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고리 페트롭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고리 페트롭스키는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참여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17년 볼셰비키가 러시아 제국을 전복시킨 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수반을 거쳐 소련 공산당 정치국 중앙위원을 지냈다. 내무인민위원으로 재임하며 적색 테러를 주도했고,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스탈린의 대숙청 시기에는 공산당에서 제명되었으나,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에 초대되는 등 어느 정도 명예를 회복했다. 그의 이름을 딴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시는 2016년 "드니프로"로 개명되었으며, 그의 기념물은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그리고리 페트롭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그리고리 이바노비치 페트롭스키
원어 이름러시아어: Григо́рий Ива́нович Петро́вский
우크라이나어: Григо́рій Іванович Петровський (흐리호리 이바노비치 페트로우스키)
출생1878년 2월 4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하르키우현 페체니히이
사망1958년 1월 9일 (79세)
사망지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안장지크렘린 벽 묘지, 모스크바
그리고리 페트롭스키 서명 (1936년)
정치 경력
소속 정당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1898–1903)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 (1903–1918)
러시아 공산당 (1918–1939)
주요 직책소비에트 연방 중앙집행위원장 (공동)
VUTsVK 의장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내무인민위원
정치국 후보 위원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정치국 후보 위원
관직
소비에트 연방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임기 시작: 1922년
임기 종료: 1938년
우크라이나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임기 시작: 1919년 3월 10일
임기 종료: 1938년 7월 25일
전임: 볼로디미르 자톤스키 (직위 부활)
후임: 레오니드 코르니예츠 (간부회 의장), 미하일로 부르미스텐코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의장)
총리:
흐리스티안 라콥스키
블라스 추바르
파나스 류브첸코
미하일로 본다렌코
미콜라 마르차크
데미안 코로첸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내무인민위원임기 시작: 1917년 11월 17일
임기 종료: 1919년 3월 30일
전임: 알렉세이 리코프
후임: 펠릭스 제르진스키
학력
출신 학교초등 교육
수상
훈장레닌 훈장 (2회)
붉은 깃발 훈장
노동 붉은 깃발 훈장 (3회)

2. 초기 생애 및 혁명 활동

그리고리 페트롭스키는 게오르기 리보프가 러시아 제국 총리로 재임하던 시절 그의 비서관으로 활동하다가, 볼셰비키가 러시아 제국을 전복시킨 후 간접 투항하였다. 이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수반을 거쳐 소련 공산당 정치국 중앙위원을 지냈다. 그는 1917년 11월 30일부터 1919년 3월 1일까지 내무인민위원으로 재임하면서 체카 활동을 감독하고 적색 테러를 옹호했다.

2. 1. 출생 및 어린 시절

그리고리 페트롭스키는 1878년 2월 4일(구력 1월 23일) 하르코프 현 페체니히 마을에서 장인의 아들로 태어났다(일부 자료에서는 재단사와 세탁부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그리고리의 아버지는 그가 세 살 때 사망했다. 페트롭스키에게는 두 명의 형제가 있었다.

1889년 하르키우 신학교에서 2학년을 마친 후, 학비를 낼 수 없어 퇴학당했다. 11세의 나이로 교육을 중단하고 도시의 기관차 차고에서 일자리를 구했다. 1893년, 15세 때 예카테리노슬라프에 도착하여 브랸스크 야금 공장(오늘날 페트롭스키 공장)에서 일했다.

2. 2. 혁명 운동 투신

1895년 페트롭스키는 혁명 운동에 참여했고, 1898년에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RP)에 입당하여 "노동자 계급 해방을 위한 투쟁 연합"과 RSDRP의 예카테리노슬라프 위원회에 가입했다. 이 시기에 그는 미콜라이우에서 마리우폴까지, 도네츠 분지에서 하르키우까지 볼셰비키의 정치 선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이로 인해 1900년과 1903년에 체포되었다.

1905년 러시아 혁명 동안 페트롭스키는 예카테리노슬라프 노동자 대표 도시 평의회와 지역 전투 파업 위원회의 조직자이자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곧 도망쳐 잠시 동안 독일로 망명했다. 1907년 그는 마리우폴로 돌아와 선반 기술자로 일했으며 "러시아 프로비던스" 공장 (오늘날 일리치 철강 공장의 일부)에서 혁명 활동을 계속했다.

3. 러시아 제국 국가 두마 의원 시절

1912년, 페트롭스키는 볼셰비키 파의 예카테리노슬라프 현(러시아 제국) 노동자를 대표하여 러시아 제4대 국가 두마(러시아 제국)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이 시기에 ''프라우다''의 편집장이기도 했다. 1913년 1월 RSDRP 중앙위원회에 포함되었다. 그는 두마에서 32차례 연설했으며, 21번째 연설문은 블라디미르 레닌이 직접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트롭스키는 연설에서 도네츠 분지의 광부와 노동자의 근로 조건과 생활 개선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

1914년 11월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그는 의회의 다른 6명의 볼셰비키 의원들과 함께 체포되었고, 1915년 2월 투루한스크 지방(오늘날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으로 평생 유배형을 선고받았다.

4. 10월 혁명 이후

10월 혁명 이후, 페트롭스키는 게오르기 리보프가 러시아 제국 총리로 재임하던 시절 그의 비서관으로 활동하다가 볼셰비키 세력이 러시아 제국을 전복시킨 후 볼셰비키에 간접 투항하였다. 1938년 1월에 주요 당 간부직에서 물러났다.

스탈린의 대숙청에서 그는 숙청되지 않았지만, 코시올, 추바르, 키릴 수호물린|키릴 수호물린ru 등 친한 친구들의 처형에 충격을 받았다. 소련이 그의 60세 생일을 축하한 직후,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심문을 받았고, 공산당에서 제명되었으며, 다차와 아파트에서 쫓겨났다. 1년 후인 1940년, 모스크바의 소련 혁명 박물관 관장이 되었으나, 정계에 복귀하지는 못했다. 대조국 전쟁 중 아들 레오니드가 전사하자, 옥중에 있던 아들 표트르를 석방해 달라고 스탈린에게 편지로 요청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표트르는 총살형에 처해졌다.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한 후, 공식적으로 명예 회복은 되지 않았지만,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에 초대되는 등 어느 정도 평가를 회복했다. 1958년에 사망했으며, 유해는 모스크바 크렘린 벽 근처에 매장되었다.

4. 1. 내무인민위원 임명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 이후, 페트롭스키는 1917년 11월 30일부터 1919년 3월 1일까지 내무인민위원으로 임명되었다.[4] 이 직책에서 그는 체카의 활동을 감독했으며, 적색 테러의 옹호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그의 명령에서 "저항 시 다수의 인질들을 부르주아에게 데려가고, 이 인질들은 대량으로 사살해야 한다(...) 테러의 적용에 망설임은 없다"라고 썼다.[5] 그는 1917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서명 시 러시아 대표단의 일원이었다.

4. 2.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지도자

볼셰비키 세력이 러시아 제국을 전복시킨 후, 페트롭스키는 볼셰비키에 간접 투항하였다. 이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수반을 거쳐 소련 공산당 정치국 중앙위원을 지냈다.[4] 1919년부터 전 우크라이나(1922년부터는 우크라이나 SSR) 중앙 집행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공산당의 소련 중앙 집행 위원회 공동 의장을 역임했다.[6][11] 1922년 12월 30일, 우크라이나 공화국 대표로서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의장 중 한 명이 되었다. 1938년 1월 12일, 소련 최고회의 간부회 부의장으로 선출될 때까지 의장직에 머물렀다.

페트롭스키는 유리 라프친스키와 올렉산드르 슘스키로 대표되는 우크라이나 민족 공산주의적 경향에 반대하는 당 주류에 속했지만, 1920년대에는 우크라이나화와 우크라이나의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자율성을 지지했다.[6][11] 그는 자신을 국제주의자로 여기며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부정했다.

4. 3. 홀로도모르 시기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 이후, 페트롭스키는 1917년 11월 30일부터 1919년 3월 1일까지 내무인민위원으로 임명되었다.[4] 이 직책에서 그는 체카의 활동을 감독했으며, 적색 테러의 옹호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그의 명령에서 "저항 시 다수의 인질들을 부르주아에게 데려가고, 이 인질들은 대량으로 사살해야 한다(...) 테러의 적용에 망설임은 없다"라고 썼다.[5]

1919년부터 그는 전 우크라이나(1922년부터는 우크라이나 SSR) 중앙 집행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공산당의 소련 중앙 집행 위원회 공동 의장을 역임했다. 페트롭스키는 유리 라프친스키와 올렉산드르 슘스키로 대표되는 우크라이나 민족 공산주의적 경향에 반대하는 당 주류에 속했지만, 1920년대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화와 우크라이나의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자율성을 지지했다.[6][11]

일부 우크라이나 역사가들은 페트롭스키와 라자르 카가노비치가 1930년대 요시프 스탈린의 우크라이나 정책, 그중 일부가 1932-33년의 인위적인 기근인 홀로도모르의 주요 실행자였다고 믿고 있다.[11] 미국 공산주의자 프레드 빌에 따르면, 그가 하르키우 트랙터 공장의 문화 선전 업무에서 그의 상사이자 권위자였던 이시도르 에렌버그와 함께 페트롭스키에게 "수백만 명의 농민들이 러시아 전역에서 죽어가고 있다"고 말하는 노동자들에게 무엇을 말해야 할지 묻자, 페트롭스키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아무 말도 하지 마세요! 그들의 말이 맞습니다. 우리는 수백만 명이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압니다. 그것은 불행한 일이지만 소련의 영광스러운 미래가 그것을 정당화할 것입니다. 아무 말도 하지 마세요![7]


다른 역사가들은 페트롭스키가 자행되고 있는 일을 완전히 이해하고 기근의 정도를 깨달았을 때, 우크라이나인에게 식량을 제공해 달라고 스탈린에게 간청했지만, 이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한다.[11]

5. 대숙청 시기와 이후

그는 대숙청 기간 동안 숙청되지 않았지만, 스타니슬라프 코시요르, 블라스 추바르, 수호믈린과 같은 절친한 친구들의 처형에 충격을 받고 슬퍼했다.[8] 소련 건국 16주년 기념 직후, 그는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심문을 받았는데, 스탈린은 그에게 "우리는 당신과 같은 사람들을 처형하지만 당신은 살아남을 것이다"[8]라고 말했고, 이후 그는 공산당에서 제명되고 별장과 아파트를 빼앗겼다.[8] 1년 동안 직업 없이 지낸 후, 1940년 그는 모스크바에 있는 소련 혁명 박물관의 관장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의 아들 레오니드가 사망한 후,[9] 페트롭스키는 수감된 아들 표트르를 석방해 달라고 스탈린에게 편지로 간청했지만, 레닌그라드 프라우다를 편집하던 그의 아들은 총살당했다.[8]

안톤 안토노프-오브세옌코는 그의 저서 《스탈린 시대》에서 그리고리 페트롭스키가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삶을 위해 박물관 다락방에 정착했다고 기록했다.[10]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한 후 그는 충분히 명예를 회복하여, 1958년 79세의 나이로 사망했을 때 그의 시신은 화장되었고 유해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치되었다.[11]

6. 유산

우크라이나의 도시 드니프로는 1926년부터 2016년까지 그의 이름을 따서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로 불렸으며,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주 및 드니프로시(과거 명칭은 예카테리노슬라프)는 1926년, 페트롭스키를 기려 개명되었다.[26][27] 그러나 2014년 우크라이나 위기 이후, 반러시아·반공산주의 감정이 고조되면서 드니프로로 다시 개칭되었다.

6. 1.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현 드니프로)

우크라이나의 도시 드니프로는 1926년부터 2016년까지 그리고리 페트롭스키의 이름을 따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로 불렸다.[11][12] 페트롭스키는 이 개명을 권고한 노동자, 농민 및 병사 대표 임시 지방 의회에 참석하여 "큰 감사를 표하며 이 영예를 받아들였다."[13] 이 의회 결의안은 1926년 7월 20일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결의안으로 승인되었다.[13]

2016년 1월 30일에 촬영된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의 페트롭스키 기념비 철거 사진.


일부 우크라이나인들은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을 얻은 후 도시 이름을 변경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11] 이 도시는 결국 2015년 공산주의 제거 법을 준수하기 위해 2016년 5월 20일 "드니프로"로 개명되었다.[14][15] 그러나 우크라이나 헌법에 언급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는 헌법 개정을 통해서만 이름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개명되지 않았다.[16]

2014년 우크라이나 위기 이후, 반러시아·반공산주의 감정이 고조되면서, 우크라이나 최고 의회에서 도시 명칭에 혁명가 페트롭스키의 이름이 붙여진 것에 대해 "공산적이다"라며 반발하는 목소리가 제기되었고, 2016년 5월, 의회는 도시를 드니프로시로 개칭하기로 결정했다.[28][29]

6. 2. 기념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Kyiv)의 페트롭스키 동상은 홀로도모르 희생자들을 기리는 연례 우크라이나 기념일 며칠 전인 2009년 11월 말에 철거되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 빅토르 유셴코는 "홀로도모르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소련 지도자 기념물을 철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1] 당시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로 불리던 페트롭스키 동상은 2016년 1월 29일에 철거되었다.[17] 2014년 4월에는 이미 현지 블라디미르 레닌 동상이 철거되었다.[18]

현지 역사가들은 페트롭스키 및 우크라이나 공산당 지도자 라자르 카가노비치가 우크라이나에서 스탈린 정책의 주요 실행자라고 생각하고 있다. 홀로도모르 조사 위원회 멤버 바실 마로치코와 같은 역사가들은 페트롭스키가 기아 확산을 알았을 때, 스탈린에게 추가 식량을 우크라이나에 공급하도록 두 번이나 탄원했지만, 이 요청은 무시되었다고 말하고 있다.[26]

친러시아파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의 도네츠크시에는 현재도 페트롭스키의 조각상이 남아 있다.

6. 3.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친러시아 성향의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도네츠크시에는 현재도 페트롭스키의 조각상이 남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etrovskyi Hryhoriy Ivanovych (1878-1958) http://who-is-who.co[...] Ukrainian Publishing Portal 2005
[2] 뉴스 Ukraine tears down controversial statue http://www.unian.inf[...] UNIAN News 2016-02-26
[3] 뉴스 Statue of controversial Bolshevik leader Grigory Petrovsky toppled in Ukraine http://artdaily.com/[...] Artdaily.com 2016-02-26
[4] 웹사이트 Government of the Russian Soviet Federative Socialist Republic 1917-1923: Lenin http://www.elisanet.[...]
[5] 서적 La terreur sous Lénine 1975
[6] 웹사이트 Petrovsky, Hryhorii http://www.encyclope[...] 2022-01-16
[7] 서적 Proletarian journey: New England, Gastonia, Moscow. https://babel.hathit[...] Hillman-Curl 1937
[8] 서적 Let history judge: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Stalinism https://books.google[...] Knopf
[9] 웹사이트 Biography of Lieutenant-General Leonid Grigorevich Petrovskii - Soviet Union http://www.generals.[...] generals.dk 2016-02-26
[10] 서적 The Time of Stalin: Portrait of a Tyranny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983
[11] 뉴스 Ukraine tears down controversial statue http://news.bbc.co.u[...] 2016-02-27
[12] 서적 The Kravchenko Case: One Man's War on Stalin https://books.google[...] Enigma Books 2016-02-27
[13] 웹사이트 About the renaming of streets in the city of Katerynoslava - Dnipropetrovsk in the 1920s and 1930s https://gorod.dp.ua/[...] 2022-10-16
[14] 웹사이트 UNIAN News. Latest news of Ukraine and world http://uatoday.tv/so[...]
[15] 뉴스 Poroshenko signed the laws about decomunization Ukrayinska Pravda 2015-05-15
[16] 웹사이트 Ukrain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1-26
[17] 뉴스 «Рік декомунізації»: цифри і підсумки https://www.radiosvo[...] 2024-11-26
[18] 뉴스 Ukraine: the Day After http://www.weeklysta[...] 2015-05-19
[19] 문서 ラテン文字表記の例: Grigory Ivanovich Petrovsky
[20] 문서 ラテン文字表記の例: Hryhoriy Ivanovych Petrovsky
[21] URL http://www.elisanet.fi/daglarsson/dokumentit/sov.htm#LENIN
[22] 서적 La terreur sous Lénine 1975
[23] 서적 Let History Judge 1971
[24] 서적 Let History Judge 1971
[25] URL Leonid http://www.generals.[...]
[26] 뉴스 Ukraine tears down controversial statu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1-27
[27] 서적 The Kravchenko Case: One Man's War Against Stalin https://books.google[...] Enigma Books 2007
[28] 웹사이트 主要都市を改称、ドニエプロペトロフスクは「ドニプロ」 背景に反ロシア感情 http://www.sankei.co[...] 産経ニュース 2016-08-02
[29] 웹사이트 反ロシアで地名変更=革命家の名削除「ドニプロ」に-ウクライナ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6-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