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극동방송은 1945년 중국 상하이에서 개국한 기독교 방송으로, 현재 전 세계 41개의 AM, FM 기지국과 2개의 주 송신소를 통해 149개 언어로 국제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1956년 대한민국에서 개국하여 서울, 대전, 부산 등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도 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보수적인 성향을 보이며, 과거 정치적 편향성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 - 가톨릭평화방송
가톨릭평화방송은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설립하여 라디오와 TV 방송을 운영하며, 전국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cpbc+라는 OTT 서비스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 - TBS (대한민국의 방송사)
TBS는 1990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운영되다가 2024년 민영화될 예정이며, TBS FM, TBS eFM, TBS TV를 통해 교통 정보 제공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 극동방송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극동방송 - 목포극동방송
목포극동방송은 1994년 아세아방송 호남본부로 개설되어 1999년 설립된 전남 목포 지역의 극동방송 방송국으로, FM 100.5㎒ 주파수로 목포시와 인근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며, 2020년대에는 다양한 행사와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진행했고, 2024년 1월 1일에는 제15대 지사장이 부임했다.
극동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극동방송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 |
![]() | |
설립일 | 1945년 12월 20일 |
창립자 | 존 C. 브로거 로버트 H. 보먼 윌리엄 J. 로버츠 |
본사 위치 | 미국캘리포니아주라미라다 |
웹사이트 | FEBC 국제 FEBC 미국 FEBA 영국 FEBC 오스트레일리아 FEBC 뉴질랜드 FEBC 캐나다 FEBC 홍콩 FEBC 타이완 FEBC 캄보디아 FEBC YASKI 인도네시아 FEBC 하트라인 FM FEBC 대한민국 FEBC 일본 FEBC 러시아 FEBA 남아프리카 FEBC 라디오 테오스 FEBC 태국 FEBC 필리핀 |
방송 영역 | 종교 방송 - 개신교 복음방송 |
역사 | |
필리핀 방송 시작일 | 1948년 6월 4일 |
대한민국 라디오 방송 시작일 | 1956년 12월 23일 |
대한민국 법인 설립일 | 1954년 7월 27일 |
대한민국 지사 | |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56 (상수동) |
사장 | 맹주완 |
슬로건 | 대한민국 선교중심 |
기타 | |
방송 산업 | 방송 |
2. 연혁
FEBC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아시아의 영적 필요성을 느낀 존 브로거와 밥 보먼이 중국 상해에 라디오 방송국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29] 1945년 상하이에서 첫 방송을 시작했으나, 국공내전으로 인해 1948년 방송국을 필리핀으로 이전하였다. 1948년 6월 4일, 마닐라에서 KZAS(현 DZAS)를 통해 첫 방송을 송출했고, 1949년에는 중국을 향한 국제 방송을 시작, 이후 러시아 등 동남아시아로 확장되었다.[23]
한국에서는 1954년 한국복음주의 방송협회가 창립되었고, 1956년 12월 23일 인천에서 '''극동방송'''(호출부호 HLKX)이 개국했다.[7][8][9] 이후 여러 차례 명칭과 주파수가 변경되었고, 1973년 아세아방송(호출부호 HLDA)이 개국하여 1977년부터 극동방송과 공동 운영되었다. 1980년 아세아방송의 호출부호는 HLAZ로 변경되었다.
1980년대 언론통폐합 시기에는 어려움을 겪었으나, 1987년 민주화 이후 규제가 완화되면서 전국적인 FM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1989년 대전극동방송을 시작으로, 창원극동방송, 목포극동방송, 영동극동방송, 포항극동방송, 울산극동방송, 부산극동방송, 대구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 전남동부극동방송, 전북극동방송 등이 차례로 개국하였다. 2001년에는 아세아방송이 극동방송에 흡수 합병되어 제주극동방송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일본에서는 제주극동방송을 통해 일본어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며, 필리핀,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에도 FEBC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다.
연도 | 내용 |
---|---|
1945년 | FEBC, 중국 상하이에서 첫 방송 시작 |
1948년 | 국공내전으로 방송국을 필리핀 마닐라로 이전, KZAS(현 DZAS) 개국 |
1949년 | 중국 대상 국제 방송 시작, 이후 러시아 등 동남아시아로 확장 |
1954년 | 재단법인 한국복음주의 방송협회 창립 |
1956년 | 인천에서 극동방송(HLKX) 개국 |
1961년 | 국제복음방송국으로 명칭 변경 |
1963년 | 무선국 허가 상실 및 재허가 |
1967년 | 팀 라디오 극동방송으로 명칭 변경 |
1973년 | 아세아방송(HLDA) 개국 |
1977년 | 극동방송과 아세아방송 공동 운영 시작 |
1978년 | 극동방송, 아세아방송 AM 주파수 변경 |
1980년 | 아세아방송 호출부호 변경 (HLDA → HLAZ) |
1987년 | 극동방송 출력 100kW로 증강, 보도 및 광고, 협찬방송 개시 |
1988년 | AM 송신소 이전 (인천 논현동 →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 |
1989년 | 대전극동방송 개국 |
1994년 | 목포에 아세아방송 호남본부 개설 (목포극동방송 전신) |
1995년 | 러시아 극동방송 준공 |
1996년 | 창원극동방송 개국 |
1997년 | 아세아방송 서귀포 삼매봉 FM 중계소 개설 |
2000년 | 창원극동방송, 대전극동방송 출력 5kW로 증강, 극동방송 본사 표준FM 개국 |
2001년 | 목포극동방송, 영동극동방송, 포항극동방송 개국, 아세아방송, 극동방송과 합병 및 제주극동방송으로 명칭 변경 |
2002년 | 울산극동방송 개국 |
2005년 | 인터넷방송 개국 |
2008년 | 부산극동방송 개국 |
2009년 | 대전극동방송 익산 FM중계소 개설 |
2010년 | 러시아 극동방송 준공 15주년 |
2011년 | 대구극동방송 개국 |
2012년 | 광주극동방송 개국, 로스앤젤레스에 소재한 우리방송에 극동방송의 일부 방송 송출 시작, 미주지사 개국 |
2013년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신 사옥에서의 방송 송출 |
2015년 | 대구극동방송 구미중계소, 전남동부극동방송 개국 |
2016년 | 제주극동방송 북제주 표준FM방송 허가 |
2017년 | 제주극동방송 북제주 표준FM 개국 |
2018년 | 대구극동방송 송신소 이전, 극동방송 백령도 중계소 허가 |
2019년 | 전북극동방송 개국 |
2020년 | 극동방송 TV 개국, 극동방송 AM 송신소 이전 (시흥시 방산동 →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 |
2024년 | 영동극동방송이 춘천과 원주에 FM 중계소 허가, 영동극동방송 → 강원극동방송 명칭 변경 예정 |
2. 1. FEBC의 설립과 초기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많은 병사들이 아시아의 영적 필요를 인지하고 태평양 전투에서 돌아왔다.[29]전쟁 이전부터 아시아에 라디오 방송국을 세우라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느꼈던 존 브로거(John Broger)와 밥 보먼(Bob Bowman)은 아시아, 특히 중국의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달할 사역을 구상하였다.
1945년에 설립된 FEBC는 상해의 기지국에서 최초로 개국하였으나,[23] 국공내전의 여파로 오래가지 못하고 1948년에 폐국했다.
존 브로거는 FEBC의 라디오 방송국 위치를 필리핀으로 결정하였다. 남중국해에 위치한 필리핀이 적격이었다.
1948년 6월 4일 마닐라에서 지역 방송국 KZAS(현재의 DZAS)를 통해 첫 방영이 이루어졌다.[23] 이듬해인 1949년에 중국에 국제 방송 방송이 시작되어 그 뒤 러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대부분으로 확장되었다.
2. 2. 대한민국 극동방송
극동방송은 1956년 12월 23일 경기도 인천 학익동에서 개국하였다.(주파수: 중파 1230 kHz, 단파 11940 kHz 호출부호: HLKX)[7][8][9] 1961년 1월 19일 '''국제복음방송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63년 1월 1일 무선국 허가가 상실되었으나, 3월 16일 재허가를 받았다. 1967년 5월 1일 '''팀 라디오 극동방송'''으로 명칭을 다시 변경하였다.1973년 6월 30일 '''아세아방송'''이 개국하였다.(주파수: 1570 kHz, 호출부호: HLDA, 출력: 250 kW) 1977년 1월 1일부터 극동방송과 아세아방송은 공동 운영을 시작하였고, 1978년 12월 23일 AM 주파수를 변경하였다.
- 극동: 1190 kHz → 1188 kHz
- 아세아: 1570 kHz → 1566 kHz
1980년 1월 1일 아세아방송 호출부호가 HLDA에서 HLAZ로 변경되었다. 1987년 8월 25일 극동방송 출력이 100kW로 증강되었으며, 11월 2일 보도, 광고 및 협찬방송을 개시하였다. 1988년 6월 18일 AM 송신소를 인천 논현동에서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으로 이전하였다.
1989년 12월 1일 '''대전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3.3 MHz, 호출부호: HLAD, 출력: 3 kW), 1996년 3월 16일 '''창원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8.1 MHz, 호출부호: HLDD, 출력: 3 kW)이 개국하였다.
2000년 12월 23일 극동방송 본사 표준FM이 개국하였다.(주파수: 초단파 106.9 MHz, 호출부호: HLKX-SFM, 출력: 5 kW) 2001년에는 4월 2일 '''목포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100.5 MHz, 호출부호: HLKW, 출력: 1 kW), 8월 27일 '''영동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0.1 MHz, 호출부호: HLDY, 출력: 3 kW), 11월 12일 '''포항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0.3 MHz, 호출부호: HLDZ, 출력: 3 kW)이 개국하였다.
2001년 10월 1일 아세아방송은 극동방송과 합병되어 '''제주극동방송'''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2년 2월 25일 '''울산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107.3 MHz, 호출부호: HLQR, 출력: 3 kW), 2008년 4월 26일 '''부산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3.3 MHz, 호출부호: HLQQ, 출력: 1 kW)이 개국하였다.
2011년 2월 12일 '''대구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1.9 MHz 호출부호: HLCU → HLKK, 출력: 1 kW), 2012년 5월 26일 '''광주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3.1 MHz, 호출부호: HLED, 출력: 1 kW)이 개국하였다.
2015년 11월 28일 '''전남동부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7.5 MHz, 호출부호 HLEI, 출력 1kW), 2019년 4월 13일 '''전북극동방송'''(주파수: 초단파 91.1 MHz, 호출부호: HLEN, 출력 1kW)이 개국하였다. 2020년 9월 7일 극동방송 TV가 개국하였다.
2024년 영동극동방송은 강원극동방송으로 명칭이 변경될 예정이다.
방송국 | 주파수 | 출력 | 위치 |
---|---|---|---|
서울 (HLKX) | 1188 kHz | 100 kW | 서울 |
106.9 MHz | 5 kW | ||
영동 (HLDY) | 90.1 MHz | 3 kW | 강원도 |
102.9 MHz | 70 W | ||
100.9 MHz | 90 W | ||
대전 (HLAD) | 93.3 MHz | 대전 5 kW | 대전 |
공주 500 W | |||
전북 (HLEN) | 91.1 MHz | 1 kW | 전라북도 |
광주 (HLED) | 93.1 MHz | 광주광역시 | |
목포 (HLKW) | 100.5 MHz | 목포시 | |
전남동부 (HLEI) | 97.5 MHz | 전라남도 | |
92.9 MHz | 100 W | ||
대구 (HLKK) | 91.9 MHz | 1 kW | 대구광역시 |
105.9 MHz | 200 W | ||
포항 (HLDZ) | 90.3 MHz | 3 kW | 포항시 |
부산 (HLQQ) | 93.3 MHz | 1 kW | 부산광역시 |
96.7 MHz | 20 W | ||
울산 (HLQR) | 107.3 MHz | 3 kW | 울산광역시 |
창원 (HLDD) | 98.1 MHz | 5 kW | 창원시 |
92.5 MHz | 500 W | ||
제주 (HLAZ) | 1566 kHz | 250 kW | 제주 |
104.7 MHz | 3 kW | ||
101.1 MHz | 90 W |
2. 3.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 기타 국가
일본에서는 일본복음동맹의 협력 회원으로,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제주극동방송(HLAZ)에서 일본 표준시로 오후 9시 30분부터 오후 10시 45분까지 주파수 1566㎑로 방송을 송신하고 있다.[29] 2001년 4월 2일부터는 인터넷으로도 방송 내용을 청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대부분 자체 제작하며, 개신교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룬다. 매주 일요일에는 예배 실황을 녹음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때때로 외부 제작 프로그램(예: 일본 기독교 개혁파 교회 제작의 「내일로의 창(あすへの窓)」)도 편성한다.1958년부터 오키나와에서 영어와 일본어 방송국을 운영했지만, 1972년 오키나와 반환 이후 1983년에 중파방송이 폐지되면서 1984년에 FM 오키나와라는 별도의 방송이 되었다.[21]
기존 일본어 방송은 제주극동방송(구 아세아방송) 외에도 필리핀 마닐라(마닐라 콜링, 현 마닐라 에코), 미국 샌프란시스코(우정의 소리, 호출부호 KGEI)에서도 송출되었다. 당시 febc는 주로 마닐라에서 방송하는 것을 의미했다. 프로그램은 모두 도쿄에 있는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어 각국으로 전달되었다. 방송 시간은 일본 표준시로 KGEI가 17시~18시, 마닐라가 19시~20시, 22시~23시(재방송), 제주극동방송(구 아세아방송)이 21시 30분~22시 30분까지 하루 총 4시간이었다.
필리핀에서는 1948년 6월 4일 마닐라에서 지역 방송국 KZAS(현재의 DZAS)를 통해 첫 방송을 시작했다.[2][3][4] 1949년에는 중국을 대상으로 한 국제 방송을 시작했고, 이후 러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으로 방송을 확장했다. FEBC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41개의 AM, FM 기지국을 운영하고 있으며, 두 곳의 주요 송신지를 통해 단파로 149개 언어로 국제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2022년에는 발렌수엘라에 있는 이전 FEBC 부지에 FEBC 개척자 벽(Bantayog ng Kasaysayan)이 공개되었으며, 최초의 필리핀 지도자로는 프로세소 마르셀로 목사, 페리코 마그바누아 목사, 막시모 아티엔자 목사가 있다.[6]
FEBC 필리핀은 현재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인 세이브드 라디오(Saved Radio)도 소유하고 있다.
필리핀 국내 방송은 전국 각지에 중파 7개국, FM 3개국 등 총 10개의 방송국을 운영하고 있다.
브랜드 | 호출부호 | 주파수 | 출력 | 위치 |
---|---|---|---|---|
702 DZAS | DZAS | 702 kHz | 50 kW | 마닐라 |
98.7 DZFE | DZFE | 98.7 MHz | 20 kW | |
1143 DZMR Missions Radio | DZMR | 1143 kHz | 10 kW | 산티아고 |
93.5 MHz | 나가 | |||
Care 104.3 The Way FM | DWAY | 104.3 MHz | 5 kW | 레가스피 |
DZRK 106.3 Radyo Kapitbisig | DZRK | 106.3 MHz | 케손 | |
UP 987 | DYFR | 98.7 MHz | 10 kW | 세부 시 |
1233 DYVS | DYVS | 1233 kHz | 바콜로드 | |
97.5 DYFE | DYFE | 97.5 MHz | 5 kW | 탁로반 |
1197 DXFE | DXFE | 1197 kHz | 10 kW | 다바오 |
103.3 The New J | DXJL | 103.3 MHz | 5 kW | 카가얀데오로 |
DXGR 106.9 Radyo Gandingan | DXGR | 106.9 MHz | 코타바토 | |
1062 DXKI | DXKI | 1062 kHz | 코로나달 | |
1116 DXAS | DXAS | 1116 kHz | 잠보앙가 | |
인도네시아에서는 '''YASKI'''라는 이름으로 FEBC를 운영하며, '''Heartline FM''' 브랜드를 사용한다.[10][11][12]
로고 | 브랜드 | 호출 부호 | 주파수 | 출력 | 위치 |
---|---|---|---|---|---|
![]() | Heartline FM Tangerang | PM3FSD | 100.6 MHz | 5 kW | 카라와치 |
![]() | Heartline FM Samarinda | 94.4 MHz | 5 kW | 사마린다 | |
![]() | Heartline FM Lampung | PM8FFY | 91.7 MHz | 5 kW | 람풍주 |
![]() | Heartline FM Bali | 92.2 MHz | 5 kW | 발리 | |
러시아에서는 '''라디오 테오스'''(Radio Teos) 브랜드를 사용한다.[13][14][15]
극동방송은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주파수와 언어로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3. 방송 현황
1956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처음 방송을 시작한 이후, 1989년부터 전국 주요 도시에 초단파방송(FM)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서울과 제주에서는 중파방송(AM)과 표준FM방송을 모두 운영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방송법상 종교방송국 설립이 불가능하여, 대한민국 제주에서 일본어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과거에는 필리핀, 미국 등에서도 일본어 방송을 송출했었다.
이 외에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러시아, 북마리아나 제도(2011년 폐쇄), 세이셸 등에서 방송을 운영하거나 운영했었다.
(하위 섹션인 '대한민국', '일본', '기타 국가' 섹션의 표 내용 참조 - 생략)
3. 1. 대한민국
방송국 | 호출부호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송신소 위치 | 개국일 |
---|---|---|---|---|---|---|
FEBC FM(프로그램 제작국) | HLKX | 대부도 송신소 | AM 1188kHz | 100kW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 1126-130 | 1956년 12월 23일 |
HLKX-SFM | 관악산 송신소 | FM 106.9MHz | 5kW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 2000년 12월 23일 | |
백령도 중계소 | FM 106.9MHz | 500W | 인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산75-1 | 2020년 이후 | ||
강원극동방송 | HLDY-FM | 괘방산 송신소 | FM 90.1MHz | 3kW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 | 2001년 8월 27일 |
속초 중계소 | FM 102.9MHz | 70W | 강원 속초시 설악동 산3-1 목우재 | 2003년 7월 14일 | ||
초록봉 중계소 | FM 100.9MHz | 90W | 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 2009년 6월 19일 | ||
백운산 중계소 | FM 104.3MHz | 300W | 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 | 2024년 11월 25일 | ||
대룡산 중계소 | FM 92.9MHz | 500W | 강원 춘천시 동내면 대룡산길 944 (고은리 산1-2) | 2025년 개국예정 | ||
대전극동방송 | HLAD-FM | 식장산 송신소 | FM 93.3MHz | 5kW | 대전 동구 낭월동 산43 | 1989년 12월 1일 |
봉황산 중계소 | FM 93.3MHz | 500W | 충남 공주시 반죽동 산2-1 | 1997년 7월 | ||
전북극동방송 | HLEN-FM | 미륵산 송신소 | FM 91.1MHz | 1kW | 전북 익산시 삼기면 연동리 산6 | 2019년 4월 13일 |
광주극동방송 | HLED-FM | 무등산 송신소 | FM 93.1MHz | 1kW |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 | 2012년 5월 26일 |
목포극동방송 | HLKW-FM | 양을산 송신소 | FM 100.5MHz | 1kW | 전남 목포시 용해동 산34-1 | 2001년 4월 2일 |
전남동부극동방송 | HLEI-FM | 구봉화산 송신소 | FM 97.5MHz | 1kW | 전남 광양시 성황동 산228 | 2015년 11월 28일 |
구봉산 중계소 | FM 92.9MHz | 100W |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 2016년 3월 24일 | ||
대구극동방송 | HLKK-FM | 와룡산 송신소 | FM 91.9MHz | 1kW | 대구 달서구 이곡동 산1 | 2011년 2월 12일 |
구미 중계소 | FM 105.9MHz | 200W | 경북 구미시 옥계동 산20 (KT) | 2015년 11월 27일 | ||
포항극동방송 | HLDZ-FM | 도음산 송신소 | FM 90.3MHz | 3kW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련리 1104-1 | 2001년 11월 12일 |
삼각산 중계소 | FM 96.7MHz | 500W | 경북 울릉군 | 2023년 11월 | ||
부산극동방송 | HLQQ-FM | 봉래산 송신소 | FM 93.3MHz | 1kW | 부산 영도구 신선동3가 산1-3 | 2008년 4월 26일 |
녹산 중계소 | FM 96.7MHz | 20W | 부산 강서구 생곡동 산10-3 봉화산 | 2014년 1월 27일 | ||
울산극동방송 | HLQR-FM | 무룡산 송신소 | FM 107.3MHz | 3kW | 울산 북구 어물동 산195-3 | 2002년 2월 25일 |
창원극동방송 | HLDD-FM | 불모산 송신소 | FM 98.1MHz | 5kW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1996년 3월 16일 |
장군대산 중계소 | FM 92.5MHz | 500W | 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325-5 | 2014년 10월 | ||
제주극동방송 | HLAZ | 애월 송신소 | AM 1566kHz | 250kW | 제주 제주시 애월읍 구엄리 444 | 1973년 6월 30일 |
HLAZ-SFM | 연동 송신소 | FM 104.7MHz | 1kW | 제주 제주시 연동 | 2017년 10월 21일 | |
삼매봉 중계소 | FM 101.1MHz | 90W |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 1997년 9월 3일 |
브랜드 | 주파수 | 출력 | 위치 |
---|---|---|---|
서울 FEBC | 1188 kHz | 100 kW | 서울 |
106.9 MHz | 5 kW | ||
영동 FEBC | 90.1 MHz | 3 kW | 강원도 |
102.9 MHz | 70 W | ||
100.9 MHz | 90 W | ||
대전 FEBC | 93.3 MHz | 대전 | 대전 |
공주 | |||
전북 FEBC | 91.1 MHz | 1 kW | 전라북도 |
광주 FEBC | 93.1 MHz | 광주광역시 | |
목포 FEBC | 100.5 MHz | 목포시 | |
전남동부 FEBC | 97.5 MHz | 전라남도 | |
92.9 MHz | 100 W | ||
대구 FEBC | 91.9 MHz | 1 kW | 대구광역시 |
105.9 MHz | 200 W | ||
포항 FEBC | 90.3 MHz | 3 kW | 포항시 |
부산 FEBC | 93.3 MHz | 1 kW | 부산광역시 |
96.7 MHz | 20 W | ||
울산 FEBC | 107.3 MHz | 3 kW | 울산광역시 |
창원 FEBC | 98.1 MHz | 5 kW | 창원시 |
92.5 MHz | 500 W | ||
제주 FEBC | 1566 kHz | 250 kW | 제주 |
104.7 MHz | 3 kW | ||
101.1 MHz | 90 W | ||
한국에서 FEBC(Far East Broadcasting Company)의 시작은 1954년 현지 재단인 "한국복음방송" 설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 1956년 "극동방송" 개국으로 이어진다. 이후 1961년 1월 "국제복음방송"으로 개명하였다. 1963년 방송 허가가 취소되었지만 3월 재허가를 받았으나, 경영난으로 1967년 팀선교회 운영으로 "팀라디오"로 변경되었다. 이후 FEBC 산하에 편입되었다.
1973년 제주도에 FEBC 계열 방송국인 "HLDA(아시아방송, 1980년 호출부호를 HLAZ로 변경)"가 설립되었다.
한국에서 방송을 시작했을 당시에는 HLKX(서울)와 HLAZ(제주) 두 곳에서만 중파방송(AM)을 통해 방송하였고, 한국뿐 아니라 주변 국가 청취자를 위해 한국어와 중국어 외에도 HLKX에서는 영어, HLAZ에서는 러시아어와 일본어 방송도 진행했다. 이 두 방송국은 2001년 10월 법인 합병을 하였고, 법인 통합 이후 "FEBC Korea"가 되었으며, 아시아방송은 "제주극동방송"으로 방송국 이름을 변경하였다.[7][8][9]
1980년대 초반의 언론통폐합에 따른 규제를 받았으나, 한국의 민주화 정책으로 일부 완화된 1989년 이후 주요 도시를 커버하는 초단파방송(FM) 사업을 시작하여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었다. 서울과 제주도는 중파와 같은 프로그램을 표준FM방송으로 방송하고 있다.(서울 방송국 일부 시간대 제외)
매스컴 통제가 폐지되기 전에는 서울과 제주 모두 방송 시간이 새벽과 밤으로 제한되었던 시기가 있었다.
참고로 한국에는 FEBC와는 별도의 조직인 프로테스탄트 계열 민영 라디오 방송국 CBS(기독교방송)이 있으며, 특정 종교에 특화된 전문 방송국의 전국 네트워크(한국방송사 목록 참조)가 다수 존재한다. 이들은 매스컴 통제가 1987년 한국의 민주화로 사실상 완화됨에 따라 신규 방송국 개국이 다시 허용되면서 생겨난 것이다.
3. 2. 일본
日本FEBC일본어는 1989년까지 도쿄 오차노미즈의 오차노미즈 크리스천 센터(OSCC 빌딩)에 본부와 스튜디오를 두고 있었으나, 이후 도쿄도 무사시노시로 이전하여 방송을 이어오고 있다. 일본의 방송법은 종교방송국 설립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위치한 제주극동방송(HLAZ)을 통해 일본 표준시(JST)로 오후 9시 30분부터 오후 10시 45분까지 1566㎑ 주파수로 방송을 송신하고 있다.[24] 2001년 4월 2일부터는 인터넷으로도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방송 내용은 모두 개신교 관련 프로그램이며, 매주 일요일에는 예배 실황을 녹음한 프로그램이 방송된다. 자체 제작 프로그램 외에도 일본 기독교 개혁파 교회 제작의 「내일로의 창(あすへの窓)」과 같은 외부 제작 프로그램도 방송된다.
과거에는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 콜링, 현 마닐라 에코), 미국 샌프란시스코 (우정의 소리, 호출부호 KGEI)에서도 일본어 방송을 송출했다. 당시에는 "FEBC"라고 하면 주로 마닐라 방송을 지칭했다. 프로그램은 도쿄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어 각 방송국으로 항공 운송되었다.
방송국 | 위치 | 호출 부호 | 방송 시간 (JST) | 비고 |
---|---|---|---|---|
제주극동방송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HLAZ | 21:30-22:45 | 현재 방송 중, 인터넷 방송 동시 송출[24] |
마닐라 콜링 (현 마닐라 에코) | 필리핀 마닐라 | 19:00-20:00, 22:00-23:00 (재방송) | 폐지 | |
우정의 소리 | 미국 샌프란시스코 | KGEI | 17:00-18:00, 20:00-21:00 (재방송) | 폐지, 1980년경 생방송 재개 |
KFBS | 사이판 | 16:30-18:00 (초기), 17:00 시작 (단축) | 1986년경 시작, 종교적 색채를 줄인 음악 전문 방송, 단기간 운영 후 폐지 |
1958년부터 오키나와에서도 영어와 일본어 방송국을 운영했으나, 1972년 오키나와 반환 이후 1983년 중파방송이 폐지되고 1984년 FM 오키나와라는 별도 방송으로 전환되었다.[21]
1970년대 단파방송(BCL) 붐 시기에는 FEBC의 일본어 방송이 많은 청취자를 확보했다. 인기 DJ로는 가네마쓰 유타카(兼松豊)가 있었으며, 요시자키 케이코(吉崎恵子)는 1970년 일본 FEBC에 입사하여 25년 이상 방송 선교에 종사했고, 2005년 4월 일본 FEBC 대표에 취임했다. 1980년대에는 프로그램 편성이 바뀌면서 청소년들이 듣기 쉬운 프로그램이 여러 개 제작되었는데, 그중 고니시 다쓰로(小西達郎) 씨가 진행한 「FEBC それゆけたったの30分!」이 많은 인기를 얻었다.
당시 단파방송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베리카드(수신 확인증)를 받기 어려운 방송국으로 알려졌는데, 일본 지사 발행 베리카드는 시리즈 형태로, 송신소와 일본 지사 관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95년 12월부터 일본 FEBC는 베리카드 발행을 중단했지만, FEBC-Korea(서울국)는 HLAZ 수신 보고에 대해 계속 베리카드를 발행하고 있다.
3. 3. 기타 국가
극동방송은 여러 국가에서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필리핀'''
FEBC는 1948년 필리핀에서 처음 방송을 시작했다.[2][3][4] 2022년 FEBC 개척자 벽(Bantayog ng Kasaysayan)이 발렌수엘라에 있는 이전 FEBC 부지에 공개되었으며, 최초의 필리핀 지도자들로는 프로세소 마르셀로 목사, 페리코 마그바누아 목사, 막시모 아티엔자 목사가 있다.[6]
필리핀 국내 방송은 전국 각지에 중파 7개국, FM 3개국 등 총 10개의 방송국을 운영하고 있다.
브랜드 | 호출부호 | 주파수 | 출력 | 위치 |
---|---|---|---|---|
702 DZAS | DZAS | 702 kHz | 50 kW | 마닐라 |
98.7 DZFE | DZFE | 98.7 MHz | 20 kW | |
1143 DZMR Missions Radio | DZMR | 1143 kHz | 10 kW | 산티아고 |
93.5 MHz | 나가 | |||
Care 104.3 The Way FM | DWAY | 104.3 MHz | 5 kW | 레가스피 |
DZRK 106.3 Radyo Kapitbisig | DZRK | 106.3 MHz | 케손 | |
UP 987 | DYFR | 98.7 MHz | 10 kW | 세부 시 |
1233 DYVS | DYVS | 1233 kHz | 바콜로드 | |
97.5 DYFE | DYFE | 97.5 MHz | 5 kW | 탁로반 |
1197 DXFE | DXFE | 1197 kHz | 10 kW | 다바오 |
103.3 The New J | DXJL | 103.3 MHz | 5 kW | 카가얀데오로 |
DXGR 106.9 Radyo Gandingan | DXGR | 106.9 MHz | 코타바토 | |
1062 DXKI | DXKI | 1062 kHz | 코로나달 | |
1116 DXAS | DXAS | 1116 kHz | 잠보앙가 | |
FEBC는 부라칸주 보카우에와 삼발레스주 이바에 있는 시설에서 단파 15580kHz로 다양한 언어로 단파 방송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이브드 라디오(Saved Radio)도 소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YASKI는 인도네시아의 FEBC의 이름으로, '''Heartline FM''' 브랜드로 여러 방송국을 운영한다.[10][11][12]
로고 | 브랜드 | 호출 부호 | 주파수 | 출력 | 위치 |
---|---|---|---|---|---|
Heartline FM Tangerang | PM3FSD | 100.6 MHz | 5 kW | 카라와치 | |
Heartline FM Samarinda | 94.4 MHz | 5 kW | 사마린다 | ||
Heartline FM Lampung | PM8FFY | 91.7 MHz | 5 kW | 람풍주 | |
Heartline FM Bali | 92.2 MHz | 5 kW | 발리 | ||
'''러시아'''
FEBC 러시아는 '''라디오 테오스'''(Radio Teos) 브랜드로 여러 방송국을 운영하고 있다.[13][14][15]
브랜드 | 주파수 | 출력 | 위치 |
---|---|---|---|
라디오 테오스 상트페테르부르크 | 1089 kHz | 50 kW | 상트페테르부르크 |
라디오 테오스 모스크바 | 1134 kHz | 20 kW | 모스크바 |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사이판에 있는 FEBC 국제 방송국은 1981년경 설립되어 2011년에 폐쇄되었다.[17]
'''일본'''
1958년 오키나와에 FEBC 방송국이 있었으나, 반환 협정 이후 극동방송으로 상업 방송이 되었다. 이는 오키나와 반환에 따른 특별 조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종교 방송이 금지되었기 때문이다. 1983년 일본 국회의 결정에 따라 1984년 방송이 중단되었다.[21]
FEBC싱가포르(FM102.3MHz “Voice of Graee”)에서 매주 토요일 23시 00분부터 30분간(싱가포르 현지 시간) 일본어 방송을 하고 있다.
'''기타'''
- 세이셸(FEBA)
4. 비판 및 논란
극동방송은 보수 우파 성향의 정통 개신교 방송이다.[30][31][32][33]
4. 1. 정치적 편향성
보수 우파 성향의 정통 개신교 방송이다.2001년 9월 10일 방송된 '특집 시국 좌담회'에서는 김동길 교수 등이 참여해 당시 김대중 정권의 햇볕정책을 비판하는 내용을 방송했다.[30][31] 2006년 5월 23일 극동방송 창사 50주년 기념 홈커밍데이 행사에서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축사를 했다.[32] 1998년 김용민 PD는 이 방송에 취직하였다가 여의도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를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는 이유로 사임했다.[33]
참조
[1]
웹사이트
The Triumph of the Far East Broadcasting Co.
https://www.christia[...]
[2]
웹사이트
R.A. No. 596: An Act Granting the Far East Broadcasting Co. (Philippines), Inc. a Temporary Permit to Construct, Maintain and Operate Non-Commercial Radio Broadcasting Stations in the Philippines
http://thecorpusjuri[...]
1951-03-06
[3]
웹사이트
House Bill No. 5182
http://www.congress.[...]
2019-10-26
[4]
웹사이트
FEBC Celebrates 70 Years of Gospel Broadcasting in the Philippines
http://nrb.org/news-[...]
[5]
웹사이트
HOME
https://www.febc.org[...]
[6]
웹사이트
The Pioneer's Wall | FEBC International Archive
https://febcintl.org[...]
[7]
웹사이트
Massive 'Super Station' Radio Signal Carrying 'Message of Jesus Christ' to Blanket North Korea
https://www2.cbn.com[...]
2019-05-09
[8]
웹사이트
Wildfire Destroys FEBC Station in Korea
https://www.febc.org[...]
2019-04-23
[9]
보도자료
Wildfire Cripples FEBC Radio Station in South Korea - Standard Newswire
http://www.standardn[...]
[10]
웹사이트
Heartline FM
https://www.h-c-r.or[...]
[11]
웹사이트
FEBC Radio Available on 80 Stations in Indonesia - FEBC
http://www.febc.org/[...]
2019-10-26
[12]
웹사이트
Cherish Indonesia Hadir Setiap Rabu di Heartline FM | Cherish Indonesia
https://cherish.id/c[...]
[13]
웹사이트
Radio Teos: Russian radio with a vision
https://www.crossrhy[...]
[14]
웹사이트
From Russia with love - Eternity News
https://www.eternity[...]
2018-05-02
[15]
웹사이트
Radio TEOS | Mission of Tears
https://www.missiono[...]
[16]
웹사이트
Give a radio this Christmas
https://www.christia[...]
2010-12-07
[17]
웹사이트
Bob and Jan Springer
https://www.febc.org[...]
[18]
웹사이트
KSAI Radio bids Saipan goodbye
https://www.saipantr[...]
2002-04-18
[19]
웹아카이브
The Information War in the Pacific, 1945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Shortwave Central: The Voice of America: Shipboard Relay Stations - Radio Ship Phoenix
https://mt-shortwave[...]
2011-11-25
[21]
간행물
Broadcast Monthly Advertising
https://dl.ndl.go.jp[...]
Dentsu
1983-10-25
[22]
웹사이트
STREET ADDRESS
http://www.febc.org/
[23]
웹사이트
参考リンク「FEBCについて」(宗法)日本FEBC
http://www.febcjp.co[...]
[24]
웹사이트
東京都放送局情報(短波・衛星)
http://www.denpa-dat[...]
[25]
웹사이트
所在地・お問合せ先
http://www.febcjp.co[...]
[26]
기타
言語統制令廃止後、初となる地方系列局
[27]
뉴스
작은 평화의 집-육군정보학교 자매결연
http://www.cpbc.co.k[...]
가톨릭평화신문
2022-06-08
[28]
뉴스
개그맨 김은우, 장애아동들의 천사 '삐삐 아저씨'
https://news.nate.co[...]
노컷뉴스
2022-06-08
[2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febc.org/abou[...]
2008-08-11
[30]
뉴스
극동방송, 시국좌담 '쇼' -"햇볕 정책 한마디로 쇼"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11-16
[31]
뉴스
[32]
뉴스
전두환씨 축사 강행에 후원중단 등 비판 거세
http://www.kidok.com[...]
기독신문
2012-11-16
[33]
뉴스
조용기목사 비판글 쓰고 사표던진 극동방송 김용민PD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2-11-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임성근 구명 로비’ 김장환 목사, 2023년 8월 윤석열 직접 만난 정황”
특검, 채상병 사건 재검토 시기 김장환·윤석열 만난 정황 파악…기소 전 증인신문 검토
채상병 특검, ‘수사외압 의혹’ 이종섭 이번주 집중 조사…“다음은 윤석열”
9월22일 궂긴 소식
채상병 특검, 박진 전 외교장관 소환…‘이종섭 도피 의혹’ 조사
채상병 특검, '임성근 기도비 의혹' 김장환 목사 8일 참고인 소환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 박진희 사단장 피의자 전환
'구명로비 의혹' 기록 삭제?…김장환 측근 "터무니없다"
임성근 부부, 김 목사와의 만남 인정…'구명 로비' 의혹 수사 확대
[단독] '구명 로비 의혹' 기록 삭제 정황…증거 인멸 시도?
김문수 “‘윤석열 속옷’ 논쟁은 저질 인권탄압 정치쇼···특검 하루 빨리 해산”
김문수 "윤 속옷 논쟁, 인권탄압 정치쇼…특검 해산하라"
이영훈 목사 “임성근 사단장 몰라…채 상병 특검, 유감 표명해야”
한교총 “교회 전체에 범죄자 프레임, 모욕감”···압수수색한 특검에 사과 요구
결국 윤석열이었다…JTBC 보도 1년 만에 맞춰진 퍼즐
교계로 뻗친 ‘임성근 구명 로비’ 의혹···복수 경로로 구명 시도했나
특검, 기독교·윤석열 동기 등 ‘임성근 구명’ 새 루트 찾아 압수수색
[8뉴스 예고] 기록적인 극한 폭우…불어난 물에 인명 피해
[속보] 채 상병 특검, ‘임성근 구명로비 의혹’ 순복음교회 목사 압수수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