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도권 전철 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은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일부 구간의 개통으로 시작되어, 현재는 서울, 경기, 인천, 충남 지역을 잇는 광역 철도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으로 운영하며,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등을 포함한다. 완행, 급행, 특급 등 다양한 운행 계통이 있으며, 한국철도 1000호대 전동차, KORAIL 31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등 여러 종류의 차량이 운행된다. 향후 양주 회천지구 신설역, 탕정역, 서동탄역 연장 등의 계획이 있다.

2. 역사

wikitext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 서울역앞역, 경부선 서울역 - 수원역, 경인선 구로역 - 인천역, 경원선 청량리역 - 성북역(현 광운대역) 구간 등 총 38개 전철역이 개통되고 상호 노선 직결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와 함께 경인선 일반열차 운행은 중지되었다.[1] 같은 날, 서울~청량리(약 7.8km) 구간에 1호선 9개 역이 개통되어 성북역(현재 광운대역, 당시 종착역)에서 인천역수원역까지 국철 28개 역(지하철 9개 역 제외) 체계가 구축되었다.[1] 당시 한국철도공사(Korail)는 '''대한민국철도청'''으로 불렸으며, 1호선은 서울~청량리 구간만을 지칭하였다. 일본의 기술 지원과 철도 차량 도입으로 개통된 한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 개통 당시 차량은 일본에서 수입한 1000호대 전동차였으며, 한국국철(당시)은 126량, 서울지하철(당시)은 60량을 보유하고 6량 편성으로 운행했다. 배차 간격은 낮 시간대 시간당 3회(구로역 이남) 정도로 한산했다. 운행 계통은 경부선 전동차가 청량리역~수원역 구간, 경인선 계통이 성북역~인천역 구간을 운행했고, 지하철이 보유한 차량은 모두 청량리역 발착이었다.

1978년 12월 9일에는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간 4개 역이 개통되면서, 경원지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 운행이 시작되었다. 1979년 2월 1일에는 경부선 율전역(현 성균관대역)이 개통되었다.

1980년대에는 여러 역들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1980년 1월 5일 경원선 신이문역이, 4월 1일에는 경원선 서빙고역, 회기역, 한남역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7월 10일에는 성수역이 응봉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1년 12월 23일에는 경부선 영등포역 - 수원역복복선이 개통되었으며, 1982년 8월 2일에는 경부선 석수역이 개통되었다. 1982년 9월 25일에는 수원 - 서울 직통열차가 신설되었다. 1983년 6월 30일 시청앞역을 시청역으로 개칭하였다.

1984년 1월 1일에는 율전역이 성대앞역으로 개칭되었고, 5월 22일에는 경부선 신도림역이 개통되어 서울 지하철 2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11월 20일에는 경인선 백운역이 개통되었다.

1985년 1월 14일 경원선 석계역이 개통되었고, 1월 24일 서울역앞역을 서울역으로 개칭하였다. 8월 22일에는 경원선 성북 - 창동 구간이 개통되면서 경원선 창동역에서 서울 지하철 4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10월 18일에는 경원선 옥수역이 개통되어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1986년 9월 2일에는 경원선 창동역 - 의정부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1987년에는 10월 5일 경원선 의정부북부역(현 가능역)이, 12월 31일 경인선 중동역이 개통되었다.

1988년 1월 16일 경인선 온수역이 개통되었고, 10월 25일에는 경부선·안산선 금정역이 개통되어 안산선 직결 운행 계통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0년대에도 노선 확장과 역 개통은 계속되었다. 1991년 11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 - 구로역 간 3복선이 개통되고 영등포-주안 간 반복 열차가 투입되었다. 1994년 경부선 서울역 - 영등포역 간 3복선이 개통되면서, 영등포발 주안행에서 용산발 주안행으로 전환되었다. 같은 해 7월 11일에는 경인선 간석역, 도원역이, 12월 1일에는 성대앞역이 성균관대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5년 2월 16일에는 경인선 구일역이, 1996년 3월 28일에는 경인선 부개역이 개통되었다. 1996년 10월 11일에는 경원선 도봉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이 개시되었다. 1997년 4월 30일에는 경인선 소사역과 경부선 신길역이 개통되어 서울 지하철 5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1998년 1월 7일에는 경부선 독산역이 개통되었다. 1999년 1월 29일에는 경인선 구로역 - 부평역간 복복선이 개통되면서, 용산-주안 보통에서 용산-부평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이용객이 증가함에 따라 열차 운행 횟수가 증가하고 노선이 확장되면서 차량 수는 1000량을 넘어 10량 편성으로 증강되었다. 운행 계통도 의정부역~인천역 구간과 성북역~수원역 구간이 되었고, 지하철이 보유한 차량도 러시아워를 중심으로 청량리역에서 성북역까지 진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1980년대 초 서울 지하철 노선도 일부. 파란색은 한국철도공사(Korail) 관리 구간인 1호선, 빨간색은 서울메트로 관리 구간의 지하철 1호선을 나타낸다.

2. 1. 개통과 초기 발전 (1974년 ~ 1990년대)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 서울역앞역, 경부선 서울역 - 수원역, 경인선 구로역 - 인천역, 경원선 청량리역 - 성북역(현 광운대역) 구간 등 총 38개 전철역이 개통되고 상호 노선 직결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와 함께 경인선 일반열차 운행은 중지되었다.[1] 같은 날, 서울~청량리(약 7.8km) 구간에 1호선 9개 역이 개통되어 성북역(현재 광운대역, 당시 종착역)에서 인천역수원역까지 국철 28개 역(지하철 9개 역 제외) 체계가 구축되었다.[1] 당시 한국철도공사(Korail)는 '''대한민국철도청'''으로 불렸으며, 1호선은 서울~청량리 구간만을 지칭하였다. 일본의 기술 지원과 철도 차량 도입으로 개통된 한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 개통 당시 차량은 일본에서 수입한 1000호대 전동차였으며, 한국국철(당시)은 126량, 서울지하철(당시)은 60량을 보유하고 6량 편성으로 운행했다. 배차 간격은 낮 시간대 시간당 3회(구로역 이남) 정도로 한산했다. 운행 계통은 경부선 전동차가 청량리역~수원역 구간, 경인선 계통이 성북역~인천역 구간을 운행했고, 지하철이 보유한 차량은 모두 청량리역 발착이었다.

1978년 12월 9일에는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간 4개 역이 개통되면서, 경원지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 운행이 시작되었다. 1979년 2월 1일에는 경부선 율전역(현 성균관대역)이 개통되었다.

1980년대에는 여러 역들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1980년 1월 5일 경원선 신이문역이, 4월 1일에는 경원선 서빙고역, 회기역, 한남역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7월 10일에는 성수역이 응봉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1년 12월 23일에는 경부선 영등포역 - 수원역복복선이 개통되었으며, 1982년 8월 2일에는 경부선 석수역이 개통되었다. 1982년 9월 25일에는 수원 - 서울 직통열차가 신설되었다. 1983년 6월 30일 시청앞역을 시청역으로 개칭하였다.

1984년 1월 1일에는 율전역이 성대앞역으로 개칭되었고, 5월 22일에는 경부선 신도림역이 개통되어 서울 지하철 2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11월 20일에는 경인선 백운역이 개통되었다.

1985년 1월 14일 경원선 석계역이 개통되었고, 1월 24일 서울역앞역을 서울역으로 개칭하였다. 8월 22일에는 경원선 성북 - 창동 구간이 개통되면서 경원선 창동역에서 서울 지하철 4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10월 18일에는 경원선 옥수역이 개통되어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1986년 9월 2일에는 경원선 창동역 - 의정부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1987년에는 10월 5일 경원선 의정부북부역(현 가능역)이, 12월 31일 경인선 중동역이 개통되었다.

1988년 1월 16일 경인선 온수역이 개통되었고, 10월 25일에는 경부선·안산선 금정역이 개통되어 안산선 직결 운행 계통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0년대에도 노선 확장과 역 개통은 계속되었다. 1991년 11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 - 구로역 간 3복선이 개통되고 영등포-주안 간 반복 열차가 투입되었다. 1994년 경부선 서울역 - 영등포역 간 3복선이 개통되면서, 영등포발 주안행에서 용산발 주안행으로 전환되었다. 같은 해 7월 11일에는 경인선 간석역, 도원역이, 12월 1일에는 성대앞역이 성균관대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5년 2월 16일에는 경인선 구일역이, 1996년 3월 28일에는 경인선 부개역이 개통되었다. 1996년 10월 11일에는 경원선 도봉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이 개시되었다. 1997년 4월 30일에는 경인선 소사역과 경부선 신길역이 개통되어 서울 지하철 5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1998년 1월 7일에는 경부선 독산역이 개통되었다. 1999년 1월 29일에는 경인선 구로역 - 부평역간 복복선이 개통되면서, 용산-주안 보통에서 용산-부평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이용객이 증가함에 따라 열차 운행 횟수가 증가하고 노선이 확장되면서 차량 수는 1000량을 넘어 10량 편성으로 증강되었다. 운행 계통도 의정부역~인천역 구간과 성북역~수원역 구간이 되었고, 지하철이 보유한 차량도 러시아워를 중심으로 청량리역에서 성북역까지 진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2. 2. 확장과 통합 (2000년대 ~ 현재)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 서울역앞역 구간, 경부선 서울역 - 수원역 구간, 경인선 구로역 - 인천역 구간, 경원선 청량리역 - 성북역(현 광운대역) 구간 등 총 38개 전철역이 개통되면서 상호 노선 직결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1] 이는 일본의 기술 지원과 철도 차량 도입으로 이루어진 한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 개통이었다.[6] 당시 한국철도공사(Korail)는 대한민국철도청으로 불렸으며, 1호선은 서울~청량리 구간만을 지칭하였다. 개통 초기에는 1000호대 전동차가 사용되었으며, 배차 간격은 낮 시간대 시간당 3회(구로역 이남) 정도로 한산했다.

1978년 12월 9일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간 4개 역이 개통되면서, 경원지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 운행이 개시되었다. 이후 1980년대까지 여러 역들이 신설되었는데, 1979년 2월 1일 율전역(현 성균관대역),[1] 1980년 1월 5일 신이문역, 1980년 4월 1일 서빙고역, 회기역, 한남역, 1982년 8월 2일 석수역, 1984년 5월 22일 신도림역, 1984년 11월 20일 경인선 백운역, 1985년 1월 14일 경원선 석계역 등이 개통되었다.

1985년 8월 22일에는 경원선 성북 - 창동 구간이 개통되면서 서울 지하철 4호선과의 환승이 시작되었고, 1985년 10월 18일에는 옥수역이 개통되어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1986년 9월 2일에는 경원선 창동역 - 의정부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1989년 10월 25일에는 경부선·안산선 금정역이 개통되어 안산선 직결 운행 계통이 시작되었다. 1991년 11월 23일에는 경부선 영등포역 - 구로역 간 3복선이 개통되었고, 1994년에는 경부선 서울역 - 영등포역 간 3복선이 개통되면서 운행 계통에 변화가 있었다.

1996년 10월 11일에는 경원선 도봉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과의 환승이 시작되었고, 1997년 4월 30일에는 경부선 신길역이 개통되어 서울 지하철 5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1999년 1월 29일에는 경인선 구로역 - 부평역간 복복선이 개통되어 운행 효율성이 증대되었다.

2000년 5월 1일,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명칭 통합 정책에 따라 기존 국철 구간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안내 명칭이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변경되었다.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역 - 병점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 안산선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단일 운행 구간으로 독립되면서 안산-경부선 직결 노선 열차 운행이 폐지되었다. 2005년 1월 20일에는 경부선 병점역 - 천안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 2005년 12월 16일 경원선 용산역 - 회기역 구간이 1호선(국철)에서 분리되어 용산-덕소선(현 경의중앙선)이 되면서, 병점역 시종착 전동차가 성북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2006년 12월 15일, 경원선 의정부역 - 동두천역 복선 전철화 구간 및 동두천역 - 소요산역 단선 전철화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 용산 - 광명 간 KTX 광명 셔틀 운행이 개시되었다. 2008년 12월 15일에는 장항선 천안역 - 신창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2010년 1월 26일, 병점기지선 서동탄역이 연장 개통되었고, 2013년 11월 30일에는 수도권 전철 분당선 연장 개통으로 수원역에서 분당선(현 수인분당선) 환승이 가능해졌다. 2014년 8월 25일에는 영등포역 - 병점역 구간 급행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

2016년 2월 1일, 경인선 개봉역제물포역에 경인선 급행열차가 추가 정차하게 되었고, 2017년 7월 7일에는 경인선 특급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2019년 12월 30일에는 경부선 급행 개편으로 금정역과 성균관대역이 급행열차 정차역으로 추가되었다.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선 전 구간 개통으로 수원역수인·분당선 환승역으로 안내가 대체되었다. 2021년 10월 30일에는 장항선 탕정역이 개통되었고, 2023년 12월 16일에는 경원선 소요산역 - 연천역 전철화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9]

3. 운영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제외한 철도 노선들의 소유 기관은 대한민국 정부이며, 국가철도공단의 관리를 받아 운행 계통의 영업 및 운영 권한은 한국철도공사가 소유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도 일부 관리에 참여하나, 제약이 많이 수반된다. 그 예로 운영 계획 및 차량 시간표는 대부분 한국철도공사에서 수립·관리하며, 운행 차량 비율은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보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 10배 이상 많고, 또한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10] 보다는 한국철도공사의 소속 차량[11]의 운행 거리가 많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점유하고 있다.

열차의 운행 횟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는 약 96회,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는 약 454회이다.[12]

3. 1. 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여러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원선연천역에서 회기역까지, 서울 지하철 1호선청량리역에서 서울역까지, 경부선남영역에서 두정역 및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두정역까지 이어진다. 경인선구로역에서 인천역까지, 천안직결선은 두정역에서 천안역까지, 장항선은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 운행된다. 또한, 병점기지선은 병점역에서 서동탄역까지, 시흥연결선과 경부고속선은 금천구청역에서 광명역까지 이어진다.

지선으로는 연천, 동두천, 의정부 또는 양주에서 인천, 의정부(평일 오전 3회 운행), 광운대 또는 청량리에서 천안, 신창 또는 서동탄, 영등포에서 광명(셔틀) 구간이 있다.

급행 노선으로는 경원선 급행(GW, 동두천-인천), 경인선 급행(GI, 용산-동인천), 경인선 특급열차(GI LE, 용산-동인천), 경부선 급행 A(GB A, 청량리-천안/신창), 경부선 급행 B(GB B, 서울-천안/신창)가 있다. 급행열차는 한국철도공사 열차만 운행한다.

경원선의 경우 소요산역에서 광운대역까지 대부분의 역에 정차하며,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인 청량리역에서 서울역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경부선 구간에서는 서울역에서 구로역까지 일부 역에 정차하며, 경인선으로 분기되어 인천역까지 운행하는 열차와 경부선을 따라 천안역, 신창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로 나뉜다.

3. 2. 운행 계통

wikitext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운행 구간은 양주역 - 인천역 · 광운대역 - 서동탄역이다.[13]

소요산역에서 대기하는 전동차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금정역을 출발하는 전동차


1차분


2차분

  • 경부선·장항선 계통
  • * '''광운대역''' - (경원선·서울교통공사 1호선·경부선·병점기지선) - '''서동탄역'''
  • * '''광운대역''' - (경원선) - '''청량리역''' - (서울교통공사 1호선·경부선) - '''천안역''' - (장항선) - '''신창역'''
  • * 두 개의 계통이 번갈아 운행된다. 두 계통을 합쳐 러시아워에는 약 6분 간격, 낮에는 약 10분 간격이다.
  • * 천안역·신창역 방면 열차는 절반 정도가 천안역을 기종점으로 하며, 장항선 구간은 낮에는 4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3. 2. 1. 완행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운행 구간은 양주역 - 인천역 · 광운대역 - 서동탄역이다.[13]

  • 경부선·장항선 계통
  • * '''광운대역''' - (경원선·서울교통공사 1호선·경부선·병점기지선) - '''서동탄역'''
  • * '''광운대역''' - (경원선) - '''청량리역''' - (서울교통공사 1호선·경부선) - '''천안역''' - (장항선) - '''신창역'''
  • * 두 개의 계통이 번갈아 운행된다. 두 계통을 합쳐 러시아워에는 약 6분 간격, 낮에는 약 10분 간격이다.
  • * 천안역·신창역 방면 열차는 절반 정도가 천안역을 기종점으로 하며, 장항선 구간은 낮에는 4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3. 2. 2. 급행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은 크게 3개의 계통으로 나뉘며 모두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 · 운영한다.

천안역에서 출발하는 전동열차

  • '''경인선 급행'''


1999년 1월 29일 경인선이 부평역까지 복복선으로 준공되면서 용산-부평 간 급행이 운행을 시작했다.[14] 이후 주안역, 동인천역까지 복복선이 확충되면서 급행 운행 구간도 연장되었다. 소요 시간은 47분이며, 배차 간격은 5~25분이다.

2016년 2월 1일부터 개봉역, 제물포역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급행''' : 용산 - (각역 정차) - 구로 - 개봉 - 역곡 - 부천 - 송내 - 부평 - 동암 - 주안 - 제물포 - 동인천

2010년 9월 1일부터 평일 아침 시간대에 동인천역에서 출발하여 주안역, 부평역, 부천역 및 구로~노량진역만을 정차하여 용산역까지 2회 운행하는 경인선 급행A 전동차를 운행했으나,[15] 2012년 11월 1일에 폐지되었다.

2017년 7월 7일부터는 주안, 부평, 송내, 부천, 구로, 신도림, 노량진역만을 정차하여 동인천역과 용산역을 잇는 '''특급''' 급행이 신설되어 상·하행 각 9회 운행된다. 소요시간은 약 40분이다.[16]

2022년 6월 20일부터 특급 급행이 영등포역, 역곡역에 추가로 정차하면서 정차역이 11개로 늘어났다.

'''특급''' : 용산 - 노량진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역곡 - 부천 - 송내 - 부평 - 주안 - 동인천

2010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막차 시간에 경원선으로부터 직통 운행하는 인천 급행 열차를 동인천 급행 정차역에 맞추어 1회 운행하였다.

  • '''경부선 급행'''


용산 - 천안 급행을 모태로 하며, 2012년 11월부터 평일에 한하여 용산-병점 간 운행편성이 추가되었고,[17] 2016년 12월 9일부터 평일에 한하여 일부 열차가 신창역까지 연장되었다. 2019년 12월 30일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고 운행 횟수가 증가하였다.[18] 금정역과 성균관대역에 추가 정차하고, 일부 시간대에는 금천구청역과 의왕역에도 추가 정차한다.

  • 신창 - (각역 정차) - 천안 - 두정 - 성환 - 평택 - 서정리 - 오산 - 병점 - 수원 - 성균관대 - (의왕) - 금정 - 안양 - (금천구청) - 가산디지털단지 - (각역 정차) - 청량리


이 열차의 시초는 1982년 9월 25일부터 운행한 서울-수원 출퇴근 직통열차로, 서울역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는 중에 안양역에만 정차하였다. 개통 초창기에는 수원→서울 편도로 출근 시간 3회 운행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20일에 서울→수원 노선 또한 퇴근 시간 3회로 운행을 개시하였다.[19] 이후 시흥역, 군포역, 부곡역이 1999년에 여객열차 영업을 중단하면서 이 역들에 대신 직통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성균관대역에도 급행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2003년 11월 서울역 신축에 따라 1·4호선 승강장과 급행 승강장을 승차권 재구입 없이 오갈 수 있게 되었다.

평일 출근 시간대에 서울행 3회[20]와 신창행 1회, 평일 퇴근 시간대에 신창행 2회가 운행하며, 2010년 4월 1일부터 2011년 10월 4일까지 일요일 및 공휴일에도 운행을 확대한 이력이 있었다. 영등포역은 모든 상행 열차만 정차하며, 지상 서울역 2번 승강장과 천안역 8번 승강장에서 출발했다.

2019년 12월 30일에 용산-천안, 신창 급행이 청량리로 연장됨에 따라 서울역 착발 급행은 폐지되었으나, 이로 인한 불편이 제기되어 2020년 1월 8일 병점 출발 서울 행 2회가 임시로 운행을 시작하였고,[21] 같은 달 28일 천안 출발 서울 행으로 전환과 동시에 저녁 시간 서울 출발 천안 행이 1회 추가되었다.

2021년 7월 현재 천안 출발 서울 행 1회, 신창 출발 서울 행 1회, 서울 출발 천안 행 1회가 운행 중이다.

  • '''경원선 급행'''


인천역동두천역에서 발차하는 급행이다. 2018년 6월 29일까지 평일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되었으나 2018년 7월 2일부터 평일 운행 횟수가 10회 확대되었다. 급행 운행으로 단축되는 시간은 약 11분 정도이다.

2008년 12월 15일 시각표 개정 전까지는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모두 운행하였으며, 가능역에 임시정차하였고, 인천-가능 구간의 각 역에 정차하였다. 2018년 7월 2일부터 지행역에도 정차한다.

3. 3. 차량

수도권 전철 1호선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는 연천 - 인천, 광운대 - 신창, 광운대 - 서동탄 구간에서 10량으로 운행된다. 319000호대 전동차는 영등포 - 광명 셔틀 구간에서 4량으로 운행된다.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는 양주 - 인천, 광운대 - 서동탄 구간에서 10량으로 운행된다.

서울 지하철 1000호대 전기저항제어 전동차 (개조차량)


한국철도 1000호대 전동차는 1974년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여러 세대에 걸쳐 도입되었다. 1세대는 1974년부터 2004년까지 운행되었으며, 일부 제어차는 2014년까지 운행되었다. 2세대는 1986년부터 2017년까지, 일부 제어차는 2019년까지 운행되었다. 3세대는 1994년부터 2020년까지 운행되었다.

보존된 한국철도 1000호대 전동차 (1차분 차량)


KORAIL 311000호대는 1996년부터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행 중이며, 4세대에 걸쳐 도입되었다. 1세대는 1996년부터, 2세대는 2003년부터, 3세대는 2005년부터 도입되었다. 4세대인 KORAIL 312000호대는 2019년부터 도입되었다. KORAIL 319000호대는 광명셔틀용으로 2006년부터 도입되었다.

한국철도 1000호대 전동차는 10량 편성으로, 경부선에서는 일반적으로 서동탄역까지 운행하며, 광명셔틀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2015년부터 용산~동인천 간 급행에만 운행한다.

4. 역 목록

2000년까지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의 전신)가 운영하는 지하 7.8km 구간만이 1호선으로 불리고 지도상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었다. 반면,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나머지 구간은 서울의 한국철도로 불렸으며, 완행 서비스는 지도상에서 파란색 또는 회색으로 표시되었고, 급행 서비스는 얇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었다. 2000년 이후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으로부터 이어지는 모든 한국철도공사의 직결 운행 서비스와 이후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연장선 및 지선들은 지하 구간과 함께 1호선의 일부로 묶였고, 현재의 진한 파란색으로 변경 및 표준화되었다. 이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한 파란색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광역전철 1호선에서는 경부전철선과 경인선에서 복복선을 이용한 급행 운행을 하고 있다.

노선
번호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비고
한글로마자한자


100-3연천Yeoncheon漣川-0.0경기도연천군
100-2전곡Jeongok全谷8.78.7
100-1청산Cheongsan靑山3.312.0
100소요산Soyosan逍遙山5.817.8동두천시
101동두천Dongducheon東豆川2.420.2
102보산Bosan保山1.621.8
103동두천중앙Dongducheon Jungang東豆川中央1.423.2
104지행Jihaeng紙杏1.024.2
105덕정(서정대학교)Deokjeong(Seojeong Univ.)德亭(瑞靖大學校)5.629.8양주시
106덕계Deokgye德溪2.932.7
107양주(경동대)Yangju(Kyungdong Univ.)楊州(京東大)5.338.0
108녹양Nogyang綠楊1.639.6의정부시
109가능(을지대병원)Ganeung(Uijeongbu Eulji Medical Center, Eulji Univ.)佳陵1.340.9
110의정부Uijeongbu議政府1.242.1
111회룡Hoeryong回龍{{llang1.643.7
112망월사(신한대 제1캠퍼스)Mangwolsa(Shinhan Univ.)望月寺(信韓大 第1캠퍼스)1.445.1
113도봉산Dobongsan道峰山{{llang2.347.4서울특별시도봉구
114도봉Dobong道峰1.248.6
115방학(도봉구청)Banghak(Dobong-gu Office)放鶴(道峰區廳)1.349.9
116창동Chang-dong倉洞{{llang1.751.6
117녹천Nokcheon鹿川1.052.6
118월계Wolgye月溪1.454.0노원구
119광운대Kwangwoon Univ.光云大{{llang (평일 일부)1.155.1
120석계Seokgye石溪{{llang1.156.2
121신이문Sinimun新里門1.457.6동대문구
122외대앞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外大앞0.858.4
123회기Hoegi回基{{llang
{{llang (일부)
0.859.2





1

124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Cheongnyangni(University of Seoul)淸凉里(서울市立大入口){{llang{{llang (일부)
{{llang (일부)
경원선
중앙선
1.460.6
125제기동(한국건강관리협회)Jegi-dong(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祭基洞(韓國健康管理協會)1.061.6
126신설동Sinseol-dong新設洞{{llang (성수지선)
{{llang
0.962.5
127동묘앞Dongmyo東廟앞{{llang0.763.2종로구
128동대문Dongdaemun東大門{{llang0.663.8
129종로5가(삼양그룹)Jongno 5(o)-ga(Samyang Group)鍾路5街0.864.6
130종로3가Jongno 3(sam)-ga鍾路3街{{llang
{{llang
0.965.5
131종각Jonggak鐘閣0.866.3
132시청City Hall市廳{{llang1.067.3중구
133서울Seoul Station서울驛{{llang
{{llang
{{llang
경의선
1.168.4


134남영Namyeong南營1.770.1용산구
135용산Yongsan龍山{{llang1.571.6
136노량진Noryangjin鷺梁津{{llang2.674.2동작구
137대방Daebang大方{{llang1.575.7영등포구
138신길Singil新吉{{llang0.876.5
139영등포Yeongdeungpo永登浦1.077.5
140신도림Sindorim新道林{{llang1.579.0구로구
141구로Guro九老경인선
(광명행 서동탄행 신창행)
1.180.1


142구일(동양미래대학)Guil(Dongyang Mirae Univ.)九一(東洋未來大學)1.481.5
143개봉Gaebong開峰1.082.5
144오류동Oryu-dong梧柳洞1.383.8
145온수(성공회대입구)Onsu(Sungkonghoe Univ.)溫水(聖公會大入口){{llang1.985.7
146역곡(가톨릭대)Yeokgok(The Catholic Univ. of Korea)驛谷(가톨릭大)1.387.0경기도부천시
147소사(서울신대)Sosa(Seoul Theological Univ.)素砂(서울神大){{llang1.588.5
148부천(부천대)Bucheon(Bucheon Univ.)富川(富川大)1.189.6
149중동Jung-dong中洞1.791.3
150송내Songnae松內1.092.3
151부개Bugae富開1.293.5인천광역시부평구
152부평(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Bupyeong(The Catholic Univ. of Korea Incheon St. Mary's Hospital)富平(가톨릭大 仁川聖母病院){{llang1.595.0
153백운Baegun白雲1.796.7
154동암Dongam銅岩1.598.2
155간석Ganseok間石1.299.4남동구
156주안Juan朱安{{llang1.2100.6미추홀구
157도화Dohwa道禾1.0101.6
158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Jemulpo(Incheon National Univ. Jemulpo Campus)濟物浦(仁川大學校 濟物浦캠퍼스)1.0102.6
159도원Dowon桃源1.4104.0동구
160동인천Dongincheon東仁川1.2105.2중구
161인천Incheon仁川{{llang1.9107.1


4. 1. 경원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선(서울~구로) - 경인선 계통

노선
번호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비고
한글로마자한자


100-3연천Yeoncheon漣川-0.0경기도연천군
100-2전곡Jeongok全谷8.78.7
100-1청산Cheongsan靑山3.312.0
100소요산Soyosan逍遙山5.817.8동두천시
101동두천Dongducheon東豆川2.420.2
102보산Bosan保山1.621.8
103동두천중앙Dongducheon Jungang東豆川中央1.423.2
104지행Jihaeng紙杏1.024.2
105덕정(서정대학교)Deokjeong(Seojeong Univ.)德亭(瑞靖大學校)5.629.8양주시
106덕계Deokgye德溪2.932.7
107양주(경동대)Yangju(Kyungdong Univ.)楊州(京東大)5.338.0
108녹양Nogyang綠楊1.639.6의정부시
109가능(을지대병원)Ganeung(Uijeongbu Eulji Medical Center, Eulji Univ.)佳陵1.340.9
110의정부Uijeongbu議政府1.242.1
111회룡Hoeryong回龍{{llang1.643.7
112망월사(신한대 제1캠퍼스)Mangwolsa(Shinhan Univ.)望月寺(信韓大 第1캠퍼스)1.445.1
113도봉산Dobongsan道峰山{{llang2.347.4서울특별시도봉구
114도봉Dobong道峰1.248.6
115방학(도봉구청)Banghak(Dobong-gu Office)放鶴(道峰區廳)1.349.9
116창동Chang-dong倉洞{{llang1.751.6
117녹천Nokcheon鹿川1.052.6
118월계Wolgye月溪1.454.0노원구
119광운대Kwangwoon Univ.光云大{{llang (평일 일부)1.155.1
120석계Seokgye石溪{{llang1.156.2
121신이문Sinimun新里門1.457.6동대문구
122외대앞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外大앞0.858.4
123회기Hoegi回基{{llang
{{llang (일부)
0.859.2





1

124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Cheongnyangni(University of Seoul)淸凉里(서울市立大入口){{llang{{llang (일부)
{{llang (일부)
경원선
중앙선
1.460.6
125제기동(한국건강관리협회)Jegi-dong(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祭基洞(韓國健康管理協會)1.061.6
126신설동Sinseol-dong新設洞{{llang (성수지선)
{{llang
0.962.5
127동묘앞Dongmyo東廟앞{{llang0.763.2종로구
128동대문Dongdaemun東大門{{llang0.663.8
129종로5가(삼양그룹)Jongno 5(o)-ga(Samyang Group)鍾路5街0.864.6
130종로3가Jongno 3(sam)-ga鍾路3街{{llang
{{llang
0.965.5
131종각Jonggak鐘閣0.866.3
132시청City Hall市廳{{llang1.067.3중구
133서울Seoul Station서울驛{{llang
{{llang
{{llang
경의선
1.168.4


134남영Namyeong南營1.770.1용산구
135용산Yongsan龍山{{llang1.571.6
136노량진Noryangjin鷺梁津{{llang2.674.2동작구
137대방Daebang大方{{llang1.575.7영등포구
138신길Singil新吉{{llang0.876.5
139영등포Yeongdeungpo永登浦1.077.5
140신도림Sindorim新道林{{llang1.579.0구로구
141구로Guro九老경인선
(광명행 서동탄행 신창행)
1.180.1


142구일(동양미래대학)Guil(Dongyang Mirae Univ.)九一(東洋未來大學)1.481.5
143개봉Gaebong開峰1.082.5
144오류동Oryu-dong梧柳洞1.383.8
145온수(성공회대입구)Onsu(Sungkonghoe Univ.)溫水(聖公會大入口){{llang1.985.7
146역곡(가톨릭대)Yeokgok(The Catholic Univ. of Korea)驛谷(가톨릭大)1.387.0경기도부천시
147소사(서울신대)Sosa(Seoul Theological Univ.)素砂(서울神大){{llang1.588.5
148부천(부천대)Bucheon(Bucheon Univ.)富川(富川大)1.189.6
149중동Jung-dong中洞1.791.3
150송내Songnae松內1.092.3
151부개Bugae富開1.293.5인천광역시부평구
152부평(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Bupyeong(The Catholic Univ. of Korea Incheon St. Mary's Hospital)富平(가톨릭大 仁川聖母病院){{llang1.595.0
153백운Baegun白雲1.796.7
154동암Dongam銅岩1.598.2
155간석Ganseok間石1.299.4남동구
156주안Juan朱安{{llang1.2100.6미추홀구
157도화Dohwa道禾1.0101.6
158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Jemulpo(Incheon National Univ. Jemulpo Campus)濟物浦(仁川大學校 濟物浦캠퍼스)1.0102.6
159도원Dowon桃源1.4104.0동구
160동인천Dongincheon東仁川1.2105.2중구
161인천Incheon仁川{{llang1.9107.1



2000년까지 서울교통공사의 전신 중 하나인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지하 7.8km 구간만이 1호선으로 불리고 지도상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었다. 반면,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나머지 구간은 서울의 한국철도로 불렸으며, 완행 서비스는 지도상에서 파란색 또는 회색으로 표시되었고, 급행 서비스는 얇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었다. 2000년 이후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으로부터 이어지는 모든 한국철도공사의 직결 운행 서비스와 이후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연장선 및 지선들은 지하 구간과 함께 1호선의 일부로 묶였고, 현재의 진한 파란색으로 변경 및 표준화되었다. 이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한 파란색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지선:


  • 연천, 동두천, 의정부 또는 양주 — 인천
  • 의정부(평일 오전 3회 운행), 광운대 또는 청량리 — 천안, 신창 또는 서동탄
  • 영등포 — 광명(셔틀)

4. 2. 경부선(서울~두정) - 천안직결선 (두정~천안) - 장항선(천안~신창) 계통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부선(서울~두정)-천안직결선(두정~천안)-장항선(천안~신창) 계통은 서울역에서 신창역까지 운행하는 계통이다.

2000년까지는 서울특별시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 구간(7.8km)만이 1호선으로 불렸고,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나머지 구간은 서울의 한국철도로 불렸다. 2000년 이후,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으로부터 이어지는 모든 한국철도공사의 직결 운행 서비스와 연장선, 지선들은 1호선의 일부로 묶였고, 현재의 진한 파란색으로 표준화되었다. 이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한 파란색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노선
번호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비고
한글로마자한자
경부선141구로Guro九老 (인천행, 연천행)1.180.1서울특별시구로구








P142가산디지털단지
(마리오아울렛)
Gasan Digital Complex
(Mario Outlet)
加山디지털團地2.482.5금천구
P143독산Doksan禿山2.084.5
P144금천구청Geumcheon-gu Office衿川區廳 (광명행)1.285.7
P145석수Seoksu石水2.388.0경기도안양시
P146관악
(안양예술공원)
Gwanak
(Anyang Art Park)
冠岳(安養藝術公園)1.989.9
P147안양Anyang安養2.492.3
P148명학
(성결대)
Myeonghak
(Sungkyul Univ.)
鳴鶴(聖潔大)2.294.5
P149금정Geumjeong衿井1.495.9군포시
P150군포(지샘병원)Gunpo
(Gsam Hospital)
軍浦2.298.1
P151당정
(한세대)
Dangjeong
(Hansei Univ.)
堂井(韓世大)1.699.7
P152의왕
(한국교통대학교)
Uiwang
(Korea National Univ. Of Transportation)
義王(韓國交通大)2.6102.3의왕시
P153성균관대Sungkyunkwan Univ.成均館大2.9105.2수원시
P154화서
(스타필드수원)
Hwaseo
(Starfield SUWON)
華西2.6107.8
P155수원Suwon水原2.1109.9
P156세류Seryu細柳2.9112.8
P157병점Byeongjeom餠店 (서동탄행)4.3117.1화성시
P158세마Sema洗馬2.4120.5오산시
P159오산대Osan Univ.烏山大2.7122.2
P160오산Osan烏山2.7124.9
P161진위Jinwi振威4.0128.6평택시
P162송탄Songtan松炭3.8132.3
P163서정리
(국제대학)
Seojeongni
(Kookje Univ.)
西井里(國際大學)2.2134.5
P164평택지제
(한경국립대)
PyeongtaekJije
(Hankyong National Univ.)
平澤芝制(韓京國立大)수서평택고속선4.8139.7
P165평택Pyeongtaek平澤3.7143.4
P166성환Seonghwan成歡9.4152.8충청남도천안시




P167직산Jiksan稷山5.4158.2
P168두정Dujeong斗井3.8162.0
천안직결선
장항선
P169천안Cheonan天安경부선3.0165.0
P170봉명Bongmyeong鳳鳴1.5166.5
P171쌍용(나사렛대)Ssangyong
(Korea Nazarene Univ.)
雙龍(나사렛大)1.5168.0
P172아산(선문대)Asan
(Sunmoon Univ.)
牙山(鮮文大)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1.5169.5아산시
P173탕정Tangjeong湯井1.8171.3
P174배방Baebang排芳3.1174.4
P176온양온천Onyangoncheon溫陽溫泉장항선4.9179.3
P177신창(순천향대)Sinchang
(Soonchunhyang Univ.)
新昌(順天鄕大)장항선5.1184.0



4. 3. [[경부고속선]]

금천구청역과 광명역을 잇는 경부고속선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일부이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P144금천구청Geumcheon-gu Office衿川區廳 (신창행)1.285.7서울특별시금천구
P144-1광명Gwangmyeong光明경부고속선4.790.4경기도광명시



금천구청역에서 광명역까지는 4.7km 떨어져 있다.

4. 4. [[병점기지선]]

병점역경기도화성시에, 서동탄역오산시에 위치한다. 병점역에서 경부선 다른 노선과 연결된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P157병점Byeongjeom餠店1호선 (신창행)4.3117.7경기도화성시
P157-1서동탄Seodongtan西東灘2.2119.3오산시



5. 향후 계획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국가철도공단은 양주 회천지구 조성 사업으로 인한 경원선 역을 덕정역덕계역 사이에 신설하기로 하였다. 당초 2023년 착공, 2025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시기를 2년 단축하여 2021년 착공하여 2024년 개통할 예정이다.

충청남도 아산시2016년 8월 아산·배방역 중간 지점에 먼저 탕정역을 신설하기로 하고,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철도공사와 위·수탁협약에 서명했다. 2016년 연말까지 설계하고 2018년 10월에 착공하였고 탕정역은 2021년 10월 30일에 개통되었으며 풍기역은 추후 개통 예정으로 개통일자는 미정이다.

경기도 화성시는 현재 병점기지선 종착역인 서동탄역동탄신도시까지 연장을 하기 위해서 자체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는데 자체 조사 결과 경제성이 높다고 발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지하철건설현황 http://infra.seoul.g[...] Seoul City Government 2014-02-22
[2]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1-05-31
[3] 뉴스 Seoul's first subway line opened in 1974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11-02-13
[4] 뉴스 <오후여담>좌측통행 http://news.naver.co[...] Munhwailbo
[5] 웹사이트 20일부터 하루3회 서울驛(역)~水原(수원) 직통電鐵(전철)운행 https://newslibrary.[...]
[6] 뉴스 전철 1호선의 진격...경원선 동두천-연천까지 달린다 https://www.redaily.[...] Rail Economy News 2023-12-14
[7] 웹사이트 自動車がプカプカ…梅雨のような豪雨による水害に見舞われた仁川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22-08-08
[8] 웹사이트 # 기타 정보로 분류 청량리 ~ 신창 간 123.8 km와 소요산 ~ 인천 간 88 km
[9] 웹사이트 # 기타 정보로 분류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천 연장 구간은 전 구간 단선으로 건설되었고, 모든 역에서 교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10] 웹사이트 # 기타 정보로 분류 VVVF와 저항제어를 통틀어도 겨우 16개 편성에 불과하다.
[11] 문단
[12] 블로그 서울교통공사 운영 관리구간(도시철도 운영노선현황, 도시철도 운영주체별 운행횟수, 운영주체별 운행현황, 서울메트로,코레일,서울도시철도공사) http://blog.naver.co[...]
[13] 문단
[14] 뉴스 (경인선 전철) 구로~부평 다니기 편해진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9-01-21
[15] 웹사이트 동인천~용산까지 41분만에 'OK'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0-08-26
[16] 웹사이트 경인선·경의선·수인선·안산선 광역 급행 열차 확대 운영 http://www.molit.go.[...]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철도운영과 2017-06-29
[17] 문단
[18] 웹사이트 1호선 전동열차 운행시각 및 경부급행 전동열차 운행변경 안내 http://www.letskorai[...] 2019-12-21
[19] 뉴스 20일부터 하루3회 서울역~수원 직통전철운행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10-14
[20] 문단
[21] 뉴스 http://www.newsis.co[...]
[22] 웹사이트 지하철 노선색깔은 어떻게 지정하였습니까 http://www.seoulmetr[...]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2017-03-12
[23] 본문
[24] 본문
[25] 뉴스 코레일, 경인선 인천행 야간 급행전동열차 막차 신설 http://news.korail.c[...] 한국철도공사 2010-10-29
[26] 뉴스인용 수도권 출퇴근 시간 전철 증편, 병점~영등포 급행 신설 http://news.donga.co[...] 동아닷컴 2014-08-22
[27] Youtube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영등포(급행) https://www.youtub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