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프프루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몽은 오렌지와 포멜로의 자연 교배종으로, 17세기 무역상에 의해 자메이카로 전파되어 18세기부터 '금단의 과일'로 기록되었다. 19세기 초 '자몽'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1830년 학명이 부여되었다. 2022년 기준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식용, 주스, 가공 식품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자몽은 특정 약물의 대사를 방해하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베이도스의 나무 - 타마린드
타마린드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인 콩과 상록교목으로, 신맛이 나는 과육이 있는 꼬투리 열매는 요리, 음료, 의학,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요 작물로 재배된다. - 바베이도스의 나무 - 베이럼나무
베이럼나무는 카리브 제도 원산의 식물로, 잎과 열매는 요리, 차 등에 사용되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베이 럼을 생산하고, 추출물은 의학적으로 활용된다. - 자메이카의 나무 - 아보카도
아보카도는 멕시코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녹나무과 아보카도나무의 배 모양 열매로, 높은 지방 함량과 영양가로 인해 '숲의 버터'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지만, 최근 재배로 인한 환경 및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자메이카의 나무 - 타마린드
타마린드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인 콩과 상록교목으로, 신맛이 나는 과육이 있는 꼬투리 열매는 요리, 음료, 의학,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요 작물로 재배된다. - 귤열매 - 영귤
일본 도쿠시마현에서 주로 재배되는 영귤은 강한 신맛을 가진 작은 감귤류 과일로, 녹색일 때 수확하여 레몬이나 라임처럼 요리에 향을 더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유자와의 잡종으로 추정된다. - 귤열매 - 포멜로
포멜로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감귤류 과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감귤류 잡종의 조상이고, 신맛이 적고 단맛과 향이 있는 과육은 생과일이나 가공품으로 섭취되지만, 일부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그레이프프루트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itrus × paradisi |
품종 그룹 | 그레이프프루트(paradisi) |
명명자 | Macfad. |
속 | 귤속 |
잡종 | 당귤나무 × 포멜로 |
원산지 | 바베이도스 |
영어 이름 | grapefruit |
영양 정보 (생것) | |
열량 | 138 kJ |
단백질 | 0.8 g |
지방 | 0.10 g |
탄수화물 | 8.41 g |
섬유질 | 1.1 g |
당류 | 7.31 g |
철분 | 0.06 mg |
망간 | 0.013 mg |
칼슘 | 12 mg |
마그네슘 | 9 mg |
인 | 8 mg |
칼륨 | 148 mg |
아연 | 0.07 mg |
비타민 C | 33.3 mg |
판토텐산 | 0.283 mg |
비타민 B6 | 0.043 mg |
엽산 | 10 ug |
콜린 | 7.7 mg |
티아민 | 0.037 mg |
리보플라빈 | 0.020 mg |
니아신 | 0.269 mg |
비타민 E | 0.13 mg |
수분 | 90.48 g |
2. 역사
자몽은 서인도 제도에서 오렌지(학명: ''Citrus sinensis'')와 포멜로(학명: ''Citrus maxima'')가 자연적으로 교배되어 생겨난 감귤류 과일이다.[28][1] 1750년대 바베이도스에서 처음 기록된 것으로 여겨지나,[1][32][33] 초기 기록과 현재 자몽의 동일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34]
1814년 자메이카에서 존 루난이 '그레이프프루트(grapefruit)'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했는데,[31] 이는 열매가 포도송이처럼 열리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38][36] 1823년 플로리다로 전파되어[1] 상업적 재배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초기에는 포멜로와 혼동되거나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했으며,[38] 제임스 맥페이든에 의해 ''Citrus paradisi''라는 학명이 부여되었다.[37]
자몽이 오렌지와 포멜로의 잡종이라는 사실이 1940년대에 과학적으로 확인되면서, 학명은 ''Citrus'' × ''paradisi''로 변경되었다.[39][40] 이는 자몽의 기원과 분류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2. 1. 기원 및 발견
자몽은 자연 발생적인 교배종으로 유래되었다.[28] 자몽의 한 조상은 자메이카의 단 오렌지(''Citrus sinensis'')였으며, 이는 아시아에서 유래된 고대 교배종이었다. 다른 조상은 인도네시아 원산의 포멜로(''C. maxima'')였다.[1] 유전적으로 포멜로가 모계 조상이며, 부계 조상인 단 오렌지 자체도 교배종이었다.[29] 단 오렌지와 포멜로 모두 1692년까지 서인도 제도에 존재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자몽의 기원에 관한 한 이야기는 17세기 '캡틴 섀독'(Captain Shaddock)이라는 무역상이 포멜로 씨앗을 자메이카로 가져와 처음 재배했으며, 이후 이 과일이 '섀독'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1][30][31] 자몽은 이 두 식물이 서인도 제도에 도입된 후 자연적으로 교배되어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1][2]
'금단의 과일'이라고 불린 이 교배종은 1750년 웨일스 출신 그리피스 휴즈 목사가 저술한 ''바베이도스 자연사''에 처음 기록되었다. 그는 이 책에서 14종의 다른 감귤류 과일과 함께 금단의 과일을 언급했다.[1][32][33] 그러나 휴즈가 묘사한 금단의 과일은 자몽과 구별되는, 비록 밀접하게 관련되었을지는 몰라도 다른 식물일 가능성도 있다.[34]
1814년, 영국의 박물학자이자 농장주인 존 루난은 자메이카의 유사한 감귤 식물을 설명하기 위해 '자몽(grapefruit)'이라는 용어를 발표했다.[31] 루난은 이 이름이 포도( ''Vitis vinifera'')와 맛이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보고했으나,[35] 다른 설명으로는 과일이 나무에서 포도송이처럼 뭉쳐 열리는 모습 때문에 붙여졌다고도 한다.[38][36]

1830년, 스코틀랜드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제임스 맥페이든은 이 식물의 자메이카 버전에 ''Citrus paradisi''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맥페이든은 '금단의 과일'과 '바베이도스 자몽'이라는 두 품종을 구분했는데, 바베이도스 자몽은 배 모양인 반면 금단의 과일은 "사과 모양"이라고 기술했다.[37] 맥페이든과 휴즈의 설명이 달라 두 보고서가 동일한 식물을 지칭하는지는 불분명하다. 휴즈가 언급한 '황금 오렌지'가 실제 자몽이었고, 그가 말한 '금단의 과일'은 이후 사라진 다른 품종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0] '금단의 과일' 또는 '섀데트'라고 불리는 감귤류가 세인트루시아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휴즈와 맥페이든이 설명한 식물일 수도 있다.[34]
19세기에는 '자몽'이라는 이름이 점차 포멜로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면서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38] 자몽은 1823년 프랑스 사업가 오데 필립 백작에 의해 플로리다로 전해져 현재의 세이프티 하버 지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1] 미국 감귤 산업의 초기 선구자 중 한 명은 19세기 말 앳우드 자몽 회사를 설립한 부유한 기업가 킴벌 C. 앳우드였다. 앳우드 농장은 연간 8만 상자의 과일을 생산하며 세계 최대의 자몽 농장이 되었다.[41] 1906년에는 이 농장에서 분홍색 과육을 가진 자몽이 발견되기도 했다.[1]
자몽이 단 오렌지와 포멜로의 교배종이라는 사실은 1940년대에 이르러서야 유전학적으로 밝혀졌고, 이에 따라 공식 학명은 잡종임을 나타내는 '×' 기호를 포함하여 ''Citrus'' × ''paradisi''로 변경되었다.[39][40]
2. 2. 품종 개발 및 명명
자몽은 자연 교배종으로 유래되었다.[28] 자몽의 한 조상은 자메이카의 단 오렌지 (''Citrus sinensis'')였으며, 이는 아시아에서 유래된 고대 교배종이었고, 다른 조상은 인도네시아의 포멜로 (''C. maxima'')였다.[1] 포멜로는 암컷 조상이었고, 단 오렌지 자체도 교배종으로 수컷 조상이었다.[29] ''C. sinensis''와 ''C. maxima'' 모두 1692년까지 서인도 제도에 존재했다. 이 과일의 기원에 대한 한 이야기는 '캡틴 섀독'(Captain Shaddock)[1][30]이라는 17세기 무역상이 포멜로 씨앗을 자메이카로 가져와 처음으로 과일을 재배했으며, 이후 이 과일은 ''섀독''이라고 불렸다는 것이다.[31] 자몽은 그 후 두 식물이 그곳에 도입된 후 자연적으로 발생한 두 식물 사이의 교배종으로 유래되었을 것이다.[1][2]'금단의 과일'이라고 불리는 교배 과일은 1750년 웨일스 출신인 그리피스 휴즈 목사가 그의 저서 ''바베이도스 자연사''에 기록한 14개의 다른 감귤류 과일과 함께 처음 문서화되었다.[1][32][33] 그러나 휴즈의 금단의 과일은 자몽과는 구별되는 식물일 수 있지만 자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34]
1814년, 영국의 박물학자이자 농장주인 존 루난은 자메이카의 유사한 감귤 식물을 설명하기 위해 '자몽(grapefruit)'이라는 용어를 발표했다.[31] 루난은 이 이름이 포도 (''Vitis vinifera'')와 맛이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보고했다.[35] 또 다른 설명은 이 이름이 나무에 열리는 과일 덩어리를 암시하는데, 이는 종종 포도송이와 유사하게 보이기 때문이다.[38][36]
1830년, 스코틀랜드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제임스 맥페이든은 이 식물의 자메이카 버전에 '시트러스 파라디시'(''Citrus paradisi'')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맥페이든은 두 가지 품종을 확인했는데, 하나는 '금단의 과일'이라고 불리고 다른 하나는 '바베이도스 자몽'이라고 불렸다.[37] 19세기에는 포멜로를 지칭하기 위해 '자몽'이라는 이름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기도 했다.[38]
1823년 프랑스 사업가 오데 필립 백작에 의해 플로리다로 가져와 현재 세이프티 하버로 알려진 곳에서 재배되었다.[1] 이 과일의 진정한 기원은 1940년대까지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 시점에서 공식 명칭은 교배종임을 나타내는 '''×''' 기호를 사용하여 ''Citrus'' × ''paradisi''로 변경되었다.[39][40]
미국 감귤 산업의 초기 선구자 중 한 명은 19세기 말 앳우드 자몽 회사를 설립한 부유한 기업가 킴벌 C. 앳우드였다. 앳우드 농장은 연간 80,000 상자의 과일을 생산하며 세계 최대의 자몽 농장이 되었다.[41] 1906년에는 그곳에서 분홍색 자몽이 발견되었다.[1]

1929년 '루비 레드' (또는 '레드블러쉬') 품종은 분홍색 품종에서 붉은 자몽이 발견된 후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 텍사스 주의회는 1993년에 이 품종을 공식적인 "텍사스 주 과일"로 지정했다.[7]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을 통해 일반적으로 분홍색으로 변색되는 붉은 색조를 유지하는 새로운 품종이 개발되었다.[8] '리오 레드' 품종은 1984년에 등록된 텍사스 자몽으로, ''리오 스타''와 ''루비-스위트''라는 등록 상표를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레디스트'' 및 ''텍사스 초이스''로 홍보되기도 한다. '리오 레드'는 열 중성자로 접수를 처리하여 개발된 돌연변이 육종 품종이다. 돌연변이 품종의 개선된 특징은 과일 및 주스의 색상, 더 깊은 붉은색, 그리고 광범위한 적응성이다.[9]
'스타 루비'는 붉은 품종 중 가장 어둡다.[1] 조사된 '허드슨' 자몽 ('허드슨'은 '월터스'의 변이인 '포스터'의 가지 변이)에서 개발되었으며,[10] 다른 품종보다 재배가 더 어려워 상업적인 성공은 제한적이었다.[11][12]
추가적인 교배를 통해 탱골로 (1905), 미니올라 탱골로 (1931), 오로블랑코 (스위티, 1984), 멜로골드 등이 생산되었다. 세미놀과 미네올라는 자몽에 탠저린을 교배하여 만들어졌다. 오로블랑코 (스위티)와 멜로골드는 모두 자몽의 4배체에 무산 문단을 교배하는 실험을 통해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감귤 재배 시험장에서 개발되었다.
텍사스와 플로리다의 주요 자몽 품종은 다음과 같다.[6]
3. 특징
그레이프프루트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감귤류로, 폼멜로(학명: ''Citrus grandis'')와 오렌지(학명: ''Citrus sinensis'')가 자연적으로 교배되어 생긴 잡종이다. 폼멜로의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
1750년대 서인도 제도의 바베이도스에서 처음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세기 초 미국 플로리다로 종자가 유입된 후 캘리포니아, 텍사스 등지로 퍼져나갔다.[45] 초기에는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었다는 설도 있다.
영어 이름 '그레이프프루트(grapefruit)'는 1800년대에 붙여졌는데, 열매가 가지에 포도(grape)처럼 여러 개가 덩어리져 열리는 모습에서 유래했다.[45] 1830년대에는 폼멜로(shaddock)와 다른 종으로 여겨져 학명이 ''Citrus paradisi''로 명명되었으나, 1950년대 이후 자연 교잡종임이 밝혀지면서 잡종을 나타내는 ''Citrus'' × ''paradisi''로 변경되었다.
그레이프프루트 나무는 상록수이며, 열매는 일반적으로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 껍질을 가진다.[1] 과육은 품종에 따라 흰색, 분홍색, 붉은색 등으로 다양하며, 산미와 약간의 쓴맛, 특유의 향을 지닌다.[1][45] 1929년 미국에서 개발된 '루비 레드(Ruby Red)' 품종이 최초로 특허를 받은 그레이프프루트이다.[5] (자세한 식물학적 특징 및 품종은 하위 문단 참고)
그레이프프루트를 다른 감귤류와 교배하여 세미놀, 미네올라, 오로블랑코(스위티), 멜로골드 등의 새로운 품종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2011년 기준 지역별 생산량 비율은 다음과 같다.[53]순위 지역 비율(%) 1 아시아 31.4 2 북아메리카 22.9 3 아프리카 10.4 4 남아메리카 4.3 5 유럽 0.9 6 오세아니아 0.1
3. 1. 식물학적 특징
그레이프프루트는 아열대 및 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감귤류로, 폼멜로(학명: ''Citrus grandis'')와 오렌지(학명: ''Citrus sinensis'')가 자연적으로 교배된 잡종이다. 폼멜로의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46]
그레이프프루트 나무는 상록수이며, 보통 5m 에서 6m 높이로 자라지만 최대 13m 에서 15m까지 자라기도 한다.[1] 잎은 길이 15cm 정도로 가늘고 길며, 윤기가 나는 짙은 녹색을 띤다.[1] 꽃은 크기가 5cm 정도이며, 4~5개의 흰색 꽃잎을 가지고 있다.[1]
열매는 일반적으로 납작 구형 모양이며, 지름은 10cm 에서 15cm이고 무게는 400g 에서 500g 정도이다.[1][46] 껍질은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을 띤다.[1][46] 과육은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있으며 산성을 띤다. 부드럽고 즙이 많으며 약간의 쓴맛이 있는데, 이 쓴맛의 주성분은 나린진 등이다.[1][45] 또한 노트카톤과 티오테르피네올에서 유래하는 특유의 향이 있다. 과육의 색은 재배 품종에 따라 흰색, 분홍색, 붉은색 등으로 다양하며, 단맛의 정도도 다른데 일반적으로 붉은색 품종이 가장 달다.[1][46]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과육 색에 따라 크게 '마시(Marsh)' 계열(화이트)과 '루비(Ruby)' 계열(핑크/레드)로 나뉜다. 루비 계열은 신맛이 적고 단맛이 강한 편이다.[47] 1929년 미국의 '루비 레드'(Ruby Red) 품종이 최초로 특허를 받은 그레이프프루트 품종이다.[5]
3. 2. 품종
자몽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과육의 색에 따라 구분한다. 크게 과육이 흰색인 '마시(Marsh)' 계열과 분홍색이나 붉은색인 '루비(Ruby)' 계열로 나뉜다. 루비 계열은 화이트 계열에 비해 산미가 적고 단맛이 더 강한 편이다.[47]
미국의 텍사스주와 플로리다주 등지에서 재배되는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6]
구분 | 품종명 |
---|---|
화이트 계열 | 덩컨(Duncan), 마쉬(Marsh), 오로 블랑코(Oroblanco), 파멜로 HB(Pummelo HB), 톰슨(Thompson), 트라이엄프(Triumph), 월터스(Walters), 화이트 마쉬(White Marsh) |
핑크/레드 계열 | 플레임(Flame), 헨더슨(Henderson), 허드슨(Hudson), 핑크(Pink), 레이(Ray), 리오 스타(Rio Star), 루비 레드(Ruby Red), 스타 루비(Star Ruby) |
특히 1929년 미국 텍사스주에서 발견된 '루비 레드(Ruby Red)' 품종(또는 '레드블러쉬(Redblush)')은 기존의 분홍색 품종에서 우연히 발견된 돌연변이로, 짙은 붉은색 과육 덕분에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1] 텍사스 주의회는 1993년 이 품종을 공식적인 "텍사스 주 과일"로 지정하기도 했다.[7]
시간이 지나면서 붉은색이 바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 기술을 통해 새로운 품종들이 개발되었다.[8] 대표적으로 '리오 레드(Rio Red)'는 1984년에 등록된 텍사스 자몽 품종으로, 열 중성자 처리 기술을 이용한 돌연변이 육종을 통해 만들어졌다. 이 품종은 '리오 스타(Rio Star)'와 '루비-스위트(Ruby-Sweet)'라는 등록 상표를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레디스트(Reddest)'나 '텍사스 초이스(Texas Choice)'라는 이름으로 홍보되기도 한다. '리오 레드'는 기존 품종보다 과일과 주스의 붉은색이 더 진하고 선명하며, 다양한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장점을 가진다.[9]
'스타 루비(Star Ruby)'는 현재까지 개발된 품종 중 과육의 붉은색이 가장 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 품종은 '월터스(Walters)' 품종의 변이인 '포스터(Foster)'에서 나온 가지 변이 '허드슨(Hudson)'을 방사선 조사하여 개발되었다.[10] 하지만 다른 품종에 비해 재배가 까다로워 상업적으로 널리 재배되지는 못했다.[11][12]
자몽을 다른 감귤류와 교배하여 만든 품종도 있다. 세미놀(Seminole)과 미네올라(Minneola)는 자몽과 탄제린을 교배한 것이다. 오로블랑코(Oroblanco, 또는 스위티)와 멜로골드(Melogold)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의 감귤 재배 시험장에서 제임스 W. 캐머런(James W. Cameron)과 로버트 수스트(Robert Soost) 등이 자몽 4배체와 산이 적은 포멜로(acidless pummelo)를 교배하여 만든 품종이다.
3. 3. 맛과 향
다른 감귤류 과일처럼 자몽은 시트르산 함량 때문에 시큼한 맛이 난다. 자몽 주스는 레몬 주스의 약 절반 정도의 시트르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오렌지 주스보다는 약 50% 더 많다.[13] 과육은 부드럽고 즙이 많으며, 나린진 등의 성분으로 인해 약간의 쓴맛이 있다.[45]자몽 품종은 주로 과육의 색깔로 구분하는데, 흔히 노란색과 분홍색 과육을 가진 품종이 있다. 맛은 매우 산성이 강하고 약간 시큼한 맛부터 달콤하고 톡 쏘는 맛까지 다양하다. 이는 자몽에 함유된 당분(주로 수크로스), 유기산(주로 시트르산), 그리고 향을 내는 모노테르펜 및 세스퀴테르펜의 구성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17] 특히 자몽 머캅탄이라는 황 함유 테르펜은 다른 감귤류 과일과 구별되는 자몽 특유의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족 화합물 중 하나이다.[18] 또한 노트카톤과 티오테르피네올 성분도 자몽 특유의 향에 기여한다.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화이트 계열인 '마시'와 핑크 계열인 '루비'가 있다. 루비 품종은 마시 품종에 비해 산미가 적고 단맛이 더 강한 편이다.[47]
자몽의 독특한 맛과 향은 다양하게 활용된다. 코스타리카, 특히 아테네스 지역에서는 자몽의 신맛을 줄이기 위해 요리하여 과자처럼 만들거나, ''두스 드 레체''를 채워 디저트로 즐겨 먹는다.[14] 아이티에서는 주로 주스(''자드케 주스'')로 마시지만, 잼(''자드케 콩피튀르'')을 만들기도 한다.[15][16] 톡 쏘는 맛은 일부 생선 요리와 잘 어울려 활용되기도 한다.[19][20]
4. 생산 및 유통
그레이프프루트 생산은 중국이 주도하며, 베트남, 미국, 멕시코 등도 주요 생산국이다.[62][24] 2018년 전 세계 생산량은 940만 톤이었으며, 2022년에는 980만 톤으로 증가했다.[62][24] 자세한 국가별 생산량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세계 생산량
2022년 자몽(포멜로 포함)의 세계 생산량은 980만 톤이었다.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53%를 차지하며 1위였고, 베트남이 2위 생산국이었다.[24]
아래는 과거 연도의 생산량 자료이다.
순위 | 국가 | 생산량 (천 톤) | 전 세계 비율 (%) |
---|---|---|---|
1 | 중국 | 3,611 | 45.7 |
2 | 미국 | 1,147 | 14.5 |
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16 | 5.3 |
4 | 멕시코 | 397 | 5.0 |
5 | 태국 | 379 | 4.8 |
6 | 튀르키예 | 219 | 2.8 |
7 | 인도 | 196 | 2.5 |
8 | 아르헨티나 | 189 | 2.4 |
9 | 수단 | 184 | 2.3 |
10 | 이스라엘 | 184 | 2.3 |
‐ | 세계 계 | 7,893 | 100.0 |
4. 2. 한국의 생산 및 수입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5. 이용
그레이프프루트는 생으로 먹는 것 외에도 주스나 다양한 가공 식품으로 만들어 이용한다.[46] 과육은 단맛과 신맛 외에 특유의 쌉쌀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46], 이 맛 때문에 생으로 먹을 때 설탕을 뿌려 먹기도 한다. 즙을 내어 자몽 주스로 마시거나 칵테일, 사워, 탄산음료(MATCH 등)의 재료로도 널리 사용된다. 껍질은 마멀레이드나 잼으로 만들 수 있으며, 씨앗에서는 항균 성분을 추출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시판되는 식용 자몽의 씨앗은 발아율이 높아 흙에 심으면 비교적 쉽게 싹을 틔운다.
5. 1. 섭취 방법
다른 감귤류 과일처럼 자몽은 시트르산 함량이 높아 신맛이 난다. 자몽 주스는 레몬 주스의 약 절반, 오렌지 주스보다는 약 50% 더 많은 시트르산을 함유하고 있다.[13] 자몽 특유의 맛은 당분(주로 수크로스), 유기산(주로 시트르산), 그리고 향을 내는 모노테르펜 및 세스퀴테르펜 등의 구성에 따라 매우 시큼한 맛부터 달콤하고 톡 쏘는 맛까지 다양하다.[17] 특히 자몽 머캅탄이라는 황 함유 테르펜은 다른 감귤류 과일과 구별되는 자몽 특유의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족 화합물 중 하나이다.[18]자몽은 생으로 먹거나 주스, 잼, 과자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섭취한다.
'''생식'''
과육을 생으로 먹을 때는 보통 자몽을 가로로 반 잘라 숟가락으로 떠먹는다. 이때 과육을 쉽게 분리하기 위해 끝이 톱니 모양으로 된 자몽 스푼이나 과육과 속껍질 사이를 자르는 자몽 나이프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몽은 단맛과 신맛 외에 나린진 성분 등으로 인한 쌉쌀한 맛이 특징인데[46], 이 맛을 싫어하는 경우 설탕을 뿌려 먹기도 한다.
'''주스 및 음료'''
즙을 내어 자몽 주스로 마시기도 하며, 자몽 전용 착즙기도 있다. 자몽 주스는 칵테일(그레이하운드 등)이나 사워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며, 자몽 과즙을 함유한 시판 탄산음료(MATCH 등)나 주류도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요리 및 가공'''
- 코스타리카, 특히 아테네스 지역에서는 자몽의 신맛을 줄이기 위해 익혀서 과자처럼 만들거나, dulce de leche|둘세 데 레체spa를 채워 디저트로 즐긴다.[14]
- 아이티에서는 주로 주스(jus de chadèque|자드케 주스fra)로 마시지만, 잼( confiture de chadèque|자드케 콩피튀르fra)으로 만들기도 한다.[15][16]
- 톡 쏘는 맛 때문에 일부 생선 요리에도 활용된다.[19][20]
- 껍질은 마멀레이드나 잼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기타'''
자몽 씨앗에서는 항균 성분을 추출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식용 자몽 씨앗은 발아율이 높아 흙에 심으면 비교적 쉽게 싹을 틔운다.
5. 2. 가공 및 활용
다른 감귤류 과일처럼 자몽은 시트르산 함량 때문에 시큼한 맛을 낸다. 자몽 주스는 레몬 주스의 약 절반 정도의 시트르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오렌지 주스보다는 거의 50% 더 많다.[13] 자몽 특유의 향과 맛은 주로 당분(수크로스), 유기산(시트르산), 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 그리고 다른 감귤류에 비해 자몽에 더 많은 황 함유 테르펜인 자몽 머캅탄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의 구성에 기인한다.[17][18]생으로 먹을 때는 보통 반으로 잘라 자몽 스푼이라는 끝이 톱니 모양인 전용 스푼으로 과육을 떠먹는다. 자르기 편하도록 자몽 나이프라는 전용 칼을 사용하기도 한다. 과육에는 나린진 등의 성분으로 인해 약간의 쓴맛이 있는데[45][46], 이 쓴맛을 싫어하는 경우 설탕을 뿌려 먹기도 한다.
즙을 내어 자몽 주스로 마시는 것이 흔한 활용법이며, 자몽 전용 착즙기도 있다. 자몽 주스는 칵테일(예: 그레이하운드)이나 사워의 재료로도 널리 사용되며, 오츠카 식품의 탄산음료 MATCH처럼 자몽 과즙이 들어간 시판 음료도 다양하다. 껍질은 마멀레이드나 잼을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한다.
코스타리카, 특히 아테네스 지역에서는 자몽을 요리하여 신맛을 중화시킨 뒤 과자로 만들거나, ''두스 드 레체''를 채워 디저트로 즐겨 먹는다.[14] 아이티에서는 주로 주스(''자드케 주스'') 형태로 소비하지만, 잼(''자드케 콩피튀르'')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15][16] 또한, 자몽 특유의 톡 쏘는 맛은 일부 생선 요리에도 활용된다.[19][20]
자몽 씨앗에서는 항균 성분을 추출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식용 자몽의 씨앗은 발아율이 높아 흙에 심으면 비교적 쉽게 싹을 틔운다.
6. 건강
생 흰색 자몽은 90%가 수분이고, 8%가 탄수화물, 1%가 단백질이며, 지방은 거의 없다. 100g 기준량의 생 자몽은 138kJ의 식품 에너지를 제공하며 비타민 C의 풍부한 공급원(1일 권장량의 37%)이다. 다른 미량 영양소는 유의미한 양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다.
자몽에는 다양한 플라보노이드가 포함되어 있다. 자몽 및 자몽 주스가 체중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논문이 발표되었다[50]. 2011년에는 자몽의 향기 성분인 누트카톤에 비만 억제 작용과 운동 지구력 향상 효과가 있다는 쥐 실험 연구 결과가 가오 생물 과학 연구소에서 발표되었다[48].
6. 1. 약물 상호작용

자몽과 자몽 주스는 수많은 약물과 약물 상호 작용을 일으켜 여러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23][21] 이러한 상호작용은 1990년에 처음 보고되었다.[49]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이상 심장 박동, 위 내부 출혈, 저혈압, 호흡 곤란, 어지럼증 등이 있다.[21]
상호 작용의 주된 원인은 자몽의 과육과 껍질에 존재하는 푸라노쿠마린류 화합물, 특히 베르가모틴과 6',7'-디히드록시베르가모틴이다. 이 푸라노쿠마린류는 인체 내 약물 대사(해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시토크롬 P450 계열, 그중에서도 특히 CYP3A4의 작용을 억제한다.[21][50] CYP3A4는 많은 종류의 약물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데,[21] 이 효소의 기능이 억제되면 약물 분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 중 약물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는 결국 약물의 효과가 과도하게 나타나거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23][21] 반대로, 일부 약물은 체내에서 대사 과정을 거쳐야만 활성화되는데, CYP3A4 억제로 인해 이러한 약물의 효과가 오히려 감소할 수도 있다.[23][21]
또한, 자몽 성분은 장에서 특정 약물의 흡수 자체를 방해하기도 한다. 약물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으면 혈중 농도가 낮아져 기대했던 치료 효과를 얻기 어렵게 된다.[22] 각 약물은 자몽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효과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특정한 영향을 받는다.[22]
자몽 1개 또는 200ml 정도의 자몽 주스 한 잔만으로도 약물 과다 복용과 유사한 독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23] 특히 칼슘 채널 차단제 계열의 고혈압 치료제,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 신경안정제인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일부 감기약 등은 자몽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1] 자몽에 의한 CYP3A4 억제는 비가역적이어서 그 효과가 3~4일간 지속될 수 있으므로, 해당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자몽이나 자몽 주스 섭취를 완전히 피해야 한다(금기).[52] 현재까지 약 85가지의 약물이 자몽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절반가량은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50] 일반적으로 자몽과 함께 복용하면 안 되는 약물은 해당 약물의 용기나 포장 삽입물(설명서)에 주의사항으로 표시되어 있다.[23][21]
푸라노쿠마린류는 자몽 외에 다른 감귤류에도 포함되어 있지만, 그 함량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7. 사진
참조
[1]
서적
Grapefruit, ''Citrus paradisi'', In: Fruits of Warm Climates
http://www.hort.purd[...]
NewCROP, New Crop Resource Online Program, Center for New Crops and Plant Products,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urdue University
2003-03-28
[2]
서적
A~Z of Barbados Heritage
Macmillan Caribbean
[3]
사전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4]
학술지
The Origin of Cultivated Citrus as Inferred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Fingerprints
2010-07
[5]
웹사이트
Texas grapefruit history
http://www.texasweet[...]
TexaSweet
2008-07-02
[6]
웹사이트
Go Florida Grapefruit
https://web.archive.[...]
2011-12-17
[7]
서적
Texas Almanac 2022-2023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2022
[8]
뉴스
Useful Mutants, Bred With Radiation
https://www.nytimes.[...]
2007-08-28
[9]
웹사이트
MVD
http://mvgs.iaea.org[...]
2017-03-30
[10]
학술지
Global impact of mutation-derived varieties
2004
[11]
웹사이트
Home fruit Production-Grapefruit
http://aggie-horticu[...]
2013-07-22
[12]
웹사이트
Star Ruby grapefruit
http://www.citrusvar[...]
2013-07-22
[13]
학술지
Quantitative Assessment of Citric Acid in Lemon Juice, Lime Juice, and Commercially-Available Fruit Juice Products
https://europepmc.or[...]
[14]
서적
1994 Mexico & Central America Handbook
Trade and Travel Publications
[15]
웹사이트
Standardisation d'une formulation de confiture de chadèque et évaluation des paramètres physico-chimiques, microbiologiques et sensoriels
http://www.memoireon[...]
Université d'Etat d'Haiti (UEH / FAMV) - Ingenieur Agronome 2009
2017-06-05
[16]
서적
Le point sur la transformation des fruits tropicaux
Groupe de recherche et d'echanges technologiques (GRET)
[17]
학술지
Determination of sugars, organic acids, aroma components, and carotenoids in grapefruit pulps
[18]
학술지
Characterization of the Most Odor-Active Volatiles in Fresh, Hand-Squeezed Juice of Grapefruit (''Citrus paradisi Macfayden'')
[19]
웹사이트
Fillet of Fish with Grapefruit
https://cooking.nyti[...]
The New York Times
2024-10-28
[20]
웹사이트
Sea bass, fennel & grapefruit ceviche
https://www.jamieoli[...]
Jamie Oliver
2024-10-28
[21]
웹사이트
Drug interactions with grapefruit juice
https://www.drugs.co[...]
Drugs.com
2023-07-24
[22]
웹사이트
How the "Don't take this medication with grapefruit juice" warning originated
https://sciencebased[...]
2022-09-29
[23]
학술지
Grapefruit-medication interactions: Forbidden fruit or avoidable consequences?
[24]
웹사이트
Grapefruit production in 2022, Crops/Regions/World list/Production Quantity (pick lis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24
[25]
학술지
Some Fruitflies (Tephritidae) in Jamaica
1974-03
[26]
웹사이트
Papilio demodocus (citrus swallowtail)
https://www.cabidigi[...]
CABI
2024-10-28
[27]
학술지
Grapefruit: history, use, and breeding
https://journals.ash[...]
[28]
웹사이트
Genetic origin of cultivated citrus determined: Researchers find evidence of origins of orange, lime, lemon, grapefruit, other citrus species
https://www.scienced[...]
2017-09-21
[29]
학술지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30]
학술지
Mystery of the forbidden fruit: Historical epilogue on the origin of the grapefruit, Citrus paradisi (Rutaceae)
1987-01-01
[31]
잡지
Grapefruit: a fruit with a bit of a complex
https://web.archive.[...]
2007-12
[32]
웹사이트
Grapefruit
http://www.worldwide[...]
2017-03-30
[33]
웹사이트
Welchman Hall Gully, Barbados
https://web.archive.[...]
Barbados National Trust
2010-07-11
[34]
학술지
Forbidden Fruit (Citrus sp., Rutaceae) Rediscovered in Saint Lucia
https://www.jstor.or[...]
1990-04
[35]
서적
Hortus Jamaicensis
https://idtools.org/[...]
St. Iago de la Vega Gazette
1814
[36]
웹사이트
How did the grapefruit get its name?
https://www.loc.gov/[...]
2021-01-26
[37]
논문
Some remarks on the species of genus ''Citrus'' which are cultivated in Jamaica.
[38]
서적
Appendix to the Journals of the Senate and Assembly of the twenty-first Session of the Legislature of the State of California
Legislature of the State of California
2020-10-07
[39]
웹사이트
Texas Citrus: Puzzling Beginnings
https://web.archive.[...]
2007-03-02
[40]
웹사이트
The Grapefruit. Fact Sheet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Florida: IFAS Extension
[41]
뉴스
Manatee County a big part of citrus history
http://www.heraldtri[...]
Herald-Tribune
2004-08-16
[42]
웹사이트
2023-01-21
[43]
웹사이트
2023-01-21
[44]
웹사이트
果物ナビ - グレープフルーツ
http://www.kudamonon[...]
[45]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46]
서적
かしこく選ぶ・おいしく食べる 野菜まるごと事典
成美堂出版
2012-07-10
[47]
웹사이트
果物ナビ - グレープフルーツ
http://www.kudamonon[...]
[48]
웹사이트
花王生物科学研、グレープフルーツの香り成分ヌートカトンに肥満抑制作用、作用点はAMPK活性化で運動持久力向上も
https://bio.nikkeibp[...]
株式会社 日経BP
2015-12-17
[49]
논문
Grapefruit juice–drug interactions
https://doi.org/10.1[...]
[50]
논문
Food-drug interactions precipitated by fruit juices other than grapefruit juice: An update review
https://doi.org/10.1[...]
2018-04-00
[51]
논문
グレープフルーツ果肉部分摂取時によるジヒドロピリジン系Ca拮抗薬ニフェジピン及びニソルジピンの薬物動態への影響
2002-05-01
[52]
서적
一目でわかる医薬品と飲食物・サプリメントの相互作用とマネジメント
フジメディカル出版
2010
[53]
간행물
地理 統計要覧 2014年版
[54]
웹사이트
JPRESS「グレープフルーツを食べる人、20年で激減していた」
https://jbpress.isme[...]
[55]
웹사이트
静岡県公式ページ「グレープフルーツの栽培面積、収穫量、出荷量日本一」
http://www.pref.shiz[...]
[56]
뉴스
日本経済新聞朝刊
2017-04-26
[57]
논문
Botanical Miscellany
[58]
서적
[59]
논문
Botanical Miscellany
[60]
웹사이트
''Citrus'' × ''paradisi'' Macfad.
https://npgsweb.ars-[...]
2018-01-16
[61]
웹사이트
Texas grapefruit history
http://www.texasweet[...]
TexaSweet
2008-07-02
[62]
웹사이트
Grapefruit production in 2018, Crops/Regions/World list/Production Quantity (pick lis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