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철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철신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자는 기명, 호는 녹암이며,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주교 신자이다. 성호 이익의 문하에서 실학을 공부하고 기호 남인계 학자들과 교류하며 성호학파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 서양 학문에 관심을 가지고 천주교를 연구하는 모임을 이끌었으며, 이승훈의 권유로 천주교에 입교했다. 신유박해 때 옥중에서 장독으로 사망했으며, 순교 여부에 대한 기록은 상반된다. 저서로는 홍유한에 대한 추도문, 시칭, 대학설 등이 있다.

2. 생애

권철신은 본관은 안동 권씨이며, 자는 기명, 호는 녹암이다. 고조부는 대군사부 권적, 증조부는 승지 권흠, 할아버지는 진사 권돈, 아버지는 권암이다.[1] 증조부 때 갑술옥사로 인해 관직을 잃고 양근 땅에서 살았다.[2] 몰락한 양반 가문 출신으로, 천주교에 귀의하기 전에는 유학을 공부하여 24세 때 성호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3]

권철신은 중국을 통해 전해진 서양의 철학, 수학, 종교 등을 연구하였다. 또한 서양 학문과 천주교를 연구하는 모임인 서학 교리 연구회를 열어 활동하였다. 1777년과 1779년에는 경기 양주 앵자산 주어사와 천진암에서 이벽, 정약용, 정약진, 권일신, 이가환, 이기양, 이승훈 등 남인 계열 실학자들이 참여한 강습회를 개최하였다.[5][6] 이들은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를 비롯한 천주학 서적을 통해 천주교를 서양 학문의 일종으로 여기며 학습하였으나, 자료 부족으로 연구의 한계를 느꼈다. 1783년 이승훈의 부친이 사절단의 일원으로 북경에 가게 되자, 이승훈에게 사절단에 동행하여 교리를 자세히 살피고 천주교 서적을 구해 올 것을 부탁했다.[9][10][11][12]

1784년 이승훈중국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하여 신앙 모임을 운영하며 전교에 힘썼다. 이벽이승훈에게 세례를 받고 권철신과 같이 학덕이 높은 학자를 포섭하여 천주교의 기반을 굳힐 생각을 하였다.[14] 1784년 9월(음), 이벽의 권고로 권철신은 이벽에게 세례를 받고 천주교에 입교하였다.[4][15][16] 이후 동생 권일신은 열렬한 전도자가 되었으나, 권철신은 직접 전도하지 않고 학문과 종교 생활에 전념하였다.

1785년 명례방 사건, 1791년 신해박해, 1795년 을묘박해 등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있을 때마다 천주교 반대파들은 권철신을 천주교 두목으로 몰았으나, 정조의 비호로 화를 면했다.[4] 신해박해 때 동생 권일신이 사망하자, 슬픔에 빠져 10여 년 동안 집 밖을 나가지 않았다고 한다.[17]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권철신은 이가환, 정약용 등과 함께 체포되어 국문을 받았다. 정약종, 홍낙민, 이승훈 등과 함께 사형을 언도받았고, 1801년 2월 22일(음) 66세로 옥중에서 장독으로 죽었다.[3] 순교 여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18]

2. 1. 어린 시절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기명(旣明), 호는 녹암(鹿庵)이다. 고조부는 대군사부(大君師傅) 권적(權蹟), 증조부는 승지 권흠(權歆), 할아버지는 진사 권돈(權敦), 아버지는 권암(權巖)이다.[1] 증조부 때 갑술옥사로 인해 관직을 잃고 낙향하여 양근 땅에서 살았다.[2] 기호 남인(畿湖南人) 집안 출신으로, 몰락한 양반 가문에 태어나 일찍이 과거를 포기하였다.[3] 권철신은 부친에게서 학문을 익혔고, 천주교에 빠지기 전에는 일반 양반가 선비들처럼 유학을 탐구하여 24세 때 성호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2. 2. 천주교 강습회와 초기 천주교 활동

권철신은 서양 학문에 관심이 많아 중국에 전해진 서양의 철학, 수학, 종교 등을 연구하였다. 또한 서양 학문과 천주교를 연구하는 모임인 서학 교리 연구회를 열어 활동하였다. 모임은 관가에 발각되는 것을 피해 외딴 절간에서 이루어졌다. 1777년과 1779년에 경기 양주 앵자산에 있는 주어사와 천진암을 오가며 개최한 강습회에는[5] 이벽, 정약용, 정약진, 권일신, 이가환, 이기양, 이승훈 등 남인 계열 실학자들이 참여하였다.[6]

이들은 마테오 리치의 저서 《천주실의》를 비롯한 천주학 서적을 학습하며 천주(天主)의 존재, 인생의 기본 문제 등에 관한 연구도 하였다. 천주교를 서양 문물이나 서양 학문의 일종으로 여기며 보유론(補儒論)적인[7][8] 관점에서 학습을 하다가 천주교의 진리를 조금씩이나마 깨닫고 실천학으로 받아들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자료 부족으로 항상 연구의 한계를 절감하며 아쉬워했다. 그러던 중 1783년(정조 7년) 이승훈의 부친이 사절단의 일원으로 북경에 가게 되었다는[9] 소식을 접한 이들은 이승훈에게 사절단에 동행하도록 설득했다.[10] 여비를 모아 주며[11] 교리를 자세히 살피고 천주교 서적을 많이 구해 올 것을 부탁했다.[12]

2. 3. 천주교 입교

이승훈1784년 중국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하여 서울 명동에서 '명례방공동체'[13]라는 신앙 모임을 운영하며 전교에 힘썼다. 이벽이승훈에게 세례를 받고 천주교인이 되었으며, 권철신과 같이 학덕이 높은 학자를 포섭하여 천주교의 기반을 굳힐 생각을 하였다.[14]

1784년 9월(음), 이벽은 양근에 사는 권씨 가문을 찾아가 입교를 권고하였다. 셋째 권일신은 즉시 입교하였고,[15] 맏이 권철신은 처음에는 주저했으나 결국 입교하여[4] 이벽에게 세례를 받았다.[16] 이후 권일신은 열렬한 전도자가 되었으나, 권철신은 직접 전도하지 않았고 천주교 일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았다. 그는 늘 집에서 학문과 종교 생활에 전념하였다.

2. 4. 신유박해와 죽음

1785년 명례방 사건이 발생하고, 1788년 천주교가 사학으로 규정된 후 서적 유통이 금지되었다. 이후 1791년 윤지충의 폐제분주(廢祭焚主)로 신해박해가 발생하고, 1795년에는 주문모 신부의 밀입국으로 을묘박해가 일어났다. 이때마다 천주교 반대파들은 권철신을 천주교 두목으로 몰았으나, 정조의 비호로 화를 면했다.[4] 1799년에도 정약종과 함께 천주교인으로 고발되었지만, 정조는 오히려 고발한 신헌조의 품계를 박탈하며 서학 사건을 거론하지 못하게 하여 다시금 화를 면했다.[3]

신해박해(1791년) 때 동생 권일신을 비롯한 많은 교우들이 순교했지만, 권철신은 적극적으로 전교하지 않고 학문과 교리를 통해 조용히 신앙 생활을 했기 때문에 박해를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생 권일신이 귀양 중 장독으로 사망하자, 슬픔에 빠져 10여 년 동안 집 밖을 나가지 않았다고 한다.[17] 정조 사후 1801년(순조 1년) 노론벽파에 의해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권철신도 이가환, 정약용 등 저명한 남인 학자들과 함께 체포되어 국문을 받았다. 정약종·홍낙민·이승훈·홍교만·최필공·최관천 등과 함께 사형을 언도받았다.

사형 집행에 앞서 1801년 2월 22일(음) 66세로 옥중에서 장독으로 죽었다.[3] 순교 여부에 대해서는, 《두산백과사전》과 《한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서는 배교하지 않고 순교했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천주교 대교구에서 운영하는 'Good News' 온라인판 가톨릭 사전에는 국문 중 배교하였다고 적고 있다.[18] 클로드샤를 달레는 그의 저서 《조선교회사》를 통해서 권철신을 순교자로 보고 있으나 그것은 황사영의 백서(帛書)를 근거로 한 때문인 것 같다. 그러나 황사영 자신의 말과 같이 2월 15일(음) 이전 사건에 관한 기록은 믿을 만한 것이 못 된다." 고 밝히고 있다. 이덕일은 자신의 저서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에서 권철신과 이가환은 옥사한 후 그 시신이 길거리에 버려졌다고 하였다.[19]

3. 사상과 유산

성호 이익의 제자로 남인 학파의 연장자이자 지도자였으며, 가족들과 함께 천주교에 입교하여 신앙을 지키다가 순교한 서학파(西學派)의 대가로 손꼽힌다. 저서로는 동학이자 선배였던 홍유한에 대한 『추도문』, 『시칭(詩稱)』 2권, 『대학설(大學說)』 1권 등이 있다. 홍유한과 주고받은 여러 통의 친필 편지도 남아 있다.[20]

4. 가족 관계

참조

[1] 백과사전 녹암 권철신 묘지명 - 1-2 [鹿菴權哲身墓誌銘] 네이버 지식백과
[2] 백과사전 권철신 [權哲身] 네이버 지식백과
[3] 백과사전 권철신 [權哲身] 네이버 지식백과
[4] 웹사이트 권철신 (權哲身, 1736년 ~ 1801년) https://maria.cathol[...]
[5] 백과사전 천진암 [天眞菴] 네이버 지식백과
[6]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7] 웹사이트 Ricci, Matteo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07-11-25
[8] 문서 보유론(補儒論)
[9] 서적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10]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11] 서적 대한국사 4권, 조선시대 청화 1983
[12] 서적 Son fils Seng-houn-i, l'un des amis intimes de Piek-i, devait l'accompagner dans ce voyage. 샤를르 달레 (1874)
[13] 웹사이트 명례방공동체 [明禮坊共同體]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14] 백과사전 녹암 권철신 묘지명 - 1-2 [鹿菴權哲身墓誌銘] 네이버 지식백과
[15] 서적 한국사 이야기 15 한길사 2009-04-10
[16] 백과사전 권철신 [權哲身] 네이버 지식백과
[17] 백과사전 녹암 권철신 묘지명 - 1-2 [鹿菴權哲身墓誌銘] 네이버 지식백과
[18] 웹사이트 권철신(1736-1801) https://maria.cathol[...]
[19]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20] 백과사전 녹암 권철신 묘지명 - 1-3 [鹿菴權哲身墓誌銘] 네이버 지식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