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정터널은 2009년 2월 13일에 개통된 복선 터널이다. 터널의 폭은 12.5 ~ 34.1m, 높이는 8.6 ~ 12.5m이며, 2021년 정밀안전진단 결과 안전등급 B등급(양호)을 받았다. 터널 내부에는 비상 유도등, 경사터널 2곳, 수직구 4곳, 구난대피소 4곳,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터널 길이에 비해 구조 인력 진입 및 승객 대피 통로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으며, 이는 금정터널이 소방법이 아닌 국토교통부 자체 안전 기준을 따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도 터널 - 솔안터널
솔안터널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선 상에 위치하며 2001년에 착공하여 2012년에 개통되었고, 솔안 신호장이 설치되어 기존 역들을 통합하며 폐선 구간은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철도 터널 - 대관령터널 (철도)
2017년 경강선 개통과 함께 개통된 대관령터널은 총 길이 21,755m로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긴 철도 터널이며, 지능형 비상구 유도등, 소화기, 비상전화 등의 피난 및 방재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경부고속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부고속선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 부산광역시의 터널 - 대티터널
대티터널은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서구를 연결하는 낙동대로 상의 터널로, 부산에서 두 번째로 건설되었으며 현재 2종 시설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고, 개통 후 교통 정체가 심화되었으나 최근 통행량이 소폭 감소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터널 - 부산터널
부산터널은 부산 서구와 동구를 잇는 660m 길이의 터널로, 부산 최초의 터널이며, 교통량 증가로 쌍굴식으로 확장되어 현재는 편도 2차선 쌍굴 형태로 운영되고, 두 구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여 출퇴근 시간 교통 정체가 잦다.
금정터널 | |
---|---|
일반 정보 | |
노선 | 경부고속선 |
위치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기점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
종점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
개통 | 2010년 11월 1일 |
운영 | 한국철도공사 |
관리 | 국가철도공단 |
통과 열차 | KTX |
선로 수 | 2 |
궤간 | 1,435mm (표준궤) |
전력 방식 | 교류 25kV 60Hz |
설계 속도 | 300km/h |
길이 | 20.3km (20,323m) |
2. 개통
2009년 2월 13일에 개통했다.
금정터널은 부산광역시 금정구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을 연결하는 경부고속선상의 철도 터널이다. Tunnel영어인 금정터널은 폭 12.5 ~ 34.1m, 높이 8.6 ~ 12.5m의 복선 터널이며, 2021년 3월 17일 국토안전관리원에서 실시한 정밀안전진단 결과 안전등급 B등급(양호)을 받았다.[5]
3. 제원
3. 1. 길이
Tunnel영어인 금정터널은 폭 12.5 ~ 34.1m, 높이 8.6 ~ 12.5m의 복선 터널이다.
3. 2. 등급
2021년 3월 17일 국토안전관리원에서 금정터널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안전등급 '''B등급'''(양호)을 받았다.[5]
국토안전관리원은 1년에 걸쳐 터널 본선 라이닝, 갱문, 사갱, 환기구 등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하였다.[6]
4. 시설
금정터널은 부산광역시 금정구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을 연결하는 경부고속선의 철도 터널로, 길이는 20.3km이다.[1] 이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터널이며, 세계에서 5번째로 긴 터널이다.[1] 터널 내부에는 비상시 차량이 들어올 수 있는 경사터널(사갱) 2곳[7],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수직구 4곳[8], 구난대피소 4곳이 설치되어 있다.
4. 1. 피난 시설
터널 내부에는 50m 간격으로 비상구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비상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다. 비상시 차량이 들어올 수 있는 경사터널(사갱) 2곳[7],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수직구 4곳[8], 구난대피소 4곳이 설치되어 있다.4. 2. 방재 시설
터널 내부에는 500m 간격으로 소화기가 배치되어 있다. 비상시 차량이 들어올 수 있는 경사터널(사갱) 2곳[7],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수직구 4곳[8], 구난대피소 4곳이 있다.5. 방재 시설 부족 논란
터널 길이에 비해 화재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구조 인력이 진입하거나, 승객들이 대피할 수 있는 통로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비상시 구조 인력을 투입할 진입 수직구는 4곳뿐이고 유독가스 배연 시설과 대피소도 부족하다.[9]
내부에는 소방차 진입로 구실을 하는 경사 터널 2곳과 구조 인력이 진입하거나 승객들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수직구 4곳이 분산되어 있다. 이들 경사 터널과 수직구 사이의 간격은 2km에서 3.2km에 이르고 있어, 진입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열차 화재 등 사고가 발생하면 구조 인력이 현장에 접근하는 데만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9]
금정터널 내에는 구조 인력의 현장 접근을 돕기 위해 동력 트로리 5대가 비치되어 있지만, 한 번에 많은 인력과 장비를 태울 수 없는 문제가 있다.[9]
터널 내에는 소방 전용 무선 통신 설비가 없어 구조 기관 지휘부의 신속한 상황 전파와 긴밀한 현장 지휘가 어렵다. 특히 화재 발생 때 유독 가스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연기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 어두운 터널 내에서 유독 연기에 질식한 승객들이 응급 구조를 받기 위해 외부로 대피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9]
환기 시설과 화장실 등 편의 시설을 갖춘 대피소(면적 200m2 이상)가 4곳에 설치되어 있지만, 수백 명의 승객을 수용하기에는 규모가 작다.[9]
이처럼 금정터널의 방재 시설이 취약한 것은 일반 도로 터널이나 도시철도 역사, 선로처럼 소방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국토교통부의 자체 안전 기준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9]
참조
[1]
문서
23,000m
[2]
문서
20,323m
[3]
웹인용
금정터널(경부고속)
https://www.kr.or.kr[...]
2022-03-01
[4]
문서
부산진역의 여객용 승강장을 철거한 자리에 터널의 종점이 있다.
[5]
문서
B등급은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했지만 시설물 기능 발휘에는 지장이 없고 내구성 증진을 위해 일부 보수가 필요한 상태'를 의미함.
[6]
웹인용
국토안전관리원 "금정터널 안전등급 B"
http://www.safetimes[...]
2022-03-01
[7]
문서
경사터널은 폭 8.3m, 길이 909~1천488m에 이르는 '경사굴'로 터널 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흙더미를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파 놓은 것을 터널 개통후 소방차 진입로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북구 화명동과 연제구 거제동 두곳에 설치돼 있다.
[8]
문서
수직구는 비상 상황 발생시 구조 인력이 진입하거나 승객들이 빠져나가기 위한 비상 대피로 역할을 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금정구 청룡동과 부산진구 양정동, 부암동, 동구 범일동 등 모두 4곳에 설치돼 있다, 지면에서 터널에 이르는 거리는 경사면으로 29~65m에 달한다.
[9]
웹인용
국내 최장 20.3㎞ 터널에 소방차 진입로 2곳뿐
http://www.busan.com[...]
2022-03-01
[10]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11]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12]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13]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14]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