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름야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름야자는 열매와 씨앗에서 팜유와 팜핵유를 얻는 열대 식물이다. 아시아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키가 10~20m까지 자란다. 팜유는 식용유, 공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아프리카 전통 의학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름야자 재배는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미치며, 생물 다양성 감소, 삼림 벌채, 온실 가스 배출량 증가 등의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 지속 가능한 팜유 생산을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룬디의 식물상 - 타마린드
    타마린드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인 콩과 상록교목으로, 신맛이 나는 과육이 있는 꼬투리 열매는 요리, 음료, 의학,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요 작물로 재배된다.
  • 부룬디의 식물상 - 우단콩
    우단콩은 15m 이상 자라는 덩굴성 관목으로, 가려움을 유발하는 털이 있는 꼬투리에 L-도파를 함유한 씨앗을 가지고 있으며, 사료, 녹비 작물, 약용 등으로 사용된다.
  • 콩고 공화국의 식물상 - 오무보로
  • 콩고 공화국의 식물상 - 말라바시금치
    말라바시금치는 덩굴성 식물로 잎과 줄기를 식용하며, 열대 기후에서 잘 자라고 비타민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하다.
  • 스리랑카의 나무 - 리모니아
    리모니아(우드애플)는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가 원산지인 높이 9m까지 자라는 큰 나무로, 감귤 향이 나는 잎과 단단한 껍질을 가진 열매를 맺으며, 열매는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주스, 잼 등으로 가공된다.
  • 스리랑카의 나무 - 카시아 (식물)
    황금비 나무라고도 불리는 카시아는 아름다운 노란색 꽃과 튼튼한 목재로 인해 관상용, 약용, 관광 자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낙엽성 나무이다.
기름야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프리카 기름 야자 (Elaeis guineensis)
아프리카 기름 야자 (Elaeis guineensis)
학명Elaeis guineensis Jacq.
이명Elaeis dybowskii Hua
E. macrophylla A.Chev. (nom. inval.)
E. madagascariensis (Jum. & H.Perrier) Becc.
E. melanococca Gaertn.
E. nigrescens (A.Chev.) Prain (nom. inval.)
E. virescens (A.Chev.) Prain
Palma oleosa Mill.
영어 이름African oil palm
분류
식물계 (Plantae)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 (angiosperms)
강 (계급 없음)외떡잎식물 (monocots)
아강 (계급 없음)닭의장풀군 (commelinids)
야자목 (Arecales)
야자과 (Arecaceae)
아프리카기름야자속 (Elaeis)
아프리카기름야자 (Elaeis guineensis)
분포
원산지아프리카
도입 지역전 세계 열대 지역
용도
주요 용도식용유 생산
기타 용도바이오 연료
화장품
기타 산업 제품
보전 상태
IUCN 적색 목록관심 필요 (LC)

2. 특징

기름야자는 키가 10~20m 정도로 곧게 자라는 식물이다. 잎은 깃꼴 겹잎이며, 암수 이 각각 원뿔 꽃차례로 핀다.[114] 지름 3~4cm 정도의 달걀 모양 열매가 1,000개 이상 모여 집합과를 형성한다.[115] 열매는 노란색, 붉은색, 갈색, 검은색 등 다양한 색을 띠며, 속에 검은 가 하나씩 들어 있다.[115]

2. 1. 형태

키는 10~20m 정도로 곧게 자란다.[115] 은 깃꼴 겹잎이고, 암수 이 각각 원뿔 꽃차례로 핀다.[114] 지름이 3~4cm 정도 되는 달걀 모양 열매가 1,000개 이상 모여서 집합과를 형성한다.[115] 열매는 노란색, 붉은색, 갈색, 검은색 등 여러 가지 색을 띠며, 속에 검은 가 하나씩 들어 있다.[115]

''E. 기네엔시스''는 외떡잎식물이다.[9] 성숙한 야자나무는 단일 줄기를 가지며 20m까지 자란다. 은 깃털 모양 겹잎이며 길이가 3m에서 5m에 달한다. 어린 야자나무는 1년에 약 30개의 잎을 생산하고, 10년 이상 된 야자나무는 1년에 약 20개의 잎을 생산한다. 은 밀집된 무리로 생산되며, 각 개별 꽃은 작고 3개의 꽃받침과 3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야자 열매는 수분 후 성숙까지 5~6개월이 걸린다. 붉은색을 띠며, 큰 자두 크기이고, 큰 송이로 자란다. 각 열매는 기름기가 많고 살이 많은 바깥층(과육)과 기름이 풍부한 단일 씨앗(야자 씨앗)으로 구성된다. 익으면 각 열매 송이의 무게는 야자나무의 나이에 따라 5kg에서 30kg 사이이다.

2. 2. 생태

키는 10~20m 정도로 곧게 자란다.[115] 은 깃꼴 겹잎이고, 암수 이 각각 원뿔 꽃차례로 핀다.[114] 지름이 3~4cm 정도 되는 달걀 모양 열매가 1,000개 이상 모여서 집합과를 형성한다.[115] 열매는 노란색, 붉은색, 갈색, 검은색 등 여러 가지 색을 띠며, 속에 검은 가 하나씩 들어 있다.[115]

''E. 기네엔시스''는 외떡잎식물이다.[9] 성숙한 야자나무는 단일 줄기를 가지며 20m까지 자란다. 은 깃털 모양 겹잎이며 길이가 3m에서 5m에 달한다. 어린 야자나무는 1년에 약 30개의 잎을 생산하고, 10년 이상 된 야자나무는 1년에 약 20개의 잎을 생산한다. 은 밀집된 무리로 생산되며, 각 개별 꽃은 작고 3개의 꽃받침과 3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야자 열매는 수분 후 성숙까지 5~6개월이 걸린다. 붉은색을 띠며, 큰 자두 크기이며, 큰 송이로 자란다. 각 열매는 기름기가 많고 살이 많은 바깥층(과육)과 기름이 풍부한 단일 씨앗(야자 씨앗)으로 구성된다. 익으면 각 열매 송이의 무게는 야자나무의 나이에 따라 5kg에서 30kg 사이이다.

3. 분포

아시아아프리카에 분포한다.[116] 동아프리카(르완다, 부룬디,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가봉,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카메룬,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서아프리카(가나, 기니,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베냉, 세네갈,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 토고), 남아프리카(앙골라)가 원산지이다.[116]

4. 역사

기름야자는 1848년 네덜란드에 의해 자바에 도입되었고,[49] 1910년에는 스코틀랜드 출신 윌리엄 심과 영국 은행가 헨리 다비에 의해 말레이시아(당시 영국 식민지)에 도입되었다. 종려나무 품종인 ''Elaeis guineensis''는 1961년 나이지리아 동부에서 말레이시아로 옮겨졌다. 원래 서아프리카에서 자랐다. 나이지리아 남부 해안은 처음 도착하여 이 상품을 거래한 유럽인들에 의해 원래 야자유 해안으로 불렸다. 이 지역은 나중에 비아프라 만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9]

전통 아프리카 의학에서 식물의 여러 부분은 하제이뇨제, 독극물 해독제, 임질, 월경과다, 기관지염 치료, 두통 및 류머티즘 치료, 신선한 상처의 치유 촉진 및 피부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50]

요루바교에서, 이것은 창조 신화와 관련되어 있는데, 오바탈라가 지구로 내려와 처음 발견한 나무로 여겨진다. 또한 오룬밀라의 세계의 축으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기름야자 잎은 종종 신성한 종교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지역을 표시하거나 전통적인 오리샤 의복에 포함되며, 그 씨앗은 또한 오룬밀라의 말을 바발라워에게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된다.[51]

캄보디아에서는 이 야자가 공공 정원에서 장식용 식물로 도입되었으며, 크메르어 이름은 ''dôô:ng préing'' (doong=야자, preing=기름)이다.[52]

말레이시아에서 최초의 농장은 대부분 Sime Darby 및 Boustead와 같은 영국 농장주에 의해 설립 및 운영되었으며, 말레이시아 정부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이들의 "말레이시아화"를 추진할 때까지 런던에 상장은 유지되었다.[53]

연방 토지 개발청(Felda)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약 90만 헥타르의 재배 면적을 가진 세계 최대의 기름야자 재배업체이다. Felda는 빈곤 퇴치를 주요 목표로 토지 개발법이 발효된 1956년 7월 1일에 설립되었다. 정착민들에게는 각각 10 에이커 (약 4 헥타르)의 토지가 할당되었으며, 기름야자 또는 고무가 심어져 있었고, 토지 대금을 20년 안에 갚도록 했다.[54]

1957년 말레이시아가 독립을 달성한 후, 정부는 고무 재배의 부가가치, 수출 증대, 토지 계획을 통한 빈곤 완화에 집중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정부가 주석과 고무의 세계 가격이 폭락했을 때 경제를 완충하기 위해 다른 작물의 재배를 장려했다. 고무 농장은 기름야자 농장으로 대체되었다. 1961년 Felda의 첫 번째 기름야자 정착지가 3.75km2의 토지에 개설되었다. 2000년 기준으로 Felda의 프로그램에 따른 토지의 6855.2km2(약 76%)가 기름야자에 할당되었다.[55] 2008년까지 Felda의 재정착은 말레이시아 전역의 8533.13km2의 농지에서 일하는 112,635 가구로 확대되었다. 기름야자 재배는 Felda 농장 토지 은행의 84%를 차지했다.[56]

Felda의 성공은 소규모 농민의 기름야자 재배를 지원하기 위한 다른 개발 계획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연방 토지 통합 및 재활 당국(FELCRA)은 1966년에 설립되었고[57] 사라왁 토지 통합 및 재활 당국(SALCRA)은 1976년에 설립되었다.[58] 이들 조직의 주요 목표는 팜유와 같이 생산성이 높은 작물의 재배를 통해 농촌 지역 사회의 개발을 지원하고 빈곤을 줄이는 것이다.[57][58]

1976년 설립된 사라왁 토지 통합 및 재활 당국(SALCRA)은 2011년 기준으로 총 51000ha에 달하는 18개의 농장을 개발했다. 그 해에 이 조직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16,374명의 토지 소유주와 배당금을 분배했다.[59]

아프리카 오일 야자 (''Elaeis guineensis'')

5. 재배

기름야자는 연중 수확이 가능하며, 헥타르당 연간 평균 20톤의 열매를 생산한다. 이를 통해 4000kg의 팜유와 750kg의 종자 커널을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500kg의 고품질 팜 커널 오일과 600kg의 커널 식사가 생산된다. 커널 식사는 가축 사료로 가공된다.[10]

기름야자 열매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생산되는 주요 작물 중 하나이다.


''E. 기네엔시스''는 거의 전적으로 곤충에 의해 수분되며 바람에 의해 수분되지 않는다.[18] ''엘라에이도비우스 카메루니쿠스(Elaeidobius kamerunicus)''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특화된 수분 파트너이다.[17][18] 이 곤충은 1981년에 동남아시아에 의도적으로 도입되었으며,[17] 그 결과는 매우 컸다.[18] Cik Mohd Rizuan 외(2013)의 연구에 따르면 사바주 Felda Sahabatmy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17] ''E. 카메루니쿠스''와 이 곤충이 제공하는 수분은 선충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18]

말레이시아에서 최초의 농장은 대부분 Sime Darby 및 Boustead와 같은 영국 농장주에 의해 설립 및 운영되었으며, 말레이시아 정부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이들의 "말레이시아화"를 추진할 때까지 런던에 상장은 유지되었다.[53]

연방 토지 개발청(Felda)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약 90만 헥타르의 재배 면적을 가진 세계 최대의 기름야자 재배업체이다. Felda는 빈곤 퇴치를 주요 목표로 토지 개발법이 발효된 1956년 7월 1일에 설립되었다. 정착민들에게는 각각 10 에이커 (약 4 헥타르)의 토지가 할당되었으며, 기름야자 또는 고무가 심어져 있었고, 토지 대금을 20년 안에 갚도록 했다.[54]

1957년 말레이시아가 독립을 달성한 후, 정부는 고무 재배의 부가가치, 수출 증대, 토지 계획을 통한 빈곤 완화에 집중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정부가 주석과 고무의 세계 가격이 폭락했을 때 경제를 완충하기 위해 다른 작물의 재배를 장려했다. 고무 농장은 기름야자 농장으로 대체되었다. 1961년 Felda의 첫 번째 기름야자 정착지가 3.75km2의 토지에 개설되었다. 2000년 기준으로 Felda의 프로그램에 따른 토지의 6855.2km2(약 76%)가 기름야자에 할당되었다.[55] 2008년까지 Felda의 재정착은 말레이시아 전역의 8533.13km2의 농지에서 일하는 112,635 가구로 확대되었다. 기름야자 재배는 Felda 농장 토지 은행의 84%를 차지했다.[56]

Felda의 성공은 소규모 농민의 기름야자 재배를 지원하기 위한 다른 개발 계획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연방 토지 통합 및 재활 당국(FELCRA)은 1966년에 설립되었고,[57] 사라왁 토지 통합 및 재활 당국(SALCRA)은 1976년에 설립되었다.[58] 이들 조직의 주요 목표는 팜유와 같이 생산성이 높은 작물의 재배를 통해 농촌 지역 사회의 개발을 지원하고 빈곤을 줄이는 것이다.[57][58]

기준으로 SALCRA는 총 51000ha에 달하는 18개의 농장을 개발했다. 그 해에 이 조직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16,374명의 토지 소유주와 배당금을 분배했다.[59]

세계적인 생산량은, 국가별 생산량 1위였던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의 생산 확대로 인해 우상향으로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2000년대에는 인도네시아가 1위가 되었다. 한편으로는 무질서한 야자원 개발과 열악한 노동 환경이 문제시되기 시작했으며, 2013년9월 11일, RSPO(지속 가능한 팜유를 위한 원탁회의)에 의해 팜유 인증 제도가 설립되었다[108]

5. 1. 번식

기름야자는 곁가지를 생성하지 않으며, 씨앗을 파종하여 번식한다.[10]

기름야자 열매


현대 상업용 재배에는 두꺼운 껍질의 ''두라''(dura)와 껍질이 없는 ''피시페라''(pisifera)를 교배한 ''테네라''(tenera) 품종이 주로 사용된다.[10] 발아 종자 대신 조직 배양 또는 "클론" 팜을 사용하면 고수익 ''DxP'' 팜의 복사본을 얻을 수 있다.

''E. guineensis''의 다양한 품종과 형태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도록 선별되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12]

  • ''Elais guineensis'' fo. ''dura''
  • ''Elais guineensis'' var. ''pisifera''
  • ''Elais guineensis'' fo. ''tenera''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말라야에서 ''Deli dura'' 개체군에 대한 선별 작업이 시작되었다. 1950년대 교배에서는 열매 형태의 분리가 부정확한 경우가 많았다. 1963년부터 1982년 야자나무 수분 곤충 ''Elaeidobius kamerunicus''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오염이 적었으나, 도입 이후 ''Deli dura'' 오염이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1991년 종자원 비교 결과 오염이 2% 미만으로 감소하여 관리가 회복되었다.

슬랑고르 반팅의 1992년 연구에 따르면, 선별 4세대 후 Deli dura 기름야자의 수확량이 선별되지 않은 개체군보다 60% 더 높았다. dura와 pisifera를 교배하여 껍질이 얇은 tenera 열매를 생성하면 열매 내 건조 물질 분배가 개선되어 오일 수율이 30% 증가했다.[13]

5. 2. 품종



기름야자는 씨앗을 파종하여 번식하며, 곁가지를 생성하지 않는다.[12]

기름야자의 주요 품종 및 형태는 다음과 같다.[12]

  • ''Elais guineensis'' fo. ''dura''
  • ''Elais guineensis'' var. ''pisifera''
  • ''Elais guineensis'' fo. ''tenera''


현대 상업용 기름야자는 두꺼운 껍질의 ''두라''(dura)와 껍질이 없는 ''피시페라''(pisifera)를 교배한 ''테네라''(tenera) 팜 또는 DxP 하이브리드가 주를 이룬다. 일반적인 상업용 발아 종자는 ''두라'' 모종과 마찬가지로 껍질이 두껍지만, 얇은 껍질의 ''테네라'' 열매를 생산한다. 발아 종자 대신 조직 배양 또는 "클론" 팜을 이용하면 고수익 ''DxP'' 팜의 복제가 가능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말라야에서 ''Deli dura'' 개체군 선발 작업이 시작되었다. 아프리카에서 꽃가루를 수입하여 DxT 및 DxP 교배가 이루어졌으나, 1950년대 교배에서는 열매 형태 분리가 부정확했다. 당시에는 마커 유전자가 없어 수분 조절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Beirnaert와 Vanderweyen(1941)의 연구 이후 통제된 수분의 효율성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1963년부터 1982년 야자나무 수분 곤충 ''Elaeidobius kamerunicus'' 도입 전까지 말레이시아의 상업적 재배지에서는 오염이 낮았다. 당시 주요 수분 매개체였던 총채벌레는 포장된 암꽃차례에 접근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그러나 ''E. kamerunicus''는 훨씬 지속적이었고, 도입 후 ''Deli dura'' 오염이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1980년대 대부분 동안 문제가 지속되었지만, 1991년 종자원 비교 결과 오염이 2% 미만으로 감소하여 관리가 회복되었음을 확인했다.

슬랑고르 반팅의 시험지(1992) 연구에 따르면, 4세대 선별 후 Deli dura 기름야자의 수확량은 선별되지 않은 기본 개체군보다 60% 더 높았다. 껍질이 얇은 tenera 열매 생성을 위해 dura와 pisifera를 교배하면 열매 내 건조 물질 분배가 개선되어, 껍질을 희생하여 총 건조 물질 생산량 변화 없이 오일 수율이 30% 증가했다.[13]

Cros 외(2014)는 유전체 선택이 기름야자 작물에 매우 효과적임을 발견했다.[14]

5. 3. 유전학

기름야자의 크기는 1,800 메가베이스이다. 최초의 염기 서열은 2013년에 공개되었다.[9] 배수체이며, 염색체 수는 2n = 32이다.[9] 아시아에서 재배되는 재배 품종은 단 4그루의 나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아마도 한 부모의 자가 수분의 결과일 가능성이 커 아시아의 유효 개체군 크기는 매우 제한적이다.[11]

기름야자는 다른 친척들과 달리 곁가지를 생성하지 않으며, 씨앗을 파종하여 번식한다.

다양한 품종과 ''E. guineensis''의 형태가 선택되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다.[12]

  • ''Elais guineensis'' fo. ''dura''
  • ''Elais guineensis'' var. ''pisifera''
  • ''Elais guineensis'' fo. ''tenera''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말라야에서 ''Deli dura'' 개체군에 대한 선발 작업이 시작되었다. 아프리카에서 꽃가루를 수입하여 DxT 및 DxP 교배가 이루어졌다. 1950년대에 이루어진 교배에서 열매 형태의 분리는 종종 부정확했다. 좋은 마커 유전자가 없었기 때문에 수분 조절이 적절했는지 알 방법이 없었다.

Beirnaert와 Vanderweyen(1941)의 연구 이후, 통제된 수분의 효율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1963년부터 1982년 야자나무 수분 곤충 ''Elaeidobius kamerunicus''가 도입되기 전까지 말레이시아의 상업적 식재에서 오염은 일반적으로 낮았다. 당시 주요 수분 매개체였던 총채벌레는 포장된 암꽃차례에 접근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E. kamerunicus''는 훨씬 더 지속적이며, 도입된 후 ''Deli dura'' 오염이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이 문제는 1980년대 대부분 동안 지속되었지만, 1991년 종자원의 비교에서 오염이 2% 미만으로 감소하여 관리가 회복되었음을 나타냈다.

슬랑고르 반팅의 시험 부지에서 1992년에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선별 4세대 후 Deli dura 기름야자의 수확량이 선별되지 않은 기본 개체군보다 60% 더 높았다. 껍질이 얇은 tenera 열매 유형을 생성하기 위해 dura와 pisifera를 교배하면 열매 내 건조 물질 분배가 개선되어 껍질을 희생하여 총 건조 물질 생산량을 변경하지 않고 오일 수율이 30% 증가했다."[13]

Cros 외, 2014는 유전체 선택이 이 작물에 매우 효과적임을 발견했다.[14] 2013년에는 껍질 두께를 조절하는 유전자가 발견되어 묘목 단계에서도 테네라(DxP)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5]

''DEFICIENS'' 유전자는 꽃 구조를 조절한다. 이 유전자의 에피알렐 중 하나인 ''Bad Karma''는 수확량을 감소시킨다.[16]

6. 병충해

기름야자는 거의 전적으로 곤충에 의해 수분되며, 엘라에이도비우스 카메루니쿠스(''Elaeidobius kamerunicus'')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수분 파트너이다.[17][18] 1981년 이 곤충이 동남아시아에 도입된 후, 사바주 등지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17] 그러나 이 곤충과 수분 과정은 선충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18]

작은 잎 증후군은 붕소 결핍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코끼리딱정벌레에 의해 생장점이 손상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붕소 결핍과 유사하게 작고 뒤틀린 잎이 나타나며, 잎자루 부패 및 야자나무 고사로 이어질 수 있다.[33] 카당-카당병은 코코넛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34] 붉은 고리병은 붉은고리선충(''Bursaphelenchus cocophilus'')에 의해 발생한다.[47][35]

곤충은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질병을 옮기기도 한다.[36] 예를 들어, M. plana는 말레이시아 팜유에 큰 피해를 주는 나방이다.[37] 이 외에도 솔나방(Psychidae과), 코코넛코뿔소딱정벌레(*Oryctes rhinoceros*), 남아메리카 야자 바구미(*Rhynchophorus palmarum*), 기름야자 송이 나방(*Tirathaba mundella*), 코코넛 스파이크 나방(*Tirathaba rufivena*) 등 다양한 절지동물이 해충으로 작용한다.

쥐는 기름야자 수분 바구미인 ''Elaeidobius kamerunicus''를 포식하며,[42] 침팬지는 돌을 사용하여 기름야자 열매를 깬다.[43] 회색앵무와 야자수독수리는 기름야자 열매를 주식으로 삼는다.[44][45][46]

6. 1. 질병

전 세계적으로 기름야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질병은 Ganoderma orbiforme(동의어: Ganoderma boninense, 기부 줄기 썩음병, BSR)과 Phytophthora palmivora(꽃눈 썩음병)이다.[19][20][21] 병 저항성 육종을 위한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지만, 현재 번식 재료는 구할 수 없으며 완전한 육종 프로그램은 진행되지 않고 있다.[22]

기저부 줄기 썩음병[23]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기름야자의 가장 심각한 질병이다. 이전에는 인공적으로 기름야자에 균을 감염시키지 못하여 연구가 어려웠다. ''가노데르마''가 기저부 줄기 썩음병과 관련이 있었지만, 1990년대 초에 기름야자 묘목의 뿌리에 접종하거나 고무나무 블록을 사용하여 코흐의 가설을 만족시키는 병원성에 대한 증거를 얻을 수 있었다. 기름야자 발아 종자에 접종하여 균의 병원성을 테스트하는 신뢰할 수 있고 빠른 기술이 개발되었다.[24]

이 질병은 반복적인 재배 주기 후에 80%나 되는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가노데르마''는 감염된 목질부를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하여 야자 상부로 물과 기타 영양분의 공급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25] ''가노데르마'' 감염은 줄기의 병변으로 잘 나타난다. 감염된 야자 줄기의 단면은 썩어가는 조직의 옅은 갈색 부위와 이 부위의 경계에 독특하고 불규칙한 모양의 더 어두운 띠로 나타난다.[26] 감염된 조직은 재가 섞인 회색 분말이 되고, 야자가 서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 감염된 줄기는 빠르게 속이 빈 상태가 된다.[27]

2007년 포르투갈에서 수행된 연구에서, ''가노데르마''는 리그닌이산화 탄소와 물로 분해하고, 셀룰로오스는 이후 균의 영양분으로 사용된다. 통합적인 제어를 위해 리그닌 생분해와 관련된 백색 부패로 이러한 공격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백색 부패에 대한 인식은 높은 리그닌 함량을 가진 기름야자의 저항성 품종을 육종/선택하고, 리그닌 분해 조건을 줄이며, 썩는 것을 막기 위해 손상된 기름야자를 밀봉하는 새로운 분야를 열어준다. 확산은 뿌리보다는 포자에 의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얻은 지식은 적합한 균을 접종하거나, 폐기물을 더욱 적절하게 처리하여 농장의 기름야자 폐기물의 급속한 분해에 활용될 수 있다.[28]

Markom 외는 2009년에 탐지를 위해 전자 코 시스템을 개발하여 성공적으로 사용했다.[29]

''피토프토라 팔미보라''(Phytophthora palmivora)[20]에콰도르 산 로렌조 인근의 ''E. guineensis'' 5000ha를 손실시켰다. 이 원생동물은 싹썩음병(스페인어: pudrición del cogollo)을 유발한다. 이에 대응하여 그곳의 재배자들은 남아메리카산 기름야자인 ''E. guineensis''와 ''E. oleifera''의 교배종을 사용하여 다시 심었다.[30]

내생 세균은 식물의 기관에 서식하며, 생애 주기 중 어느 시점에서든 숙주에게 뚜렷한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식물 내부 조직에 서식할 수 있는 유기체이다.[31] 내생 세균을 뿌리에 도입하여 식물 질병을 제어하는 것은 토양 매개 병원체의 억제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뿌리의 토착 세균 군집을 조작하는 것이다. 내생 세균은 다른 생물학적 방제제보다 선호되는데, 이는 내생 세균이 내부 식민지화자로서 혈관 시스템 내에서 경쟁할 수 있는 능력이 더 뛰어나기 때문에, ''기름야자''의 증식 과정에서 영양분과 공간을 모두 제한하기 때문이다. 온실에서 기름야자 묘목에서 생장 촉진 및 BSR(Basal stem rot, 기저부 줄기 썩음병) 확산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Burkholderia cepacia''(B3)와 ''Pseudomonas aeruginosa''(P3) 두 개의 세균 분리체를 선택했다.[32]

작은 잎 증후군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붕소 결핍과 자주 혼동된다. 생장점이 손상되는데, 때로는 코끼리딱정벌레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한다. 붕소 결핍으로 인한 것과 유사한 작고 뒤틀린 잎이 나타난다. 이어서 잎자루 부위의 이차적인 병원균 감염이 발생하여 잎자루 부패 및 야자나무 고사로 이어질 수 있다.[33]

카당-카당병은 또한 코코넛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질병이다.[34]

붉은 고리병은 ''붉은고리선충''(Bursaphelenchus cocophilus)에 의해 발생한다.

6. 2. 해충

기름야자는 거의 전적으로 곤충에 의해 수분되며 바람에 의해서는 수분되지 않는다.[18] 엘라에이도비우스 카메루니쿠스(''Elaeidobius kamerunicus'')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특별하게 적응된 수분 파트너이다.[17][18] 이 곤충은 1981년에 동남아시아에 의도적으로 도입되었으며,[17] 그 결과는 매우 컸다.[18] Cik Mohd Rizuan 외, 2013년 연구에 따르면 사바주 Felda Sahabatmy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17] 이전의 추측과는 달리, 도입된 개체군은 너무 근친교배되지 않았으며, 근교 약세가 동남아시아(SEA)에서 일부 발생한 결실 감소의 원인이 아니었다. 다른 원인들이 제안되었다.[18] ''E. 카메루니쿠스''와 이 곤충이 제공하는 수분은 선충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18]

붉은 고리병은 붉은고리선충(Bursaphelenchus cocophilus)에 의해 발생한다.

곤충은 식물 재료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매개체로서 기름야자 질병을 옮기기도 한다.[36]

M. plana는 나비목나방으로, 말레이시아의 팜유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37] 말레이시아에서 발생하는 ''M. plana''의 대발생은 상대 습도와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인다.[38] 지구 관측 위성 원격 탐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상대 습도 추정치를 회귀 분석 모델과 인공 신경망에 모두 입력했다.[38] 두 모델의 통계적 추론 예측 결과는 농장에서 실제 ''M. plana''의 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인공 신경망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38]

''R. indica''는 유카탄 반도[39]를 침범하여 11개의 멕시코 주를 식물 위생 검역 대상에 포함시켰다.[40]

''R. ferrugineus''는 멕시코 13개 주에 식물위생 감시 체제를 적용했다.[40]

기타 절지동물로는 솔나방(Psychidae과), 코코넛코뿔소딱정벌레(*Oryctes rhinoceros*), *Rhynchophorus palmarum* (남아메리카 야자 바구미), *Tirathaba mundella* (기름야자 송이 나방), *Tirathaba rufivena* (코코넛 스파이크 나방) 등이 있다.

식물 자재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것 외에도, 쥐는 또한 아프리카 기름야자 수분 바구미인 ''Elaeidobius kamerunicus''를 포식한다.[42]

침팬지(Pan troglodytes)는 드물게 동물의 도구 사용의 예시로, 돌을 사용하여 ''E. guineensis''의 열매를 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3]

회색앵무(Psittacus erithacus)는 야생에서 기름야자 열매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이들의 주요 포식자 중 하나인 야자수독수리(Gypohierax angolensis)[45] 또한 식단에서 기름야자 열매에 크게 의존하며, 성조의 식단 중 60% 이상, 유조의 식단 중 90% 이상(라피아 야자)을 차지한다.[46]

코코넛 야자나무에 감염되는 것으로 더 잘 알려진 선충 해충은 ''Bursaphelenchus cocophilus''이다.[47][35] (다른 몇몇 야자나무과 식물에도 영향을 미친다.)[35] 이것은 나무 줄기 내부에 붉은색 층을 생성하여 "붉은 고리병"을 유발하는데, 나무 단면을 잘랐을 때 붉은 고리처럼 보인다.[47] ''B. cocophilus''는 제3기 유충 단계에서 매개체에 의해 전염되는데, 특히 여러 종의 바구미가 그렇다.[35] 동족종인 ''B. xylophilus''와 달리, ''E. guineensis'' 감염을 위한 보균 숙주 역할을 하는 비식물 숙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35] 야자나무에 직접적인 감염 외에도, 다른 선충들은 수분 바구미인 ''Elaeidobius kamerunicus''를 감염시켜 수분과 수확량을 감소시킨다.[18]

6. 3. 탐지

기름야자의 질병 탐지에는 여러 방법이 사용된다. 가장 오래된 방법은 육안 검사이지만, 다른 방법들도 개발되거나 사용되고 있다.[48]

전자 코 시스템은 2009년 Markom 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어 ''Ganoderma orbiforme''(기부 줄기 썩음병) 탐지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29] 휘발성 유기물과 마이크로 초점 X선 형광은 실험실 테스트에서 발생 전의 ''Ganoderma orbiforme'' 질병을 비침습적으로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8]

음파 단층 촬영은 96%의 정확도로 좋은 결과를 보이며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위성 이미지와 컴퓨터 비전은 심각성에 대한 분류 정확도가 낮다.[48]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심각한 기름야자 질병은 진균 [영지속](Ganoderma)에 의해 발생하는 기저 줄기 썩음병(BSR)이다. 영지속은 감염된 목부를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하여 야자 상부로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을 방해한다.[110] 감염된 줄기는 뚜렷한 병변으로 나타나며, 감염된 야자 줄기의 단면은 썩은 조직의 옅은 갈색 부위와 그 경계에 불규칙한 모양의 더 어두운 띠로 나타난다.[111] 감염된 조직은 재와 같은 회색 분말이 되고, 야자가 서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 감염된 줄기는 빠르게 속이 빈 상태가 된다.[27]

7. 쓰임새

기름야자는 열매의 과육과 씨앗 모두에서 기름을 추출할 수 있어, 식용유 및 공업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팜유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열대 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요리 재료이며, 전 세계적으로 상업적 식품 산업에서도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팜유의 저렴한 가격, 높은 산화 안정성, 그리고 풍부한 천연 항산화제 덕분이다.[60][61][62][63]

기름야자 열매


2021년 국가별 기름야자 열매 생산량


서아프리카가 원산지인 기름야자는 적도를 중심으로 20도 이내의 열대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콩고 공화국에서는 현지인들이 손으로 직접 기름을 생산하기도 한다.

나이지리아의 우르호보족은 기름야자 추출물을 사용하여 아미에디 수프를 만들며, 과피는 므왐바, 과육은 기름야자 수프를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기름야자 농장에서 발생하는 잎, 빈 열매 송이, 팜 커널 껍질 등을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96] 셀룰로오스 에탄올,[97] 바이오가스,[98] 바이오수소[99]생분해성 플라스틱 등이 그 예시이다.[100] 하지만, 팜유 생산은 삼림 벌채를 유발하여 오랑우탄과 같은 열대 우림 거주자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온실 기체 배출량이 많아 지속 가능한 바이오 연료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02]

7. 1. 기름 생산

기름야자의 열매과육과 씨앗 모두 기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중과피를 짜서 얻은 기름을 팜유, 씨앗에서 채취한 기름을 팜핵유라 한다.[115] 기름은 식용유나 공업용으로 널리 이용한다.[115]

기름은 열매의 과육(팜유, 식용유)과 씨앗(팜핵유, 식품 및 비누 제조에 사용) 모두에서 추출된다. 열매 100kg당 일반적으로 22kg의 팜유와 1.6kg의 팜핵유를 추출할 수 있다.

기름야자는 연중 수확이 가능하며, 기름야자 한 헥타르당 연간 평균 20ton의 열매가 생산되어 4000kg의 팜유와 750kg의 종자 커널이 생산되며, 여기서 500kg의 고품질 팜 커널 오일과 600kg의 커널 식사가 생산된다. 커널 식사는 가축 사료로 가공된다.[10]

기름야자의 높은 기름 수율(헥타르당 연간 최대 7250L)은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열대 지역에서 흔한 요리 재료가 되게 했다.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상업적 식품 산업에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더 저렴한 가격,[60] 정제된 제품의 높은 산화 안정성,[61][62] 그리고 높은 수준의 천연 항산화제[63]에 기인한다.

1995년에는 말레이시아가 세계 최대 생산국으로 세계 점유율의 51%를 차지했지만, 2007년부터는 인도네시아가 세계 최대 생산국이 되어 전 세계 팜유 생산량의 약 50%를 공급하고 있다.

2011/2012년 전 세계 팜유 생산량은 50.3e6MT였으며, 2012/13년에는 52.3e6MT로 증가했다.[64] 2010/2011년 팜핵의 총 생산량은 12.6e6MT였다.[65] 2019년 총 생산량은 75.7e6MT였다.[66]

7. 2. 전통 의학

전통 아프리카 의학에서 기름야자는 하제, 이뇨제, 독극물 해독제, 임질, 월경과다, 기관지염, 두통, 류머티즘 치료, 신선한 상처 치유 촉진, 피부 감염 치료 등에 사용된다.[50]

요루바교에서 기름야자는 창조 신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오바탈라가 지구로 내려와 처음 발견한 나무로 여겨진다. 또한 오룬밀라의 세계의 축으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기름야자 잎은 종종 신성한 종교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지역을 표시하거나 전통적인 오리샤 의복에 포함되며, 씨앗은 오룬밀라의 말을 바발라워에게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된다.[51]

7. 3. 기타

열매의 과육과 씨앗 모두 기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중과피를 짜서 얻은 기름을 팜유, 씨앗에서 채취한 기름을 팜핵유라 한다.[115] 기름은 식용유나 공업용으로 널리 이용한다.[115] 과피는 므왐바를, 과육은 기름야자 수프를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한다.

8. 사회·환경적 영향

기름야자의 사회적, 환경적 영향은 매우 논쟁적인 주제이다.[67][68] 기름야자는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작물이지만, 농장을 만들기 위해 원주민의 토지를 무단 점유하거나 수입 노동력 또는 불법 이민자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있어 사회적 갈등과 고용 조건에 대한 우려가 있다.[71][72][73]

최근 몇 년간 바이오 연료로 사용되면서 팜유 수요가 증가했지만,[80] 이는 재배의 환경적 영향을 증가시키고 식량 대 연료 문제를 야기한다는 인식이 높아졌다. 일부 선진국은 바이오 연료 정책을 재고하여 기준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려 한다.[81] 그러나 비평가들은 지속 가능한 팜유를 위한 원탁회의(RSPO)에 가입한 회사조차도 환경에 해로운 관행을 계속하고 있으며,[82] 팜유를 바이오 연료로 사용하는 것은 숲과 이탄지 같은 자연 서식지를 개조하여 다량의 온실 가스를 배출하도록 장려하기 때문에 역설적이라고 지적한다.[83]

일부 국가에서는 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보다 환경 친화적인 관행을 도입하고 있다.[77][78] 팜유 공장 오염 물질(POME)의 혐기성 처리는 바이오가스(메탄) 생산 및 전력 생산에 좋은 원천이 될 수 있으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시행되어 왔다. POME의 혐기성 처리는 ''Methanosaeta concilii''의 우세를 가져오는데, 이는 아세테이트로부터 메탄 생산에 중요하며, 재생 가능 연료로서 바이오가스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성장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79]

8. 1. 긍정적 영향

기름야자는 가치 있는 경제 작물이며 주요 고용 창출원이다.[67][68] 기름야자 재배는 많은 소규모 토지 소유자들이 현금 경제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며, 종종 해당 지역의 사회 기반 시설(학교, 도로, 통신) 개선을 가져온다. IBGE에 따르면 팜유는 아마존 지역의 혼농임업 방식에서 흔히 재배되는 작물이다.[69][70]

8. 2. 부정적 영향

기름야자는 자연 환경에 심각하고 복구 불가능한 피해를 입히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84] 이러한 피해에는 삼림 벌채, 멸종 위기종의 서식지 파괴,[85][86][87] 온실 가스 배출량 증가 등이 있다.[88]

생물 다양성 감소는 팜유 재배로 인한 가장 심각한 부정적 영향 중 하나이다.[74] 특히 동남아시아에서는 산림 보호법 시행이 미흡하여 팜유 농장을 만들기 위해 열대 우림이 개간되는 경우가 많다.[74] 팜유 재배 국가에서는 느슨한 환경 법규로 인해 농장이 보호 구역,[75] 하천변 완충 지대[76]로 침범하고, 농장 폐기물을 소각하며, 팜유 공장 오염 물질(POME)을 방출하기도 한다.[1]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많은 열대 우림은 탄소를 저장하는 이탄 습지 위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숲을 베고 농장을 만들기 위해 습지를 배수할 때 탄소가 방출되어 오염이 더욱 심각해진다.

그린피스와 같은 환경 단체들은 기름야자 농장을 만들기 위한 삼림 벌채가 바이오 연료 전환으로 얻는 이점보다 기후에 훨씬 더 해롭다고 주장한다.[89] 특히 보르네오에서의 토지 개간은 환경 영향으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다.[90][91]

인도네시아에는 미경작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팜유 농장을 위해 열대 경목림이 개간되고 있다. 개발업자들은 이탄 습지에 팜유를 심으려 하는데, 이탄의 산화 과정으로 인해 5,000년에서 10,000년 동안 저장된 탄소가 방출될 수 있는 배수를 사용한다. 배수된 이탄은 산불 위험도 높다. 인도네시아에서 팜유 개발을 위해 식생 제거에 화재가 사용되었고, 최근 몇 년 동안 가뭄과 인위적인 개간으로 인해 대규모 통제 불능 산불이 발생하여 동남아시아를 연무로 덮고, 말레이시아와의 국제적인 위기를 초래했다.[92][93]

식물성 기름 경제의 주요 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팜유를 위한 원탁회의(RSPO)를 통해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2008년, 유니레버는 2015년까지 지속 가능한 생산으로 인증된 팜유만을 사용하기로 약속했다.[94]

청정 개발 체제를 통한 탄소 배출권 프로젝트로 바이오 연료를 위한 팜 농장에 투자하고 있지만, 지속 불가능한 인도네시아 팜 농장 관련 평판 위험으로 인해 많은 펀드가 투자를 꺼리고 있다.[95]

세계적인 생산량은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의 생산 확대로 인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대에는 인도네시아가 1위가 되었다. 한편으로는 무질서한 야자원 개발과 열악한 노동 환경이 문제시되기 시작했으며, 2013년 9월 11일, RSPO(지속 가능한 팜유를 위한 원탁회의)에 의해 팜유 인증 제도가 설립되었다.[108]

팜유 농장이 원주민의 관습 토지를 무단 점유하여 농장과 지역 주민 간의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사례도 있다.[71][72] 또한 팜유 농장이 수입 노동력 또는 불법 이민자에게 의존하는 경우, 고용 조건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73]

8. 3. 지속 가능한 팜유 생산 노력

기름야자의 사회적, 환경적 영향은 매우 논쟁적인 주제이다.[67][68] 기름야자는 가치 있는 경제 작물이며 주요 고용 창출원이다. 이는 많은 소규모 토지 소유자들이 현금 경제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며, 종종 해당 지역의 사회 기반 시설(학교, 도로, 통신)의 개선을 가져온다. 그러나 팜유 농장이 원주민의 관습 토지를 무단으로 점유하여 농장과 지역 주민 간의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사례가 있다.[71][72]

생물 다양성 감소는 팜유 재배의 가장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 중 하나이다. 이미 위협받는 열대 우림의 넓은 지역이 팜유 농장을 만들기 위해 종종 개간되는데, 특히 산림 보호법의 시행이 미흡한 동남아시아에서 그렇다. 팜유가 재배되는 일부 국가에서는 환경 법규의 느슨한 시행으로 인해 농장이 보호 구역으로 침범하고,[75] 하천변 완충 지대로 침범하며,[76] 농장 폐기물의 노천 소각이 발생한다.

팜유에 대한 수요는 최근 몇 년간 바이오 연료로 사용되면서 증가했지만,[80] 이는 재배의 환경적 영향을 증가시키고, 식량 대 연료 문제를 야기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일부 선진국은 바이오 연료에 대한 정책을 재고하여 기준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도록 했다.[81] 그러나 비평가들은 지속 가능한 팜유를 위한 원탁회의(RSPO)에 가입한 회사조차도 환경에 해로운 관행을 계속하고 있으며,[82] 팜유를 바이오 연료로 사용하는 것은 숲과 이탄지 같은 자연 서식지를 개조하여 다량의 온실 가스를 배출하도록 장려하기 때문에 역설적이라고 지적한다.[83]

기름야자 생산은 자연 환경에 상당하고 종종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히는 원인으로 기록되어 있다.[84] 이러한 영향에는 삼림 벌채, 멸종 위기종의 서식지 파괴[85][86][87], 그리고 온실 가스 배출량의 상당한 증가가 포함된다.[88]

그린피스와 같은 환경 단체들은 기름야자 농장을 만들기 위해 발생하는 삼림 벌채가 바이오 연료로 전환함으로써 얻는 이점보다 기후에 훨씬 더 해롭다고 주장한다.[89]

식물성 기름 경제의 주요 기업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지속 가능한 팜유를 위한 원탁회의(RSPO)에 참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8년, 이 그룹의 회원사인 유니레버는 자사 제품을 공급하는 대기업과 소규모 농가가 2015년까지 지속 가능한 생산으로 전환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것으로 인증된 팜유만을 사용하기로 약속했다.[94]

세계적인 생산량은, 국가별 생산량 1위였던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의 생산 확대로 인해 우상향으로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2000년대에는 인도네시아가 1위가 되었다. 한편으로는 무질서한 야자원 개발과 열악한 노동 환경이 문제시되기 시작했으며, 2013년 9월 11일, RSPO(지속 가능한 팜유를 위한 원탁회의)에 의해 팜유 인증 제도가 설립되었다.[108]

참조

[1] 간행물 "''Elaeis guineensis''" https://www.iucnredl[...] IUCN 2021-09-01
[2] 웹사이트 "''Elaeis guineensis'' Select. Stirp. Amer. Hist.: 280 (1763)" http://www.worldflor[...] World Flora Consortium 2022-12-02
[3] 간행물 GRIN 2017-12-12
[4] 서적 Michel Adanson, le baobab et les coquillages Fayard
[5] 논문 The oil palm (''Elaeis guineensis'' Jacq): nature's ecological endowment to eastern Nigeria African Journals OnLine (AJOL)
[6] 논문 The nature of selection during plant domestication Nature Research
[7] 서적 The Cambridge World History of Food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012-08-30
[8] 논문 The real palm oil problem: it's not just in your food https://www.newscien[...] 2018-05-05
[9] 논문 Novel Insights into Tree Biology and Genome Evolution as Revealed Through Genomics Annual Reviews (publisher) 2017-04-28
[10] 웹사이트 About the Malaysian Palm Oil Industry http://www.palmoilwo[...] Malaysian Palm Oil Board
[11] 논문 Fungal and Oomycete Diseases of Tropical Tree Fruit Crops Annual Reviews (publisher) 2016-08-04
[12] 웹사이트 Tropicos http://www.tropicos.[...]
[13] 논문 The physiological basis for genetic improvement of oil palm in Malaysia 1992-04
[14] 논문 From mass selection to genomic selection: one century of breeding for quantitative yield components of oil palm (''Elaeis guineensis'' Jacq.)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5] 논문 The oil palm SHELL gene controls oil yield and encodes a homologue of SEEDSTICK 2013-08
[16] 논문 The importance of genomic variation for biodiversity, ecosystems and people Nature Portfolio 2021-02
[17] 논문 Non-Bee Insects as Visitors and Pollinators of Crops: Biology, Ecology, and Management Annual Reviews (publisher) 2020-01-07
[18] 문서 p.
[19] 서적 Detection and control of ''Ganoderma boninense'' in oil palm crop Springer
[20] 논문 Bud Rot Caused by ''Phytophthora palmivora'': A Destructive Emerging Disease of Oil Palm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21] 논문 Plant–Pathogen Warfare under Changing Climate Conditions Cell Press
[22] 문서 p.
[23] 논문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new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using genome assembly for ''Ganoderma boninense'', causal agent of oil palm basal stem rot disease
[24] 논문 Technique for inoculation of oil palm germinated seeds with ganoderma http://palmoilis.mpo[...] 2006-06
[25] 논문 The identity of ''ganoderma'' species responsible for basal stem rot disease of oil palm in Malaysia-pathogenicity test http://www.mpob.gov.[...] 2000-08
[26] 서적 Palm oil Diseases and Disorders Oxford University Press
[27] 논문 A Wilt Disease of the Oil Palm
[28] 논문 Ganoderma disease of oil palm—A white rot perspective necessary for integrated control
[29] 논문 Detection of Diseased Plants by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 http://juser.fz-juel[...] Annual Reviews (publisher) 2011-09-08
[30] 서적 The Oil Palm Complex: Smallholders, Agribusiness and the State in Indonesia and Malaysia NUS Press Pte Ltd 2018-06-04
[31] 논문 Endophytic microorganisms: a review on insect control and recent advances on tropical plants
[32] 논문 Effect of Endophytic bacteria on growth and suppression of ganoderma infection in oil palm http://psasir.upm.ed[...]
[33] 논문 Some Nutritional Disorders in Oil Palms 1999-05
[34] 웹사이트 coconut cadang-cadang viroid (CCCVd) (Cocadviroid CCCVd ) http://www.invasive.[...] 2020-11-23
[35] 논문 Evolution of Plant Parasitism in the Phylum Nematoda Annual Reviews (publisher) 2015-08-04
[36] 서적 The Oil Palm
[37] 논문 Efficacy of Insecticide and Bioinsecticide Ground Sprays to Control ''Metisa plana'' Walker (Lepidoptera: Psychidae) in Oil Palm Plantations, Malaysia 2015
[38] 논문 Using satellite-measured relative humidity for prediction of Metisa plana's population in oil palm plantations: A comparative assessment of 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PLoS
[39] 문서 p. 128
[40] 문서 Supplemental Table 1
[41] 논문 Biology, Ecology, and Control of Palm Rhinoceros Beetles Annual Reviews
[42] 서적 The Oil Palm
[43] 논문 Chimpanzees using stones to crack open oil palm nuts in Liberia 1987
[44] 웹사이트 African gray parrot https://www.britanni[...] 2016-03-02
[45] 웹사이트 Psittacus erithacus (grey parrot) http://animaldiversi[...] 2016-03-02
[46] 논문 Raptors of the world: a field guide by James Ferguson-Lees and David Christie 2006-11
[47] 웹사이트 Bursaphelenchus cocophilus Cobb http://entnemdept.uf[...] 2002-01-02
[48] 논문 Remote Sensing of Diseases Annual Reviews 2020-08-25
[49] 서적 Collins Guide to Tropical Plants https://archive.org/[...] Collins
[50] 논문 Natural product agonist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 review 2014-07
[51] 논문 The Tree That Centres The World: The Palm Tree As Yoruba Axis Mundi Southern University at New Orleans 2019-Spring
[52] 서적 Plants Utilised In Cambodia/Plants utilisées au Cambodge https://books.google[...] Imprimerie Olympic 2000
[53] 뉴스 Malaysia targets alternative fuels market https://www.telegrap[...] 2006-12-22
[54] 웹사이트 Penubuhan Felda http://www.felda.net[...] 2012-09-16
[55] 웹사이트 The Case Study on the Malaysian Palm Oil http://r0.unctad.org[...] 2001
[56] 논문 Oil palm - the backbone of economic growth 2009-April–June
[57] 서적 The Natural Rubber Market: Review, Analysis, Policies and Outlook https://books.google[...] Woodhead Publishing
[58] 서적 The Report: Malaysia 2011 https://books.google[...] Oxford Business Group
[59] 웹사이트 Salcra: Windfall of RM100.9mil will be shared by more than 16,000 landowners http://thestar.com.m[...] The Star Online 2011-11-05
[60] 간행물 Palm Oil Continues to Dominate Global Consumption in 2006/07 http://www.fa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6-06
[61] 논문 Quality changes of RBD palm olein, soybean oil and their blends during deep-fat frying
[62] 논문 Use of palm oil for frying in comparison with other high-stability oils
[63] 논문 Palm fruit chemistry and nutrition http://apjcn.nhri.or[...]
[64] 웹사이트 Table 11: Palm Oil: World Supply and Distribution http://www.fa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2-08-10
[65] 웹사이트 Food Outlook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2-05
[66] 웹사이트 Global production volume palm oil, 2012-2020 https://www.statista[...]
[67] 웹사이트 Palm oil - rainforest in your shopping http://www.foe.co.uk[...] Friends of the Earth 2007-11-29
[68] 논문 How will oil palm expansion affect biodiversity?
[69] 웹사이트 Culturas temporárias e permanentes http://www.ibge.gov.[...] 2022-03-15
[70] 논문 Forest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Brazilian Amazon: History, Trends, and Future Prospects Annual Reviews 2021-10-18
[71] 웹사이트 Oro Landowners' Declaration on Large-Scale Commercial Extrac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Expansion of Oil Palm Nucleus Estates http://archive.fores[...] Forest Peoples Programme 2007-11-29
[72] 웹사이트 Palm oil cultivation for biofuel blocks return of displaced people in Colombia http://www.internal-[...] iDMC 2007-11-29
[73] 웹사이트 Ghosts on our Own Land: Indonesian Oil Palm Smallholders and the 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http://www.salvalefo[...] Forest Peoples Programme 2009-03-30
[74] 간행물 Tropical Forests in the Anthropocene Annual Reviews 2014-10-17
[75] 웹사이트 The Last Stand of the Orangutan http://www.unep-wcmc[...] UNEP 2007-12-01
[76] 웹사이트 Cut Down Oil Palm on River Banks, Plantations Warned http://www.redorbit.[...] New Straits Times 2007-12-01
[77] 웹사이트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Guidelines for Oil Palm Plantation Development http://www.sabah.gov[...] 2007-11-29
[78] 웹사이트 Promoting the Growth and Use of Sustainable Palm Oil http://www.rspo.org/[...] RSPO 2007-12-01
[79] 간행물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system in Pakistani wheat (''Triticum aestivum'') cultivars http://www.bioline.o[...]
[80] 웹사이트 Eco-conscious palm oil http://thestar.com.m[...] The Star Malaysia 2008-01-14
[81] 뉴스 EU rethinks biofuels guidelines http://news.bbc.co.u[...] 2008-01-14
[82] 웹사이트 Biofuels and palm oil - why palm oil cannot fuel the biofuels industry http://www.elti.org/[...]
[83] 간행물 Biofuel Plantations on Forested Lands: Double Jeopardy for Biodiversity and Climate http://www.globalbio[...]
[84] 서적 World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85] 웹사이트 Palm oil threatening endangered species http://www.cspinet.o[...] Center for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2005-05
[86] 웹사이트 Cooking the Climate http://www.greenpeac[...] Greenpeace UK Report 2007-11-15
[87] 뉴스 Once a Dream, Palm Oil May Be an Eco-Nightmar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1-31
[88] 웹사이트 Fourth Assessment Report, Working Group I "The Physical Science Basis" http://www.ipcc.ch/p[...] IPCC 2008-05-04
[89] 간행물 Land Clearing and the Biofuel Carbon Debt
[90] 뉴스 Palm oil warning for Indonesia http://news.bbc.co.u[...] BBC 2007-11-08
[91] 뉴스 BBC Losing land to palm oil in Kalimantan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8-03
[92] 뉴스 No Easy Solution To Indonesian Haze Problem http://www.terradail[...] AFP 2007-04-20
[93] 뉴스 Forest Fires Sweep Indonesian Borneo and Sumatra http://voanews.com/e[...] VOA news
[94] 뉴스 Unilever commits to sustainable palm oil http://www.foodnavig[...] Food Navigator.com 2008-05-02
[95] 웹사이트 Carbon market takes sides in palm oil battle http://www.carbon-fi[...] Carbon Finance 2007-11-20
[96] 뉴스 http://www.bernama.c[...] Malaysian National News Agency 2007-02-06
[97] 웹사이트 Celluosic ethanol from processing and plantation waste http://www.budibiofu[...] Budi Oil Holdings Sdn. Bhd company promotional literature
[98] 웹사이트 Biogas Clean Development Mechanism: recovery and electricity generation from Palm Oil Mill Effluent ponds http://cdm.unfccc.in[...] UNFCCC CDM register
[99] 간행물 Biohydrogen generation from palm oil mill effluent using anaerobic contact filter http://psasir.upm.ed[...]
[100] 웹사이트 Biodegradable Plastics Production from Palm Oil Mill Effluent (POME) https://wayback.arch[...]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101] 웹사이트 Biomass Utilization in Malaysia http://unit.aist.go.[...]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AIST, Japan)
[102] 간행물 Condi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biomass based fuel use
[103]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017-01-31
[104] 웹사이트 USDA GRIN Taxonomy http://www.ars-grin.[...] 2017-01-31
[105] 서적 The Cambridge World History of Food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8-30
[106] 논문 A Review: Aspects of the African Oil Palm (''Elaeis guineesis'' Jacq.) http://docsdrive.com[...] 2012-08-30
[107] 서적 Collins Guide to Tropical Plants Collins
[108] 웹사이트 開催報告:企業向け森林セミナー「パーム油と森林破壊」 https://www.wwf.or.j[...] WWF 2013-10-07
[109] 논문 Technique for inoculation of oil palm germinated seeds with ganoderma http://palmoilis.mpo[...] 2006-06
[110] 논문 The identity of ganoderma species responsible for basal stem rot disease of oil palm in Malaysia-pathogenicity test http://www.mpob.gov.[...] 2000-08
[111] 서적 Palm oil Diseases and Disorers Oxford University Press
[112] 논문 A Wilt Disease of the Oil Palm
[113] 웹인용 "''Elaeis guineensis'' Jacq."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8-08-24
[114] 웹인용 기름야자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8-08-24
[115] 간행물 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재배와 관찰/식물의 이용/특용작물
[116] 웹인용 "''Elaeis guineensis'' Jacq."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8-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