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가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가환은 18세기 말 조선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천주교 관련 논쟁과 신유박해로 인해 옥사했다. 그는 정조로부터 '정학사'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학식을 갖췄으며, 특히 천문학과 수학에 능했다. 이가환은 이승훈의 외숙으로, 천주교를 접하고 이벽 등과 교류했으나, 적극적으로 입교하지는 않았다. 그는 기자조선의 정전제에 대한 연구를 담은 『기전고』를 저술하기도 했다. 순조 즉위 후 벽파의 탄압으로 옥사했으며, 그의 학문은 정약용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수학자 - 윤두서
    조선 후기 문인화가이자 학자인 윤두서는 윤선도의 증손으로, 당쟁으로 출사하지 않고 그림과 학문에 전념하며 심사정, 정선과 함께 조선 3재로 불렸고, 자화상, 심득경 초상 등의 작품과 지도를 통해 조선 후기 화단과 실학 발전에 기여했다.
  • 조선의 수학자 - 남병길
    조선 후기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남병길은 김조순의 사위이자 남구순의 아들이며, 천문학과 수학 관련 저술을 30여 권 남겼다.
  • 조선의 천문학자 - 홍대용
    홍대용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서양 천문학 지식을 접하고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사헌부 감찰과 영주군수를 역임하며 실학적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다.
  • 조선의 천문학자 - 이순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천문학자, 역법학자인 이순지는 세종의 신임을 받아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완성하여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고 천문학 관련 저술을 남겼다.
  • 1742년 출생 - 투팍 아마루 2세
    투팍 아마루 2세는 페루 부왕령의 카시케로서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그의 반란은 페루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치며 페루 사회와 문화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 1742년 출생 -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로이센 왕국의 군인이자 원수로, 워털루 전투 승리에 기여했으며 '전진 원수'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용맹함과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인물이다.
이가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이가환
가환
정조(廷藻)
금대(錦帶)
본관여주
출생일1742년
사망일1801년
사망지조선 한성부
가족 관계
이용휴
진주 류씨
배우자해주 정씨
자녀슬하 1남(양자), 2녀
학력 및 경력
과거 급제1783년 문과 급제
직업문관, 유학자
종교유교(성리학)

2. 생애

18세기조선에서는 천주교가 보급되기 시작했으나, 당시 붕당은 시파벽파로 나뉘어 대립하였다. 1800년 순조가 즉위하고 벽파가 정권을 잡으면서, 시파에 속한 천주교 신자들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이가환은 천주교도라는 이유로 붙잡혀 옥사했다.

이가환은 이의준과 함께 기자조선정복하고 기자조선 건국 후에 시행한 토지 제도인 정전제와 관련된 여러 학자들의 연구 (한백겸의 『기전설』, 유근의 『기전도설후어』, 허잠의 『기전도설설후』, 이익의 『기전속설』)를 모아 『기전고』를 저술하여 정전제 유적이 평양에 남아 있음을 밝히고 기자의 업적을 칭송했다.[2]

2. 1. 어린 시절 및 가문의 내력

한성부 서부 황화방(皇華坊)에서 태어났다.[6] 본관은 여주. 자는 정조(廷藻), 호는 금대(錦帶)·정헌(貞軒)이다. 아버지는 이용휴이며, 어머니는 류헌장의 딸이다. 이승훈의 외숙이다. 종조부(從祖父)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성호학파의 맥을 잇는 대학자로 인정받았다. 학문적 교우로는 정약용, 이벽, 권철신 등 초기 천주교 신자가 많았다. 남인에 속하는 안정복 등과 가까이 지내면서 서양 학문 등 새로운 학문 연구에도 힘썼다.

당대 제일의 천재로 알려져 있는데, 그 시대의 천재로 꼽히는 정약용은 이가환에 대해 "귀신이 아닌가 의심할 정도였다"는 표현을 사용한 적이 있다.[7][8] 17세에 진사시험에 합격한 황사영도 이가환에 대해 "읽지 않은 책이 없었고 기억력은 신과 같았다."라고 평가했다.[9]

10대조 이계손은 병조 판서를 지냈고, 5대조 이상의는 의정부 좌찬성에 이르렀다.[11] 증조부 이하진은 홍문관 제학을 지냈는데, 1680년 경신환국 때 집권한 서인들에 의해 유배를 가서 2년 뒤에 죽었다. 순종실록에 "이때에 이르러 분한 마음에 가슴이 답답해하다가 죽었다"고 기록할 정도로 억울한 죽음이었다.[12] 종조부[4] 이잠은 1706년(숙종 32) 세자 경종을 보호할 목적으로 노론을 공격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장살당하였다.

형 이잠의 비참한 죽음을 지켜본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이익은 평생 벼슬을 포기하고 선영이 있는 안산 첨성촌의 성호라는 호숫가 근처로 은거하며 학문 연마와 제자 양성에 힘썼다.[13] 이가환의 아버지 이용휴는 진사시에 합격한 후 대과에 응시하지 않았다. 벼슬에 뜻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집안 내력으로 인해 남인 중에서도 노론이 가장 싫어하는 가문이었기에 노론이 집권한 이상 급제할 가능성은 없었기 때문이다.[12]

2. 2. 관직 생활

연도나이관직
1771년(영조 47년)30세진사[39]
1777년(정조 1년)36세문과(文科) 급제[40]
1778년(정조 2년)37세문신 제술 수석, 6품
1780년(정조 4년)39세종6품 비인 현감
1781년(정조 5년)40세정5품 예조 정랑, 종4품 사헌부 지평
1785년(정조 9년)44세정3품 병조 참지 (당상관), 정3품 사간원 대사간, 정3품 승정원 동부승지
1787년(정조 11년)46세정3품 정주 목사
1791년(정조 15년)50세종2품 광주 부윤
1792년(정조 16년)51세정3품 성균관 대사성, 종2품 개성 유수, 정3품 승정원 좌부승지, 우승지
1793년(정조 17년)52세종2품 형조 참판, 성균관 대사성
1794년(정조 18년)53세정3품 승정원 좌승지
1795년(정조 19년)54세정2품 공조 판서, 정3품 충주 목사
1797년(정조 21년)56세정2품 오위도총부 도총관, 정2품 한성부 판윤
1800년(정조 24년)59세종3품 대호군, 정조 사후 노론 벽파에게 서학(西學) 괴수로 지목되어 탄핵됨
1801년(순조 1년)60세2월 하옥, 국문, 3월 24일 옥중 단식 끝에 사망


2. 3. 천주교와의 관계

이가환은 조선 최초로 세례를 받은 천주교인 이승훈의 외삼촌이었다.[6] 정약용, 이벽, 권철신 등 초기 천주교 신자들과 학문적으로 교류하였고, 남인에 속하는 안정복 등과 가깝게 지내면서 서양 학문 등 새로운 학문 연구에도 힘썼다.

1784년 조카 이승훈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한 후, 이가환은 이벽, 권철신, 정약용 등이 천주교인이 된 것에 영향을 받아 천주학을 접하였다. 이벽은 이가환에게 천주교를 소개하며 입교를 권했는데, 이는 이가환이 남인을 이끌고 있었기에 그의 입교가 남인 사이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었다.[14][15] 이가환은 처음에는 천주교를 반대하여 이벽과 격렬한 논쟁을 벌였으나,[16] 토론 후 도리어 천주교에 호감을 갖게 되었다.[17] 이벽에게서 서학 입문서와 『성년광익(聖年廣益)』 등을 빌려 탐독하였고,[37] 천주교도들과 자주 교류하며 교회 일에 협력하여 반대파로부터 사교(邪敎)의 교주라는 말까지 들을 정도였다.[16] 그러나 세례명이 없는 것으로 보아 정식으로 입교했는지는 불분명하다.[16]

천주교 탄압이 시작되자 이가환은 교리 연구를 중단하였고, 1791년 신해박해 이후 광주 부윤으로 재직하며 천주교를 배척하는 내용의 가사 《경세가(警世歌)》를 지어 전파하는 등 적극적으로 천주교를 탄압하였다.[14] 1795년 을묘박해청나라 주문모 신부가 몰래 입국한 사건으로 모함을 받아 충주 목사로 좌천되었으나,[18][19] 충주 목사로 있으면서도 여전히 천주교인을 탄압하고 배척하며 자신에게 씌워진 공격의 빌미를 벗기 위해 노력했다.[14]

1800년 순조가 즉위하자 벽파가 정권을 잡았고, 시파에 천주교도가 많았기 때문에 1800년 12월부터 1801년 2월에 걸쳐 천주교를 대탄압했다. 이때 천주교인이었던 이가환은 붙잡혀 옥사했다.

2. 4. 신유박해와 죽음

정조 사후 11세의 어린 나이로 순조가 즉위하자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면서[20] 노론 벽파가 정권을 장악하였다.[21] 이후 벽파는 정순왕후를 움직여 사학엄금을 명분으로 남인과 시파에 대한 숙청작업을 시작했다.[22][23] 1801년 1월 10일, 정순왕후는 천주교 엄금에 관해 하교를 통해[24] 위반자를 역률로 처벌하라는 엄명을 전국에 내렸다.[25]

정순왕후는 사도세자 제거에 앞장섰고[26][27] 정조의 즉위를 반대했었기에 정조가 즉위한 후 집안이 몰락했고 오라비 김귀주가 귀양지에서 사망하며[28] 정조와는 원수지간이었다. 정순왕후의 목표는 정조 재위기에 성장한 남인 세력을 정계에서 몰아내고 재기하지 못하도록 박멸하는 것이었다.[29] 선왕 정조는 집권세력인 노론 벽파를 견제하기 위해서 남인을 중용하며 탕평책을 펼쳤다.[30] 정조가 총애했던 진보적인 남인 소장파들이 서학에 관심을 두고 천주교에 가까운 자가 많았으니 이는 좋은 명분이 되었다.

벽파의 최우선적인 목표는 선왕 정조의 총애를 받던 이가환, 권철신, 정약용 3인의 제거에 있었다.[31] 이가환과 권철신은 채제공 사후에 남인을 이끌고 있었고 정약용은 남인을 이끌 차세대 주자였기 때문이다. 특히 이가환은 반드시 죽여야 했는데, 이는 이가환의 가문이 조상 때부터 노론 벽파와 악연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노론이 가장 기피하는 인물인 이가환은[32] 당대에 제일가는 천재로 박학다식함이 동서양의 학문에 막힘이 없었고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요직을 두루 거쳤고, 정조가 생전에 오회연교(五晦筵敎)를 통해 이가환을 재상으로 등용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적이 있었다.[33] 이가환이 1791년 진산사건 직후 배교하며 천주교 탄압에 앞장섰다는 사실을 노론 벽파도 알고 있었으나 이는 중요하지 않았다. 노론 벽파가 원했던 것은 이가환이 천주교를 버렸다는 증거가 아니라 그의 목숨이었다.[34]

이가환과 권철신은 모진 고문을 받고 단식한 지 6~7일만인 1801년(순조 1년) 3월 24일에 옥사하였다.[35] 시신은 목을 벤 후 길거리에 버려졌다.[36]

3. 사상과 학문

정조로부터 ‘정학사(貞學士)’라는 호칭을 받을 만큼 대학자였다.[37] 채제공을 잇는 남인 시파의 대가로 문장에도 능했으며 필법이 뛰어났다.[38] 천문학과 수학에 밝아 일식·월식이나 황도·적도의 교차 각도를 계산하고, 지구 둘레와 지름에 대한 계산을 도설로 제시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한 수준에 이르렀다.[14] 신유박해 당시 "내가 죽으면 이 나라에 수학의 맥이 끊어지겠다"는 말을 남겼다.[37]

정조는 그의 재능을 아꼈고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하여 유생들을 가르치게 하였으나 노론의 공격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실학자 정약용은 그의 학문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저서로 《금대관집(錦帶館集)》이 있었는데 현존하지 않는다. 그의 문집으로 현재 남아 있는 것은 4권 4책의 《시문초 詩文艸》, 2권 1책의 《금대시문초 錦帶詩文艸》등이 있고, 수록 형식의 《동패낙송속집 東稗洛誦續集》과 《기전고 箕田考》, 《금대전책 錦帶殿策》등이 전한다.[17]

4. 저서

정조로부터 ‘정학사(貞學士)’라 호칭될 만큼 대학자였다.[37] 채제공을 잇는 남인 시파계의 대가로 문장에도 능했으며 필법이 뛰어났다.[38] 천문학과 수학에 밝아 일식·월식이나 황도·적도의 교차 각도를 계산하고, 지구의 둘레와 지름에 대한 계산을 도설로 제시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한 수준에 이르렀다.[14] 신유박해 당시 "내가 죽으면 이 나라에 수학의 맥이 끊어지겠다"는 말을 남겼다.[37]

저서로 《금대관집(錦帶館集)》이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현재 남아 있는 그의 문집으로는 4권 4책의 ≪시문초 詩文艸≫, 2권 1책의 ≪금대시문초 錦帶詩文艸≫등이 있고, 수록(隨錄)형식의 ≪동패낙송속집 東稗洛誦續集≫, ≪기전고 箕田考≫, ≪금대전책 錦帶殿策≫등이 있다.[17]


  • 《기전고》
  • 《금대유고》
  • 물보
  • 『기전고(箕田考)』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이명진(李明鎭, 1641년 ~ 1696년)증 좌승지
친증조부이하진(李夏鎭, 1628년 ~ 1682년)호조참판, 이침과 이익의 친부
조부이침(李沈, 1671년 ~ 1713년)증 이조참판, 성호 이익(1681년 ~ 1763년)의 친형, 숙부 이명진의 양자로 입양됨
이용휴(李用休, 1708년 ~ 1782년)호 혜환(惠寰). 생원, 증 이조판서
진주(晋州) 류씨(柳氏)참의 류헌장(柳憲章)의 딸
본인이가환(李家煥, 1742년 ∼ 1801년)
부인해주(海州) 정씨(鄭氏)판서 정운유(鄭運維)의 딸
아들이재적(李載績, ? ~ 1811년)양자. 성호 이익의 손자인 종조형 생원 이구환(李九煥, 1731년 ~ 1784년)의 아들
며느리전주 이씨이반(李磐)의 딸
첫째 손자이시석(李是)[41]
증손자1이치룡(李治龍)
고손자이종헌(李鍾憲, 1851년 ~ 1898년)양자. 이창환(李昌煥)의 증손자 이방영(李邦永)의 아들
현손자1이덕구(李德九)출계. 이잠(1660년 ~ 1706년)의 장손으로 입적
현손자2이석구(李錫九)
내손자이필기(李弼琦)
곤손자이오형(李旿衡)
증손자2이치봉(李治鳳)출계. 이구환의 손자 이시알(李是钀)의 양자로 입적
둘째 손자이시자(李是鎡)
셋째 손자이시현(李是鑦)
첫째 딸여주 이씨(李氏, 1779년 ~ 1790년)
첫째 사위권구(權耈)탄옹(炭翁) 권시(1604년 ~ 1672년)의 후손
둘째 딸여주 이씨
둘째 사위이방억(李龐億)복암(茯菴) 이기양(李基讓, 1744년 ~ 1802년)의 아들
첫째 매형허만(許晚)
둘째 매형이동욱(李東郁)본관 평창(平昌), 의주부윤
외조카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한국 최초의 천주교 세례자
셋째 매형신희연(申熹淵)
넷째 매형이응훈(李應薰)
다섯째 매형강순흠(姜舜欽)


6. 평가

이가환은 당대 제일의 천재로 알려져 있었으며, 정약용은 이가환에 대해 "귀신이 아닌가 의심할 정도였다"는 표현을 사용했다.[7][8] 17세에 진사시험에 합격한 황사영도 이가환에 대해 "읽지 않은 책이 없었고 기억력은 신과 같았다."라고 평가했다.[9] 학자 군주를 자처하던 정조도 이가환의 박학다식함에 감탄하여 그를 총애했으며[10] 채제공을 이을 남인의 후계자로 보았다.

7. 이가환이 등장한 작품

참조

[1] 뉴스 이가환(李家煥) http://encykorea.aks[...] 2022-06-28
[2] 서적 韓國歷史與現代韓國 https://books.google[...] "[[仮リンク|台湾商務印書館|zh|臺灣商務印書館]]" 2005-08-01
[3]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4] 서적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1974
[5] 백과사전 이가환 [李家煥] 두산백과
[6] 간행물 금대시문초 해제의 행력(行歷) 한국고전종합DB
[7]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8] 백과사전 정헌 이가환의 묘지명 - 1-2 [貞軒墓誌銘] 네이버 지식백과
[9]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10]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11] 백과사전 정헌 이가환의 묘지명 - 1-2 [貞軒墓誌銘] 네이버 지식백과
[12]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13]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14] 백과사전 이가환 [李家煥] 두산백과
[15]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16] 웹사이트 "[Good News 카톨릭 사전] 이가환 (李家煥)" https://maria.cathol[...]
[17] 백과사전 이가환 [李家煥] 네이버 지식백과 2004-02-25
[18] 백과사전 을묘박해 [乙卯迫害]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9] 서적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17 웅진출판 1991
[20] 간행물 순조실록 (1838) http://sillok.histor[...] 1838
[21] 문서 벽파는 정순왕후의 친오라버니 [[김귀주]](1786년에 사망)가 주축을 이루었다.
[22] 서적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23] 백과사전 자찬묘지명-집중본 - 1-9 [自撰墓誌銘-集中本] 네이버 지식백과
[24] 서적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25] 간행물 순조실록 (1838) http://sillok.histor[...] 1838
[26] 백과사전 정순왕후 [貞純王后] 두산백과
[27]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김영사 2004
[28] 백과사전 김귀주 [金龜柱] 네이버 지식백과 2002-01-10
[29]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30] 백과사전 진산사건 [珍山事件]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31]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32]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33]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김영사 2004
[34]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35] 간행물 《여유당전서》 15권 https://db.itkc.or.k[...]
[36] 서적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37] 간행물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17 웅진출판 1991
[38] 백과사전 이가환
[39] 기타
[40] 기타
[4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