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익환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1990년 사법시험 합격 후 검사, 대검찰청 공안부장,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 등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연수원 22기를 수료했으며, 저축은행 부실 수사, 국가정보원 댓글 부대 재수사 등을 지휘했다. 검찰 퇴직 후 변호사로 활동하며 SK바이오사이언스, 한화의 사외이사,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의도고등학교 동문 - 장제원
장제원은 부산 사상구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뉴라이트부산연합 공동대표,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총괄실장 등을 맡았고, 아들의 음주운전 및 경찰관 폭행 사건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여의도고등학교 동문 - 이상윤 (배우)
이상윤은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드라마, 영화,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대한민국의 배우로, 여러 작품 출연과 예능 프로그램 《집사부일체》 고정 멤버 활동, 홍보대사 및 광고 모델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며 연기 및 예능 시상식에서 수상 경력을 쌓았다. - 칠곡군 출신 - 박영옥 (1929년)
박영옥는 숙명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교사로 재직하다 김종필과 결혼하여 국무총리 및 자유민주연합 총재 부인으로서 봉사활동을 했으며 한국여성테니스협회 회장, 적십자 여성봉사 특별자문위원회 명예위원장 등을 역임한 사회봉사자이다. - 칠곡군 출신 - 이종석 (법조인)
이종석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인천지방법원 판사,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거쳐 2018년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되었으며, 제8대 헌법재판소장을 역임했다. - 사법연수원 수료자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사법연수원 수료자 - 양승태
양승태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대법원장과 대법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나,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으로 기소되어 대한민국 최초로 구속된 대법원장이 되었다.
권익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권익환 |
원어명 | 권익환 |
로마자 표기 | Kwon Ik-hwan |
출생일 | 1967년 9월 29일 |
직업 | 검사 |
경력 | |
주요 경력 | 제16대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2. 생애
권익환은 1967년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태어나 여의도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뒤 검사로 임용되었다.[1] 주요 경력으로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1부장, 대검찰청 공안부장,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 등이 있으며, 특히 저축은행 부실 수사,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재수사 등을 지휘하였다.[2][3][4] 2018년 고위 공직자 재산 공개 내역에서 검찰 내 부동산 재산 순위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5]
2. 1. 출생 및 학창 시절
1967년 경상북도 칠곡군[1]에서 태어나 1986년 여의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1년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90년 제32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1993년 사법연수원 22기를 수료하였다.2. 2. 검사 임용 및 주요 경력
1993년 사법연수원 22기를 수료하고 군 법무관을 거쳐 1996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에 임용되었다.[1]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1부장으로 있으면서 영업정지를 당한 7개 저축은행의 부실 원인과 대주주, 경영진 등의 형사책임을 밝히기 위해 검찰, 금감원, 경찰청, 국세청, 예금보험공사 등 5개 기관이 참여하여 2011년 9월 22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산하에 설치된 합동수사단장을 맡아 대주주와 경영진의 불법 대출, 은닉 재산 환수, 정관계 로비 혐의 등을 파헤쳤다.[2]
2017년 8월 전국의 공안수사를 총 지휘하는 대검찰청 공안부장에 임명되어 국가정보원 적폐청산 TF가 2012년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아온 국정원 '댓글부대'의 실체를 공개하면서 'SNS 장악 방안' 등 당시 국가정보원에서 작성한 문건을 통해 확인되는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 시절 정치개입에 대하여 재수사를 지휘하였다.[3]
2018년 1월 19일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에 취임한 권익환은 취임식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사건처리와 인권옹호기관으로서의 기본책무에 충실한 검찰권 행사로 신뢰를 회복하자"고 하면서 "수사과정에서의 적법절차를 준수하고, 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최대한 경청하고 존중하는 등 공정한 결론 도출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나아가 범죄피해자와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사건관계인 모두에 대한 배려와 인권 옹호가 검찰의 기본적 책무임을 명심할 것"을 당부했다.[4]
2018년 3월에 공개된 2017년 고위 공직자 재산 내역에서 권익환은 총액 42.24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했으며 채무를 제외한 전체 재산은 총 45.01689999999999억원으로 검찰에서 부동산 재산이 노승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5]
2. 3. 검찰 퇴직 후 활동
2018년 1월 19일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에 취임한 권익환은 취임식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사건처리와 인권옹호기관으로서의 기본책무에 충실한 검찰권 행사로 신뢰를 회복하자"고 하면서 "수사과정에서의 적법절차를 준수하고, 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최대한 경청하고 존중하는 등 공정한 결론 도출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나아가 범죄피해자와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사건관계인 모두에 대한 배려와 인권 옹호가 검찰의 기본적 책무임을 명심할 것"을 당부했다.[4]2018년 3월 공개된 2017년 고위 공직자 재산 내역에서 권익환은 총액 42.24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했으며, 채무를 제외한 전체 재산은 총 45.01689999999999억원으로 검찰 내 부동산 재산 순위에서 노승권에 이어 두 번째였다.[5]
3. 경력
연도 | 직책 |
---|---|
1990년 | 제32회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22기 수료) |
1993년 | 군 법무관 |
1996년 ~ 2019년 7월 |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등 검사 경력 (하위 "검사 경력" 참조) |
2019년 ~ 2022년 | 변호사권익환법률사무소 변호사 |
2021년 3월 ~ | SK바이오사이언스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인사위원회 위원, 이사회 의장, 사외이사후보추진위원회 위원장,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인사위원회 위원 |
2022년 3월 ~ | 한화 사외이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ESG위원회 위원 |
연도 미상 | 법무부 검찰인사위원장 |
2022년 ~ |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 |
2022년 8월 ~ |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
3. 1. 검사 경력
1990년 제32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 22기를 수료하였다. 1993년 군 법무관을 거쳐 1996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임관하였다. 2005년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부부장검사를 거쳤다. 2007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제46대 대구지방검찰청 상주지청장을 역임하였다.2008년 3월부터 2009년 1월까지 법무부 형사법제과장을 지냈다. 2009년 1월 대검찰청 범죄정보2담당관, 2009년 8월 법무부 형사기획과장을 역임하였다. 2010년 7월에는 법무부 검찰과장을 맡았다. 2011년 9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1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2012년 1월 20일 대통령비서실 민정2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2013년 4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인천지방검찰청 2차장검사를 지냈다. 2014년 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대검찰청 범죄정보기획관을 역임하였다. 2015년 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제32대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장을 맡았다. 2015년 12월 21일부터 2017년 7월까지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하였다.
2017년 8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대검찰청 공안부장을 지냈다. 2018년 1월 19일부터 2018년 6월까지 제63대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을 역임하였다. 2018년 6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제16대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을 맡았다.
3. 2. 검찰 퇴직 후 경력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변호사권익환법률사무소 변호사로 활동했다. 2021년 3월부터 SK바이오사이언스 사외이사를 맡아, 감사위원회 위원,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인사위원회 위원, 이사회 의장, 사외이사후보추진위원회 위원장,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1] 2022년 3월부터는 한화 사외이사로 활동하며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ESG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1]법무부 검찰인사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22년부터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1] 2022년 8월부터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로 재직 중이다.[1]
참조
[1]
뉴스
청와대 민정2비서관에 권익환 부장검사
https://www.lawtimes[...]
[2]
뉴스
[인터뷰]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장 권익환 부장검사
https://www.lawtimes[...]
[3]
뉴스
국정원 인연 검사 빼고 ‘댓글 사건’ 수사
https://news.naver.c[...]
[4]
뉴스
권익환 대전지검 검사장 취임 “기본 충실한 검찰권 행사로 신뢰회복"
http://www.cctoday.c[...]
[5]
웹인용
2017 재산공개 검찰 최고의 부동산·주식 부자, 누구?
http://news.mt.co.kr[...]
2019-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