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김현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김현영은 여성주의 연구활동가이자 작가, 칼럼니스트이다. 성균관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언니네트워크, 한국성폭력상담소 등에서 활동했다. 성공회대, 명지대 등 여러 대학에서 여성학 관련 과목을 강의했으며, 현재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원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길을 찾아낼 것이다》 등이 있으며, 다수의 공저, 편저,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 출연하고, 팟캐스트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학자 - 정희진
    정희진은 여성학, 평화학 연구자이자 작가로서, 여성학 학위를 취득 후 한국여성의전화 활동, 강연, 저술 활동을 하며 녹색당 당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여성주의자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여성주의자 - 노회찬
    노회찬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정의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동운동과 사회 개혁에 헌신했으나, 드루킹 사건 연루 의혹으로 특검 수사 중 투신 사망했다.
  • 이화여자대학교 동문 - 안귀령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인 안귀령은 한국낚시채널, 광주방송, YTN 앵커를 거쳐,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을 시작으로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서울특별시당 도봉구 갑 지역위원장, 당 대변인 등을 역임하고 있다.
  • 이화여자대학교 동문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권김현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권김현영
원어명권김현영
로마자 표기Kwon Kim Hyun-young
출생일1976년
직업여성주의 연구활동가
경력
경력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기획위원
수상
상훈2020년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상 양성평등문화지원상 개인부문 수상

2. 생애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여성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언니네트워크,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재단,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등에서 일했다. 성공회대학교, 명지대학교, 국민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홍익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여성학>, <현대사회와 여성>, <여성과 정치>, <페미니즘 정신분석>, <여성과 심리>, <예술가의 젠더연습> 등의 과목을 가르쳤다. 현재는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원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3. 저술 활동

권김현영은 여성학 연구자로서 단독 저서, 공저, 편저, 논문 및 학술지 기고 등 다양한 형태로 저술 활동을 해왔다. 주요 연구 주제는 여성, 젠더, 성폭력, 남성성 등이다.

3. 1. 저서


  •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한국어, 2019년 10월, 휴머니스트 [1]
  • 늘 그랬듯이 길을 찾아낼 것이다한국어, 2020년 6월, 휴머니스트 [2]

3. 2. 공저

출판 연도도서명출판사비고
1999여성의 일찾기 세상바꾸기또하나의문화
2001페니스파시즘개마고원
200120세기 여성사건사여성신문사
2005카메라를 든 여전사도서출판 아이공
2006여행 좋아하세요?또하나의문화
201010대의 섹스, 유쾌한 섹슈얼리티동녘
2011남성성과 젠더자음과모음
2012성의 정치 성의 권리자음과모음
2013성폭력에 맞서다한울아카데미
2016페미니스트 모먼트그린비
2016대한민국 넷페미사나무연필
2016양성평등에 반대한다교양인
2018지금 여기에서의 페미니스트X민주주의교유서가
2018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휴머니스트
2019미투의 정치학교양인
2020우리는 자격 없는 여성들과 세상을 바꾼다와온


3. 3. 편저


  • 언니네사람들 저, 《언니네방》, 갤리온, 2006
  • 언니네사람들 저, 《언니네방2》, 갤리온, 2007
  • 권김현영 편저, 엄기호, 준우, 정희진, 한채윤, 루인, 《한국남성을 분석하다》, 교양인, 2017
  • 권김현영 편저, 참고문헌없음준비팀, 정희진, 한채윤, 루인,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3. 4. 논문 및 학술지 기고

연도제목수록 학술지 및 출판사비고
2000〈군가산점 소동과 싸이버테러〉한국여성연구소, 여성과 사회 11
2001〈순정만화, 여성들의 정서적 문화동맹〉한국여성연구소, 여성과 사회 12
2001〈차이에 대해 말하기, 기억과 치유의 정치학을 위하여: 영페미니스트가 말하는 계급과 문화정체성〉생각의나무, 당대비평 15
2002〈병역의무의 성별정치학〉생각의나무, 당대비평 19
2004〈군대내 남성간 성폭력 연구〉국가인권위원회권인숙, 이경환, 이동옥 외 공저
2004〈성폭력 생존자 대회, ‘말하고싶다’가 ‘말하기싫다’를 이겼다〉월간 말, 월간 말 211
2007〈평화의 정치학을 위한 모성적 사유 - 남성중심적 안보개념에 대한 비판〉한국여성철학 7권
2007〈민족주의 이념논쟁과 후기 식민 남성성 – 해방전후사의 인식과 재인식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문화과학사, 문화과학 49
2012〈1950년대 1공화국 국가 건설기 공적영역의 형성과 젠더 정치〉여성학논집 제29권 1호김은실 공저
2012The Korean Gay and Lesbian Movement 1993-2008: From "Identity" and "Community" to "Human Rights"|한국의 게이와 레즈비언 운동 1993-2008: "정체성"과 "공동체"에서 "인권"으로영어South Korean Social Movements: From Democracy to Civil Society (Routledge Advances in Korean Studies), Loutledge:newyork영어John (Song Pae) Cho영어 공저
2013〈박근혜 시대에 여성 정치를 논하기〉천년의시작, 계간 시작12(1)
2018〈피해자중심주의는 여성주의적 원칙인가〉문학동네, 문학동네 96
2018〈미투, 반성폭력운동의 윤리-정치적 전환〉문학동네, 문학동네 95
2018〈그 남자들의 여자문제 – 한국 진보남성엘리트들의 무지와 권력〉황해문화, 2018 겨울, 101호
2019〈불평등 감각의 젠더차이-성차별현실에 대한 부정과 인정〉창작과비평, 2019년 가을 195호


4. 방송 및 기타 활동

권김현영은 방송, 팟캐스트, 좌담, 인터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여성주의적 관점을 제시하고 사회 현상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내왔다.

2020년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 출연하여 "n번방을 키운 사회, 어떻게 끝낼까?"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여러 팟캐스트에 출연하여 페미니즘, 몸, 남성성, 백래시, 미투 운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했다.

창작과 비평, 씨네21 등 여러 매체와 함께 좌담을 진행하며 개헌, 박근혜 시대의 여성주의 정치, 영화계 내 성폭력, 미투 운동 이후의 변화 등에 대한 논의에 참여했다. 인터뷰를 통해 미투 운동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안희정 사건 1심 재판을 비판하기도 했다.[2]

4. 1. 방송



; 팟캐스트

  • 을들의 당나귀 귀 -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 말하는 몸 - 내가 사랑하는 담배
  • 거침없는 해장상담소 - 극단적으로 유해한 남성들로부터 우리 모두를 구하기 1
  • 거침없는 해장상담소 - 극단적으로 유해한 남성들로부터 우리 모두를 구하기 2
  • 혼밥생활자의 책장 - 백래시, 안티페미니즘 네트워크
  • 혼밥생활자의 책장 - 미투의 정치학

4. 2. 팟캐스트

4. 3. 좌담


  • 창작과 비평 2018년 봄호에서 백승헌 변호사의 사회로 진행된 "개헌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 좌담에 이인영(국회의원), 정두언(전 국회의원)과 함께 참여했다.[1]
  • 황정아의 사회로 진행된 "누가 여성인가 - 박근혜 시대의 여성주의 정치" 좌담에 권미혁(여성연합), 이유진(기자)과 함께 참여했다.[2]
  • 씨네21에서 진행한 "영화계 내 성폭력 다섯번째 대담-여성학자와 활동가"에 참여했다.
  • 미투 운동 이후 1년, "연극은 달라졌는가"라는 좌담에 참여했다.

4. 4. 인터뷰

권김현영은 "미투 피해자들의 폭로가 경이롭지만 두렵다"며 여성학자로서 "남녀 관계에서 서사가 바뀌어야 할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1] 또한 '입법 미비'를 이유로 비겁하게 숨은 법원을 비판하며, 1심은 안희정이 아닌 김지은 재판이었다고 평가했다.[2]

참조

[1] 뉴스 권김현영 "미투 피해자들의 폭로, 경이롭지만 두렵다" http://star.ohmynews[...] 2018-04-30
[2] 뉴스 [색다른 인터뷰] ‘입법 미비’ 이유로 비겁하게 숨은 법원…1심은 안희정 아닌 김지은 재판이었다 https://www.seoul.co[...] 2018-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