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칠곡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칠곡군은 대한민국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은 팔공산맥, 서쪽은 금오산, 낙동강을 경계로 북삼읍, 석적읍, 왜관읍 등을 중심으로 충적평야가 발달했다. 1640년 칠곡도호부가 설치되었고, 1895년 대구부 칠곡군으로 개편된 후 1896년 경상북도 칠곡군이 되었다.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칠곡군은 대구와 구미의 영향을 받아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관광지로는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이 있으며, 경부선, 중앙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곡군 - 석적읍
    석적읍은 1914년 석적면으로 개편된 후 2006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구미국가산업단지의 배후 주거지역 역할을 하고 칠곡군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읍이다.
  • 칠곡군 - 왜관읍
    왜관읍은 칠곡군에 있는 읍으로, 조선시대 왜관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경부선 왜관역 설치, 낙동강 전투 격전지, 캠프 캐럴 주둔, 천주교 전파 중심지로서의 역사적, 문화적 특징을 지닌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 경상북도의 군 - 성주군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한 성주군은 참외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특산물과 가야산 국립공원, 성주호, 세종대왕자태실, 성밖숲, 한개마을 등 자연, 역사, 문화 관광자원이 풍부한 1읍 9면의 군이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칠곡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칠곡군
한자 표기漆谷郡
로마자 표기Chilgok-gun
McCune-Reischauer 표기Ch'ilgok-kun
지역영남
방언경상
면적451km²
인구107,158명
인구 밀도237.6명/km²
행정 구역3읍 5면
상징
칠곡군 휘장
칠곡군 휘장
칠곡군 기
칠곡군 기
군목은행나무
군화매화
군조백로
행정
국가대한민국
경상북도
군수김재욱(국민의힘)
부군수유수호
국회의원정희용(국민의힘,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군청 소재지왜관읍 군청1길 80
행정 구역 분류 코드37390
기타
홈페이지칠곡군

2. 지리

팔공산맥의 서쪽 끝자락에는 가산, 황학산, 소학산, 유학산이 솟아 있으며, 이 지역은 중생대 낙동통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에는 금오산, 영암산, 서진산이 자리 잡고 있으며, 고생대 편마암이 분포한다. 낙동강은 칠곡군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흐르며, 북삼읍, 석적읍, 약목면, 왜관읍을 중심으로 비교적 넓은 충적 평야를 형성한다.

팔거천과 이언천은 남쪽으로 흘러 금호강으로 합류하고, 나머지 하천들은 모두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동쪽으로 흐르는 하천에는 경호천, 두만천, 서원천이 있으며, 서쪽으로 흐르는 하천에는 한천, 광암천, 반계천, 동정천이 있다. 칠곡군의 지리적 좌표는 동경 128°18′~128°38′, 북위 35°52′~36°38′이며, 연평균 기온은 14.8 °C, 연평균 강수량은 948mm이다.

2. 1. 칠곡의 명칭 문제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되면서 '칠곡'이라는 지명의 유래가 된 칠곡읍은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었다.[1] 중앙고속도로칠곡 나들목대구광역시 칠곡 지역(대구 북구)으로 연결되어, 칠곡군을 방문하려는 외지인들에게 착오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1] 대구에서는 칠곡군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옛 칠곡읍 지역인 대구 북구 서부를 금호강 이북이라는 뜻의 '강북'(예. 대구강북경찰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

3. 역사

칠곡군은 신라 시대부터 그 역사가 시작된다. 신라 제35대 경덕왕 때 팔거리현, 북치장니현, 일리현을 팔리로 개편하여 수창군에 속하게 하였다.[1] 고려 초기에는 '팔거'로 개칭되었고, 고려 현종 때에는 현재의 성주인 경산부의 속현이 되었다.

조선시대 1640년(인조 18년) 가산산성에 칠곡도호부가 설치되면서 칠곡이라는 명칭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0] 이후 1895년 (고종 32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칠곡군,[20]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칠곡군으로 개편되었다.[21]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령에 따라 인동군이 칠곡군에 편입되고, 군청이 왜관면에 설치되었다. 이때 인동면, 북삼면, 약목면, 왜관면, 석적면, 가산면, 동명면, 지천면, 칠곡면의 9개 면이 설치되었다.[5][6]

1949년 8월 13일 왜관면이 왜관읍으로 승격되었고,[7] 1950년 한국 전쟁 중에는 왜관읍 고지(303고지)에서 303고지 학살이 발생하기도 했다.

1973년 7월 1일 북삼면 낙계동이 선산군 구미읍에,[8] 1978년 2월 15일에는 인동면이 신설 구미시에 편입되었다.[9] 1980년 12월 1일 칠곡면이 칠곡읍으로 승격되었으나,[10] 1981년 7월 1일 칠곡읍은 대구직할시 북구에 편입되었다.[11]

1983년 2월 15일에는 행정구역 변경이 있었는데,[12] 북삼면 오태동은 구미시로, 성주군 선남면 노석동은 약목면으로, 석적면 아곡동은 왜관읍으로, 석적면 황학동은 지천면으로 각각 편입되었다. 1986년 4월 1일에는 약목면 동부출장소가 기산면으로 승격되었다.[13]

이후 1987년 1월 1일 선산군 장천면 석우동이 가산면에,[14] 1989년 1월 1일 가산면 신장리가 선산군 장천면에 편입되었다.[15] 1998년 5월 1일 가산면 하판리가 송학리로 이름이 바뀌었다.[16]

2003년 7월 1일 북삼면이 북삼읍으로,[17] 2006년 10월 1일 석적면이 석적읍으로 승격되면서[18] 현재 칠곡군은 3읍 5면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3. 1. 신라 시대

신라 제35대 왕인 경덕왕(재위 742~765) 때 팔거리현 또는 북치장니현, 일리현을 팔리로 개편하여 수창군에 속하게 하였다.[1]

3. 2. 고려 시대

고려 초기에는 '팔거'로 개칭되었고, 고려 현종(재위 1010년 - 1031년, 제8대 국왕) 때에는 현재의 성주인 경산부의 속현이 되었다.

3. 3. 조선 시대

1640년(인조 18년) 가산산성에 칠곡도호부가 설치되었다.[20]

1895년(고종 32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칠곡군으로 개편되었다.[20]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칠곡군으로 개편되었다.[21]

1914년 4월 1일 인동군을 편입하고, 군청소재지는 왜관면으로 하였다.[22][23]

3. 4.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에 따라 인동군이 칠곡군에 편입되고, 군청이 왜관면에 설치되었다. 이때 칠곡군에는 인동면, 북삼면, 약목면, 왜관면, 석적면, 가산면, 동명면, 지천면, 칠곡면의 9개 면이 설치되었다.[5][6]

개편 전개편 후(칠곡군)
인동군 읍내면, 북면인동면
인동군 문량면, 장곡면, 석적면석적면
인동군 약목면, 기산면약목면
인동군 북삼면북삼면
인동군 동면가산면
칠곡군 동북면
칠곡군 파미면, 노곡면왜관면
칠곡군 퇴천면, 팔려면, 문주면칠곡면
칠곡군 서북면, 하북면동명면
칠곡군 상지면, 도촌면, 이현면지천면


3. 5. 대한민국

4. 행정 구역

칠곡군의 행정 구역은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칠곡군의 면적은 450.93km2이며[37], 경지가 17.4%, 임야가 66.7%, 기타가 15.9%를 차지한다.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12,487명, 54,443 가구이다.[19] 2013년 1월에 주민등록 인구가 12만 명을 돌파한 후 120,000~123,000명 대에서 정체하다가, 2016년 12월을 정점으로 인구가 완만하게 감소하여 2018년 4월에 120,000명 아래로 줄었다.

읍·면한자면적(km2)인구세대
왜관읍倭館邑54.1232,11414,984
북삼읍北三邑36.7324,16110,785
석적읍石積邑49.7031,32714,936
지천면枝川面88.843,9562,375
동명면東明面64.045,2262,963
가산면架山面86.823,3571,983
약목면若木面34.299,2554,794
기산면岐山面32.393,0911,623
칠곡군漆谷郡450.93112,48754,443



읍·면법정리
왜관읍왜관리, 석전리, 매원리, 봉계리, 삼청리, 금산리, 낙산리, 금남리, 아곡리
북삼읍율리, 어로리, 보손리, 숭오리, 인평리, 오평리
석적읍성곡리, 중리, 남율리, 포남리, 중지리, 반계리, 망정리, 도개리
지천면신리, 송정리, 금호리, 연화리, 달서리, 백운리, 황학리, 영오리, 창평리, 심천리, 덕산리, 오산리, 용산리, 연호리, 낙산리
동명면금암리, 송산리, 가천리, 학명리, 남원리, 득명리, 기성리, 구덕리, 봉암리
가산면다부리, 금화리, 가산리, 응추리, 용수리, 천평리, 송학리, 심곡리, 학하리, 학상리, 학산리, 석우리
약목면복성리, 동안리, 남계리, 교리, 덕산리, 무림리, 관호리
기산면죽전리, 평복리, 영리, 행정리, 봉산리, 각산리, 노석리



칠곡군 행정구역도

4. 1. 행정 구역 개편 논의

1978년 2월 15일에 인동면구미시에 편입되고 1981년 7월 1일에 칠곡읍이 대구 북구에 편입되면서 칠곡군의 행정구역 면적은 549.37 km2에서 98.42 km2가 줄어든 450.95 km2로 크게 감소하였다. 칠곡군의 동부(동명면, 지천면 등)는 대구광역시의 영향을, 북부(북삼읍, 석적읍 장곡 지역, 가산면 중 유학산 북쪽 지역)는 구미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인근 대구광역시구미시의 도시 확장에 따른 도시 연담화 현상은 칠곡군이 대구와 구미로 파편화되어 해체될 지도 모른다는 위기에 봉착시키는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칠곡군은 왜관읍, 북삼읍석적읍 장곡 지역(중리·남율리·성곡리)의 인구 증가로 인해 도시적 토지 이용과 행정 수요가 많고, 칠곡 주민의 환경 여건이나 생활 양식 등이 이미 시 수준에 이르고 있어서 칠곡군의 시 승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법(제7조)에 따르면 군이 도농복합시가 되기 위해서는 단일 읍의 인구가 5만 명 이상이거나 군의 인구가 15만 명 이상이어야 하는데, 칠곡군은 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칠곡군은 시 승격을 위해 지방자치법 제7조제2항제3호 후단을 개정해 도농통합시 설치 기준을 '군 인구 12만 명 이상'으로 완화하는 대한민국 지방자치법 개정을 시도했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38][39]

시 승격을 바라는 칠곡군의 입장과 달리 중앙 정부에서는 2010년대 초에 칠곡군과 구미시의 통합을 추진한 적이 있으며,[40] 지역 주민들은 구미시 인근에 위치한 북삼읍석적읍 장곡 지역 등 북부에서는 구미시로의 편입을 바라는 의견이, 왜관읍 등 그 밖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어 '대구광역시 칠곡군'으로 칠곡군이 유지되길 바라는 의견이 대체로 많다.[40][41] 특히, 북삼읍(인평리·숭오리)의 경우에는 본래 북삼면에 속해 있었던 구미시 오태동[30]과 단일 주거권을 형성하고 있어서 구미시로의 편입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다.[42]

5. 인구

칠곡군한국어의 인구는 2020년 기준 114,758명이다.[43] 1960년대에는 10만 명을 넘었으나, 1978년 인동면구미시에, 1981년 칠곡읍이 대구 북구에 편입되면서 인구가 감소하였다. 이후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을 중심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2015년에는 122,462명까지 증가했으나, 다시 감소 추세에 있다.

칠곡군은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장곡 지역(중리·남율리·성곡리)의 인구 증가로 시 승격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도농복합시 승격 기준(단일 읍 인구 5만 명 이상 또는 군 인구 15만 명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칠곡군은 대한민국 지방자치법 개정을 통해 도농통합시 설치 기준을 '군 인구 12만 명 이상'으로 완화하려 했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38][39]

2010년대 초 중앙 정부에서는 구미시와 칠곡군의 통합을 추진하기도 했다.[40] 칠곡군 북부(북삼읍, 석적읍 장곡 지역) 주민들은 구미시 편입을, 왜관읍 등 나머지 지역 주민들은 대구광역시 편입을 바라는 의견이 많다.[40][41] 특히 북삼읍(인평리·숭오리)은 구미시 오태동[30]과 단일 주거권을 형성하고 있어 구미시 편입 여론이 높다.[42]

연도총인구
1960년104,684명
1965년118,092명
1970년113,440명
1975년119,444명
1980년110,959명
1985년79,814명
1990년78,943명
1995년83,304명
2000년101,549명
2005년109,018명
2010년114,246명
2015년122,462명
2020년114,758명


6. 산업

대구와 구미 등 대규모 소비지를 접하고 있어 주곡 농업 외에 근교농업이 성행하여 참외, 포도, 배추, 오이, 부추 등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최근에는 한우, 닭 등의 축산 농업이 증가하고 있고 표고버섯 등도 다량 생산되고 있다. 낙동강 주변 평야는 참외 재배지로 유명하며 양봉, 양계와 비육우 및 유우도 사육되고 있다.

섬유산업도시인 대구와 전자산업의 중심인 구미시를 접하는 특성으로 섬유공장과 전자부품공장이 많으며, 대구 경북지역 화물 및 컨테이너 운송의 핵심 거점인 영남권내륙화물기지와 현대자동차 복합물류센터가 준공되어 물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유명한 업체로는 네이처셀(구 삼미식품)이 있다.

7. 관광

가산산성, 유학산, 영암산, 금오동천, 금화계곡, 도개온천, 다부동전적기념관, 낙동강왜관 구철교(호국의 다리), 칠곡보, 신나무골, 가실성당(신부수업 촬영지), 칠곡 왜관성당(국가등록문화재 제727호), 구상 문학관,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신유 장군 유적지 등이 칠곡군의 주요 관광 자원이다. 가실성당에서 한티 순교 성지까지 이어지는 '한티가는길'에는 매년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여 걷고 있다.

칠곡호국평화기념관은 한국 전쟁 당시 칠곡에서 낙동강 방어선을 55일간 사수하며 승리한 병사들을 기리는 기념 박물관이다. 지하 2층, 지상 4층의 넓은 건물과 다양한 유물이 전시된 야외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투 모형과 체험 시설을 통해 애국심을 고취하고 조국을 지키기 위해 희생한 병사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기르도록 돕는다.[1]

8. 교통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가 칠곡군을 지난다. 구미시, 김천시, 성주군의 시내 및 군내버스가 칠곡군을 운행하며, 대구광역시/버스도 동명면까지 운행한다.

8. 1. 철도

경부선 철도가 칠곡군을 지나며, 약목역, 왜관역, 연화역, 신동역, 지천역이 있다.

8. 2. 버스

칠곡군 군내버스는 구미시, 김천시, 성주군의 시내 및 군내를 운행한다. 동명면에는 대구광역시/버스도 운행한다.

8. 3. 고속도로

9. 교육 기관

학교 종류학교 이름
사립전문대학경북과학대학교
사립대학교대구예술대학교
고등학교약목고등학교
고등학교칠곡고등학교
고등학교동명고등학교
고등학교북삼고등학교
고등학교석적고등학교
고등학교순심고등학교
고등학교순심여자고등학교
중학교왜관중학교
중학교석전중학교
중학교약목중학교
중학교북삼중학교
중학교인평중학교
중학교신동중학교
중학교동명중학교
중학교장곡중학교
중학교순심중학교
중학교순심여자중학교
초등학교왜관초등학교
초등학교왜관중앙초등학교
초등학교왜관동부초등학교
초등학교낙산초등학교
초등학교매원초등학교
초등학교신동초등학교
초등학교지천초등학교
초등학교동명초등학교
초등학교동명동부초등학교
초등학교가산초등학교
초등학교학림초등학교
초등학교다부초등학교
초등학교석적초등학교
초등학교장곡초등학교
초등학교대교초등학교
초등학교북삼초등학교
초등학교북삼초등학교 오평분교
초등학교숭산초등학교
초등학교인평초등학교
초등학교약목초등학교
초등학교관호초등학교
초등학교약동초등학교


10. 군청

현재 칠곡군청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다.

11. 경찰

칠곡경찰서약목면에 있다.

12. 소방

칠곡소방서기산면에 있다.

13. 자매 도시

중국 허난성 지위안시는 2015년 4월 21일 칠곡군과 자매결연을 맺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Chilgok Patriots & Peace Memorial (칠곡호국평화기념관) - Culture - Korea travel and tourism information http://www.koreatrip[...] 2020-09-01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3] 법률 勅令第98号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4] 법률 勅令第36号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5]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道の位置・管轄区域変更及び府・郡の名称・位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13-12-29
[6] 법률 道令第2号 1914-03-16
[7] 법률 大統領令第156号 邑設置に関する件 1949-08-13
[8] 법률 大統領令第6542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73-03-12
[9] 법률 法律第3014号 亀尾市設置及び釜山市・慶尚南道間の管轄区域調整に関する法律 1977-12-19
[10] 법률 大統領令第10050号 京畿道始興郡儀旺邑等35個邑の設置に関する規定 1980-10-21
[11] 법률 法律第3424号 大邱直轄市と仁川直轄市の設置に関する法律 1981-04-13
[12]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の設置等に関する規定 1983-01-10
[13] 법률 大統領令第11874号 京畿道南楊州郡鳥安面等面の設置及び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86-03-27
[14] 법률 大統領令第1200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の名称変更に関する規定 1986-12-23
[15] 법률 大統領令第12557号 市・郡・自治区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88-12-22
[16] 법률 郡条例第1630号 邑・面・里の名称及び管轄区域に関する条例 1998-04-09
[17] 법률 郡条例第1833号 邑・面・里の名称及び管轄区域に関する条例 2003-07-01
[18] 법률 郡条例第1952号 邑・面・里の名称及び管轄区域に関する条例 2006-09-29
[19]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0] 법률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21] 법률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2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13-12-29
[23] 법률 도령 제2호 1914-03-16
[24] 간행물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25] 법률 대통령령 제156호 읍설치에관한건 1949-08-13
[26]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27] 법률 법률 제3014호 구미시설치 및 부산시·경상남도간관할구역조정에 관한 법률 1977-12-19
[28]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9] 법률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30]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31] 법률 대통령령 제11874호 경기도남양주군조안면등면설치와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6-03-27
[32] 법률 대통령령 제1200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12-23
[33] 법률 대통령령 제12557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8-12-22
[34] 법률 군조례 제1630호 읍·면·리의명칭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1998-04-09
[35] 법률 군조례 제1833호 읍·면·리의명칭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3-07-01
[36] 간행물 군조례 제1952호 읍·면·리의명칭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6-09-29
[37] 웹사이트 행정구역 http://www.chilgok.g[...] 2017-07-16
[38] 법률 지방자치법 일부개정법률안 http://likms.assembl[...]
[39] 문서 칠곡군의 인구 변화 및 여주시와의 비교 2013-09-23 # 가장 최근 시 승격 날짜를 기준으로 함. 다른 날짜들은 내용상의 부가정보임.
[40] 뉴스 "구미와 통합하느니 홀로서기" 경북 칠곡군 갈등 https://news.v.daum.[...] 뉴시스 2012-10-29
[41] 뉴스 구미시-칠곡군 통합 엇갈리는 찬반 여론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2-07-11
[42] 뉴스 한 지붕 두 시·군 '지자체는 나몰라라' http://news.kbs.co.k[...] KBS 2011-12-05
[43]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