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희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희진은 대한민국의 여성학 연구자이자 저술가이다. 서강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여성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여성의전화 전문위원, 여성가족부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녹색당 당원이다. 저서로는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페미니즘의 도전》 등이 있으며, 《한겨레》, 《경향신문》, 《씨네21》 등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화학자 - 이수경 (사회학자)
    이수경은 역사사회학, 국제인권교육, 평화학을 연구하며 한일 관계 개선과 사회 통합을 위해 활동하는 사회학자로, 일본 사회문학회 평의원, Korea 연구실 대표, BOA 상임이사 등을 역임하고 여러 저서와 번역서를 출판했으며 일본여성문화상과 Seoul Moonhwa Today 문화대상을 수상했다.
  • 여성학자 - 권김현영
    권김현영은 여성주의 연구활동가로서, 여러 여성단체에서 활동하고 대학에서 여성학을 가르치며, 저서 출간, 방송 출연 등을 통해 미투 운동 등 사회 문제에 대한 견해를 밝히는 활동을 하고 있다.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문 - 박은정 (1952년)
    박은정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법철학 분야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대학교수로, 이화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법철학회 회장, 아시아생명윤리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고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겸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자연법, 생명윤리, 인권, 민주주의 등에 대한 연구와 저술 활동으로 학술상과 훈장을 수상했다.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문 - 정영애
    정영애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학 박사 출신 여성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한국여성학회 등에서 활동했으며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맡아 여성 권익 신장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고 여성 현안을 다루었다.
정희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희진
로마자 표기Jeong Hee-jin
출생일1967년
국적대한민국
직업여성학 연구자, 평화학 연구자

2. 생애

1967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강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여성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1][2][3][4][5] 대학 졸업 후 한국여성의전화에서 상근자로 일했으며, 여러 대학과 단체에서 여성학을 강의했다. 현재 녹색당 당원이다.[1][2][3][4][5]

2. 1. 학력

2. 2. 경력

3. 저서 및 기고

정희진은 한겨레, 경향신문, 씨네21에 칼럼을 기고했다.[1][2][3]

3. 1. 저서


  •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또하나의문화, 2001년)
  •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13년)
  • 《정희진처럼 읽기》 (교양인, 2014년)
  • 《아주 친밀한 폭력》 (교양인, 2016년) (2001년,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개정판)
  • 《혼자서 본 영화》 (교양인, 2018년)
  •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23년)

3. 2. 공저


  • 전희경 등. 《성폭력을 다시 쓴다》. 한울아카데미. 2003년.
  • 김은실 등.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휴머니스트. 2018년 6월
  • 엄기호 등. 《남성성과 젠더》. 자음과모음. 2011년.
  • 엄기호 등. 《저항하는 평화》. 오월의봄. 2015년.
  • 윤보라 등. 《여성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년.
  • 고미숙 등. 《나이듦 수업》. 서해문집. 2016년.
  • 권김현영 등.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교양인. 2016년.
  • 김고연주 등. 《소녀, 설치고 말하고 생각하라》. 우리학교. 2017년.
  • 리아 페이-베르퀴스트 등.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휴머니스트. 2017년 2월
  • 권김현영 등.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2017년 5월
  • 권김현영 등.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년 3월
  • 서민 등.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X민주주의》. 교유서가. 2018년 5월
  • 권김현영 등. 《미투의 정치학》. 교양인. 2019년 2월

3. 3. 해제


  • 애너벨 크랩, 《아내 가뭄》, 동양북스, 2016년 12월
  • 베티 프리단, 《여성성의 신화 (새로운 길 위에 있는 우리 모두에게 용기를)》, 갈라파고스, 2018년 7월

3. 4. 칼럼

참조

[1] 뉴스 (책과 길)세상 위해 바치는 순수… 서평은 날 선 사랑이다 http://news.naver.co[...] 국민일보 2015-01-23
[2] 뉴스 비폭력 저항의 힘으로 http://news.naver.co[...] 한겨레21 2015-01-23
[3] 뉴스 (신간)여성학자 정희진의 서재, '정희진처럼 읽기' http://news.naver.co[...] 뉴스1 2015-01-21
[4] 뉴스 정희진 씨 ‘치유의 인문학’ 강연 http://news.naver.co[...] 한겨레 2014-11-17
[5] 뉴스 (뉴 파워라이터)(16)여성학자 정희진 http://news.naver.co[...] 경향신문 2014-02-15 # 최종 수정일을 date로 사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