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소본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소본능은 동물이 이동 후 고향이나 번식 장소로 되돌아가는 능력을 의미한다. 동물들은 진정한 항법, 자기 방향, 별자리 방향, 후각, 지형 기억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귀소한다. 진정한 항법은 지형지물을 이용하고, 자기 방향은 지자기, 별자리 방향은 별을 이용하며, 후각은 냄새, 지형 기억은 주변 환경을 기억하는 방식이다. 연어, 바다거북, 철새 등 다양한 동물들이 귀소본능을 보이며, 이는 연구 및 보존 노력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동 - 인간 행동
    인간 행동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문화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되며, 연령, 문화, 환경, 생리학적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행동 - 자해
    자해는 자살 의도 없이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는 행위로, 정신적 고통 완화나 도움 요청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고, 정신사회적 치료법으로 치료하며,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예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동물의 이주 - 회유
    회유는 동물이 번식, 먹이 획득 등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 현상이며, 어류는 산란, 색이, 월동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분류되고, 고래, 참치 등 해양 생물은 먹이와 번식을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며,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인해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
  • 동물의 이주 - 철새
    철새는 먹이와 기후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를 계절적으로 이동하는 조류로, 이동 거리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대한민국에서는 여름철새, 겨울철새, 나그네새, 길잃은새로 분류된다.
귀소본능
생물학적 속성
정의동물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는 능력
다른 이름귀소 습성
영어homing instinct

2. 귀소 방법

동물들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고향으로 돌아온다.

2. 1. 진정한 항법 (True Navigation)

일부 동물은 귀소 본능을 위해 진정한 항법을 사용한다. 이는 익숙한 지역에서 비행 시 도로, 강 또는 산과 같은 지형지물, 또는 수영 시 섬 및 기타 지형지물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는 익숙한 지역에서만 작동한다. 예를 들어 집비둘기(전서구)는 종종 도로와 같은 익숙한 지형지물을 사용하여 항해한다.[1] 바다거북 역시 지형지물을 사용하여 방향을 잡는다.[2] [14] [15]

2. 2. 자기 방향 (Magnetic Orientation)

수많은 동물들은 자신들의 집을 찾기 위해 지자기에 기반한 자기 방향을 이용한다. 철새와 거북이는 태양 나침반과 같은 다른 수단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20][21] 이는 해저에 사는 바닷가재,[3]뻐드렁니쥐[4]의 경우처럼 다른 방식을 전혀 이용할 수 없을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2. 3. 별자리 방향 (Celestial Orientation)

별을 이용한 항법인 천체 방위는 귀소에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떠돌이 얼룩무늬영원[22], 이동된 대리석 도롱뇽[5], 얼룩무늬 도롱뇽[16]은 별이 보일 때만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

2. 4. 후각 (Olfaction)

도롱뇽후각, 즉 냄새를 이용하여 귀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7]。붉은배영원과 같은 여러 도롱뇽은 귀소에 후각을 사용한다는 증거가 있다.[6][23] 연어도 고향 강으로 돌아갈 때 후각을 필요로 한다.[18]。 후각은 연어의 귀소에 필수적이다.[7][24]

2. 5. 지형 기억 (Topographic Memory)

지형 기억, 즉 목적지를 둘러싼 지형의 기억은 항해의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주로 연체동물과 같이 지능이 낮은 동물들이 사용한다. 삿갓조개는 이를 사용하여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찾는데 사용하지만, 이것이 진정한 귀소 본능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8][19]

3. 한국의 귀소 동물

한국에서 귀소 본능을 가진 대표적인 동물로는 연어, 바다거북, 철새 등이 있다. 도롱뇽연어후각을 이용하여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이 확인되었다.[17][18][24] 일부 바다거북은 섬 등의 지형지물을 이용하거나, 지자기에 기반한 자기 방향 감각과 태양 나침반을 함께 사용하여 고향을 찾는다.[2] 많은 철새는 지구 자기장에 기반한 자기 방향 감각을 사용한다.[3]

3. 1. 연어

도롱뇽연어후각을 이용하여 귀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7][18][24].

3. 2. 바다거북



일부 바다거북은 귀소 본능을 위해 항법을 사용하는데, 익숙한 지역에서는 섬 등의 지형지물을 사용하여 방향을 잡는다.[2] 바다거북은 지자기에 기반한 자기 방향 감각을 태양 나침반과 같은 다른 방법들과 함께 사용하여 고향을 찾는다.[2]

3. 3. 철새

많은 동물은 고향을 찾기 위해 지구 자기장에 기반한 자기 방향 감각을 사용한다. 이는 보통 새의 이동과 거북이의 경우처럼 태양 나침반과 같은 다른 방법들과 함께 사용된다.[3] 바다가재처럼 물속에 살거나, 벌거숭이두더지쥐처럼[4] 자신의 을 통해 귀소하는 경우와 같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없을 때 흔히 사용된다.

별을 이용한 항법인 천체 방위는 귀소에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리석 도롱뇽과 얼룩무늬 도롱뇽은 별이 보일 때만 귀소할 수 있다.[5][16]

참조

[1] 뉴스 BBC News: Pigeons reveal map-reading secret http://news.bbc.co.u[...]
[2] 논문 Homing Behavior, Navigation, and Orientation of Juvenile Sea Turtles https://web.archive.[...] 2003
[3] 논문 Magnetic orientation of spiny lobsters in the ocean: experiments with undersea coil systems 1995
[4] 논문 Magnetic compass orientation in the blind mole rat Spalax ehrenbergi 2001
[5] 간행물 2002
[6] 논문 Homing Orientation by Olfaction in Newts (Taricha rivularis) 1968
[7] 논문 Homing and olfaction in Salmonids: a critical review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tlantic Salmon 1984
[8] 간행물 1940
[9] 웹사이트 カナヘビの帰家習性について https://cir.nii.ac.j[...] 1969-12
[10] kotobank 帰巣性
[11] 웹사이트 回遊・渡り・帰巣(全12回)第3回 魚類の回遊Ⅰ https://www.press.to[...] 東海大学出版部 2024-04-16
[12] 웹사이트 犬は「地磁気」を感知して家に帰ることができると判明 kusuguru 2020-07-22
[13] journal Magnetic alignment enhances homing efficiency of hunting dogs https://elifescience[...] 2020-06-16
[14] 뉴스 BBC News: Pigeons reveal map-reading secret http://news.bbc.co.u[...]
[15] 논문 Homing Behavior, Navigation, and Orientation of Juvenile Sea Turtles https://web.archive.[...] 2003
[16] 간행물 Celestial orientation in the marbled newt (Triturus marmoratus) 2002
[17] 논문 Homing Orientation by Olfaction in Newts (Taricha rivularis) 1968
[18] 논문 Homing and olfaction in Salmonids: a critical review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tlantic Salmon 1984
[19] 간행물 1940
[20] 논문 Magnetic orientation of spiny lobsters in the ocean: experiments with undersea coil systems 1995
[21] 논문 Magnetic compass orientation in the blind mole rat Spalax ehrenbergi 2001
[22] 간행물 2002
[23] 논문 Homing Orientation by Olfaction in Newts (Taricha rivularis) 1968
[24] 논문 Homing and olfaction in Salmonids: a critical review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tlantic Salmon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