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대 이론은 개인이 특정 행동을 선택하는 동기를 설명하는 경영학 이론으로, 빅터 브룸이 개발했다. 이 이론은 개인이 노력, 성과, 보상 간의 관계에 대한 믿음에 따라 동기 부여를 받는다고 본다. 브룸은 기대감, 수단성, 유의성의 세 가지 변수를 제시했으며, 동기 부여는 이 세 가지 요소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후 포터와 로울러는 브룸의 이론을 확장하여 작업 관련 변수를 고려한 모형을 개발했으며, 컴퓨터 사용, 교사의 기대 효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연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신 이론 -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유형적, 정보적, 교우적 지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 완화, 질병 예방 및 회복에 기여하는 개념이다. - 통신 이론 - 배양 이론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 시청과 같은 미디어 노출이 시청자의 현실 인식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설명하며, 시청 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에서 묘사되는 현실과 일치하는 사회 현실을 믿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가정한다. - 동기 이론 - 목표설정이론
목표설정이론은 에드윈 A. 로크가 체계화한 이론으로, 인간의 행동이 의식적인 목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구체적이고 어려운 목표 설정이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혀 경영,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동기 이론 - 인지부조화
인지 부조화는 상반된 믿음이나 정보 간의 충돌로 발생하는 정신적 불편함이며, 사람들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지를 변화시켜 조화를 추구한다는 이론이다.
기대 이론 | |
---|---|
기대 이론 개요 | |
유형 | 심리학 이론 |
관련 주제 | 동기 부여, 직무 만족도, 생산성 |
주요 내용 | |
설명 | 조직은 보상을 성과와 직접 연결하고, 제공되는 보상이 수혜자가 받을 자격이 있고 원하는 것인지 확인해야 함. |
2. 브룸의 기대 이론
1964년 빅터 H. 브룸(Victor H. Vroom)은 의사 결정의 동기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경영학 연구와 관련된 기대 이론을 개발했다.[3] 기대 이론은 개인이 왜 다른 행동 선택보다 하나의 행동 선택을 하는지에 대한 행동 과정을 설명한다. 이 이론은 개인이 노력과 성과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고 믿는 경우, 긍정적인 성과의 결과가 바람직한 보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는 경우, 성과에 따른 보상이 중요한 욕구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믿는 경우, 그리고/또는 그 결과가 노력을 기울일 만한 가치가 있을 정도로 그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킨다고 믿는 경우 목표를 향해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3]
브룸은 기대 이론 내에 발렌스(V), 기대(E), 수단성(I)의 세 가지 변수를 도입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보다 선택하는 데 중요하다.[3]
- 기대감(Expectancy): 열심히 일하면 높은 성과를 올릴 것이라고 생각하는 정도이다. 개인의 노력(E)이 원하는 성과(P) 목표 달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는 대개 개인의 과거 경험, 자기 효능감, 그리고 성과 기준 또는 목표의 난이도에 대한 인식에 기반한다.[4]
- 자기 효능감: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믿음이다. 개인은 목표 달성에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 평가한다.
- 목표 난이도: 목표가 너무 높게 설정되거나 성과 기대치가 너무 어려울 때 낮은 기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개인이 원하는 결과가 달성 불가능하다고 믿을 때 발생한다.
- 인지된 통제: 개인은 예상되는 결과에 어느 정도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야 한다. 개인이 결과가 자신의 영향력 밖에 있다고 인식하면 기대, 즉 동기가 낮아진다.
- 수단성(Instrumentality): 직무 수행의 결과로써 보상이 주어질 것이라고 믿는 정도이다. 개인이 기대하는 성과를 달성하면 보상을 받게 될 것이라는 믿음이다. 이러한 보상은 임금 인상, 승진, 인정 또는 성취감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수단성은 모든 성과에 동일한 보상이 주어질 때 낮아진다. 수단적 결과가 작용하는 또 다른 방식은 수수료이다. 수수료의 경우 성과는 결과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성과가 높고 많은 상품이 판매될수록 더 많은 돈을 벌게 된다. 개인의 결과에 대한 수단성과 관련된 요소는 신뢰, 통제 및 정책이다.
- 유의성(Valence): 직무 결과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가치이다. 개인이 결과에 대한 보상에 부여하는 가치로, 개인의 필요, 목표, 가치관 및 동기 부여 원천에 기반한다.[5] 영향 요인으로는 개인의 가치관, 필요, 목표, 선호도, 특정 결과에 대한 동기 부여를 강화하는 원천 등이 있다. 발렌스는 개인이 특정 결과 또는 보상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실제 만족도가 아니라 특정 결과에 대한 예상 만족도이다.[6]
발렌스는 개인이 보상에 부여하는 개인적인 가치를 의미한다. -1 (결과 회피) → 0 (결과에 무관심) → +1 (결과 환영)
발렌스가 긍정적이려면, 그 사람은 결과를 얻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보다 선호해야 한다.
기대와 수단성은 태도(인지)인 반면, 발렌스는 개인의 가치 체계에 기반한다.
직장에서 가치 있는 결과의 예로는 급여 인상 및 보너스, 승진, 휴가, 새로운 업무 배정, 인정 등이 있다. 만약 경영진이 직원이 무엇을 가치 있게 생각하는지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면, 이를 통해 관리자는 직원들을 동기 부여하여 직장에서 최고의 결과와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7]
그는 동기 부여를 세 요소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관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동기 부여(Motivational Force) = 기대감 × 수단성 × 유의성 (0≤기대감≤1, -1≤수단성·유의성≤1)
행동 옵션 중에서 결정할 때, 개인은 가장 많은 양의 동기 부여 힘(MF)을 가진 옵션을 선택한다.
3. 포터와 로울러의 확장 모델
라이먼 포터와 에드워드 로울러는 브룸의 기대이론을 기초로, 작업 관련 변수들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모형을 개발하였다. 동기 부여가 곧바로 성과에 직결되지는 않고, 능력, 특성, 역할지각 등 작업과 관련된 변수가 작용한다고 하였다. 또한, 성과를 내고자 하는 행동은 직무만족에 대한 기대감에 의하여 조성되며, 이 때의 만족은 성과에 따른 인정, 승진과 같은 내적 보상과, 임금, 작업조건과 같은 외적 보상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고 하였다.
3. 1. 포터와 로울러 모델의 주요 변수
라이먼 포터와 에드워드 로울러는 브룸의 기대이론을 기초로, 작업 관련 변수들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모형을 개발하였다. 동기 부여가 곧바로 성과에 직결되지는 않고, 능력, 특성, 역할지각 등 작업과 관련된 변수가 작용한다고 하였다. 또한, 성과를 내고자 하는 행동은 직무만족에 대한 기대감에 의하여 조성되며, 이 때의 만족은 성과에 따른 인정, 승진과 같은 내적 보상과, 임금, 작업조건과 같은 외적 보상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고 하였다.4. 비판 및 현대적 연구
빅터 브룸(Victor Vroom)의 기대 이론은 경영 이론 중 하나로, 개인의 노력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믿음에 따라 업무 노력의 강도가 결정된다고 주장한다.[8] 관리자는 보상을 성과와 밀접하게 연결하고, 제공되는 보상이 직원에게 합당하고 원하는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9] 또한, 훈련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켜 노력이 실제로 더 나은 성과로 이어진다는 믿음을 개선해야 한다.[9] 기대 이론은 자기 이익과 예상되는 행동, 보상, 조직 목표 간의 연결을 강조하지만, 업무 동기 부여 문헌 외에서는 덜 알려져 있다.
기대 모형에 대한 비판가로는 그레인(Graen), 로울러(Lawler), 포터(Porter)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형이 지나치게 단순하다고 지적했다.[20][21] 에드워드 로울러는 고용주가 매력적인 보상을 제공하면 직원이 생산성을 높일 것이라는 가정이 단순하다고 비판했다.[22] 예를 들어, 급여 인상이 순 수령액 감소로 이어지거나, 승진이 더 긴 근무 시간을 요구하여 개인의 가치와 상충될 수 있다. 또한, 군대나 보안 기관에서 승진 시 근무지 전근으로 인해 가족과 멀어질 수 있어 보상이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로울러는 1964년 이후의 발전을 반영하여 기대 모형을 업데이트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모형을 제시했다.[23] 이 모형은 개인이 여러 결과 중 선호도를 가지며, 자신의 행동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것이라는 믿음, 원하는 결과가 개인의 행동에 의해 생성된다는 점, 그리고 개인의 행동은 선호하는 결과와 기대에 의해 생성된다는 네 가지 주장을 기반으로 한다.[23]
W.F. 말로니와 J.M. 맥필렌은 기대 이론이 건설 산업 종사자들의 동기를 설명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23] 예를 들어, 관리자가 작업자와 직무 간 동등한 일치를 만들 때 작업자 기대가 발생하고, 직원이 성과 향상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을 때 작업자 도구성이 발생한다.
켄 G. 스미스와 마이클 A. 히트는 ''경영의 거장들''에서 브룸이 이러한 비판에 일부 동의하며, 이론을 확장해야 한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24]
4. 1. 건설 산업에서의 기대 이론
4. 2. 컴퓨터 사용자 연구
아이오와 대학교의 로리 베이커-이브레트와 로버트 스톤은 2008년 새로운 소프트웨어 사용에 대한 154명의 교직원들의 반응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했다.[10] 시스템 사용의 용이성은 자기 효능감(자신감)과 예상되는 유용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는 결정 또는 예상되는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는 개인의 정서와 행동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것을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이다. 결과 기대는 개인이 과제를 완수했을 때 원하는 결과가 달성된다는 믿음이다.
자기 효능감은 결과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과 기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직원들은 기술이 자신에게 이점이 있다고 믿으면 기술을 받아들일 것이다. 직원이 기술 사용을 강요받는 경우, 직원은 기술을 사용하지만 유용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다. 반면에 직원이 강요받지 않는 경우, 직원은 사용해야 한다는 다른 요인(자신감과 결과에 대한 확신)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자기 효능감 이론은 컴퓨터 사용에 대한 직원의 믿음을 예측하고 인식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11][12] 이 이론은 개인의 인지 상태를 효과적인 행동 결과와 연관시킨다.[13]
수행에 대한 태도와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효능감 이론의 다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과제에 대한 과거 경험 또는 기술/숙련도
- 과제 수행에 대한 대리 경험
- 과제와 관련된 정서적 또는 생리적 각성
- 과제 수행에 대한 사회적 설득
4. 3. 교사 기대 효과 모델
제레 브로피와 토마스 굿[14][15]은 교사의 기대가 아동의 성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태도, 기대, 행동을 조절하는 학생에 대한 차별적인 교사 대우를 유발함으로써 학생의 결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16]이 모델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른다. 교사는 학년 초에 학생들에 대한 차별적인 기대를 형성한다. 이러한 기대를 바탕으로, 그들은 서로 다른 학생들에게 다르게 행동하며, 이러한 행동의 결과로 학생들은 교사가 그들에게 무엇을 기대하는지 이해하기 시작한다. 만약 학생들이 교사의 기대와 그들에 대한 행동을 받아들인다면, 그들은 교사의 초기 기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이 과정은 궁극적으로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의 초기 기대가 확인된다.[17]
브로피는 교사 기대 효과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관찰을 했다. 첫째, 교사가 학생에 대해 가지고 있는 믿음의 대부분이 정확하며, 그들의 기대는 보통 학생들의 실제 수행 수준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그 결과, 자기 충족적 예언 효과가 학생 성취에 비교적 약한 영향을 미치며, 성취도를 5%에서 10% 정도 변화시킨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그러한 효과가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부정적인 기대 효과인 경우가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둘째, 다양한 상황적 요인과 개인차 요인이 교사의 기대가 자기 충족적 예언으로 작용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아이들을 학생 역할에 사회화시키려고 시도하면서 학생들과 더 많은 일대일 상호 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대 효과가 초기 초등학교 학년에서 더 클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는 더 많은 전체 학급 교수법이 사용되면서 기대 효과가 최소화될 수 있다.[16] 로젠탈과 제이콥슨의 연구에서 기대 효과는 초기에 가장 강했다.[18] 라우덴부시의 교사 기대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메타 분석한 결과, 교사에게 아동의 지능에 대한 인위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기대를 유도한 연구에서, 기대 효과는 1학년과 2학년에서 3학년에서 6학년보다 더 강했으며, 특히 학교 첫 몇 주 동안 교사에게 정보가 제공되었을 때 더욱 두드러졌다.[19]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학생에 대해 특정한 기대를 가지고, 이러한 기대로 인해 학생들을 다르게 대하는 방식을 보여주기 때문에 특히 관련성이 높다.[17]
5. 한국 사회에의 적용
6. 관련 이론
동기 부여 이론은 개인이 어떻게, 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설명하려는 이론이다.[5] 기대 위반 이론(EVT)은 비언어적 의사 소통의 결과를 예측하는 이론이다.[25] 자기 실현 이론,[5][26] 매슬로우의 욕구 계층 이론,[5][26] 이요인 이론,[27] X이론과 Y이론[28] 등이 기대 이론과 관련된 이론으로 꼽힌다.
참조
[1]
논문
Expectancy Theory Predictions of Salesmen's Performance
[2]
서적
Handbook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Government
https://books.google[...]
Wiley
[3]
서적
Personne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 Text and cases
Himalaya Publishing House
[4]
논문
An expectancy theory model for hotel employee motivation
2008-06
[5]
간행물
Maslow—Move Aside! A Heuristical Motivation Model for Leaders in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http://scholar.lib.v[...]
[6]
웹사이트
Expectancy Theory
https://wikispaces.p[...]
Shaun Miller
2013-04-12
[7]
웹사이트
Motivation: Expectancy Theory
http://www.uri.edu/r[...]
University of Rhode Island
2013-04-12
[8]
논문
Applying the principles of human motivation to pharmaceutical education
[9]
서적
Management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10]
논문
Expectancy theory and behavioral intentions to use computer applications
[11]
서적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2]
논문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use of online learning systems
Elsevier BV
[13]
논문
A Self-Efficacy Theory Explanation for the Management of Remote Workers in Virtual Organiz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06-01
[14]
서적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Causes and Consequences
Holt, Rinehart and Winston
[15]
서적
Looking in classrooms
Harper and Row
[16]
논문
Research on the self-fulfilling prophecy and teacher expecta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7]
서적
Student Perceptions in the Classroom
Routledge
[18]
논문
Pygmalion in the classroom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9]
논문
Magnitude of teacher expectancy effects on pupil IQ as a function of the credibility of expectancy induction: A synthesis of findings from 18 experim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
논문
Expectancy theory and job behavior
https://deepblue.lib[...]
[21]
논문
Instrumentality theory of work motivation: Some experimental results and suggested modifica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ceo.usc.edu/p[...]
2010-12-02
[23]
웹사이트
Expectancy
http://web.dcp.ufl.e[...]
2010-12-02
[24]
서적
Great Minds in Management
[25]
웹사이트
Masters thesis
http://www.antalhaan[...]
2010-12-02
[26]
논문
The Instinctoid Nature of Basic Needs1
Wiley
[27]
서적
The motivation to work
John Wiley
[28]
서적
The Human Side of Enterprise
https://books.google[...]
[29]
웹인용
기대이론
https://www.do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