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니 (지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니는 서아프리카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어원은 불확실하나 포르투갈어 'Guiné'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15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유럽인들은 이 지역을 금, 상아, 노예 무역의 중심지로 인식했다. 기니는 지리적으로 상부 기니와 하부 기니로 구분되며, 오늘날의 베냉, 코트디부아르, 가나, 기니, 라이베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토고, 나이지리아 등의 국가가 포함된다. 1478년 기니 해전은 유럽 열강 간의 식민지 경쟁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이 지역은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를 받다가 탈식민지화 과정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지명 - 니그리티아
  • 아프리카의 지명 - 아자니아
    아자니아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사용된 이름으로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을 가리키는 데 쓰였으며, 이후 아랍어 잔지와 연관되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나 소말리아 내 지역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 분단된 지역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분단된 지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기니 (지역)
지도
일반 정보
위치서아프리카
주요 국가기니
기니비사우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
감비아
세네갈
말리
부르키나파소
라이베리아
가나
지리
주요 강니제르 강
세네갈 강
감비아 강

2. 어원

"기니"라는 명칭의 어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영어 단어 "Guinea"는 스페인어 "Guinea"를 거쳐 포르투갈어 단어 'Guiné'에서 파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르투갈어 'Guiné'는 15세기 중반 기네우스가 거주하는 땅을 지칭하기 위해 등장했는데, 이는 포르투갈인들이 세네갈강 남쪽에 사는 "검은" 아프리카인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였다(그들이 'Azenegues'라고 부르는 강 북쪽의 "황갈색" 사나자 베르베르인과 대조적으로).[1] 포르투갈 국왕 주앙 2세는 1481년부터 'Senhor da Guiné'(기니의 영주)라는 칭호를 사용했다.[2][3][4]

이와 관련하여, 포르투갈인들이 베르베르어 용어 'Ghinawen'' (때로는 아랍어화되어 'Guinauha' 또는 'Genewah')을 빌려온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불탄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어의 ''Aithiops'', "불탄 얼굴을 가진 자"와 유사하다).[5] 베르베르어 용어 "aginaw"와 "Akal n-Iguinawen"[6]은 각각 "검은"과 "흑인의 땅"을 의미한다.

1526년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기니"가 상부 니제르강에 위치한 중요한 내륙 상업 도시 제네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다.[7] 제네는 11세기 (가나 멸망)부터 13세기 (말리 침략)까지 서아프리카 전역의 금과 소금 무역을 지배했다.

가나 제국은 이미 11세기 아랍 지리학자에 의해 언급되었지만, 아랍 자료에서는 ''Genewah''와는 별도로 사용되었다.[10] 반대로, 가나와 제네 자체가 그곳에 살았던 흑인에 대한 베르베르식 지칭에서 도시 이름을 유래했을 가능성이 남아 있다. 베르베르어 ''Ghinawen''(흑인)이 ''Djenné''(도시)의 근원이었고, 이것이 아랍어 ''Genewah''(해당 도시가 지배하는 땅)를 낳았으며, 마침내 포르투갈어 ''Guiné''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11]

2. 1. 포르투갈어 유래설

"기니"라는 영어 단어는 스페인어 'Guinea'에서 직접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포르투갈어 단어 'Guiné'에서 파생되었다. 포르투갈어 용어는 15세기 중반에 기네우스가 거주하는 땅을 지칭하기 위해 등장했는데, 이는 포르투갈인들이 세네갈강 남쪽에 사는 "검은" 아프리카인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였다(그들이 'Azenegues'라고 부르는 강 북쪽의 "황갈색" 사나자 베르베르인과 대조적으로). "기니"라는 용어는 1453년 고메스 에아네스 드 주라라의 연대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1] 포르투갈 국왕 주앙 2세는 1481년부터 'Senhor da Guiné' (기니의 영주)라는 칭호를 사용했다.[2][3][4]

포르투갈인들은 베르베르어 용어 'Ghinawen'' (때로는 아랍어화되어 غِنَاوَة 'Guinauha' 또는 'Genewah')을 빌려온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불탄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어의 ''Aithiops'', "불탄 얼굴을 가진 자"와 유사하다).[5] 베르베르어 용어 "aginaw"와 "Akal n-Iguinawen"[6]은 각각 "검은"과 "흑인의 땅"을 의미한다.

2. 2. 제네 유래설

"기니"라는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영어 단어 "Guinea"는 스페인어 "Guinea"에서 직접 유래되었고, 이는 다시 포르투갈어 "Guiné"에서 파생되었다. 포르투갈어 용어는 15세기 중반에 기네우스가 거주하는 땅을 지칭하기 위해 등장했는데, 이는 포르투갈인들이 세네갈강 남쪽에 사는 "검은" 아프리카인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였다. 1453년 고메스 에아네스 드 주라라의 연대기에서 "기니"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1] 포르투갈 국왕 주앙 2세는 1481년부터 ''Senhor da Guiné'' (기니의 영주)라는 칭호를 사용했다.[2][3][4]

포르투갈인들은 베르베르어 용어 ''Ghinawen'' (때로는 아랍어화되어 ''Guinauha'' 또는 ''Genewah'')을 빌려온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불탄 사람들"을 의미한다.[5] 베르베르어 "aginaw"와 Akal n-Iguinawen[6]은 각각 "검은"과 "흑인의 땅"을 의미한다.

1526년 레오 아프리카누스가 처음 제시한 다른 설[7]에 따르면, "기니"는 제네 (그는 이를 ''Gheneo, Genni'' 및 ''Ghinea''라고 지칭)[8]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상부 니제르강에 위치한 중요한 내륙 상업 도시였다.[9] 제네는 11세기 (가나 멸망)부터 13세기 (말리 침략)까지 서아프리카 전역의 금과 소금 무역을 지배했다. 아랍 자료에서 ''Genewah''라는 용어가 실제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제네가 지배하던 시대였다.[10]

다른 이론들은 "기니"를 "가나"와 연결하려 하지만, 이는 덜 확실하다. 가나 제국은 이미 11세기 아랍 지리학자에 의해 언급되었지만, 아랍 자료에서는 ''Genewah''와는 별도로 사용되었다.[10] 반대로, 가나와 제네 자체가 그곳에 살았던 흑인에 대한 베르베르식 지칭에서 도시 이름을 유래했을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러한 이론들을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은 베르베르어 ''Ghinawen''(흑인)이 ''Djenné''(도시)의 근원이었고, 이것이 아랍어 ''Genewah''(해당 도시가 지배하는 땅)를 낳았으며, 마침내 포르투갈어 ''Guiné''로 이어진 것이다.[11]

2. 3. 가나 유래설

"기니"라는 단어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다. 영어 단어 "Guinea"는 스페인어 단어 ''Guinea''에서 직접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포르투갈어 단어 ''Guiné''에서 파생되었다. 포르투갈어 용어는 15세기 중반에 기네우스가 거주하는 땅을 지칭하기 위해 등장했는데, 이는 포르투갈인들이 세네갈강 남쪽에 사는 "검은" 아프리카인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였다. "기니"라는 용어는 1453년 고메스 에아네스 드 주라라의 연대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1] 포르투갈 국왕 주앙 2세는 1481년부터 ''Senhor da Guiné'' (기니의 영주)라는 칭호를 사용했다.[2][3][4]

포르투갈인들은 베르베르어 용어 ''Ghinawen'' (때로는 아랍어화되어 ''Guinauha'' 또는 ''Genewah'')을 빌려온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불탄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어의 ''Aithiops'', "불탄 얼굴을 가진 자"와 유사하다).[5] 베르베르어 용어 "aginaw"와 "Akal n-Iguinawen"[6]은 각각 "검은"과 "흑인의 땅"을 의미한다.

가나 제국은 이미 11세기 아랍 지리학자(예: 알-바크리)에 의해 언급된 중세 무역 도시 ''Ghanah''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아랍 자료에서는 ''Genewah''와는 별도로 사용되었다.[10] 반대로, 가나와 제네 자체가 그곳에 살았던 흑인에 대한 베르베르식 지칭에서 도시 이름을 유래했을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러한 이론들을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은 베르베르어 ''Ghinawen''(흑인)이 ''Djenné''(도시)의 근원이었고, 이것이 아랍어 ''Genewah''(해당 도시가 지배하는 땅)를 낳았으며, 마침내 포르투갈어 ''Guiné''로 이어진 것이다.[11]

3. 역사

역사적으로 기니는 유럽과 교역을 처음으로 시작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었다.

1478년 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 중, 엘미나 인근 해역에서 카스티야 왕국 함대와 포르투갈 왕국 함대가 기니의 , 노예, 상아, 후추 무역 패권을 두고 기니 해전을 벌였다. 이 전투는 포르투갈의 승리로 끝났으며, 1479년 알카소바스 조약을 통해 가톨릭 군주는 분쟁 지역 대부분에 대한 포르투갈의 통치권을 인정했다.[14][15] 이는 유럽 국가 간 최초의 식민지 전쟁이었다. 이후 네덜란드 공화국, 프랑스 왕국, 대영 제국이 이 지역 무역에 참여했다.

상아, 금, 노예 무역은 이 지역을 번성하게 했고,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여러 중앙 집권 왕국이 발전했다. 이 왕국들은 사헬 지역의 왕국들보다 영토는 작았지만, 인구 밀도가 높고 중앙 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왕국들의 결속력은 유럽의 침입에 대한 더 큰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유럽인에게 적대적인 질병 환경은 19세기 말까지 기니 지역이 식민지화되지 않도록 도왔다.

3. 1. 유럽과의 교역 초기

1478년 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 중, 카스티야 왕국 함대(35척의 카라벨)와 포르투갈 왕국 함대가 엘미나 앞바다에서 기니 무역(금, 상아, 후추)의 패권을 놓고 기니 해전을 벌였다. 이 전쟁은 포르투갈 해군의 승리로 끝났고, 가톨릭 군주들은 분쟁 중인 대부분의 아프리카 영토에 대한 포르투갈의 주권을 알카소바스 조약(1479년)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2][13] 이는 유럽 열강 간의 수많은 식민지 전쟁 중 첫 번째였다.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이후 네덜란드 공화국, 덴마크, 프랑스 왕국, 대영 제국이 뒤를 이었다.

상아, , 노예의 광범위한 무역은 이 지역을 부유하게 만들었고, 18세기19세기에는 여러 중앙 집권 왕국이 발전했다. 이 왕국들은 광활한 사헬의 대국들보다 훨씬 작았지만, 인구 밀도가 훨씬 높았고 정치적으로 더 중앙 집권적이었다. 이러한 왕국들의 결속력은 기니 지역이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보다 유럽의 침략에 더 큰 저항을 보이게 했다. 이러한 저항과 유럽인에게 적대적인 질병 환경이 결합되어, 19세기 말까지 기니의 많은 지역은 유럽인에 의해 식민지화되지 않았다.

3. 2. 기니 해전과 알카소바스 조약 (1478-1479)

1478년 (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 중) 35척의 카라벨로 구성된 카스티야 함대와 포르투갈 함대가 엘미나 앞바다에서 기니 무역(금, 상아, 후추)의 패권을 놓고 기니 해전을 벌였다.[12][13] 이 해전은 포르투갈 해군의 승리로 끝났고, 가톨릭 군주들은 분쟁 중인 대부분의 아프리카 영토에 대한 포르투갈의 주권을 알카소바스 조약(1479년)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2][13] 이는 유럽 열강 간의 수많은 식민지 전쟁 중 첫 번째였다.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이후 네덜란드, 덴마크, 프랑스, 영국이 뒤를 이었다.

3. 3. 노예 무역 시대

1478년 (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 중) 엘미나 앞바다에서 35척의 카라벨로 구성된 카스티야 함대와 포르투갈 함대가 기니 해전을 벌였다. 이들은 금, 상아, 후추 등 기니 무역의 패권을 놓고 다투었다.[12][13] 이 전쟁은 포르투갈 해군의 승리로 끝났고, 가톨릭 군주들은 알카소바스 조약(1479년)을 통해 분쟁 중인 대부분의 아프리카 영토에 대한 포르투갈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4][15] 이는 유럽 열강 간의 수많은 식민지 전쟁 중 첫 번째였다.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이후 네덜란드, 덴마크, 프랑스, 영국이 뒤를 이었다.

상아, , 노예의 광범위한 무역은 이 지역을 부유하게 만들었다. 18세기19세기에는 여러 중앙 집권 왕국이 발전했는데, 이 왕국들은 광활한 사헬의 대국들보다 훨씬 작았지만, 인구 밀도가 훨씬 높았고 정치적으로 더 중앙 집권적이었다. 이러한 왕국들의 결속력은 기니 지역이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보다 유럽의 침략에 더 큰 저항을 보이게 했다. 이러한 저항과 유럽인에게 적대적인 질병 환경이 결합되어, 19세기 말까지 기니의 많은 지역은 유럽인에 의해 식민지화되지 않았다.

3. 4. 식민지 시대

1478년 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 중, 35척의 카라벨로 구성된 카스티야 왕국 함대와 포르투갈 함대가 엘미나 앞바다에서 기니 무역(금, 상아, 후추)의 패권을 놓고 기니 해전을 벌였다. 이 전쟁은 포르투갈 해군의 승리로 끝났고, 가톨릭 군주들은 분쟁 중인 대부분의 아프리카 영토에 대한 포르투갈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알카소바스 조약, 1479년)[12][13] 이는 유럽 열강 간의 수많은 식민지 전쟁 중 첫 번째였다.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이후 네덜란드 공화국, 프랑스 왕국, 대영 제국이 뒤를 이었다.

상아 무역, , 그리고 노예 무역의 광범위한 무역은 이 지역을 부유하게 만들었고, 18세기19세기에는 여러 중앙 집권 왕국이 발전했다. 이 왕국들은 광활한 사헬의 대국들보다 훨씬 작았지만, 인구 밀도가 훨씬 높았고 정치적으로 더 중앙 집권적이었다. 이러한 왕국들의 결속력은 기니 지역이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보다 유럽의 침략에 더 큰 저항을 보이게 했다. 이러한 저항과 유럽인에게 적대적인 질병 환경이 결합되어, 19세기 말까지 기니의 많은 지역은 유럽인에 의해 식민지화되지 않았다.

3. 5. 탈식민지화와 독립

1478년(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 중) 35척의 카라벨로 구성된 카스티야 함대와 포르투갈 함대가 엘미나 앞바다에서 기니 무역(금, 상아, 후추)의 패권을 놓고 기니 해전을 벌였다. 이 전쟁은 포르투갈 해군의 승리로 끝났고, 가톨릭 군주들은 분쟁 중인 대부분의 아프리카 영토에 대한 포르투갈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알카소바스 조약, 1479).[12][13] 이는 유럽 열강 간의 수많은 식민지 전쟁 중 첫 번째였다.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이후 네덜란드, 덴마크, 프랑스, 영국이 뒤를 이었다.

상아, , 그리고 노예의 광범위한 무역은 이 지역을 부유하게 만들었고, 18세기와 19세기에는 여러 중앙 집권 왕국이 발전했다. 이 왕국들은 광활한 사헬의 대국들보다 훨씬 작았지만, 인구 밀도가 훨씬 높았고 정치적으로 더 중앙 집권적이었다. 이러한 왕국들의 결속력은 기니 지역이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보다 유럽의 침략에 더 큰 저항을 보이게 했다. 이러한 저항과 유럽인에게 적대적인 질병 환경이 결합되어, 19세기 말까지 기니의 많은 지역은 유럽인에 의해 식민지화되지 않았다.

4. 지리적 구분

기니는 하부 기니와 상부 기니로 나뉜다. 하부 기니는 나이지리아 남부, 베냉, 토고를 포함하여 가나까지 뻗어 있는 해안 지역으로, 아프리카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반면 상부 기니는 코트디부아르에서 세네갈까지 뻗어 있으며 인구 밀도가 훨씬 낮다.[1] 기니 공화국 내에서는 해안 평원을 하부 기니, 내륙 지역을 상부 기니라고 부른다.[1]

유럽 상인들은 이 지역을 주요 수출품에 따라 나누었다. 베냉과 나이지리아 주변은 노예 해안, 현재 가나는 골드 코스트, 그 서쪽은 상아 해안,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주변은 후추 해안 또는 곡물 해안으로 불렀다.[1]

4. 1. 상부 기니

상부 기니는 인구 밀도가 비교적 낮으며 코트디부아르에서 세네갈까지 뻗어 있다.[1] 기니 공화국 내에서 상부 기니는 이 나라의 내륙 지역을 가리킨다.[1]

유럽 상인들은 이 지역을 주요 수출품을 기준으로 세분했는데,[1] 현대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주변 지역은 후추 해안 또는 곡물 해안으로 불렸다.[1]

4. 2. 하부 기니

기니는 종종 "하부 기니"와 "상부 기니"로 세분된다. 하부 기니는 아프리카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로, 남부 나이지리아, 베냉, 토고를 포함하며 가나까지 뻗어 있다. 여기에는 해안 지역과 내륙 지역이 포함된다.[1]

기니 공화국 내에서 하부 기니는 이 나라의 해안 평원을, 상부 기니는 이 나라의 내륙을 가리킨다.[1]

유럽 상인들은 이 지역을 주요 수출품을 기준으로 세분했다. 베냉나이지리아 주변의 동부 지역은 노예 해안으로 명명되었다. 현재 가나는 (영국) 골드 코스트로 불렸는데, 이는 이 지역의 초기 유럽 식민지를 흡수한 영국의 식민지에 나중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서쪽은 여전히 그 지역의 국가 이름인 상아 해안이었다. 가장 서쪽인 현대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주변 지역은 후추 해안 또는 곡물 해안으로 불렸다.[1]

5. 기니 지역의 국가 목록

국가이전 명칭 및 식민 지배 국가
베냉다호메이
코트디부아르아이보리코스트
적도 기니스페인령 기니
감비아
가나황금 해안: 덴마크령 기니, 네덜란드령 기니, 포르투갈령 골드 코스트 (최초), 프로이센령 골드 코스트, 스웨덴령 기니 모두 영국령 골드 코스트에 흡수됨
기니프랑스령 기니
기니비사우포르투갈령 기니
라이베리아
세네갈프랑스령
시에라리온후추 해안의 영국령 일부, 원래 자유민 구역
토고토고랜드 (독일령 기니)
나이지리아
카메룬독일령 기니



요도쿠스 혼디우스 2세의 지도 ''기니'', 1621


야코프 판 데르 스레이의 지도 ''기니 해안의 연안'', 1747

참조

[1] 문서 conquest of Guinee https://books.google[...]
[2] 서적 Prince Henry 'the Navigator': A Lif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1-01-01
[3] 서적 Portugal. https://archive.org/[...] 1891
[4] 서적 Maryland colonization journal https://archive.org/[...] Baltimore, Maryland State Colonization Society 1835
[5] 간행물 "O problema da origem dos termos «Guiné» e «Guinéus»" 1965
[6]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Guinea: Overview http://www.refworld.[...]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2016-05-24
[7] 문서 Description of Africa
[8] 문서 Ghinea
[9] 문서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and of the notable things therein https://books.google[...] 1550
[10] 문서 The Negroland of the Arabs examined and explained https://books.google[...] 1841
[11] 문서 Genewah 1841
[12] 서적 A history of Portuguese overseas expansion, 1400-1668 http://www.google.co[...] Routledge 2005
[13]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58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5
[14] 서적 A history of Portuguese overseas expansion, 1400-1668 https://www.google.c[...] Routledge 2005
[15]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58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5
[16] 문서 Guinee의 정복 https://books.google[...]
[17] 간행물 "O problema da origem dos termos «Guiné» e «Guinéus»" 1965
[18]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Guinea: Overview http://www.unhcr.org[...] UNHCR 2009-05-01
[19] 문서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and of the notable things therein https://books.google[...] 1550
[20] 문서 The Negroland of the Arabs examined and explained https://books.google[...] 1841
[21] 문서 Genewah 184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