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산시는 신라 시대 삽량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6년 도농복합 형태의 시로 승격되었다.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부산, 울산과 인접하여 부산권 및 울산권 생활권에 포함된다. 지리적으로는 산지가 많고, 남쪽으로는 금정산, 동쪽으로는 천성산이 위치해 있다. 주요 산업은 원예 농업과 공업이며, 특산물로는 선옥죽차, 딸기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영산대학교 등이 있으며, 교통은 경부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속도로, 시내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통도사, 내원사 계곡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산시의 행정 구역 - 물금읍
    물금읍은 양산시에 위치한 읍으로, 신라 시대 황산진, 조선 시대 양산군 서면을 거쳐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2000년대 중반 이후 인구 급증과 함께 물금역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지나는 교통 요지이다.
  • 양산시의 행정 구역 - 웅상
    웅상은 경상남도 양산시 동부에 위치하며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의 4개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과거 울산에 속했으나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부산, 울산과 생활권을 공유하여 행정 구역 개편 논의가 제기되는 지역이다.
  • 양산시 - 웅상도서관
    2011년 1월 28일 개관한 웅상도서관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으로, 자료실, 디지털자료실, 열람실 등의 시설과 문화 강좌, 평생 학습 프로그램, 독서 토론 행사 등을 운영하며 매주 월요일과 법정 공휴일에 휴관한다.
  • 양산시 - 중앙도서관 (양산시)
    2011년 개관한 양산시 중앙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18만 권 이상의 도서와 다양한 비도서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자료실과 열람실을 운영하여 시민들에게 열람 및 학습 공간을 제공하는 시립 도서관이다.
  • 경상남도의 도시 - 진주시
    진주시는 경상남도 서부 내륙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농복합시로, 진주성 전투, 진주유등축제 등 문화 관광 자원과 진주실크, 진주비빔밥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며,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 경상남도의 도시 - 거제시
    거제시는 경상남도 남쪽 해안에 위치한 도농복합시로, 고대부터 해상 교통 요충지이자 왜구 방어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의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1970년대 이후 조선업 발전과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성장해왔고, 김영삼, 문재인 전 대통령을 배출한 곳이다.
양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 위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양산시
고유 명칭양산시
한글 표기양산시
한자 표기梁山市
로마자 표기Yangsan-si
맥큔-라이샤워 표기Yangsan-si
위치대한민국 경상남도
지역영남
면적484.52 km²
인구358,074 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582.79 명/km²
행정 구역1 읍, 4 면, 7 동
방언경상 방언
시목이팝나무
시화목련
시조양산시의 새
상징
양산시 휘장
양산시 휘장
양산시 기
양산시 기
행정
단체장나동연 (국민의힘)
국회의원양산시 갑: 윤영석 (국민의힘)
국회의원양산시 을: 김태호 (국민의힘)
시청 소재지양산시 중앙로 39 (남부동 505)
시청 제2청사양산시 북안남2길 36 (북부동 481)
웅상출장소양산시 진등길 40 주진동 72-2
기타
전화 지역번호055
홈페이지양산시청 홈페이지

2. 역사

665년 (신라 문무왕 5년) 상주와 하주의 땅을 분할하여 '''삽량주'''(歃良州)를 설치하였다.[24]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양주'''(良州)로 개칭하였고, 940년 (고려 태조 23년) '''양주'''(梁州)로 다시 바꾸었다. 1304년 (고려 충렬왕 30년) 원나라의 간섭으로 밀성군에 편입되었다가 복구되었다.

1405년 (조선 태종 5년) 동평현이 다시 동래의 속현이 되었고, 1413년 (조선 태종 13년) '''양산군'''(梁山郡)으로 개칭하였다. 1897년 (조선 고종 34년) 행정구역을 9면으로 개편하였다.

1906년 좌이면동래군에, 대상면과 대하면김해군에 편입하고, 울산군으로부터 외남면, 웅상면을 편입하였다. 1912년 외남면을 울산군에 환원하였고, 1914년 중북면을 상북면에 합면하였다. 1936년 4월 1일 상서면을 물금면으로, 하서면을 원동면으로 개칭하였다.[26]

1973년 7월 1일 동래군이 폐지되면서 기장면, 일광면, 장안면, 정관면, 철마면, 서생면이 편입되었다.[27] 1979년 5월 1일 양산면이 양산읍으로 승격하였고,[28] 1980년 12월 1일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하였다.[29] 1983년 2월 15일 서생면을 울주군에 환원하였고,[30] 1985년 10월 1일 장안면이 장안읍으로 승격하였다.[31] 1986년 11월 1일 동부출장소를 설치하였고,[32] 1991년 11월 20일 웅상면이 웅상읍으로 승격하였다.[33]

1995년 3월 1일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을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편입하였다.[34] 1996년 3월 1일 양산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양산시'''(梁山市)가 설치되었고,[35][36] 물금면이 물금읍으로 승격하였다. 양산읍은 중앙동, 삼성동, 강서동으로 분동되었다.

2007년 4월 1일 웅상읍을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으로 분동하고 웅상출장소를 설치하였다. 2008년 1월 10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3단계 연장구간(호포 - 양산)이 개통되었다. 2010년 2월 1일 중앙동을 중앙동과 양주동으로 분동하였다. 2015년 11월 20일 양산시의 인구가 30만 명을 넘었고, 2019년 11월 27일에는 35만 명을 넘었다.

2. 1. 고대

신라 시대에는 삽량주(歃良州), 통일신라 시대에는 양주(良州)라 불렸다. 일본서기의 삼한정벌 기사에 나오는 “초라성(草羅城)”이 있던 곳이다. 당시 관할 지역은 현재 부산에서 경주, 포항, 대구에 이르는 일대였다. 고려 시대에 양주(梁州)로 개칭되었다.[2]

2. 2. 조선 시대

1403년(태종 13년) '''양산군(梁山郡)'''으로 개칭되었다.[7]

2. 3. 일제강점기

1906년 울주군으로부터 외남면, 웅상면을 이관받았다.[7] 1912년 4월 1일 외남면을 울산군으로 환원하였다.[7] 1914년 4월 1일 군면 폐합으로 부산부 좌이면, 북면의 각 일부, 울주군 삼동면의 일부를 편입하여 양산군에 양산면, 동면, 상서면, 하서면, 상북면, 하북면, 웅상면을 설치하였다. 1936년 4월 1일 상서면이 물금면으로, 하서면이 원동면으로 개칭되었다.[8]

2. 4. 대한민국


  • 신라 시대에는 삽량주(歃良州), 통일신라 시대에는 양주(良州)라 불렸다. 일본서기의 삼한정벌 기사에 나오는 “초라성(草羅城)”이 있던 곳이다. 당시 관할 지역은 현재 부산에서 경주, 포항, 대구에 이르는 일대였다.
  • 고려 시대에 양주(梁州)로 개칭되었다.
  • 1403년(이씨조선태종 13년) - '''양산군(梁山郡)'''으로 개칭되었다.
  • 1896년 - 경상남도 소속이 되었다.
  • 1897년(고종 34년) - 면의 개편으로 양산군에 다음과 같은 면이 설치되었다.(9면)

양산면동면상서면하서면상북면하북면좌이면다상면다하면


양산면동면상서면하서면상북면하북면웅상면

3. 지리

2016number년 현재 인구는 약 30만 명이며, 매년 7000~10000명 정도 증가하고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양산시는 전체적으로 이 대부분이다. 시가지를 중심으로 남쪽으로는 금정산이 있으며 동쪽으로는 천성산자락이 있고, 북서쪽으로는 신불산, 영축산이 있다. 특히 양산은 대체적으로 남쪽북쪽으로 도로가 발달되어 있고, 서쪽동쪽으로는 도로가 취약하다. 그로 인해 천성산을 기준으로 서쪽의 양산, 물금은 부산광역시와 생활권이 이어져 있다. 동쪽의 웅상지역은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와 생활권이 이어져 있다.

웅상의 경우, 천성산으로 가로막혀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를 경유하지 않으면 양산 도심은 물론 양산시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없는 실질월경지이다. 부산광역시에서 북쪽으로 약 25km, 울산광역시에서 남서쪽으로 35km 떨어져 두 광역시의 권역 내에 위치해 있다.

시 중앙 북부에는 한국 100대 명산 중 하나인 천성산이 있으며, 산지가 시 남단 근처까지 종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역은 이들에 의해 동서로 크게 나뉜다. 서쪽에는 경부고속도로가, 동쪽에는 국도 7호선이 종단하고 있다.

3. 2. 기후

남부 지방에 위치하여 대체로 온난하나 산악지대이기 때문에 기온의 교차는 비교적 크고 해안지역은 온난하다. 연평균 기온은 15.1°C 정도다. 강우량은 소백산맥 동쪽 기슭에 해당하는 북동기류의 영향을 많이 받아 비교적 많은 편이며 적설량은 적은 편이다. 첫 서리는 10월 말에서 11월 초 사이에 내리고 눈은 12월 하순경에 내리나 다른 지방에 비해서 눈 오는 날이 극히 적으며 연간 5일에 불과하다.

양산은 매우 더운 여름과 차가운 겨울을 가진 온난 습윤 기후(쾨펜: ''Cwa'')를 가지고 있다.

최고 기온 기록 (℃)평균 최고 기온 (℃)평균 기온 (℃)평균 최저 기온 (℃)최저 기온 기록 (℃)강수량 (mm)강수일 (0.1 mm)습도 (%)일조시간
1월19.3°C7.7°C2.3°C-2.4°C-11.7°C27mm4.848.7203.9
2월21.4°C9.9°C4.6°C-0.4°C-10.9°C54.6mm6.252.9178.9
3월24.3°C14.7°C8.9°C3.6°C-4.6°C83.1mm8.456.7209.7
4월28.9°C19.5°C13.7°C8.3°C0.6°C126.8mm9.959.0206.4
5월34.9°C25.1°C19.1°C13.8°C5.8°C110.2mm8.362.2228.8
6월36.5°C27.8°C22.7°C18.5°C11.9°C147.7mm9.468.9174.3
7월38.6°C30.4°C26.1°C22.9°C16.6°C313.3mm14.477.0160.7
8월39.3°C32.1°C27.4°C24°C16.5°C214.6mm12.874.0181.3
9월35.3°C27.5°C22.6°C18.7°C10.1°C207.8mm10.172.5158.2
10월31.1°C22.8°C17°C12.3°C2.3°C112.4mm5.866.9198.9
11월25.3°C16.6°C10.7°C5.5°C-2.3°C52.2mm6.261.9181.7
12월19.3°C9.4°C4°C-0.8°C-8.5°C33.6mm4.852.8193.6
39.1°C20.3°C14.9°C10.3°C-11.7°C1483.3mm62.82276.4

[3][4]

4. 행정 구역

양산시는 1, 4, 8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84.55km2이고, 2020년 1월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351,168 명, 세대수는 145,712 가구이다.[37]

행정구역한자면적인구세대법정동·리
물금읍勿禁邑19.61km2118,70445,525물금리, 증산리, 가촌리, 범어리
동면東面56.33km235,36414,152개곡리, 법기리, 여락리, 사송리, 내송리, 석산리, 금산리, 가산리
원동면院東面148.02km23,4312,019원리, 용당리, 내포리, 영포리, 대리, 선리, 서룡리, 화제리
상북면上北面68.72km213,2686,330석계리, 대석리, 소토리, 소석리, 상삼리, 좌삼리, 내석리, 외석리, 신전리
하북면下北面68.6km28,5924,279순지리, 지산리, 초산리, 답곡리, 삼수리, 백록리, 삼감리, 용연리
중앙동中央洞13.78km211,2116,287다방동, 남부동 (일부), 중부동 (일부), 북부동, 명곡동
양주동梁州洞1.87km234,25412,733남부동 (일부), 중부동 (일부)
삼성동三城洞15.98km222,46910,294신기동, 북정동, 산막동, 호계동
강서동江西洞29.78km29,2493,845교동, 유산동, 어곡동
서창동西倉洞22km229,1079,133용당동, 삼호동, 명동
소주동召周洞18.41km220,2079,133주남동, 소주동, 주진동
평산동平山洞10.74km231,16912,725평산동
덕계동德溪洞13.37km214,1465,829덕계동, 매곡동
양산시梁山市487.21km2351,168145,7121읍 4면 8동 (37법정리, 23법정동)



양산시 행정구역도

4. 1. 부산권·울산권

2014년 국토교통부에서 확정한 20개 중추도시생활권에서 부산광역시, 김해시, 울주군과 함께 '''부산권'''으로, 울산광역시, 경주시, 밀양시와 함께 '''울산권'''으로 중복 포함되었다. 이는 경상남도 측은 양산시의 자율적인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부울경 지역 특수성에 입각해 생활권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38]

부산광역시에서 북쪽으로 약 25km, 울산광역시에서 남서쪽으로 약 35km 떨어져 있어 두 광역시의 권역 내에 위치해 있다.

4. 2. 양산신도시

양산신도시 1단계 구역


양산신도시는 남부권 최대의 신도시로 정식 명칭은 '''양산물금 택지개발지구'''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부산권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양산물금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하여 조성되었으며,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조성 사업과 부산도시철도 1, 2호선 연장 사업도 함께 진행되었다. 이는 도시 광역화에 따른 생활 행정 실현, 국토 건설 종합 계획 구현, 지역 균형 개발 촉진을 위한 것이었다.

1994년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된 후 1994년 12월부터 2015년 말까지 사업이 진행되었다. 면적은 10683000m2이며 수용인구는 152,126명이다. 당초 2000년 12월 말 완료 예정이었으나, 2003년, 2004년, 2010년, 2014년, 2015년으로 총 5차례 연기되면서 사업 지연에 따른 기반 시설 노후화 등으로 시민들의 불편이 있었다.[39] 2014년 12월 기준, 인근 지역 전입 수요 증가, 기반 시설 완공, 아파트 건설 붐 등으로 택지 분양률이 99%에 달해 건설 막바지에 이르렀다.[40][41]

5. 인구

연도총인구
1967년58,105명
1970년58,564명
1975년127,432명
1980년143,036명
1985년142,475명
1990년159,848명
1995년161,953명
2000년194,442명
2005년224,943명
2010년260,239명
2015년301,291명
2018년347,227명
2019년350,759명

[42]

부산광역시에서 북쪽으로 25km, 울산광역시에서 남서쪽으로 35km 떨어져 두 광역시의 권역 내에 위치해 있다. 2016년 현재 인구는 약 30만 명이며, 매년 7,000~10,000명 정도 증가하고 있다.

6. 정치

현재 시장은 제9대 나동연(국민의힘)이다. 나동연 현 양산시장과 전직 김일권 시장을 제외한 이전의 민선 양산시장들은 모두 비리 사건과 연루되어 불명예 퇴진 혹은 중도 하차한 바 있다.[43]

현재 양산시를 일원으로 하는 지역구의 국회의원은 갑 선거구 윤영석(새누리당→자유한국당, 20대 국회의원), 선거구 서형수(더불어민주당, 20대 국회의원)이다.

1948년 제헌 국회 총선에서 양산군을 일원으로 하는 단일 지역구로 시작하였다. 1963년 6대 총선에서 동래군과 함께 지역구로 묶였으나, 1973년부터는 김해군과 함께 묶였다. 1988년 13대 총선에서 소선거구제로 재개편되면서 현재까지 단일 지역구를 유지해오고 있다. 2014년 10월 30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가 국회의원 선거구의 인구편차가 2:1을 초과하면 위헌이라고 판결하면서, 2016년에 열린 20대 총선에서 양산시의 인구가 인구 상한선을 초과함에 따라 선거구가 갑, 을 2개로 분할되었다.[44]

양산시의회의 의원 정수는 총 19명으로 지역구 17명, 비례대표 2명이다.

제8대 양산시의회 정당별 의석수
합계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
합계19118
지역구17107
비례대표211


7. 경제

부산에 근접하고 기후가 온화하여 포도, 수박, 참외 등의 원예 농업이 발달하였다. 경부고속도로 개통 이후 경제작물 재배, 낙농단지 및 포도단지 조성 등 다각적 영농으로 전환되고 있다. 고령토, 납석, 철광 등의 지하 자원이 있다.[4]

유산동, 어곡동, 산막동 일대에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많은 공장들이 입주해 운영 중이며, 이에 따라 공업도 주요 산업이 되었다.

7. 1. 산업

기후가 온화하고 대소비지인 부산에 가까워 원예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포도·수박·참외 및 채소와 과수를 재배한다. 특히 경부고속도로 개통으로 경제작물 재배, 낙농단지, 포도단지 조성 등 다각적 영농으로 전환하고 있다. 지하 자원으로는 고령토·납석·철광 등이 있다.

특산물로는 선옥죽차, 박공예, 도자기, 양산박, 방울토마토, 오경계란, 원동딸기, 원동매실, 상북당근, 물금감자, 버섯(느타리, 팽이), 화제청결미 등이 유명하다.

또한 유산동, 어곡동, 산막동 일대에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어 현재 많은 공장들이 입주해 운영 중이며, 이에 따라 공업도 양산시의 주요 산업이 되었다.

7. 2. 특산물

부산에 근접하고 기후가 온화하여 원예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포도, 수박, 참외, 채소, 과수 재배가 활발하다. 경부고속도로 개통 이후에는 경제작물 재배, 낙농단지 및 포도단지 조성 등 다각적 영농으로 전환되고 있다.[4]

양산시의 특산물은 다음과 같다:

  • 선옥죽차
  • 박공예
  • 도자기
  • 양산박
  • 방울토마토
  • 오경계란
  • 원동딸기
  • 원동매실
  • 상북당근
  • 물금감자
  • 버섯 (느타리, 팽이)
  • 화제청결미[4]

8. 교육



양산시립도서관, 양산시립웅상도서관, 양산도서관이 있다.

9. 교통

양산시는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경부선 철도가 지나가며, 물금역원동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호포역, 증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남양산역, 양산역을 통해 부산과 연결된다.

경부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지선이 양산시를 지나가며, 국도 제7호선, 국도 제35호선 등 주요 국도와 지방도가 도시 곳곳을 연결한다.

양산시외버스터미널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여러 도시로 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양산시의 시내버스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등 인접 지역까지 운행하여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9. 1. 도로

경부고속도로가 양산시의 남북을 관통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중앙고속도로지선이 위치해 있다.



국도 제35호선이 시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북구에서 동면을 거쳐 부산광역시 기장군, 웅상출장소를 지나 울산광역시 울주군으로 이어진다.

그 외에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지방도 제1022호선, 지방도 제1028호선, 지방도 제1051호선, 지방도 제1077호선이 양산시를 지난다.

9. 2. 철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역


양산에는 경부선물금역원동역 두 개의 역이 있다. 가장 가까운 KTX 역은 울산역(울산광역시)과 구포역 (부산광역시)이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현재 양산시에 5개 역(양산역, 남양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증산역, 호포역)을 운영 중이다. 양산 도시철도와 연결될 추가 역사가 현재 건설 중이며, 2024년 개통 예정이다.

9. 3. 버스

양산시내버스 2300번


양산시는 시내버스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시내뿐만 아니라 부산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과 울산, 창원, 경주 등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도 있다.

  • 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에 있으며 '''신평시외버스터미널''', '''통도사시외버스정류소'''라고도 불린다. 시외버스로 운행되는 노선은 부산종합터미널행만 있지만, 울산역·태화강역 방면으로 가는 시내버스[21]도 운행한다.

  • 용당정류소·서창정류소·덕계정류소: 각각 용당동, 삼호동, 덕계동에 있으며, 울산~부산, 방어진~부산 등의 노선이 중간 정차한다.

10. 관광


: 영축산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로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은 국보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 선덕여왕 재위 중인 64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해인사, 송광사와 함께 삼보사찰로 꼽히는 큰 절이다. 통도사는 자장이 당나라에서 가져온 석가모니사리와 가사를 봉안하여 불보 사찰이라 불린다. 2018년 6월 30일 기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1]

통도사


통도사


통도사


통도사

: 보물 제1120호. 양산시 원동면 영포리 268번지에 있다. 축조연대가 정확하지는 않으나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건축구조로 보아 고려 말의 건축물로 추정되는데 특히 내부의 벽화가 우수하다. 건물의 좌우 측면벽의 내외부와 전후 포벽의 내외부에는 불상, 신장상, 꽃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대부분 17세기 중엽에 그려진 것이며, 일부는 18세기에 다시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2] 팔작지붕의 익공식 집으로 정면, 측면 2칸의 나무로 된 기와집이다.[2]

  • 통도사 (Tongdosa Temple)
  • 내원사 (Naewon Temple)
  • 양산타워 (Yangsan Tower)
  • 양산체육관 (Yangsan Stadium)
  • 에덴밸리 리조트 (Eden Valley Ski Resort)
  • 홍룡폭포 (Hongryong Falls)
  • 양산 원동 매화축제 (Yangsan Wondong Plum Blossom Festival)

11. 자매 도시

12. 출신 인물


  • 윈터 (본명: 김민정), aespa 멤버
  • 강혜원, 아이즈원 멤버
  • 아이브 (본명: 하수영), 러블리즈 멤버
  • 베이 (본명: 배진솔), 엔믹스 멤버
  • 하민우, 제국의 아이들 멤버
  • 엑시 (본명: 추소정), 우주소녀 멤버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Yangsan City's main homepage https://www.yangsan.[...] 2021-05-01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4]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Yangsan City Website: Sister Cities https://web.archive.[...] 2009-07-09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35호 "경상남도 내 군의 관할구역 중 변경" 1912-03-22
[8] 법률 慶尚南道令第2号 1936-03-03
[9] 법률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10]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1]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12]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13] 법률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14] 법률 양산군 조례 제980호
[15] 법률 양산군 조례 제1288호
[16] 법률 법률 제4802호
[17] 법률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18] 뉴스 양산시 나이를 아시나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6-03-03
[19] 법률 양산시 조례 제108호
[20] 법률 양산시 조례 제571호
[21] 기타
[22] 기타
[23] 웹인용 양산시청 홈페이지의 양산시 일반현황 https://web.archive.[...] 2009-12-06
[24] 기타
[2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35호 "경상남도 내 군의 관할구역 중 변경" 1912-03-22
[26] 법률 경상남도령 제2호 1936-03-03
[27] 법률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28]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9]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30]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31] 법률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32] 법률 양산군 조례 제980호
[33] 법률 양산군 조례 제1288호
[34] 법률 법률 제4802호
[35] 법률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36] 뉴스 양산시 나이를 아시나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6-03-03
[3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019-01-05
[38] 뉴스 양산, 경남아닌 울산·부산과 한묶음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14-02-05
[39] 뉴스 양산신도시 조기 완공 촉구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0-02-22
[40] 뉴스 양산신도시 20년 만에 마무리 단계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4-09-26
[41] 뉴스 양산 유입 인구 꾸준히 늘어 '아파트 건설 붐'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4-12-01
[42] 웹사이트 양산시통계홈페이지
[43] 뉴스 역대 민선 양산시장 수난…3명 재임 중 비리사건 연루 https://news.naver.c[...] MBN 2009-11-27
[44] 뉴스 경남 국회의원 선거구 어떻게 조정될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10-31
[45]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46] 웹사이트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 평산고가 (경부고속) https://www.kalis.or[...]
[47] 웹사이트 지자체별 현황 https://www.gaok.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