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철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철역은 도시의 주요 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하여 계획되며, 도로, 상업 중심지, 주요 건물 등과 연결된다. 대부분 지하에 위치하며, 지상 또는 도로로 연결되는 입출구를 갖추고 있다. 역은 발권 및 개표 시스템,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 설치를 통해 안전을 확보한다. 환승역은 여러 노선의 연결을 제공하며, 디자인은 각 역의 특징을 나타낸다. 건설 방식은 개착 공법, 실드 공법 등이 사용되며, 얕은 기둥 역, 깊은 기둥 역, 파일론 역, 단일 아치형 역, 동굴형 역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지하 깊숙이 건설되는 경우 접근성이 불편해지는 문제점과 승강장 혼잡, 감전 위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전철역
일반 정보
유형철도역
운행 노선지하철, 도시 철도
구조지하, 고가, 지상 (혼합형 존재)
접근성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휠체어 리프트
특징
승강장 형태상대식 승강장, 섬식 승강장, 상대식-섬식 혼합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여부스크린도어 설치 (필수)
역 번호역마다 고유 번호 부여
운영 및 관리
주요 운영 주체지하철 운영 기관
관리 방식직영
위탁 (자회사, 관련 기업)
수익운임 수입, 광고 수입, 임대 수입
역사
최초 개통1863년 1월 10일 (런던 지하철)
안전 및 보안
안전 설비비상 환기 장치, 소화 설비, 비상 연락 장치
보안 시스템CCTV 감시, 보안 인력 배치
편의 시설
주요 시설화장실, 매표소, 자동 발매기, 교통 카드 충전기
기타 시설상업 시설 (편의점, 식당, 상점 등),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물품 보관함
접근 매체
대중교통 연계버스 환승 센터, 택시 승강장, 자전거 보관소
기타 연계주차장 (일부 역)
기타
관련 용어환승역, 시종착역, 급행 정차역, 지하 역사, 대합실

2. 위치

전철역의 위치는 도로, 상업 중심지, 주요 건물, 교통 요충지와 같이 중요한 도시 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계획된다.

대부분의 역은 지하에 위치하며, 입구와 출구는 지상 또는 도로로 이어진다. 역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공공 간선도로 또는 도시 공원 부지에 위치한다. 역을 지하에 배치하면 역이 차지하는 외부 공간이 줄어들어, 차량과 보행자가 역 건설 이전과 유사한 방식으로 지상 공간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역이 도시 밀도가 높은 도시 구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중요하다. 지상 공간은 이미 많이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1]

다른 경우에는 역이 고가 철도로 도로 위에 건설되거나, 열차 선로의 높이에 따라 지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역과 운영이 물리적, 시각적, 경제적 영향을 더 크게 미칠 것이다. 계획자들은 도시 밀도가 감소하는 지역에서 지하철 노선 또는 노선의 일부를 지상 또는 지상 위로 올려 시스템을 더 저렴한 비용으로 확장하는 경우가 많다. 지하철은 인구가 많은 도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2] 기존 철도 부지 통로를 급행 수송을 위해 재사용하기도 한다.[3]

지하철역은 지하역의 일종으로 분류되어 도로 아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하철"이라고 해도 교외 지역이나 해발 고도가 낮은 지역 등에서는 지상이나 고가 구간도 있으며, 이 구간에 있는 역은 지상역이나 고가역으로 분류된다. (예: 도쿄 메트로 긴자선 시부야역,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야오미나미역)

3. 시설

지하철역은 일반적으로 발권 시스템과 개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역은 거리에 연결된 무임 구역과 열차 승강장에 연결된 유료 구역으로 나뉜다. 개찰구는 유효한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이 이 구역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개찰구는 직원이 운영하거나, 일반적으로 자동 개찰구 또는 교통 카드를 스캔하거나 감지하면 열리는 게이트로 운영된다.[4] 일부 지하철 시스템에서는 유료 구역을 없애고 열차 객실에서 차장이 승차권을 검사하기도 한다.[5]

거리에서 발권 및 열차 승강장으로의 접근은 계단, 대합실,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및 터널로 제공된다. 역은 혼잡을 최소화하고 흐름을 개선하도록 설계되며, 때로는 터널을 일방통행으로 지정하기도 한다.[2] 영구적 또는 임시적인 장벽을 사용하여 인파를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지하철역은 인근의 중요한 건물과 직접 연결되기도 한다 (지하도시 참조).

대부분의 관할 구역에서는 장애인이 역을 도움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를 통해 해결되며, 여러 명의 승객을 지상에서 무임 발권 구역으로, 그리고 유료 구역에서 승강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비상 조명, 비상구경보 시스템을 설치하고 유지 관리하는 등 비상 상황에 대한 엄격한 요구 사항이 적용된다. 역은 고장이나 문제가 발생한 열차에서 탈출하는 승객의 대피 경로의 중요한 부분이다.[6]

지하철역은 공중 화장실, 매점, 교통 경찰과 같은 직원 및 보안 서비스를 위한 편의 시설과 같은 추가 시설을 제공할 수도 있다.

4. 환승역

환승역은 여러 노선 또는 교통 시스템 간의 연결 및 환승을 제공하는 역이다. 승강장은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환승역은 일반 역보다 더 많은 승객을 처리하며, 이동 시간을 줄이고 승객 흐름을 관리하기 위해 추가 연결 터널과 더 넓은 대합실을 갖추고 있다.[1]

5. 승강장 안전문 (스크린도어)

일부 역, 특히 완전 자동화된 열차가 운행되는 곳에서는 전체 플랫폼이 벽(일반적으로 유리)으로 선로와 차단되어 있으며, 자동 승강장 안전문 (PED)이 설치되어 있다. 이 문들은 엘리베이터 문처럼 열차가 정차했을 때만 열리므로 승객이 실수로 선로에 떨어지거나 (또는 자살을 시도하여) 열차에 치이거나 감전될 위험을 없앤다.[1]

첸나이 지하철의 지하철역에 설치된 전고 높이 승강장 안전문


플랫폼의 환기 제어도 개선되어 터널을 동일하게 처리하지 않고도 난방 또는 냉방이 가능하다. 안전문은 시스템에 비용과 복잡성을 더하며, 열차가 안전문과 정확하게 정렬하여 정차할 수 있도록 역에 더 천천히 접근해야 할 수 있다.[1]

지하철은 인구가 많은 도시부에 건설되므로 이용자가 많고, 지하에서 시야가 좋지 않아, 추락 방지를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는 노선도 있다(예: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이나 후쿠토신선 등). 기존 노선에서도 설치가 진행되고 있으며,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처럼 규격을 맞춘 신형 차량으로 일괄 교체한 노선도 있다.[2]

6. 디자인

지하철역은 도시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며, 각 역마다 독특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조각이나 프레스코화를 설치하거나, 특정 인물이나 사건을 묘사한 타일로 장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런던 베이커 스트리트 역은 셜록 홈즈를 묘사한 타일로, 파리 콩코드 역은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을 새긴 타일로 장식되어 있다.[1]

나폴리, 스톡홀름, 모스크바 등 일부 전철 시스템은 아름다운 건축과 공공 미술로 유명하다.[7] 파리 메트로는 아르 누보 양식의 역 입구로, 아테네 지하철은 고고학 유물 전시로 유명하다.

반면, 모든 역에 통일된 디자인을 적용하여 일관성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노먼 포스터 경이 설계한 스페인 빌바오는 모든 역에 동일한 현대 건축물을 사용하여 승객의 탐색을 쉽게 한다.

지하철역은 광고를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특히 승객들이 기다리는 장소에 포스터나 비디오 광고를 설치하여 운영자에게 추가적인 수익원을 제공한다.

대한민국의 지하철역 디자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노선/역특징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메구로역 제외)6가지 색상의 스테이션 컬러를 3개 역씩 배치, 스크린도어, 에스컬레이터 벨트 등에 적용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최초 개업 구간 (우메다역, 요도야바시역, 혼마치역, 신사이바시역)볼트 구조의 돔 형태 천장과 샹들리에풍 형광등 조명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 각 역역마다 다른 테마 설정, 특히 최초 개업 구간 (교바시역 - 쓰루미료쿠치역)은 역마다 역의 꽃을 설정하고 큰 벽화 설치
도영 지하철 오에도선 각 역개찰구 부근에 "여유로운 공간" 설치, 지역 특징을 살린 디자인 도입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센터미나미역~센터키타역)블루라인은 대부분의 역에 공공 미술 설치, 그린라인은 일본의 전통색을 사용한 스테이션 컬러 채용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입구 역명 표시에 독자적인 심볼 마크 사용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각 역스테이션 컬러(심볼 컬러) 선정, 스크린도어, 역명 표시부 등에 적용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 다니가미역 제외), 해안선각 역의 이미지 테마 설정


7. 건설 방식

전철역 건설에는 다양한 공법이 사용되며, 지반 조건, 주변 환경, 건설 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지하철역은 지하역의 일종으로 도로 아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교외 지역이나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 등에서는 지상역이나 고가역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지하역 건설에는 주로 개착 공법과 실드 공법이 사용된다. 많은 역은 개착 공법으로 건설되지만, 지하 깊숙한 곳에 있는 역 등에서는 실드 공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나가타초역 등이 그 예이다.

플랫폼섬식 승강장 1면 2선인 경우가 많지만,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섬식 승강장 바깥쪽에 단식 승강장을 신설한 2면 2선, 상하 2층식 플랫폼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7. 1. 얕은 기둥 역 (Shallow column station)

'''얕은 기둥 역'''은 지하철역 건설 방식 중 하나로, 지하 공간을 지지하기 위해 보조 지지대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8] 대부분 금속 기둥이나 콘크리트 및 강철 기둥을 역의 긴 축과 평행하게 배열하여 사용한다.

역은 기둥이 한 줄인 2경간, 기둥이 두 줄인 3경간 또는 다경간으로 설계될 수 있다. 러시아의 일반적인 얕은 기둥 역은 콘크리트와 강철로 조립된 3경간으로, 길이는 102m~164m이며 기둥 간격은 4m~6m이다. 일반적인 역 외에도 특별히 건설된 역도 있다. 예를 들어, 사마라 지하철의 모스콥스카야역이나 노보시비르스크 지하철의 시비르스카야역과 같이 경간 중 하나를 일체형 볼트로 교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기둥 줄 중 하나를 지지 벽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편리한 환승을 제공하기 위해 건설된 2개 홀, 1경간 역인 카시르스카야도 있다. 최근에는 카잔의 플로샤디 튜카야역과 같이 조립식 부품 대신 일체형 콘크리트와 강철로 된 역이 등장했다.

일반적인 얕은 기둥 역은 역의 양쪽 끝에 두 개의 대합실이 있으며, 대부분 도로 아래 횡단보도와 연결되어 있다.

러시아 이외의 많은 지하철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인 기둥 역은 뉴욕, 베를린 등과 같이 금속 기둥이 있는 2경간 역이다. 시카고 'L'의 시카고 지하 역은 중앙 플랫폼으로 건설된 경우 3경간 역이다.

모스크바 지하철의 경우, 역의 약 절반이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건설된 얕은 깊이의 역이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어려운 토양 조건과 도시 중심부의 밀집된 건물로 인해 이것이 불가능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에는 총 5개의 얕은 깊이 역만 있으며, 그중 3개는 기둥 설계를 갖추고 있다: 아브토보, 레닌스키 프로스펙트 및 프로스펙트 베테라노프. 이 중 첫 번째 역은 상당한 깊이에 묻혀 있고 지상 대합실이 하나만 있어 일반적이지 않다.

뉴욕 지하철의 14번가역 (얕은 기둥 역)

7. 2. 깊은 기둥 역 (Deep column station)

코멘단츠키 프로스펙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심층 열형 역)


'''심층 열형 역'''은 지하철 역의 한 유형으로, 중앙 홀과 두 개의 측면 홀이 열을 이루는 기둥 사이의 고리 모양 통로로 연결된 형태이다.[9] 역의 유형에 따라 고리는 "쐐기 아치" 또는 도리를 통해 기둥으로 하중을 전달하여 "기둥-도리 복합체"를 형성한다.

열형 역은 파일론 역에 비해 홀 사이의 연결이 훨씬 더 크다는 장점이 있다.

세계 최초의 심층 열형 역은 1938년 모스크바에 개통된 마야콥스카야이다.

열형 역의 한 종류는 "기둥-벽 역"이다. 기둥-벽 역에서는 기둥 사이의 일부 공간이 벽으로 대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려운 지반 환경에서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다. 모스크바의 이러한 역으로는 크레스티얀스카야 자스타바역과 두브로브카역이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코멘단츠키 프로스펙트가 그 예이다.

7. 3. 파일론 역 (Pylon station)

안젤역, 프라하 지하철 (파일론 역)의 중앙 홀


'''파일론 역'''은 깊은 지하에 건설되는 지하철역의 한 종류이다.[10] 파일론 역의 기본적인 특징은 중앙 홀과 역 터널을 분리하는 방식이다.

파일론 역은 서로 분리된 세 개의 홀로 구성되며, 각 홀은 파일론 열과 그 사이의 통로로 구분된다. 홀들의 독립적인 구조는 중앙 홀과 측면 홀의 건축 양식을 차별화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특히 80m 깊이로 파일론 역으로 건설된 예루살렘–이츠하크 나본 철도역에서 두드러지는데, 플랫폼 홀이 마치 야외 기차역처럼 보이도록 건설되었다.

파일론 유형의 역 건설은 어려운 지질 환경에서 선호되는데, 이러한 역이 토압에 더 잘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좁은 통로의 수는 홀 사이의 통과 능력을 제한한다.

7. 4. 단일 아치형 역 (Single-vault station)

워싱턴 메트로의 Foggy Bottom-GWU역 (단일 아치형 역)


단일 아치형 역은 하나의 넓고 높은 지하 홀로 구성되며, 이 안에는 하나의 아치만 존재한다.[11] 1975년 레닌그라드에 최초의 단일 아치형 역인 Politekhnicheskaya와 Ploshchad Muzhestva가 건설되었다. 1976년에는 워싱턴 D.C.에 최초의 2층 단일 아치형 환승역인 L'Enfant Plaza, Metro Center 및 Gallery Place가 개통되었다.

모스크바 지하철에는 깊은 지하 단일 아치형 역인 Timiryazevskaya가 있으며, 이 외에도 얕은 깊이의 여러 단일 아치형 역이 있다.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에는 Park Kultury, Leninskaya, Chkalovskaya 및 Kanavinskaya 등 4개의 역이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의 모든 단일 아치형 역은 깊은 지하에 위치해 있으며, Ozerki, Chornaya Rechka, Obukhovo, Chkalovskaya 등이 대표적이다. 워싱턴 D.C. 메트로 시스템의 대부분의 지하철역은 단일 아치형 설계를 사용하며, 몬트리올 지하철의 모든 단선 아치형 역도 마찬가지이다. 프라하 지하철에는 Kobylisy와 Petřiny 등 단일 아치형으로 건설된 2개의 지하철역이 있다. 부쿠레슈티 지하철의 Titan 역도 이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7. 5. 동굴형 역 (Cavern station)

스톡홀름 지하철의 Rådhuset역


'''동굴형 역'''(Cavern station)은 동굴 내부에 직접 건설된 지하철역을 말한다. 스톡홀름 지하철의 블루 라인에 있는 많은 역처럼, 인공 동굴에 건설된 경우가 많다. 이 역들은 터널에 갇히는 대신 굴착된 기반암을 노출하도록 건설되었다.[12][13] 스톡홀름 지하철은 동굴 시스템에 건설된 차량기지 시설도 갖추고 있다.[14]

홍콩 MTR에서 동굴에 건설된 역으로는 홍콩 섬의 타이쿠역이 있다.[15][16][17][18] 그 외에도 사이완호, 사이잉푼, 홍콩 대학교, 레이통 역이 있다.[15]

8. 문제점

도쿄 등 대도시에는 다수의 지하철 노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새로운 지하철 노선을 건설하려면 기존 지하철 노선을 피해야만 하여, 지하철 노선이 지하 깊숙이 건설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노선의 역은 지하 깊숙한 곳에 있는 경향을 보이며, 지상으로부터의 접근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난다.[1]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지하 깊숙이 있는 지하철 노선인 도영 지하철 오에도선의 한 역과 역 사이를 오에도선을 이용하여 가는 것과 걸어서 가는 것 중 어느 쪽이 빠른지를 알아보는 기획이 타모리 클럽에서 방영되었는데, 이 기획에서는 아카바네바시역아자부주반역, 아자부주반역과 롯폰기역 사이는 걸어가는 것이 더 빠르다는 것이 실증되었다.[1]

또한, 노선이나 역이 도로 지하에 있는 것 등으로 인해, 역의 설비나 승강장의 넓이 등에 제한이 많고, 확장도 어려워 이용자에게 불편이 발생하기도 한다.[1]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도큐 덴엔토시선 시부야역에서는 하루 60만 명 이상이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승강장이나 계단이 좁아, 승강장 증설이나 폭 확장이 불가능하여, 승강장에 이용객이 넘쳐 전철 승하차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만성적인 전철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1]

제3궤조 방식의 지하철의 경우, 사람이 제3궤조에 접촉하면 감전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주의 간판 설치 및 승강장 아래 대피 공간 확보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1]

9. 기록


  • 현존하는 최초이자 가장 오래된 지하철역은 1863년에 개통한 베이커 스트리트역이다.
  • 가장 크고 복잡한 지하철역은 프랑스 파리 메트로-RER 역인 샤틀레-레알역으로, 8개 노선(3개의 RER, 5개의 파리 메트로)에 20개의 승강장이 있다.[19]
  • 가장 깊은 지하철역은 중국 충칭 궤도 교통의 홍옌춘역으로, 역의 9호선 선로 상단은 지하 106m 깊이에 있으며, 가장 깊은 지점은 지하 약 116m이다.[20][21]
  • 가장 높은 고가 역은 충칭 궤도 교통의 화롱차오역으로 지상 48m에 있다.[22][23]
  • 가장 북쪽에 있는 지하철역은 핀란드 헬싱키 지하철 멜룬매키역이다.[24]
  • 가장 남쪽에 있는 지하철역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하철의 플라사 데 로스 비레이스 - 에바 페론역이다.

참조

[1] 서적 Sustainable Transportation Planning: Tools for Creating Vibrant, Healthy, and Resilient Communities Wiley 2012
[2] 서적 Civil Engineering for Underground Rail Transport Butterworth & Co 1990
[3] 웹사이트 Landmarks in urban transport http://www.nexus.org[...] Nexus 2016-05-15
[4] 서적 Rapid-rail transit and planning tools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87
[5] 웹사이트 Midland Metro Cash Fares http://nxbus.co.uk/t[...] 2016-05-15
[6] 웹사이트 Study on the Safety and Disaster-Prevention Signing System of the Subway Based on Site Investigation at Home and Abroad http://www.hjxf.ne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Beijing, China 2016-05-15
[7] 웹사이트 Metro Arts and Architecture http://mic-ro.com/me[...] 2006-12-04
[8] 웹사이트 Строительство станций мелкого заложения {{!}} Московское метро https://nashemetro.r[...] 2021-04-13
[9] 웹사이트 Строительство колонных станций {{!}} Московское метро https://nashemetro.r[...] 2021-04-13
[10] 웹사이트 Строительство пилонных станций {{!}} Московское метро https://nashemetro.r[...] 2021-04-13
[11] 웹사이트 Строительство односводчатых станций глубокого заложения {{!}} Московское метро https://nashemetro.r[...] 2021-04-13
[12] 웹사이트 Stockholm Metro: The Most Beautiful Subway In The World? https://www.forbes.c[...] 2023-05-17
[13] 웹사이트 Riding the Tunnelbana - the painted caves of the Stockholm Metro https://www.iridethe[...] 2023-05-17
[14] 웹사이트 Norsborg Metro Depot – Sweden Underground https://swedenunderg[...] 2023-05-17
[15] 웹사이트 Cavern Development - 岩洞發展 https://www.cavern.g[...]
[16] 웹사이트 Dragages Hong Kong http://dragageshk.co[...]
[17] 간행물 Tai Koo Cavern, Hong Kong - Performance of a Large Metro Excavation in a Partially Weathered Rock Mass. Large Rock Caverns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Helsinki, Finland, 25-28 August 1986. Volume 1 https://trid.trb.org[...]
[18] 웹사이트 Rock Caverns – Hong Kong's Hidden Land https://www.academia[...]
[19] 웹사이트 Réaménagement du pôle RER Chatelet-les-Halles http://www.ratp.fr/c[...] 2008-03-13
[20] 웹사이트 全国最深地铁站红岩村站主体开挖初支完成 https://tunn.cscec.c[...] 2020-03-31
[21] 웹사이트 重庆轨道交通9号线一期工程正式通车试运营 http://cq.news.cn/20[...] 2022-02-03
[22] 웹사이트 关于轨道交通9号线一期,你想知道的,都在这儿啦!_重庆市人民政府网 https://www.cq.gov.c[...] 2023-03-15
[23] 웹사이트 重庆9号线一期开通 化龙桥站再现"轨道穿楼"-中国科技网 http://www.stdaily.c[...] 2023-03-15
[24] 웹사이트 Mellunmäki The world's northernmost metro station, in Helsinki http://finland.fi/?f[...] 2018-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