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국가 과학 기술 진흥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2003년 설립된 연구 중심 대학이다. 2008년 교육 기능을 추가하여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융복합대학, 대학원, 부설 기관을 두고 있다. 융합연구원, 연구 지원 인프라를 통해 연구를 지원하며, DGIF(DGIST Global Innovation Festival)를 개최하고, 일본 대학들과 국제 교류를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성군의 학교 - 대구예아람학교
    1998년 개교하여 2000년 특수교육 시설로 지정된 대구예아람학교는 이명화 초대 교장을 시작으로 여러 교장이 부임한 특수교육기관이다.
  • 과학기술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과학기술원 -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은 1993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설립된 과학기술 연구 중심의 대학원으로, 과학기술 인재 양성, 연구 기반 구축, 국내외 협력적 연구 프로그램 장려를 목표로 하며 학부생도 모집하고,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우수한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대학교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는 1946년 설립되어 1951년 종합대학으로 승격 및 통합된 대한민국의 거점국립대학교로서, 대구와 경북 지역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단과대학을 포함하는 종합 캠퍼스이자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대학교 - 계명대학교
    1899년 대구 제중원에서 시작하여 기독교 정신으로 설립된 계명대학교는 1978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동산의료원 인수 후 의과대학을 설립하여 의료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제 교류 중심의 사립 종합대학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마자 표기Daegu Gyeongbuk Gwahakgisulwon
영어 표기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약칭DGIST
설립일2004년 9월 7일
유형국립 특수대학교
총장이건우
소재지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테크노중앙대로 333
캠퍼스도시
캠퍼스 면적674101 제곱미터 (166.5 에이커)
교직원 수 (2019년)교수진 207명, 행정 직원 221명
학생 수 (2019년)학부 807명, 대학원 656명
색상파랑색, 회색
웹사이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주소
주소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테크노중앙대로 333
관련 링크
웹사이트대구경북과학기술원

2. 연혁


  • 2003년 12월 1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법 제정(법률 제 6996호)되었다.
  • 2004년 9월 7일 재단법인 설립 등기
  • 2004년 9월 3일 초대 원장 정규석 취임 (연구원)
  • 2007년 9월 3일 제2대 원장 이인선 취임 (연구원)
  • 2008년 6월 13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 공포(법률 제 9108호)
  • 2009년 5월 8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비전 및 대학 정체성 선포식
  • 2010년 11월 22일 현풍 캠퍼스로 이전
  • 2011년 2월 25일 신성철 박사, 초대 총장 취임
  • 2011년 12월 14일 한국뇌연구원(KBRI),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설 연구원 설립
  • 2012년 7월 1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공동 연구 센터 설립
  • 2012년 10월 8일 식물 노화 연구 센터, 기초과학연구원(IBS) 설립
  • 2012년 10월 30일 사이버 물리 시스템 글로벌 센터 설립
  • 2012년 12월 6일~7일 대구 EXCO 제1회 DGIF 개최
  • 2013년 6월 11일 웰니스융합연구센터 개소
  • 2013년 10월 25일 뇌대사체학 연구센터 개소
  • 2013년 11월 21일~22일 대구 EXCO 제2회 DGIF 개최
  • 2014년 11월 20일~21일 대구 DGIST 학사캠퍼스 제3회 DGIF 개최
  • 2015년 2월 26일 신성철 박사, 제2대 총장 취임
  • 2015년 4월 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융복합 연구소 설립
  • 2016년 4월 19일 핵심 단백질 자원 센터 설립
  • 2016년 10월 19일 웰 에이징 연구 센터 설립
  • 2017년 3월 22일 손상혁 박사, 제3대 총장 취임
  • 2019년 4월 1일 국양 박사, 제4대 총장 취임
  • 2023년 12월 1일 이 건우 박사, 제5대 총장 취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캠퍼스 야경

2. 1. 설립 초기 (연구원 시절)

2004년 대한민국 정부는 국가 과학 기술 진흥을 위해 연구 기관으로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을 설립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구에 위치시켰다.[2] 2003년 12월 1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설립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법률 제6996호)이 제정되었으며, 2004년 9월 7일 재단법인 설립 등기가 이루어졌다. 초대 원장으로는 2004년 9월 3일 정규석 원장이 취임하였고, 2007년 9월 3일에는 제2대 이인선 원장이 취임하였다.

2008년 6월 13일, 정부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을 개정(법률 제 9108호)하여 이 기관이 교육(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한국뇌연구원(KBRI),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공동 연구 센터, 기초과학연구원(IBS), 사이버 물리 시스템 글로벌 센터 등이 설립되었다.

2. 2. 교육 기능 확대 및 발전

2004년 대한민국 정부는 국가 과학 기술 진흥을 위해 연구 기관으로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을 설립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구에 위치시켰다.[2] 2008년에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을 개정하여 교육(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2]

초대 원장은 2004년에 임명된 정규석이며,[2] 2008년 6월 13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 공포(법률 제 9108호)를 통해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교육 기관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11년에는 한국뇌연구원(KBRI)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설 연구원으로 설립되었고,[2] 2012년에는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와의 공동 연구 센터,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식물 노화 연구 센터, 사이버 물리 시스템 글로벌 센터가 설립되었다.[2] 2015년에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융복합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3. 조직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 조직위원회를 두고 있다. 2019년 4월 기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전체 구성원은 2,119명이다. 여기에는 2019학년도에 재학 중인 학생 1,486명(학부생 807명, 석사 과정 학생 375명, 박사 과정 학생 177명, 석·박사 통합 과정 학생 75명, 학·석사 연계 과정 학생 52명)이 포함된다. 또한 DGIST에서 근무하는 교원 207명, 연구원 205명, 행정 직원 221명도 포함된다.

;학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하나만을 두고 있다. 학부 과정은 융합학부 산하에 2014년에 개설되었다.

;대학원

DGIST 대학원 산하 6개 학과


DGIST의 대학원은 석사 학위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석·박사 통합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2020년 8월 현재 총 6개의 전공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 '''융복합소재공학부''': 양자 물질, 나노/바이오 소재, 전산 재료
  • '''융합학부''':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생체 의학 시스템, 스마트 연결 시스템
  • '''로봇공학부''': 수술 로봇, 재활 및 생명 지원 로봇, 바이오 마이크로/나노 로봇, BRI, 로봇 설계, 서비스 로봇
  • '''에너지 시스템공학부''': 재생 에너지,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재료 설계
  • '''뇌·인지과학부''': 신경 대사, 감각 시스템, 신경 퇴행, 이론 생물 물리학, 노화 생물학, 나노 바이오 이미징, 시스템 및 복잡 생물학, 생물 지속 가능성, 생화학 및 생물 물리학


이학에는 화학물리학과, 뇌과학과, 뉴바이오ロジー학과가 있으며, 공학에는 에너지공학과,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가 있다.

;부설 기관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 DGIF 조직위원회를 두고 있다. 한국뇌연구원(KBRI)이 부설 기관으로 있다.

3. 1. 학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하나만을 두고 있다. 학부 과정은 융합학부 산하에 2014년에 개설되었다.

3. 2. 대학원



DGIST의 대학원은 석사 학위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석·박사 통합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2020년 8월 현재 총 6개의 전공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 '''융복합소재공학부''': 양자 물질, 나노/바이오 소재, 전산 재료
  • '''융합학부''':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생체 의학 시스템, 스마트 연결 시스템
  • '''로봇공학부''': 수술 로봇, 재활 및 생명 지원 로봇, 바이오 마이크로/나노 로봇, BRI, 로봇 설계, 서비스 로봇
  • '''에너지 시스템공학부''': 재생 에너지,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재료 설계
  • '''뇌·인지과학부''': 신경 대사, 감각 시스템, 신경 퇴행, 이론 생물 물리학, 노화 생물학, 나노 바이오 이미징, 시스템 및 복잡 생물학, 생물 지속 가능성, 생화학 및 생물 물리학


이학에는 화학물리학과, 뇌과학과, 뉴바이오ロジー학과가 있으며, 공학에는 에너지공학과,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가 있다.

3. 3. 부설 기관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 DGIF 조직위원회를 두고 있다. 한국뇌연구원(KBRI)이 부설 기관으로 있다.

4. 연구

4. 1. DGIST 융합연구원

DGIST 융합연구원에는 다양한 연구센터와 연구소가 있다.

DGIST-LBNL 신소재 연구센터, 탄력적 사이버 물리 시스템 연구센터, 마이크로 레이저 기술 융합 연구센터, DGIST-ETH 마이크로로봇 연구센터, 핵심 단백질 자원 센터, 웰에이징 연구센터, 바이오 융합 스핀 시스템 글로벌 센터, 뇌 공학 융합 연구센터, 자성 이니셔티브 생명 케어 연구센터, 다크 데이터의 극대 활용 연구센터, 단백질체 생물물리학 센터, 박막 태양전지 연구센터가 있다.

ICT 연구소에는 전자 및 정보 시스템 전공, 자동차 기술 전공, 지능형 로봇 전공이 있으며, 소재 연구소에는 에너지 기술 전공, 나노 기술 전공, 생명공학 전공이 있다.

4. 2. 연구소

4. 3. 연구 지원 인프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융합연구원 외에도 연구를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여러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기술사업화센터 산하에는 기술창업진흥팀과 기술사업화팀이 있으며, 기술창업교육센터에는 기술창업교육팀이 있다.

5. 학술 교류

교토 대학, 도쿄 대학, 야마나시 대학, 와세다 대학, 규슈 대학, 오사카 대학 등 일본 대학들과 국제 교류를 하고 있다.

DGIF(DGIST Global Innovation Festival, DGIST 글로벌 이노베이션 페스티벌)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2012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과학기술분야 국제 종합 학술대회이다. DGIST의 여섯 개 특성화 분야인 신물질과학, 정보통신융합, 의료로봇, 그린에너지, 뇌과학, 뉴바이올로지 분야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구자와 산업계 인사들, 교육자들이 모여 과학기술의 새로운 연구 동향을 공유하며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2012년 대구 EXCO에서 열린 첫 학술대회에는 1,000여 명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구자와 산업계 인사, 교육자들이 참가하였다. 2014년부터 행사 장소를 준공 완료된 DGIST 학사캠퍼스로 옮겨 그 해 12월에 개최하였다. DGIST 6개 특성화 분야의 최신 연구 및 기술 성과 공유를 통해 글로벌 연구 수월성 제고 및 공동연구 확대 계기를 마련하며, 학술 정보 습득과 교환,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지역산업 활성화, 과학 대중화 기여에 개최 목적을 두고 있다.

5. 1. DGIF (DGIST Global Innovation Festival)

DGIF(DGIST Global Innovation Festival, DGIST 글로벌 이노베이션 페스티벌)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2012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과학기술분야 국제 종합 학술대회이다. DGIST의 여섯 개 특성화 분야인 신물질과학, 정보통신융합, 의료로봇, 그린에너지, 뇌과학, 뉴바이올로지 분야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구자와 산업계 인사들, 교육자들이 모여 과학기술의 새로운 연구 동향을 공유하며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2012년 대구 EXCO에서 열린 첫 학술대회에는 1,000여 명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구자와 산업계 인사, 교육자들이 참가하였다. 2014년부터 행사 장소를 준공 완료된 DGIST 학사캠퍼스로 옮겨 그 해 12월에 개최하였다. DGIST 6개 특성화 분야의 최신 연구 및 기술 성과 공유를 통해 글로벌 연구 수월성 제고 및 공동연구 확대 계기를 마련하며, 학술 정보 습득과 교환,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지역산업 활성화, 과학 대중화 기여에 개최 목적을 두고 있다.

5. 2. 국제 교류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교토 대학, 도쿄 대학, 야마나시 대학, 와세다 대학, 규슈 대학, 오사카 대학 등 일본 대학들과 국제 교류를 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GIST) https://www.timeshig[...] 2023-06-07
[2] 웹사이트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educativ.net[...] 2023-06-07
[3] 웹인용 대구경북과학기술원정관 제1장 제2조(목적) https://web.archive.[...] 2014-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