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굴봉산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굴봉산역은 2010년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과 함께 역사가 이전되면서 굴봉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전철역이다. 1939년 서천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경강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가, 현재의 굴봉산역으로 변경되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인근에 제이드가든 수목원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천시의 전철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춘천시의 전철역 - 강촌역
    강촌역은 1939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2010년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역사가 이전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상역으로, 경춘선과 ITX-청춘 열차가 정차한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경춘선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경춘선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굴봉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굴봉산역 전경
굴봉산역 전경
주소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산면 서백길 192 (서천리 226-6)
운영 정보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경춘선
역 번호P135
역 등급3급
승강장2면 2선 (상대식)
구조고가역
이용 정보
승차 인원 (2018년)220명
승강 인원 (2018년)428명
역사
개업일1939년 7월 20일 (서천역으로 개업)
신역사 이전2010년 12월 21일 (굴봉산역으로 역명 변경 및 이전)
이전 역명서천, 경강
인접한 역
경춘선가평역 (상봉, 청량리, 광운대 방면) - 백양리역 (춘천 방면)
기타 정보
다른 뜻장항선의 서천역 (이 역의 옛 이름을 역명으로 사용)

2. 역명 유래

본래 춘천시 남산면 서천리에 위치해 있다하여 '''서천역'''(西川驛)이라는 역명으로 개업하였으나, 충청남도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역(舒川驛)과 발음이 같아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경기도(京畿道)와 강원도(江原道)가 만나는 지점이라는 뜻의 '''경강역'''(京江驛)으로 바꾸었다.[2]

2010년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업과 함께 역사가 이전하게 되면서 인근에 있는 해발 395m의 굴봉산(屈峰山)의 이름을 따 '''굴봉산역'''으로 다시 바꾸었다.[2] 부기역명인 제이드가든 수목원은 역에서 차로 약 4km 정도 거리에 있으며 무료 셔틀버스가 한 시간에 한 대꼴로 운행하고 있다.

3. 역사

1939년 7월 20일 춘천군 남산면 서천리 230번지에서 '''서천역'''이라는 이름으로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5], 1939년 7월 25일 '''서천역'''(西川駅)으로 영업 개시.[10] 1955년 7월 1일 '''경강역'''으로 역명 변경[6], '''서천역'''(西川駅)에서 '''경강역'''(京江駅)으로 역명 변경.[10] 1958년 6월 10일 역사 준공. 1963년 6월 13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1980년 7월 15일 보통역으로 승격[7][8] 2004년 9월 1일 화물 취급 중지[9]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 개통으로 성북 기점 62.2 km에서 망우 기점 54.7 km로 변경 및 '''굴봉산역'''으로 역명 개정[10], 백양리로 역사 이전, 수도권 전철 경춘선전철역이 됨.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에 따라 이전 개업, 역명도 '''경강역'''(京江駅)에서 '''굴봉산역'''으로 변경.[10]

4. 역 구조



굴봉산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백양리⋅춘천 방면
3가평⋅상봉⋅청량리⋅광운대 방면



가평

백양리

4. 1. 승강장



굴봉산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백양리⋅춘천 방면
3가평⋅상봉⋅청량리⋅광운대 방면



가평

백양리

5. 이용객 변동

wikitext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경춘선승차258242285325375289288253220182140146163155[11]
하차224249297329376304280243208180145147161153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11]

5. 1. 연도별 이용객 수

wikitext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경춘선승차258242285325375289288253220182140146163155[11]
하차224249297329376304280243208180145147161153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11]

6. 특징

천마산역과 같이 철도 터널 두 개 사이에 끼어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신사와 아가씨에서 제이드가든은 이영국(지현우))의 집이 등장했었다. SBS 호기심 천국에서는 사람이 제일 간이역으로 소개된 적이 있다. 드라마 천국의 계단사랑과 야망에도 등장하였고,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이 다녀간 곳이 되었다. 무한도전 시크릿 바캉스 특집에서 을 버리고 가는 몰래 카메라를 실패하는 장면으로 굴봉산역과 강촌역이 잠깐 등장했다. 이설 직전에는 사진으로 남기려는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던 역이었다고 한다.

7. 역 주변

8. 인접한 역

wikitable

한국철도공사
경춘선
가평역 (P134)굴봉산역 (P135)백양리역 (P136)


참조

[1] 웹사이트 굴봉산역 https://terms.naver.[...] 2019-06-14
[2] 웹사이트 경춘선 복선전철 역 5곳 이름 확정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신문 2010-09-09
[3] 자료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4] 뉴스 경춘선 복선전철 역 5곳 이름 확정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9-09
[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교통 사설철도운수개시 1939-07-26
[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 제417호 1955-06-29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8호 1980-07-05
[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서울지방철도청공고 제2호 1980-07-25
[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2004-34호 2004-08-26
[10]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676호 http://www.molit.go.[...] 2010-10-04
[11]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3-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