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초과학연구원은 2011년 설립된 대한민국 연구 기관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이명박 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되었으며, 노벨상 수상을 목표로 '노벨상 프로젝트'로 불리기도 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하며, 장기적이고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연구를 전담한다. 현재 대전 유성구에 본원이 있으며, 30개의 연구단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제2기 기초과학연구원 건설 계획이 수립되어 본사 확장 및 IBS 연구동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초대 원장은 오세정이며, 김두철, 노도영이 그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유성구 - 진잠군
진잠군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구, 계룡시에 걸쳐 있던 옛 행정 구역으로, 백제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고려 시대에는 고려청자 도요지가 운영되었고, 일제강점기에 대전군에 합병되었다. - 대전 유성구 - 노은동
노은동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백제 시대부터 유래한 오랜 역사를 지니며, 월드컵 개최 후 인구 증가로 분동되어 현재 3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었고, 도시철도와 도로망이 잘 갖춰져 있으며 연구 시설, 주요 기관, 월드컵경기장, 현충원, 아파트 단지 등이 위치한다. - 대전광역시 - 토지주택연구원
토지주택연구원은 2009년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의 통합으로 설립된 연구 기관이며, 주택문제연구소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위치하며 토지주택대학을 소속 기관으로 두고 있다. - 대전광역시 -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는 엽연초생산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되어 엽연초 경작 기술 발전 및 보급, 자금 융자, 경작 물품 구입 등을 통해 조합원의 경제적 활동을 지원하고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기관이다. - 기초과학연구원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 신의철
신의철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고 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하며, 바이러스 감염 및 암에 대한 T 세포 반응 연구를 통해 여러 학술상을 수상한 의학자이다.
기초과학연구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국문 명칭 | 기초과학연구원 |
영문 명칭 | Institute for Basic Science |
약칭 | IBS |
설립일 | 2011년 11월 21일 |
유형 | 정부 기관 |
목적 | 기초 과학 연구 |
본부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55 |
좌표 | 36.375959° N, 127.385751° E |
직원 수 | 1,800명 (연구원 및 학생 포함) |
예산 | 2억 6천만 USD (2015년 회계연도 기준) |
웹사이트 | 기초과학연구원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주요 조직 | IBS 연구 센터 |
기관장 직책 | 원장 |
기관장 | 노도영 |
부기관장 | 하성도 |
상급 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산하 기관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2. 설립 과정
이명박 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되었으며, 박근혜 정부는 14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국가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이러한 과학벨트의 핵심 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이명박 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되었으며, 박근혜 정부는 14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국가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이러한 과학벨트의 핵심 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1]
기초과학연구원 설립 당시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기초과학의 경제적 중요성과 사회적 파급효과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은 미국경쟁력강화계획(ACI, American Competitiveness Initiative)을 통해 3개 연방기관(NSF, NIST, DOE)의 기초연구 예산을 향후 10년간 2배로 증액한다고 발표했으며, 일본은 종합과학기술회의를 통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제4기 과학기술기본계획('11~'15)'을 전면 재검토하고 특히 기초연구 및 인재육성 강화를 별도로 다루었다. 중국의 경우 '제12차 5개년 계획'을 통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으로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원천적 혁신능력 제고를 발표하였다. 무엇보다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던 선진국들은 20세기 초부터 기초연구 전담기관을 설립, 운영하며 우수 인재 유치 및 육성과 연구 몰입 환경 구축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해 왔다.
기초과학연구원의 설립은 응용 및 개발기술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는 한계 상황에 직면했다는 국가적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기존의 기술추격형(fast following) 연구개발이나 2인자 전략(second-mover strategy)으로 기대되는 경제적 효용은 임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에, 보다 근원적인 기초연구에 집중함으로써 기초과학 강국으로서 국격 제고를 추구하겠다는 범국민적 필요 의식이 설립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2011년 11월 이명박 정부에 의해 연구 기관으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엑스포과학공원 내 대전 엑스포 '93 부지를 활용하여 2018년 1월 임대 부지에서 자체 캠퍼스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ISBB)의 핵심 기관이 되었다.[3] 이 연구원은 노벨상 수상이라는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설립되었기에, 종종 국가의 '노벨상 프로젝트'로 불린다.[4]
2011년,[5] 한국 정부는 2021년까지 대전 북부에 RAON이라는 중이온 가속기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2조원 이상(약 20억달러)을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으나[6][7][8][9] 2025년으로 연기되었다.[10] 이 시설은 동위원소 분리 온라인(ISOL) 방식과 비행 중(IF) 방식을 모두 사용하는 세계 최초의 장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11]
2018년에는 클래리베이트 피인용 우수 연구자 중 한국에서 IBS 소속 연구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2023년 말, 제2기 기초과학연구원 건설 계획(2023–2030)이 수립되어 본사 확장을 추진하고, UNIST, GIST, DGIST, KAIST에 IBS 연구동을 건설할 예정이다. 예상 완공 시기는 본사 2025년, UNIST 2026년, GIST, DGIST, KAIST 2030년이다. 총 사업비는 3090억원으로, 제1차 계획에 따른 KAIST 및 POSTECH의 IBS 건물 건설을 위한 3245억원과는 별도로 책정되었다.[19][20]
3. 설립 목적
기초과학연구원 설립 당시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기초과학의 경제적 중요성과 사회적 파급효과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1] 예를 들어 미국은 미국경쟁력강화계획(ACI, American Competitiveness Initiative)을 통해 3개 연방기관(NSF, NIST, DOE)의 기초연구 예산을 향후 10년간 2배로 증액한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일본은 종합과학기술회의를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제4기 과학기술기본계획('11~'15)을 전면 재검토하고 특히 기초연구 및 인재육성 강화를 별도로 다룬 바 있다.[1] 중국의 경우 '제12차 5개년 계획'을 통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통해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원천적 혁신능력 제고를 발표하였다.[1] 무엇보다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던 선진국들은 20세기 초부터 기초연구 전담기관을 설립 운영하며, 우수 인재 유치 및 육성과 연구몰입환경 구축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해 왔다.[1]
기초과학연구원의 설립은 응용 및 개발기술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는 한계 상황에 직면했다는 국가적 인식에서 시작되었다.[1] 특히 기존의 기술추격형(fast following) 연구개발이나 2인자 전략(second-mover strategy)으로 기대되는 경제적 효용은 임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에, 보다 근원적인 기초연구에 집중함으로써 기초과학 강국으로서 국격 제고를 추구하겠다는 범국민적 필요 의식이 설립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1]
기초과학연구원의 설립 목적은 다음과 같다.[1]
4. 현황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은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으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 수정('13.7)을 통해 기존의 둔곡지구에서 도룡지구로 2018년 이전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대전시는 과학벨트 거점지구 부지의 사용과 사이언스센터 조성 등을 포함하는 업무협약서를 체결('13.7) 하였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개방형 시민 활용 공간을 포함한 '대전 엑스포공원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방안'을 기획 중이다.[3] 2021년까지 본원을 완공할 계획이었다.
연구 수행 단위는 연구단(research center)이며, 운영 형태에 따라 본원연구단, 캠퍼스연구단, 외부연구단으로 구분된다. 2020년 1월 현재 30개의 연구단이 운영 중이다.[18] 2023년 말, 제2기 기초과학연구원 건설 계획(2023–2030)이 수립되어 본사 확장을 추진하고, UNIST, GIST, DGIST, KAIST에 IBS 연구동을 건설할 예정이다. 예상 완공 시기는 본사 2025년, UNIST 2026년, GIST, DGIST, KAIST 2030년이다. 총 사업비는 3090억원으로, 제1차 계획에 따른 KAIST 및 POSTECH의 IBS 건물 건설을 위한 3245억원과는 별도로 책정되었다.[19][20]
IBS 연구단은 본원, 캠퍼스, 외부, 선도 연구단 등 여러 범주로 나뉜다.
- 본원 연구단: IBS에 전적으로 소속
- 캠퍼스 연구단: KAIST, DGIST, UNIST, GIST 및 POSTECH에 위치
- 외부 연구단: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 이외의 대학교(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부산대학교)에 위치
- 선도 연구단(PRC): 단장이 아닌 최대 5명의 수석 연구원으로 구성된 본원 기반 연구단
연구단은 대전의 IBS 본원과 서울, 수원, 대구, 울산, 포항, 부산, 대전, 광주의 관련 대학교에 위치해 있다. 각 연구단의 연간 예산은 200만달러에서 1000만달러에 이른다.[25]
2018년에는 클래리베이트 피인용 우수 연구자 중 한국에서 IBS 소속 연구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같은 해, 악셀 팀머만이 이끄는 IBS 기후물리 연구단은 기후물리 연구를 위해 1.43페타플롭 규모의 Cray XC50 슈퍼컴퓨터인 Aleph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3][14][15][16] 2023년 말, 새로운 슈퍼컴퓨터 Olaf는 Green500에서 10위를 차지했다.[17]
2011년, 한국 정부는 2021년까지 대전 북부에 RAON이라는 중이온 가속기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20억달러을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으나[6][7][8][9] 2025년으로 연기되었다.[10] 이 시설은 동위원소 분리 온라인(ISOL) 방식과 비행 중(IF) 방식을 모두 사용하는 세계 최초의 장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11]
5. 연구 영역
기초과학연구원은 기초과학의 미지 영역에서 장기적, 대형, 집단 연구 형태의 연구를 수행하는 모델을 도입하였다. 이는 대학이나 출연(연)이 수행하기 어려운, 긴 연구 기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장기적, 모험적 연구를 전담하는 것이다.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회(MPG)나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가 바로 이 영역에서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대학 및 출연(연)과는 임무, 연구 분야, 운영 형태 측면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출연(연)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차원에서 응용 및 개발 연구 중심의 중규모 프로젝트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 대학은 교수 연구실 단위 중심의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소규모 프로젝트 기반으로 수행한다.
6. 연구단
연구단은 기초과학연구원에서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하는 단위 조직으로, 2020년 1월 현재 30개의 연구단이 운영되고 있다. 2021년까지 50개의 연구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연구단은 운영 형태에 따라 본원연구단, 캠퍼스연구단, 외부연구단으로 구분된다.[18]
- 본원연구단: 기초과학연구원(IBS) 내부 조직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 캠퍼스연구단: KAIST, GIST 등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 및 출연(연)과 연계하여 운영되며, 우수 인재와 신진 인력의 지속적인 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 외부연구단: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 등과 협력하여 연구 역량을 활용한다.
연구단은 연구 분야별로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융합연구 분야로 나뉜다.
분야 | 연구단 |
---|---|
수학 | 기하학 수리물리 연구단,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복소기하학연구단 |
물리학 |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지하실험 연구단,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순수물리이론 연구단, 복잡계 이론물리 연구단, 양자나노과학 연구단, 희귀 핵 연구단 |
화학 |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나노입자 연구단,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
생명 과학 |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RNA 연구단,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혈관 연구단 |
지구 과학 | 기후물리 연구단 |
융합연구 |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유전체교정연구단, 나노의학연구단, 바이오분자 및 세포구조연구단 |
IBS 연구단은 본원, 캠퍼스, 외부, 선도 연구단으로 분류된다. 본원 연구단은 IBS에 소속되어 있으며, 캠퍼스 연구단은 KAIST, DGIST, UNIST, GIST, POSTECH에 위치해 있다. 외부 연구단은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부산대학교 등 다른 대학교에 있다. 선도 연구단(PRC)은 최대 5명의 수석 연구원으로 구성된 본원 기반 연구단이다. 각 연구단의 연간 예산은 200만달러에서 1000만달러에 이른다.[25] 2018년에는 클래리베이트 피인용 우수 연구자 중 한국에서 IBS 소속 연구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12]
6. 1. 중이온가속기 구축 사업단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및 우수 인력 유치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세계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라온 구축을 위한 사업단으로, 라온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및 기초과학연구원의 핵심 시설 중 하나이다.중이온가속기 구축사업은 크게 중이온가속기 장치구축사업과 중이온가속기 시설건설사업으로 구분된다. 중이온가속기 장치구축사업은 고에너지(200MeV/u), 대전류(400 kW) 중이온 빔을 제공하는 선형가속기를 구축하는 것으로, 세계 최초로 두 가지 ISOL 방식(Isotope Separation On-Line: 두꺼운 표적에 양성자를 충돌시켜 대전류 저에너지 동위원소 빔 생성)과 IF 방식(In-flight Fragmentation: 얇은 표적에 중이온을 충돌시켜 소전류 고에너지 동위원소 빔 생성)을 결합한 희귀동위원소 가속기가 건설된다.
중이온가속기 시설건설사업은 중이온가속기 및 실험 장치의 안정적인 가동과 쾌적한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 지원 시설을 건설하는 것으로, 가속기 터널, 실험동, 지원시설동, 관리동, 이용자 숙소 등이 건설된다.
건설은 2단계로 나눠 추진되며, 2021년에 건설구축사업이 완료될 예정이었으나[6][7][8][9] 2025년으로 연기되었다.[10]
- 1단계: 저에너지 희귀동위원소 발생장치(ISOL) 및 저에너지 핵과학 연구 장치 제작 및 설치(~’19년)
- 2단계: 고에너지 희귀동위원소 발생장치(IF) 제작 설치 및 중이온가속기 건설구축사업 완료(~’21년)
7. 교육 프로그램
IBS 학교는 IBS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가 공동으로 설립한 대학원 프로그램이다.[28] 이 학교는 HQ 센터의 시설을 활용하여 기초 과학 분야의 젊은 과학자를 육성하기 위해 2015년 9월에 개교했다.[29]
IBS는 2013년부터 젊은 과학자 펠로우십 (YSF)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초기 경력 연구자[30]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박사후 연구원 또는 박사 학위 소지자 중 40세 미만)에게 IBS 센터 내에서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 경험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31]
8. 역대 원장
- 오세정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2대 이사장을 역임했다.[21]
- 김두철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고등과학원 제5대 원장을 역임했다.[22]
- 노도영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 및 광과학과 교수, 첨단방사선연구센터장, 한국싱크로트론사용자협회 회장, GIST 대학장을 역임했다.[23]
참조
[1]
웹사이트
Funding basic science in South Korea
https://cen.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9-10-22
[2]
논문
South Korean research centre seeks place at the top
http://www.nature.co[...]
2016-04-01
[3]
웹사이트
Information on Relocation of IBS HQ
https://www.ibs.re.k[...]
HQ Relocation Team
2018-01-17
[4]
논문
South Korea's 'Nobel prize project' gets overhaul
https://www.nature.c[...]
Nature Portfolio
2024-01-17
[5]
학회발표
Status of the Rare Isotope Science Project in Korea
http://inspirehep.ne[...]
2018-10-02
[6]
서적
Beyond Basic Science: Korean heavy-ion accelerator, RAON A major big-science facility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and Business Belt
http://risp.ibs.re.k[...]
Rare Isotope Science Project
2018-08-08
[7]
웹사이트
RISP
http://risp.ibs.re.k[...]
2018-06-09
[8]
뉴스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이름 '라온'
http://www.etnews.co[...]
2018-06-09
[9]
뉴스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 {{!}} d라이브러리
http://dl.dongascien[...]
2018-06-09
[10]
웹사이트
MB 대선공약·최대 기초과학 프로젝트 '중이온가속기' 끝없는 표류
https://www.sedaily.[...]
2021-02-03
[11]
웹사이트
Korean Government to Invest 2 Trillion Won in Heavy Ion Accelerator
http://www.businessk[...]
2016-04-06
[12]
웹사이트
국내 과학자 53명 '세계 1% 연구자'…IBS 9명 가장 많아
https://www.dongasci[...]
2023-11-17
[13]
웹사이트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 TOP500 Supercomputer Sites
https://www.top500.o[...]
2018-11-28
[14]
웹사이트
Cray Picks Up Two Supercomputer Wins in Asia
https://www.top500.o[...]
2018-11-26
[15]
웹사이트
Cray XC50 Supercomputer coming to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n South Korea
https://insidehpc.co[...]
2018-11-26
[16]
웹사이트
PNU's IBS Center for Climate Physics boosts climate research with new Supercomputing Facility
https://ibsclimate.o[...]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9-11-14
[17]
웹사이트
IBS Supercomputer 'Olaf' Debuts in the List of Top 10 Green Supercomputers
https://www.ibs.re.k[...]
2024-01-17
[18]
웹사이트
Controlling the messenger with blue light: A new optogenetic tool to manipulate target messenger RNA in living cells
https://www.ibs.re.k[...]
2020-02-21
[19]
웹사이트
기초과학연구원·과학기술원 인프라 확장 '시동'···3090억원 투입
https://www.enewstod[...]
2024-01-17
[20]
웹사이트
IBS 2차 건립 본격 시행···2030년까지 3090억원 투입
https://www.hellodd.[...]
2024-01-17
[2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nrf.re.kr[...]
2017-05-22
[22]
웹사이트
Former Presidents
http://www.kias.re.k[...]
2017-05-22
[23]
웹사이트
A warm welcome from the president of the IBS
https://www.ibs.re.k[...]
2020-01-17
[24]
웹사이트
Quantity to quality: How South Korea surged ahead through basic science {{!}} The Academic Executive Brief
http://academicexecu[...]
2018-08-08
[25]
논문
South Korean research centre seeks place at the top
http://www.nature.co[...]
2012-05-17
[26]
웹사이트
National Institute for Mathematical Sciences
https://www.nims.re.[...]
[27]
웹사이트
Welcome to RISP
http://risp.ibs.re.k[...]
2016-04-04
[28]
웹사이트
US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www.ust.ac.kr[...]
2016-04-04
[29]
웹사이트
US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Introductions Campus
http://www.ust.ac.kr[...]
2016-04-04
[30]
웹사이트
Career {{!}} IBS YSF Programs {{!}} IBS YSF Program
http://www.ibs.re.kr[...]
2016-04-04
[31]
논문
Research policy: How to build science capacity
2012-10-18
[32]
웹인용
3. 임직원 수
https://alio.go.k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