군이다.
  • '''지표 유도:''' 프로베니우스 상호성을 이용하여 부분군 ''H''의 지표 θ로부터 군 ''G''의 지표 θG를 유도할 수 있다.
  • '''유도 표현:''' 부분군 ''H''의 행렬 표현 ρ가 주어지면, 프로베니우스는 유도 표현 ρG를 통해 군 ''G''의 행렬 표현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 '''마키 분해:''' 마키 분해는 유한군 ''G''의 부분군 ''H''에서 유도된 지표를 또 다른 부분군 ''K''에 제한했을 때 어떻게 분해되는지를 설명한다. 이를 통해 지표 이론 및 표현론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5. 응용

기약 표현의 지표는 군의 여러 중요한 성질을 나타내므로, 군의 구조를 연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지표 이론은 유한 단순군 분류에 필수적인 도구이다. 페이트-톰슨 정리의 수학적 증명 প্রায় 절반은 지표 값의 복잡한 계산과 관련되어 있다. 지표 이론을 사용한 더 쉽지만 여전히 필수적인 결과로는 번사이드 정리와 리처드 브라우어 및 스즈키 미치오의 정리가 있다.[3] 번사이드 정리는 번사이드의 원래 증명보다 반세기 이상 늦게 순수 군론적 증명이 발견되었다. 브라우어-스즈키 정리는 유한 단순군이 일반화된 사원수군을 실로우 2-부분군으로 가질 수 없다고 명시한다.

표현의 지표는 "뒤틀린" 벡터 공간의 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3] 지표를 군 원소 ''g''의 함수 χ(''g'')로 취급하면, 항등원에서의 값은 공간의 차원이 된다. 왜냐하면 χ(1) = Tr(ρ(1)) = Tr(''IV'') = dim(''V'')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표의 다른 값들은 "뒤틀린" 차원으로 볼 수 있다.

차원에 대한 명제의 유비 또는 일반화를 지표 또는 표현에 대한 명제로 찾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정교한 예시는 몬스터 문샤인 이론에서 나타난다. j-불변량은 몬스터 군의 무한 차원 등급 표현의 등급 차원이며, 차원을 지표로 대체하면 몬스터 군의 각 원소에 대한 McKay–Thompson 급수를 얻을 수 있다.[3]

만약 ''G''가 리 군이고 ρ가 ''G''의 유한 차원 표현이면, ρ의 지표 χρ는 모든 ''g'' ∈ ''G''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χρ(''g'') = Tr(ρ(''g''))

한편, \mathfrak g리 대수이고 ρ가 \mathfrak g의 유한 차원 표현이면, 지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χρ(''X'') = Tr(eρ(''X''))

이 지표는 연관된 리 군 ''G''의 모든 ''g''와 모든 X\in\mathfrak g에 대해 χρ(Ad''g''(''X'')) = χρ(''X'')를 만족한다. 만약 리 군 표현과 연관된 리 대수 표현이 있다면, 리 대수 표현의 지표 χρ는 다음 공식에 의해 군 표현의 지표 Χρ와 관련된다.

: χρ(''X'') = Χρ(e''X'')

이제 \mathfrak g가 카르탕 부분 대수 \mathfrak h를 갖는 복소 반단순 리 대수라고 가정하자. \mathfrak g의 기약 표현 ρ의 지표 χρ의 값은 \mathfrak h에서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지표의 \mathfrak h로의 제한은 가중 공간을 사용하여 쉽게 계산할 수 있다.

: χρ(''H'') = Σλ ''m''λeλ(''H''), ''H'' ∈ \mathfrak h

여기서 합은 ρ의 모든 가중치 λ에 걸쳐 있고, ''m''λ는 λ의 중복도이다.[4]

(지표의 \mathfrak h로의 제한)은 바일 지표 공식에 의해 더 명시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6. 역사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가 1896년에 유한군의 지표론을 제창하였다.[6] 이는 군 표현이 정의되기 이전이었고, 군 표현론의 시초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Algèbre Springer-Verlag 2012
[2] 문서
[3] 논문 2006
[4] 서적 2015
[5] 논문 2006
[6] 간행물 Über Gruppencharaktere 18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