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 부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기 부여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이 행동하는 원인이 되는 내적 상태 또는 힘을 의미한다. 이는 행동의 방향성과 정도를 결정하며, 목표 지향적 행동을 시작하고 지속하도록 이끈다. 동기는 심리학, 신경학, 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자기 보고 설문지, 외부 관찰, 뇌 활동 측정 등을 통해 측정된다. 동기 부여는 방향, 강도, 지속성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분석되며, 목표 설정과 목표 추구의 두 단계로 설명된다.
동기 부여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의식적 동기와 무의식적 동기, 합리적 동기와 비합리적 동기, 생물학적 동기와 인지적 동기, 단기 동기와 장기 동기,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동기 부여 이론은 동기 부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틀로, 내용 이론(욕구 위계 이론, 이중 요인 이론, 획득된 욕구 이론 등)과 과정 이론(기대 이론, 공정성 이론, 목표 설정 이론, 자기 결정 이론, 강화 이론 등)으로 나뉜다. 동기 부여는 신경학, 교육, 직업, 스포츠, 범죄, 자기 계발,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무동기 및 의지 부족은 개인의 생산성, 목표 달성, 웰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험심리학 - 실험 심리학
실험 심리학은 빌헬름 분트의 심리학 연구소 설립과 함께 시작되어,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고, 기억, 주의 등 심리 현상을 실험적으로 연구하며, 현재는 인지 심리학, 행동 심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실험심리학 - 지각 (심리학)
지각은 감각 기관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뇌에서 처리하여 외부 환경의 사물에 대한 전체상을 형성하는 과정이며, 경험, 동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동기 - 권력 의지
권력 의지는 니체 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힘을 추구하고 자기 극복을 통해 성장하려는 의지를 의미하며, 생명체의 본질적 욕구 설명, 기존 도덕과 가치관 비판, 초인 사상 제시 등에 사용되었고, 후대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나 왜곡 사례도 존재하며, 자기 극복과 창조적 힘으로 발전하여 영원회귀 사상과도 연결된다. - 동기 - 호기심
호기심은 새로운 것을 탐색하고 배우려는 기본적인 욕구이자 동기로, 지적, 지각적, 대인적 형태로 나타나며, 다양한 이론과 신경학적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 교육학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 교육학 -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은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 충족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법적으로 규정된 교육 계획으로, 학생, 학부모, 교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팀에 의해 개발 및 관리되지만, 운영 과정에서 어려움과 비판이 존재하며 국가별 차이가 있다.
동기 부여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내적 상태 |
관련 분야 | 교육 업무 성과 소비 행동 운동 |
동기 부여의 중요성 | |
교육 | 교육적 성공에 영향 |
직업 | 업무 성과에 영향 |
소비 행동 | 소비 행동에 영향 |
운동 | 운동 성공에 영향 |
동기 부여의 예시 | |
![]() | |
![]() | |
![]() | |
![]() | |
참고자료 | |
유튜브 영상 | (3) 【공인심리사 시험 대책】동기 부여 - YouTube |
2. 동기부여의 정의 및 구성 요소
동기부여(또는 동인)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행동하는 원인이 된다. 동기부여는 행동의 방향성을 정하는 요인과 그 행동의 정도를 정하는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동물이 어떤 행동을 할 때는 어떠한 동기부여가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 행동의 정도에 따라 동기부여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1]
동기는 개인이 목표 지향적인 행동에 참여하고 지속하도록 이끄는 내적 상태 또는 힘으로 이해된다.[1] 동기 상태는 특정 시점에 특정 행동을 시작, 지속, 또는 종료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목표와 더불어 목표 달성을 위해 쏟는 노력의 강도와 지속 시간으로 특징지어진다.[2][3]
동기 상태는 강도가 다양하며, 강도가 높을수록 행동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진다.[4] 동기는 특정 활동에 대한 관심 부족 또는 저항을 뜻하는 무동기와 대비된다.[5] "동기"라는 단어는 누군가를 동기 부여하는 행위, 또는 무언가를 하는 이유나 목표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6] 이 단어는 라틴어 moverela(움직이다)에서 유래했다.[7]
동기는 직접 관찰할 수 없으므로 다른 특성을 통해 추론해야 한다.[12] 동기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자기 보고와 설문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얼마나 동기가 부여되었습니까?"와 같은 직접적인 질문 외에도 특정 활동에 투입된 목표, 감정, 노력과 관련된 추가적인 질문이 포함될 수 있다.[13] 다른 방법으로는 개인의 외부 관찰, 행동 변화 연구, 뇌 활동 및 피부 전도도 측정이 있다.[14]
동기 부여는 방향, 강도, 지속성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38]
- 방향: 에너지를 투자하기로 결정한 목표, 즉, 사람들이 선택하는 목표를 의미한다.[42]
- 강도: 특정 작업에 투자하려는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47]
- 지속성: 장기적인 요소로, 개인이 활동에 참여하는 기간을 의미한다.[47]
2. 1. 학문적 정의
동기 부여에 대한 학문적 정의는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지만, 공통적으로 내적 요인과 목표의 역할을 강조한다.[15] 이는 동기 부여가 여러 측면을 가진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이며, 서로 다른 정의들은 종종 서로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16]어떤 정의들은 욕구와 의지와 관련된 심리적 측면, 또는 신체적 욕구와 관련된 생리적 측면과 같은 내적 요인을 강조한다.[17] 예를 들어, 존 듀이와 아브라함 매슬로우는 동기 부여를 욕구의 한 형태로 이해하는 심리적 관점을 제시한다.[18] 반면, 잭슨 비티와 찰스 랜섬 갤리스텔은 동기 부여를 굶주림, 갈증과 같은 신체적 과정으로 간주한다.[19]
다른 정의들은 동기 부여를 행동을 지시하고 유지하는 에너지를 제공하는 일종의 각성으로 특징짓는다.[22] K. B. 매드센은 동기 부여를 "행동의 '추진력'"으로 정의하며,[23] 엘리엇 S. 바텐스타인과 로데릭 웡은 동기 부여가 결과에 관심이 있는 목표 지향적 행동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한다.[23]
동기 부여에서 목표의 역할은 때때로 맹목적인 반사 작용이나 고정된 자극-반응 패턴과 대조적으로 유연한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주장과 함께 제시된다. 이는 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하고 그들이 사용하는 수단에 대해 유연하다는 생각에 기초한다.[24]
일부 심리학자들은 동기 부여를 일시적이고 가역적인 과정으로 정의한다.[26] 로버트 A. 힌드와 존 알콕은 동기 부여를 자극에 대한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시적인 상태로 정의한다.[27] 이러한 접근 방식은 영구적인 행동 변화를 가져오는 학습과 같은 현상과 동기 부여를 대조할 수 있게 한다.[26]
다양한 정의와 합의 부족으로 인해, 심리학자 B. N. 버넬과 도널드 A. 듀즈버리와 같은 일부 이론가들은 동기 부여 개념이 이론적으로 유용하지 않다고 의심하기도 한다.[29]
2. 2. 의미 영역
동기부여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행동하는 원인이 되며, 행동의 방향성과 정도를 결정한다. 동기 상태는 특정 시점에 특정 행동을 시작, 지속, 종료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목표 달성에 쏟는 노력의 강도와 지속 시간으로 특징지어진다.[3] 동기는 강도가 다르고, 강도가 높을수록 행동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4] 동기는 특정 활동에 대한 관심 부족, 저항인 무동기와 대조된다.[5]"동기 부여"라는 용어는 "동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종종 동의어로 사용되지만,[30] 일부 이론가들은 그 의미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심리학자 안드레아 푸크스(Andrea Fuchs)는 동기 부여를 "개별 동기들의 합"으로 이해한다.[31] 심리학자 루스 캔퍼(Ruth Kanfer)에 따르면, 동기는 안정적인 성향적 경향성인 반면, 동기 부여는 변동하는 내적 상태로서 역동적인 특성을 지닌다.[12]
동기 부여는 능력, 노력 및 행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32] 능력은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힘이며, 개인은 능력을 행사하지 않고도 능력을 가질 수 있다.[33] 능력이 있다면 무언가를 할 동기가 더 높을 가능성이 있지만, 능력을 갖는 것은 필수적인 요건이 아니며, 해당 능력이 부족하더라도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다.[34] 노력은 능력을 행사할 때 투입되는 육체적 및 정신적 에너지이다.[35] 그것은 동기 부여에 달려 있으며, 높은 동기 부여는 높은 노력과 관련이 있다.[36] 결과 성과의 질은 능력, 노력 및 동기 부여에 따라 달라진다.[32] 행위를 수행하려는 동기 부여는 행위가 실행되지 않더라도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동시에 다른 행위에 참여하려는 더 강한 동기 부여가 있는 경우이다.[37]
2. 3. 구성 요소
동기 부여는 방향, 강도, 지속성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38] 동기 부여의 단계는 목표 설정과 목표 추구의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38]- 방향: 사람들이 선택하는 목표, 즉 에너지를 투자하기로 결정한 목표를 의미한다.[42]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영화를 보러 가고 다른 사람은 파티에 가는 경우, 둘 다 동기가 있지만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다.[42] 추구하는 목표는 수단-목표 관계의 계층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상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하위 목표를 달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사를 작성하려면 여러 섹션을 작성해야 한다.[43]
- 강도: 특정 작업에 투자하려는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47] 예를 들어, 같은 훈련을 하는 두 선수 중 한 명은 최선을 다하고 다른 한 명은 최소한의 노력만 기울인다면 동기 강도가 다르다.[47]
- 지속성: 개인이 활동에 참여하는 기간을 의미하며, 장기적인 요소이다.[47] 높은 수준의 동기적 지속성은 시간에 걸쳐 지속적인 헌신으로 나타난다.[47]
동기의 구성 요소는 제한된 자원의 할당과 유사하게 이해할 수 있다. 방향, 강도, 지속성은 에너지를 어디에, 얼마나, 오랫동안 할당할지 결정한다.[53] 효과적인 행동을 위해서는 세 가지 요소 모두에서 적절한 형태의 동기를 갖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필요한 강도와 지속성으로 적절한 목표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54]
3. 동기부여의 유형
동기 부여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현대에는 동기 부여를 크게 '''생리적 동기 부여'''와 '''사회적 동기 부여'''로 분류하며, 사회적 동기 부여는 다시 성취 동기 부여, 내재적 동기 부여, 외재적 동기 부여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여겨진다.
학계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동기 부여가 논의된다.[61] 이러한 동기들은 그 발현에 책임이 있는 기저 메커니즘, 추구하는 목표, 포함하는 시간적 지평, 그리고 누구에게 이익이 되도록 의도되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르다.
- 단기 동기 vs. 장기 동기: 단기 동기는 즉각적이거나 가까운 미래에 보상을 얻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장기 동기는 더 먼 미래의 목표에 대한 지속적인 헌신을 포함한다.[89] 이 둘은 때때로 상충될 수 있다.[92] 예를 들어, 결혼한 사람이 일회성 성관계 유혹을 받는 경우, 즉각적인 육체적 만족을 추구하는 단기 동기와 신뢰와 헌신을 기반으로 한 결혼 생활을 유지하려는 장기 동기가 충돌할 수 있다.[93]
- 이기적 동기 vs. 이타적 동기: 누구에게 이익이 되는지에 따라 동기를 구분할 수 있다.
존 아디어는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그들의 관심과 노력을 집중시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행동으로 이어지는 의지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개인 내면의 심리적 요구나 욕구인 동기에 의해 지배된다. 동기는 주된 동기를 다른 동기들이 둘러싼 형태의 혼합체일 수 있다.[182]
달성 동기는 평가가 수반되는 상황에서 높은 수준으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 유형이다. 머레이는 달성 동기를 달성 요구의 관점에서 보았고, 인간은 높은 수준의 목표 달성을 추구하는 욕구에 의해 행동이 결정된다고 가정했다. 그는 달성 동기가 성공 욕망과 실패 공포라는 두 가지 욕구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아킨슨은 성공 욕망과 실패 공포라는 성격의 안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유동적인 주변 상황의 기대와 가치관이 중요하며, 성공과 실패의 가치 및 기대 역시 큰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3. 1. 내적 동기 vs. 외적 동기
내적 동기는 즐거움, 호기심 등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는 동기이다.[186] 예를 들어, 어떤 아이가 TV 게임에 열중하는 것은 보상이나 처벌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게임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내적 동기에 의한 행동은 그 자체가 목적이 된다. 지적 호기심 외에도, 스스로 과제를 설정하고 해결하려는 자율성과 그 과정에서 얻는 유능감 또한 내적 동기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적 동기에 기반한 학습은 효율적이고 지속적이다.[171][183]반면 외적 동기는 의무, 상벌, 강제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186] 예를 들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공부하거나 승진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외적 동기에 의한 행동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강제된 외적 동기는 자발성이 낮지만, 자신의 가치관이나 인생 목표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자율성이 높은 외적 동기로 간주될 수 있다. 외적 동기는 내적 동기와 양립할 수 있으며, 자율성이 높은 외적 동기는 내적 동기와 유사한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171]
달성 동기가 높은 사람은 결과의 원인을 능력이나 노력과 같은 내적 요인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는 반면, 달성 동기가 낮은 사람은 문제의 난이도나 우연성과 같은 외적 요인으로 돌리는 경향이 강하다.
한국 사회에서는 개인의 즐거움과 성장을 추구하는 내적 동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외적 동기 또한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두 동기 간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또한 확산되고 있다.
3. 2. 의식적 동기 vs. 무의식적 동기
의식적 동기는 개인이 인지하고 있는 동기인 반면, 무의식적 동기는 개인이 인지하지 못하는 동기이다. 특히, 한국 사회의 집단주의적 문화와 유교적 전통은 무의식적 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 3. 합리적 동기 vs. 비합리적 동기
합리적 동기는 타당한 이유에 기반한 동기이며, 비합리적 동기는 그렇지 않은 동기이다. 이는 학계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유형의 동기 중 하나이며, 인지적 동기와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인지적 동기는 심리적 수준에서 발생하며, 과거 경험과 예상되는 결과에 기반한 정보에 대한 유연한 반응이다. 원하는 결과를 명시적으로 공식화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목표 지향적 행동을 포함한다.[86][87]한국 사회에서는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을 위해 합리적 동기가 강조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삶의 질과 행복을 추구하는 비합리적 동기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3. 4. 생물학적 동기 vs. 인지적 동기
자연발생적 동기 부여는 호기심이나 관심에 의해 초래되는 동기 부여[186]이며, 상벌에 의존하지 않는 행동이다. 이것은 특히 지적 호기심이 지극히 높은 유아기에 잘 나타난다. 지적 호기심뿐만 아니라, 스스로 과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려고 할 때, 자신이 중심이 되어 자발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율성과 그 문제 해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유능감 또한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재해 동기 부여에 근거한 행동(예: 자율 학습)은 매우 효율적인 학습이 되며 계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를 기르기 위해서는 도전적이고 선택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문제 해결을 돕는 것이 자연 발생적 동기 부여를 발전시키는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생명을 유지하고 종족을 보존하기 위한 본능적인 동기를 생물학적 동기라고 한다. 생물학적 동기에는 굶주림, 수면, 배설, 신체적 손상 회복 등이 포함된다.[181]
3. 5. 단기 동기 vs. 장기 동기
학계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동기 부여를 논의한다.[61] 단기 동기와 장기 동기는 동기 메커니즘의 시간적 지평선과 지속 기간에 따라 구분된다. 단기 동기는 즉각적이거나 가까운 미래에 보상을 얻는 데 초점을 맞추며, 충동적인 행동과 관련이 있다. 이는 자발적으로 발생하고 사라질 수 있는 일시적이고 변동적인 현상이다.[89]장기 동기는 더 먼 미래의 목표에 대한 지속적인 헌신을 포함하며, 목표 달성 전에 장기간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려는 의지를 수반한다. 이는 목표 설정 및 계획을 필요로 하는 신중한 과정인 경우가 많다.[89]
단기 동기와 장기 동기는 모두 목표 달성과 관련이 있다.[90] 예를 들어 단기 동기는 긴급한 문제 대응에, 장기 동기는 장기적인 목표 추구에 중요하다.[91] 그러나 이 둘은 때때로 상반되는 행동 방침을 지지하며 서로 충돌할 수 있다.[92] 예를 들어 결혼한 사람이 일회성 성관계 유혹을 받는 경우, 즉각적인 육체적 만족을 추구하는 단기 동기와 신뢰와 헌신을 기반으로 한 결혼 생활을 유지하려는 장기 동기가 충돌할 수 있다.[93] 또 다른 예로 건강을 유지하려는 장기 동기와 담배를 피우려는 단기 동기의 충돌이 있다.[94]
3. 6. 이기적 동기 vs. 이타적 동기
학계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동기 부여를 논의한다. 이러한 유형들은 동기 부여가 발현되는데 영향을 주는 기저 메커니즘, 추구하는 목표, 포함하는 시간적 지평, 그리고 누구에게 이익이 되도록 의도되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르다.[61]3. 7. 기타 동기 유형
학계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동기를 논한다. 이러한 동기 유형은 그 발현 기제, 추구하는 목표, 시간적 지평, 그리고 누구에게 이익이 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61]단기 동기와 장기 동기는 동기 메커니즘의 지속 기간과 시간적 지평에 따라 구분된다. 단기 동기는 즉각적이거나 가까운 미래의 보상에 초점을 맞추며, 충동적인 행동과 관련이 있다. 이는 일시적이고 변동적인 현상으로, 자발적으로 발생했다가 사라질 수 있다.[89] 반면, 장기 동기는 먼 미래의 목표에 대한 지속적인 헌신을 포함한다. 목표 달성 전까지 장기간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며, 목표 설정 및 계획을 필요로 하는 신중한 과정인 경우가 많다.[89]
단기 동기와 장기 동기는 모두 목표 달성에 관련된다.[90] 예를 들어, 단기 동기는 긴급한 문제 대응에, 장기 동기는 장기적인 목표 추구에 중요하다.[91] 그러나 이 둘은 때때로 상충될 수 있다.[92] 예를 들어, 결혼한 사람이 일회성 성관계 유혹을 받는 경우,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단기 동기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결혼 생활을 유지하려는 장기 동기가 충돌할 수 있다.[93] 건강을 유지하려는 장기 동기와 담배를 피우려는 단기 동기도 또 다른 예시이다.[94]
존 아디어는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그들의 관심과 노력을 집중시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행동으로 이어지는 의지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개인 내면의 심리적 요구나 욕구인 동기에 의해 지배된다. 동기는 주된 동기를 다른 동기들이 둘러싼 형태의 혼합체일 수 있다.[182]
달성 동기화는 평가가 수반되는 상황에서 높은 수준으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 유형이다. 머레이는 달성 동기를 달성 요구의 관점에서 보았고, 인간은 높은 수준의 목표 달성을 추구하는 욕구에 의해 행동이 결정된다고 가정했다. 그는 달성 동기가 성공 욕망과 실패 공포라는 두 가지 욕구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아킨슨은 성공 욕망과 실패 공포라는 성격의 안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유동적인 주변 상황의 기대와 가치관이 중요하며, 성공과 실패의 가치 및 기대 역시 큰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달성 행동은 행동 결과의 원인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따라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결과의 원인으로는 능력, 노력, 문제의 난이도, 우연성 네 가지가 일반적인데, 달성 동기가 높은 사람은 내적 요인인 능력이나 노력에 원인을 귀속시키는 경향이 강한 반면, 달성 동기가 낮은 사람은 외적 요인인 문제의 난이도나 우연성에 원인을 귀속시키는 경향이 강하다.
4. 동기부여 이론
동기 부여 이론은 인간의 행동을 유발하고 유지하는 심리적 과정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을 포괄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사람들이 왜 특정 행동을 선택하고,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얼마나 오랫동안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12]
동기 부여 이론은 크게 내용 이론과 과정 이론으로 나눌 수 있다. 내용 이론은 사람들을 동기 부여하는 내적 요인(욕구, 충동, 욕망 등)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123] 과정 이론은 사람들이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지적, 정서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123]
켈러의 학습 동기 이론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주의(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의 네 가지 범주로 제시한다.
- 주의(Attention):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학습 자극에 흥미를 가지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관련성(Relevance): 학습자는 학습 내용이 자신의 개인적 흥미나 삶의 목적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긍정적인 해답을 찾을 때 동기가 유지된다.
- 자신감(Confidence): 학습자는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때 동기가 유발되고 유지된다.
- 만족감(Satisfaction): 학습 결과가 자신의 기대와 일치하고 만족스러울 때 학습 동기는 계속 유지된다.
단기 동기와 장기 동기는 동기 부여의 지속 시간에 따라 구분된다. 단기 동기는 즉각적인 보상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89] 장기 동기는 더 먼 미래의 목표 달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포함한다.[89] 예를 들어, 건강을 유지하려는 장기 동기와 담배를 피우려는 단기 동기는 서로 상충될 수 있다.[94]
한편, 사회심리학 및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주요 동기로 자존감 욕구와 정확성, 더 나은 선택을 위한 예측에서 사회인지라는 동기를 가정한다.[187][188][189][190][191]
4. 1. 내용 이론
내용 이론은 사람들을 동기 부여하는 내적 요인(욕구, 충동, 욕망 등)을 설명한다. 대표적인 내용 이론으로는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 이론, 프레드릭 허츠버그의 이중 요인 이론, 맥클랜드의 학습된 욕구 이론 등이 있다.1940년대 심리학에서는 동기감소이론이 주류였다. 예를 들어 사람은 목이 마르면 그 동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물을 마시고, 그에 따라 동기가 저하되면 그 행동이 강화된다고 생각했다. 이는 인간은 불쾌한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 행동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171][172]
아브라함 매슬로우는 '''자기실현론(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설)'''을 제창했다. 매슬로우의 자기실현이론에서 성장 욕구는 동기감소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욕구이다. 이 외에도 감각 차단 실험[175] 및 붉은털원숭이 실험[176] 등 동기감소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건이나 욕구가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다.[171]
동기감소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건이나 욕구가 존재함에 따라, '''에드워드 L. 데시'''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동기 부여를 분류했다.
현대에는 동기 부여를 크게 '''생리적 동기 부여'''와 '''사회적 동기 부여'''로 분류한다. 또한, 사회적 동기 부여는 성취 동기 부여, 내재적 동기 부여, 외재적 동기 부여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생리적 동기 부여''': 생명을 유지하고 종족을 보존하기 위한 본능적인 동기이다. 굶주림, 수면, 배설, 신체적 손상 회복 등을 포함하며, 생물학적 동기라고도 한다.[181]
- '''사회심리학적 동기 부여'''
- '''달성 동기 부여''': 평가를 수반하는 상황에서 높은 수준으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 부여이다. 존 아디어는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관심을 끌고 노력을 집중시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했다. 머레이는 달성 동기를 달성 요구의 관점에서 생각하여, 인간은 스스로 높은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욕구가 있으며, 이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고 가정하고, 달성 동기는 성공 욕망과 실패 공포의 두 가지 욕구로 구성된다고 했다. 아킨슨은 성공 욕망과 실패 공포뿐만 아니라, 주변 상황의 기대와 가치관, 성공과 실패의 가치 및 기대도 달성 동기에 영향을 준다고 했다. 달성 행동은 행동 결과의 원인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도 영향을 받는다. 결과의 원인으로는 능력, 노력, 문제의 난이도, 우연성의 네 가지를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달성 동기가 높은 사람은 내적 요인인 능력이나 노력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달성 동기가 낮은 사람은 외적 요인인 문제의 난이도나 우연성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 '''내발적 동기부여''': 호기심이나 관심으로 인해 생기는 동기부여이며, 보상이나 처벌에 의존하지 않는 행동이다. 특히 유아기에 자주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아이가 TV 게임에 열중하는 것은 보상이나 처벌이 아니라 단순히 게임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지적 호기심뿐만 아니라, 스스로 과제를 설정하고 달성하려는 상황에서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율성과 해결을 통해 얻어지는 유능감도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발적 동기부여에 기반한 행동(예: 학습)은 매우 효율적이고 지속적이다. 이를 기르기 위해서는 도전적이고 선택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문제 해결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171][183]
- '''외발적 동기부여''': 의무, 상벌, 강제 등에 의해 야기되는 동기부여이다. 내발적 동기부여와 달리 행동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시험에서 고득점을 얻기 위해 공부하거나 승진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강제된 외발적 동기부여가 가장 자발성이 낮지만, 자신의 가치관이나 인생 목표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자율성이 높아진 외발적 동기부여로 간주될 수 있다. 외발적 동기부여는 내발적 동기부여와 양립할 수 있으며, 자율성이 높은 외발적 동기부여는 내발적 동기부여와 거의 유사한 행동을 보인다.[171]
더글러스 맥그리거가 제창한 “'''맥그리거의 X이론·Y이론'''”도 주요한 동기 부여 이론이다. 이 이론은 자기실현 이론(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설)을 경영 조직의 관점에서 발전시킨 것으로, 사람의 부정적인 부분을 “X”, 긍정적인 부분을 “Y”라고 명명하고, 관리자는 X와 Y에 해당하는 인재에게 적합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184][185]
이 외에도 '''맥클렐란드의 욕구이론''', '''메이요의 호손 실험''', '''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 이론''', '''역량 이론''' 등 다양한 동기 부여 이론이 존재한다.[184][185]
4. 1. 1.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 이론
매슬로우는 인간에게 여러 종류의 욕구가 있으며, 이러한 욕구가 동기 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욕구가 하위 욕구와 상위 욕구로 구성된 계층 구조를 이룬다고 보았다.[125] 하위 욕구는 생리적 수준에 속하며, 음식, 물, 주거와 같이 부족한 것을 채우려는 '결핍' 욕구이다. 반면 상위 욕구는 심리적 수준에 속하며, 자존감, 개인적 발전 등 성장 잠재력과 관련이 있다.[125]매슬로우 이론의 핵심은 '진보 원리'와 '결핍 원리'이다. 이는 하위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 욕구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음식이나 주거와 같은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존경이나 자아실현과 같은 상위 욕구는 동기 부여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126]
하지만 개인의 삶의 단계에 따라 어떤 욕구가 더 큰 영향을 주는지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아이들은 우정을 존중이나 여론보다 우선시할 수 있다.[127]
클레이턴 알더퍼는 ERG 이론을 통해 매슬로우의 욕구 계층 이론을 확장했다.[128]
4. 1. 2. 허츠버그의 이중 요인 이론
허츠버그의 이중 요인 이론은 프레드릭 허츠버그가 제창한 이론으로, 직무 만족과 관련된 "동기 요인"과 불만족과 관련된 "위생 요인"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동기를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미국 피츠버그에서 약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실증 실험을 통해 도출되었다. 피험자들은 "직무상 어떤 것에 대해 행복이나 만족을 얻었는가", "직무상 어떤 것에 대해 불행이나 불만을 얻었는가"라는 두 가지 질문을 받았다.[184][185]허츠버그는 직무 환경과 조건에 관련된 위생 요인과 직무 자체와 관련된 동기 부여 요인을 구분한다. 위생 요인에는 회사 정책, 감독, 급여 및 직업 안정성 등이 포함되며, 이는 직무 불만족과 관련된 부정적인 행동(예: 잦은 결근, 노력 감소)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동기 부여 요인에는 작업의 성격과 관련된 책임, 인정, 개인적 및 직업적 성장 기회 등이 포함되며, 이는 직무 만족뿐만 아니라 헌신과 창의성 증가에도 영향을 미친다.[129]
이 이론에 따르면, 급여와 직업 안정성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상위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근로자의 동기를 완전히 부여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128]
4. 1. 3. 맥클랜드의 학습된 욕구 이론
맥클랜드의 학습된 욕구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소속, 권력, 업적의 세 가지 주요 욕구를 가진다. 소속 욕구는 타인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이며, 권력 욕구는 주변 환경을 통제하고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업적 욕구는 야심 찬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자 하는 욕구와 관련이 있다. 맥클랜드는 이러한 욕구가 모든 사람에게 존재하지만, 그 정확한 형태와 강도, 표현은 문화적 영향과 개인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130] 예를 들어 소속 지향적인 개인은 주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동기가 부여되는 반면, 업적 지향적인 개인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개인적 우수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개인주의 문화에서의 업적 욕구에 대한 초점과 대조적으로 소속 욕구에 더 많은 강조가 주어지는 경향이 있다.[131] 한국 사회는 집단주의적 문화의 영향으로 소속 욕구가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4. 2. 과정 이론
과정 이론은 사람들이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과정을 설명한다. 과정 이론에는 기대 이론, 목표 설정 이론, 자기 결정 이론, 강화 이론 등이 있다.- '''기대 이론:''' 빅터 H. 브룸이 기초를 세우고, 레이먼 포터와 에드워드 로러 3세가 발전시켰으며, 스테판 로빈스가 널리 알린 이론이다. 사람의 행동은 그 행동이 정해진 보상으로 이어진다는 기대와 달성하는 성과가 본인에게 얼마나 매력적인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 '''목표 설정 이론:''' 에드윈 로크와 게일 레이섬이 제시한 이론으로, 설정한 목표의 내용에 따라 동기 부여가 크게 좌우된다고 주장한다.
- '''자기 결정 이론:'''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분류하여 발전시킨 이론으로, 인간의 동기에 대한 거시 이론이다. 내재적 동기에 이르는 과정을 탐구한다.
- '''강화 이론:''' 이전 행동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결과에 따라 동기가 강화되거나 약화된다는 이론이다.[186]
이 외에도, 켈러(Keller)의 학습 동기, 학업 수행 및 교수 영향에 관한 이론은 개인이 어떤 과제를 해결하려는 '노력'과 실제 수행,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변인과 환경 변인을 통합한 거시 이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 켈러는 동기 이론을 통해 인간의 동기를 결정짓는 다양한 변인들과 관련된 개념을 주의(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의 네 가지 범주로 제시하였다.
단기 동기와 장기 동기는 기저 동기 메커니즘의 시간적 지평선과 지속 기간에 따라 구분된다. 단기 동기는 즉각적이거나 가까운 미래에 보상을 얻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89] 장기 동기는 더 먼 미래의 목표에 대한 지속적인 헌신을 포함한다.[89] 예를 들어 건강을 유지하려는 장기 동기와 담배를 피우려는 단기 동기는 서로 상충될 수 있다.[94]
4. 2. 1. 기대 이론
현대 동기 부여 연구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인 '''기대이론'''은 빅터 H. 브룸(Victor H. Vroom)이 기초를 다졌고, 레이먼 포터(Raymond E. Porter)와 에드워드 로러 3세(Edward E. Lawler III)가 발전시켰으며, 스테판 로빈스(Stephen P. Robbins)가 널리 알렸다.[184][185] 로빈스가 널리 알린 기대이론에 따르면, 사람의 행동은 그 행동이 정해진 보상으로 이어진다는 기대와 달성하는 성과가 본인에게 얼마나 매력적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노력''', '''성과''', '''매력'''의 세 변수의 곱으로 결정되며, 이 세 가지 요소가 결합하여 높은 동기 부여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184][185]4. 2. 2. 목표 설정 이론
에드윈 로크(Edwin Locke)와 게일 레이섬(Gary Latham)이 제시한 목표설정이론에 따르면, 설정한 목표의 내용에 따라 동기 부여가 크게 달라진다. 단순히 목표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는 동기 부여 효과가 없으며, 자기효능감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에 대한 목표 설정 내용이 중요하다. 목표 설정에는 '''목표의 난이도''', '''목표의 구체성''', '''목표의 수용성''', '''피드백'''의 네 가지 요건이 필요하다. 이 네 가지 요건은 목표 달성 가능성, 달성 기간, 목표 참여 적극성, 동기 부여 지속 가능성 등이 명확해야 함을 의미한다.[184][185]4. 2. 3. 자기 결정 이론
(자세한 내용은 자기결정이론(SDT)를 참조하십시오.)자기결정이론(SDT)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분류하여 발전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인간의 동기에 대한 거시이론으로, 내재적 동기에 이르는 과정을 탐구하는 이론이다.[177] 자기결정이론의 기반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연속성”과 “3가지 기본 욕구”이다.[177]
이 이론에서는 내재적 동기에 이르는 과정을 자율성의 관점에서 분류했다.[177]
무동기 | 외재적 동기 | 내재적 동기 | ||||
---|---|---|---|---|---|---|
자기조정 | 없음 | 외적 조정 | 흡수적 조정 | 동일화적 조정 | 통합적 조정 | 내재적 조정 |
행동의 이유 | 하고 싶지 않음 | 보상이나 처벌 때문에 | 의무감 때문에 |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 목적이나 가치관과 일치하기 때문에 | 보람이나 즐거움이 있기 때문에 |
※ 외재적 동기의 자율성을 높여도 내재적 동기가 되지는 않는다.(외재적 동기: 수단 · 내재적 동기: 목적)[171]
자기결정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3가지 기본 욕구는 “유능감”, “관계성”, “자율성”이다.[177][180]
- 유능감의 욕구란 “자신에게는 능력이 있다고 느끼고 싶다”는 욕구이다. 이는 자신에게 능력이 있고 사회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고 싶기 때문이다.[180]
- 관계성의 욕구란 “타인과 정신적인 관계를 맺고 싶다”는 욕구이다. 이는 타인과 존중하며 정신적인 관계를 맺고 싶기 때문이다.[180]
- 자율성의 욕구란 “자신의 행동은 스스로 결정하고 있다고 느끼고 싶다”는 욕구이다. 자신의 행동은 자신이 자발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며, 타인에게 강요받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느끼고 싶기 때문이다.[180]
3가지 욕구 중에서 자율성이 가장 중요시되며, “행동을 스스로 결정했다”고 더 강하게 느낄수록 심리적 만족감이 높아진다. 보상이나 처벌이 주어져 외재적 동기가 작용하면, 그 주는 사람에게 통제받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자율성이 저하되어 자발적으로 행동하기 어려워진다.[180]
4. 2. 4. 강화 이론
이전 행동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결과에 따라 동기가 강화되거나 약화된다.[186] 벌, 강제 등에 의해 초래되는 동기 부여는 외부 발생적 동기 부여에 해당하며, 행동 그 자체가 목적인 자연 발생적 동기 부여와는 달리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강제당한 외부 발생적 동기 부여는 자발성이 낮지만, 자기 가치관이나 인생 목표와 일치하는 경우 자율성이 높은 외부 발생적 동기 부여라고 할 수 있다. 외부 발생적 동기 부여는 자연 발생적 동기 부여와 양립할 수 있으며, 자율성이 높은 경우 자연 발생적 동기 부여와 거의 같은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4. 3. 동인 저감 이론과 자기실현 이론 (일본어 위키백과)
1940년대 심리학에서는 동기감소이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목이 마르면 물을 마시는 것처럼 불쾌한 상태를 줄이기 위해 행동한다. 즉, 인간은 불쾌한 상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행동하지 않는다고 보았다.[171][172]아브라함 매슬로우는 1943년 자기실현이론(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설)을 제창하며 인간의 욕구를 5가지 단계로 분류했다. 그는 피라미드 형태를 통해 욕구를 설명했는데, 가장 아래 단계부터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회적 욕구''', '''존중 욕구''', '''자아실현 욕구'''이다.[173][174]
매슬로우는 이 욕구들을 '''결핍 욕구'''와 '''성장 욕구'''로 나누었다. 결핍 욕구는 부족한 것을 채우려는 욕구(생리적, 안전, 사회적, 존중 욕구)이다. 성장 욕구는 자신을 성장시키려는 욕구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하나가 충족되면 다음 욕구가 나타난다. 자아실현 욕구가 이에 해당한다.[173][174]
매슬로우의 자기실현이론에서 성장 욕구는 동기감소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감각 차단 실험(Heron)[175] 및 붉은털원숭이 실험(Harlow)[176] 등 동기감소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 밝혀지면서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게 되었다.[171]
에드워드 L. 데시와 리처드 M. 라이언은 동기 부여를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분류했다.[171] 내재적 동기는 호기심이나 관심에서 비롯되며 보상, 처벌에 의존하지 않는다. 아이가 게임에 열중하는 것은 게임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외재적 동기는 의무, 상벌, 강제 등에 의해 발생하며,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행동한다.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공부하거나 승진을 위해 일하는 경우가 해당한다.
4. 3. 1. 자기 결정론 (일본어 위키백과)
(자세한 내용은 자기결정이론(SDT)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자기결정이론(SDT)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분류하고 발전시킨 이론으로, 인간 동기에 대한 거시 이론이다. 자기결정이론은 내재적 동기에 이르는 과정을 탐구하며,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연속성”과 “3가지 기본 욕구”를 기반으로 한다.[177]
이 이론에서는 내재적 동기에 이르는 과정을 자율성 관점에서 분류했다.[177]
무동기 | 외재적 동기 | 내재적 동기 | ||||
---|---|---|---|---|---|---|
자기조정 | 없음 | 외적 조정 | 흡수적 조정 | 동일화적 조정 | 통합적 조정 | 내재적 조정 |
행동의 이유 | 하고 싶지 않음 | 보상이나 처벌 때문에 | 의무감 때문에 |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 목적이나 가치관과 일치하기 때문에 | 보람이나 즐거움이 있기 때문에 |
※ 외재적 동기의 자율성을 높여도 내재적 동기가 되지는 않는다. (외재적 동기: 수단, 내재적 동기: 목적)[171]
자기결정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3가지 기본 욕구는 “유능감”, “관계성”, “자율성”이다.[177][180]
- 유능감 욕구: “자신에게는 능력이 있다고 느끼고 싶다”는 욕구이다. 이는 자신에게 능력이 있고 사회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고 싶기 때문이다.[180]
- 관계성 욕구: “타인과 정신적인 관계를 맺고 싶다”는 욕구이다. 이는 타인과 존중하며 정신적인 관계를 맺고 싶기 때문이다.[180]
- 자율성 욕구: “자신의 행동은 스스로 결정하고 있다고 느끼고 싶다”는 욕구이다. 자신의 행동은 자신이 자발적으로 하는 것이며, 타인에게 강요받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느끼고 싶기 때문이다.[180]
3가지 욕구 중에서 자율성이 가장 중요시되며, “행동을 스스로 결정했다”고 더 강하게 느낄수록 심리적 만족감이 높아진다. 보상이나 처벌이 주어져 외재적 동기가 작용하면, 그 주는 사람에게 통제받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자율성이 저하되어 자발적으로 행동하기 어려워진다.[180]
5. 다양한 분야에서의 동기부여
동기 부여는 교육, 직업, 스포츠, 범죄, 자기계발, 경제, 비디오 게임,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교육''': 동기 부여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와 학업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국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직업''': 직무 동기 부여는 조직의 생산성과 직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국 기업들은 직원의 동기 부여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특히 MZ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동기 부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스포츠''': 동기 부여는 운동 선수의 훈련, 경기력, 그리고 스포츠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다.
- '''범죄''': 범죄의 동기는 형법에서 중요한 측면이며, 피고인의 유죄를 판단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1. 신경학
신경학은 동기 부여를 생리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분야이다.[10] 뇌의 특정 영역과 신경 전달 물질과 같은 신경 기전을 조사하여 동기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연구한다.[10]5. 2. 교육
동기 부여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와 학업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내적 동기는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며 즐거움, 호기심, 성취감과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주도된다. 사람들이 활동 자체를 위해 활동을 추구할 때 발생하며, 정서적 또는 인지적 요인 때문일 수 있다.[62] 예를 들어, 점심 시간에 단지 즐거움 때문에 농구를 하는 것은 내적 동기에 해당한다.[5]외적 동기는 보상, 처벌 또는 타인의 인정과 같은 외부 요인에서 발생한다. 이는 사람들이 활동 자체가 아닌 활동의 효과 또는 결과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활동에 참여할 때 발생한다.[63] 예를 들어, 학생이 부모에게 벌을 받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숙제를 한다면 외적 동기가 작용하는 것이다.[64]
내적 동기는 외적 동기보다 종종 더 높이 평가된다. 내적 동기는 진정한 열정, 창의성, 목적 의식 및 개인적 자율성과 관련이 있으며, 더 강한 헌신과 끈기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의 중요한 요소이다.[65] 교육 분야에서 내적 동기는 고품질 학습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67] 그러나 외적 동기에는 특정한 장점도 있는데,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재미있거나 즐겁게 생각하지 않는 유용하거나 필요한 작업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68]
한국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5. 3. 직업
직무 동기 부여는 조직의 생산성과 직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국 기업들은 직원의 동기 부여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특히 MZ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동기 부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직장 환경에서의 동기 부여 이론은 프레더릭 테일러가 1911년에 발표한 "과학적 관리법"에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184] 테일러는 과업 관리를 통해 작업을 명확히 하고, 직원들의 각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을 연구하는 시간 연구와 효율적인 움직임을 조사하는 동작 연구를 수행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각 업무의 작업 내용과 절차를 매뉴얼화 및 표준화하여 업무의 "가시화"를 실현했다.[184] 그 외에도 성과에 따라 보상을 결정하는 차등 성과급 제도와, 직종별로 전문 직종을 설치하고 책임자를 두는 직능별 조직도 이 과학적 관리법에서 유래한다.[184]
5. 4. 스포츠

동기 부여는 운동 선수의 훈련, 경기력, 그리고 스포츠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다.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는 동기의 근원에 따라 구분된다. 내적 동기는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며 즐거움, 호기심, 성취감과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주도된다. 외적 동기는 보상, 처벌, 타인의 인정과 같은 외부 요인에서 발생한다. 스포츠에서 내적 동기의 예로는 즐거움 때문에 농구를 하는 사람이 있다.[5]
내적 동기는 진정한 열정, 창의성, 목적 의식 및 개인적 자율성과 관련이 있으며, 더 강한 헌신과 끈기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어 외적 동기보다 종종 더 높이 평가된다. 또한 내적 동기는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의 중요한 요소이다.[65] 그러나 외적 동기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재미있거나 즐겁게 생각하지 않는 유용하거나 필요한 작업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특정한 장점도 있다.[68]
하나의 행동은 내적 동기만으로, 외적 동기만으로 또는 두 가지 모두의 결합으로 동기가 부여될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존재하는 경우, 높은 금전적 보상과 같은 강력한 외적 동기의 존재는 내적 동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적절한 상황에서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결합된 효과가 더 높은 성과로 이어진다.[69]
5. 5. 범죄
범죄의 동기는 형법에서 중요한 측면이며, 피고인의 유죄를 판단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6. 기타 분야
자기계발, 건강, 경제, 비디오 게임,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동기 부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참조
[1]
논문
Hagger, Chatzisarantis (2005)
https://books.google[...]
2005
[1]
논문
Brehm (2014)
https://books.google[...]
2014
[1]
논문
Helms (2000)
https://www.encyclop[...]
2000
[2]
논문
Filipp (2002)
https://www.encyclop[...]
2002
[2]
논문
Kazdin (2000)
https://www.apa.org/[...]
2000
[2]
논문
Helms (2000)
https://www.encyclop[...]
2000
[3]
논문
Hagger, Chatzisarantis (2005)
https://books.google[...]
2005
[3]
논문
Nicholson (1998)
1998
[4]
논문
Mele (2003)
2003
[4]
논문
Fischer (2005)
https://books.google[...]
2005
[4]
논문
Solomon (2006)
https://books.google[...]
2006
[5]
논문
Brehm (2014)
https://books.google[...]
2014
[6]
논문
MW staff (2023)
2023
[6]
논문
HC staff (2022)
2022
[7]
논문
Brehm (2014)
https://books.google[...]
2014
[7]
논문
Helms (2000)
https://www.encyclop[...]
2000
[8]
논문
Brehm (2014)
https://books.google[...]
2014
[8]
논문
Cofer, Petri (2023)
2023
[9]
논문
Shah, Gardner (2013)
2013
[10]
논문
Robbins, Everitt (1996)
1996
[10]
논문
Kim (2013)
2013
[11]
논문
Mele (2005)
2005
[11]
논문
Miller (2008)
2008
[11]
논문
Cofer, Petri (2023)
2023
[11]
논문
Mele (2003)
2003
[12]
논문
Nicholson (1998)
1998
[13]
논문
Touré-Tillery, Fishbach (2014)
2014
[13]
논문
Mubeen, Reid (2014)
2014
[14]
논문
Touré-Tillery, Fishbach (2014)
2014
[15]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15]
논문
Pinder (2014)
https://books.google[...]
2014
[15]
논문
Helms (2000)
https://www.encyclop[...]
2000
[15]
논문
Golembiewski (2000)
https://books.google[...]
2000
[15]
논문
Merrick, Maher (2009)
https://books.google[...]
2009
[16]
논문
Pinder (2014)
https://books.google[...]
2014
[16]
논문
Helms (2000)
https://www.encyclop[...]
2000
[17]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17]
논문
Pinder (2014)
https://books.google[...]
2014
[18]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19]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20]
논문
Miller (2008)
2008
[20]
논문
Cofer, Petri (2023)
https://www.britanni[...]
2023
[21]
논문
Pinder (2014)
https://books.google[...]
2014
[21]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22]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23]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24]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24]
논문
Mele (2003)
2003
[25]
논문
Mele (2003)
2003
[26]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27]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28]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29]
논문
Pinder (2014)
https://books.google[...]
2014
[29]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30]
논문
O'Shaughnessy (2012)
https://books.google[...]
2012
[30]
논문
Kleinginna, Kleinginna (1981)
1981
[31]
논문
Fuchs (2008)
2008
[32]
논문
Levine, Moreland (2008)
https://books.google[...]
2008
[32]
논문
Mills, Mills, Bratton, Forshaw (2006)
https://books.google[...]
2006
[33]
논문
Maier (2022)
https://plato.stanfo[...]
2022
[34]
논문
Brehm (2014)
https://books.google[...]
2014
[34]
논문
Chen (2019)
https://books.google[...]
2019
[35]
논문
Harris (2017)
https://books.google[...]
2017
[36]
서적
https://books.google[...]
2007
[37]
서적
https://books.google[...]
1990
[38]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2005, 2015, 2008
[39]
서적
2008, 1995
[40]
서적
2003, 2008
[41]
서적
2003
[42]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2012, 1998
[43]
서적
https://books.google[...]
2012, 2001
[44]
서적
1990, 2018
[45]
서적
https://books.google[...]
2018, 2017, 2013
[46]
서적
2017
[47]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1998, 2012
[48]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49]
서적
2003, 1995
[50]
서적
https://books.google[...]
1995, 2005, 2013, 1934
[51]
서적
2020
[52]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53]
서적
https://books.google[...]
2012
[54]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1998
[55]
서적
https://books.google[...]
2010, 2012, 2015, 2008
[56]
서적
https://books.google[...]
2012, 2010, 2015, 2008
[57]
서적
https://books.google[...]
2015
[58]
서적
https://books.google[...]
2012, 2015
[59]
서적
https://books.google[...]
2016, 2013
[60]
서적
https://books.google[...]
2008
[61]
서적
https://books.google[...]
2019, 2005, 2009, 2007
[62]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2015
[63]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2015
[64]
서적
https://books.google[...]
2000, 2014
[65]
서적
https://books.google[...]
2000, 2014
[66]
서적
https://books.google[...]
2018, 2022, 2000
[67]
서적
2000
[68]
서적
2000
[69]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2018
[70]
서적
https://books.google[...]
2010, 1988
[71]
서적
Conscious and Unconscious Motives
https://www.cambridg[...]
1988
[72]
multiref
Conscious and Unconscious Motives
https://www.cambridg[...]
1988
[73]
서적
Conscious and Unconscious Motives
https://www.cambridg[...]
1988
[74]
서적
2010
[75]
multiref
Conscious and Unconscious Motives
https://www.cambridg[...]
1988
[76]
multiref
https://books.google[...]
2016
[77]
multiref
https://books.google[...]
2004
[78]
multiref
https://books.google[...]
2004
[79]
multiref
https://books.google[...]
2012
[80]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81]
multiref
https://books.google[...]
2016
[82]
multiref
https://books.google[...]
2009
[83]
웹사이트
Motivation as Arousal
https://www.britanni[...]
2023
[84]
서적
1979
[85]
multiref
https://books.google[...]
1979
[86]
웹사이트
Cognitive motivation
https://www.britanni[...]
2023
[87]
multiref
https://books.google[...]
2009
[88]
multiref
Motivation as Arousal, Cognitive motivation
https://www.britanni[...]
1979
[89]
multiref
https://www.emerald.[...]
2021
[90]
서적
https://books.google[...]
2007
[91]
간행물
https://www.emerald.[...]
2021
[92]
multiref
https://books.google[...]
2017
[93]
서적
https://books.google[...]
2010
[94]
서적
https://books.google[...]
2017
[95]
multiref
https://books.google[...]
2014
[96]
multiref
https://books.google[...]
1987
[97]
multiref
https://books.google[...]
2010
[98]
서적
https://books.google[...]
2011
[99]
multiref
https://books.google[...]
2015
[100]
multiref
https://books.google[...]
2004
[101]
multiref
Moral Motivation
https://link.springe[...]
2020
[102]
서적
https://books.google[...]
1992
[103]
multiref
Moral Motivation
https://link.springe[...]
2020
[104]
서적
Moral Motivation
https://link.springe[...]
2020
[105]
multiref
https://books.google[...]
2023
[106]
서적
Sorrentino and Yamaguchi (2011)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1
[107]
서적
Hill (2001)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1
[108]
서적
Colgan (1989) and Messer & Messer (2002)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989, 2002
[109]
서적
Colgan (1989)
1989
[110]
서적
Wagner (2021), Guillen (2020), and Messer & Messer (2002)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21, 2020, 2002
[111]
서적
Banerjee & Halder (2021) and Brehm (2014)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21, 2014
[112]
서적
Banerjee & Halder (2021)
2021
[113]
서적
Urdan & Pajares (2008) and Banerjee & Halder (2021)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8, 2021
[114]
서적
Papaioannou & Hackfort (2014) and Lamb et al. (2020)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4, 2020
[115]
서적
Peteet et al. (2021) and Jenkins (2021)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21
[116]
서적
Townsend & Morgan (2017) and Ozaki & Wada (2001)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7, 2001
[117]
서적
Marin & Wilkosz (2005) and Palmisano et al. (2020)
2005, 2020
[118]
웹사이트, 서적
Stroud & Svirsky (2021), Southwood (2016), and Grill & Hanna (2018)
https://plato.stanfo[...]
2021, 2016, 2018
[119]
서적
Sinhababu (2017)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7
[120]
서적
Southwood (2016)
2016
[121]
서적, 웹사이트
Kaushik (2023), Gorman (2004), and Helms (2000)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Encyclopedia.com
2023, 2004, 2000
[122]
서적
Cofer & Petri (2023) and García & Lind (2018)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23, 2018
[123]
웹사이트, 서적
Helms (2000), Naoum (2001), Sinding (2018), and Borkowski (2011)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Google Books
2000, 2001, 2018, 2011
[124]
서적
Sanderson & Huffman (2019), Carpenter & Huffman (2012), and Huffman et al. (2017)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9, 2012, 2017
[125]
서적, 웹사이트
Bess & Dee (2023), Avis (2009), and Helms (2000)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Encyclopedia.com
2023, 2009, 2000
[126]
서적, 웹사이트
Schermerhorn (2011) and Helms (2000)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Encyclopedia.com
2011, 2000
[127]
서적
Hornberger et al. (2006) and Saracho (2019)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6, 2019
[128]
웹사이트
Helms (2000)
https://www.encyclop[...]
2000
[129]
웹사이트, 서적
Helms (2000), Sinding (2018), and Needham & Dransfield (1995)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Google Books
2000, 2018, 1995
[130]
웹사이트, 서적
Helms (2000) and Chapman & Schwartz (2010)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Google Books
2000, 2010
[131]
서적
Thomas (2008) and Scarborough (1998)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8, 1998
[132]
웹사이트, 서적
Helms (2000), Schermerhorn et al. (2011), and Lunenburg & Ornstein (2021)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Google Books
2000, 2011, 2021
[133]
웹사이트, 서적
Helms (2000) and Lunenburg & Ornstein (2021)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Google Books
2000, 2021
[134]
웹사이트, 서적
Helms (2000) and Sinding (2018)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Google Books
2000, 2018
[135]
서적
Brehm (2014) and Laasch (2021)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4, 2021
[136]
서적, 웹사이트
Borkowski (2011), Cofer & Petri (2023), and Helms (2000)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Encyclopedia.com
2011, 2023, 2000
[137]
서적, 웹사이트
Simpson & Balsam (2016), Ivanov et al. (2012), and Volkow et al. (1996)
https://www.ncbi.nlm[...]
NCBI
2016, 2012, 1996
[138]
서적
Simpson & Balsam (2016)
2016
[139]
서적
Simpson & Balsam (2016)
2016
[140]
서적
Simpson & Balsam (2016)
2016
[141]
논문
null
null
[142]
논문
null
https://www.ncbi.nlm[...]
null
[143]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44]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45]
논문
null
null
[146]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47]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48]
백과사전
Motivation and motivation theory
https://www.encyclop[...]
null
[149]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50]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51]
백과사전
employee motivation
https://books.google[...]
null
[152]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53]
논문
null
https://www.encyclop[...]
null
[154]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55]
백과사전
employee motivation
https://www.encyclop[...]
null
[156]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57]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58]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59]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0]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1]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2]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3]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4]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5]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6]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7]
논문
null
https://link.springe[...]
null
[168]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69]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70]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171]
웹사이트
(3) 【公認心理師試験対策】動機づけ - YouTube
https://www.youtube.[...]
2024-03-31
[172]
웹사이트
動機づけ !! 心理学用語集サイコタム
https://psychoterm.j[...]
2024-03-31
[173]
웹사이트
マズローの欲求5段階説とは?自己実現理論を階層ごとに分けて簡単に説明 !! やさびと心理学
https://yasabito.com[...]
2024-03-31
[174]
웹사이트
マズローの欲求5段階説|誤解されやすい承認欲求や自己実現欲求を臨床心理士が解説 !! 東京カウンセリングオフィス
https://tokyoco.jp/h[...]
2024-03-31
[175]
문서
null
[176]
문서
アカゲザルとパズル実験
[177]
웹사이트
自己決定理論とは? 3つの軸と5段階のプロセスを理解して、内発的動機づけを促そう│LearnTern(ラン・タン)
https://learn-tern.c[...]
2024-03-31
[178]
문서
自己決定の度合い
[179]
웹사이트
動機付けとは?ビジネスにおける「やる気」の高め方を徹底解説 【中途採用ノウハウ】 {{!}} リクルートエージェント
https://www.r-agent.[...]
2024-03-31
[180]
웹사이트
自己決定理論とは?重要な3欲求や内発的動機づけまでの段階を解説 {{!}} Musubuライブラリ
https://library.musu[...]
2024-03-31
[181]
서적
スタディガイド心理学
ナカニシヤ出版
2007
[182]
서적
Effective Motivation
Pan
1996
[183]
서적
スタディガイド心理学
ナカニシヤ出版
2007
[184]
웹사이트
モチベーション理論(動機づけ理論)とは?10種類の概要と活用例 – 3rd ROOM
https://media.spacee[...]
2024-03-31
[185]
웹사이트
【動機づけ理論】ハーズバーグ、ブルーム、デシ、マグレガー、マクレランド
https://sw.self-suff[...]
2024-03-31
[186]
저널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http://s-space.snu.a[...]
2012-00-00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추정 불가능.
[187]
논문
Psychological sources of ambiguity avoidance
https://www.scienced[...]
1986-10-00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추정 불가능.
[188]
서적
Human Inference: Strategies and Shortcomings of Social Judgment
https://philpapers.o[...]
Prentice-Hall
1980
[189]
서적
Social Psychology
Pearson
[190]
서적
Social Cognition: From Brains to Culture -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191]
논문
The cognitive perspective in social psychology
https://www.scirp.or[...]
Random Hou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