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타세 요시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타세 요시노리는 일본의 비디오 게임 개발자이자 프로듀서이다. 1966년 일본에서 태어났으며, 영화에 대한 관심으로 니혼 대학 예술학부에서 시나리오와 영화 제작을 전공했다. 1990년 스퀘어(현 스퀘어 에닉스)에 입사하여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핵심 개발자로 활동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파이널 판타지 VI》, 《파이널 판타지 VII》, 《파이널 판타지 VIII》, 《파이널 판타지 X》, 《파이널 판타지 XIII》,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등이 있으며, 현재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브랜드 매니저를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퀘어 에닉스 사람 - 아키야마 준
    아키야마 준은 스퀘어 에닉스에서 다양한 게임의 이벤트 플래닝, 시나리오, 디렉션을 담당한 일본의 게임 개발자로, 특히 《파이널 판타지 XII》 스토리 총괄 및 《킹덤 하츠》 시나리오 공동 집필에 참여했다.
  • 스퀘어 에닉스 사람 - 마츠노 야스미
    마츠노 야스미는 독창적인 세계관과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게임들을 감독하며 이름을 알린 일본의 게임 개발자이다.
  •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렉터 - 우치코시 코타로
    우치코시 코타로는 1973년생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시나리오 작가, 게임 디렉터로서, 극한탈출 시리즈와 AI: 섬니움 파일즈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코다카 카즈타카와 함께 투쿄 게임즈를 설립하여 독특한 스토리텔링으로 인정받고 있다.
  •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렉터 - 호리이 유지
    호리이 유지는 일본의 게임 디자이너이자 작가, 만화 원작자로,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시나리오 및 게임 디자인을 담당하여 일본 롤플레잉 게임(RPG)의 전형을 확립했으며, 다양한 게임 제작과 감독을 거쳐 수상 경력과 함께 고향의 명예 시민으로 선정되었다.
  • 일본의 비디오 게임 프로듀서 - 나카무라 코이치
    나카무라 코이치는 1984년 춘소프트 프로그래머로 시작하여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를 개발하며 롤플레잉 게임 장르를 일본에 대중화시켰다.
  • 일본의 비디오 게임 프로듀서 - 아오누마 에이지
    아오누마 에이지는 1988년 닌텐도에 입사하여 《젤다의 전설》 시리즈 개발을 주도하며 게임 시스템 디렉터, 감독, 프로듀서 등을 역임한 일본의 게임 개발자로서,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 공로상과 프랑스 문화부 예술문화훈장을 수훈했다.
기타세 요시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9년 E3에서의 기타세
2009년 E3에서의 기타세
본명기타세 요시노리 (北瀬 佳範)
출생일1966년 9월 23일
출생지일본
직업비디오 게임 디렉터, 게임 프로듀서
소속스퀘어 에닉스
활동 기간1990년–현재
학력니혼 대학 예술학부 영화학과
대표작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경력
주요 작품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직책스퀘어 에닉스 이사, 집행 임원, 제1개발사업본부장 (겸임) 스퀘어 에닉스 홀딩스 이사

2. 약력

기타세 요시노리는 일본 대학 예술학부 영화학과에서 영화 제작을 공부한 후, 작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거쳐 1990년 게임 개발사 스퀘어에 입사했다.[4][5] 그는 성검전설 ~파이널 판타지 외전~과 로맨싱 사가 개발에 참여한 뒤, 파이널 판타지 V에서 이벤트 연출을 담당하며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5] 이후 파이널 판타지 VI에서 처음으로 디렉터를 맡았으며, 파이널 판타지 VII파이널 판타지 VIII에서는 디렉터이자 스토리 작가로서 게임 개발을 이끌었다.[6] 파이널 판타지 X부터는 프로듀서로 역할을 전환하여 시리즈 제작을 총괄하고 있다.[6] 그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핵심 개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9]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영화광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부터 외국 영화를 접하며 성장했다. 1978년 7월, 11세 때 영화 스타워즈를 처음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단순히 영화를 감상하는 것을 넘어 영화 제작 과정 자체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특히 제작 비디오를 보면서 영화 산업의 창작 과정에 흥미를 느꼈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일본 대학 예술학부 영화학과에 진학하여 시나리오 작성과 영화 제작을 공부하며 아날로그 영화 제작 방식을 익혔다. 대학 시절 영화 촬영 자체도 즐겼지만, 특히 후반 편집 과정에 더 큰 열정을 보였다. 그는 후반 편집이야말로 촬영된 영상에 완전히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시청자의 감정에 강력하게 호소할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했다.[4]

대학 졸업 후 첫 해에는 대학 시절 인연을 맺은 애니메이션 작가가 운영하는 작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 취직했다. 그곳에서 약 1년간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광고 등을 제작하며 영상 제작 현장 실무를 경험했지만 퇴사했다.

2. 2. 스퀘어 입사 및 초기 경력

니혼 대학 예술학부에서 시나리오와 영화 제작을 공부했다.[4] 그는 영화 촬영보다는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시청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후반 편집 과정에 더 큰 매력을 느꼈다.[4] 대학 졸업 후에는 작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광고 제작 일을 했다.[4]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일하며 스토리 중심의 콘텐츠 제작에 대한 열망을 키우던 중, 우연히 접한 파이널 판타지 게임에서 애니메이션과 스토리텔링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게임 업계로의 이직을 결심했다.[4] 소프트웨어 개발 경험은 없었지만, 1990년 3월 게임 개발사 스퀘어에 입사했다.[4]

입사 초기에는 성검전설 ~파이널 판타지 외전~과 로맨싱 사가 개발에 참여했다. 이후 파이널 판타지 V 개발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게임 내 이벤트 연출을 담당하는 "이벤트 스크립터"로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5] 그는 이 역할을 게임 화면 속 캐릭터의 움직임과 표정을 연출하고, 타이밍과 음악 전환 등을 조절하는, 마치 영화감독이 배우를 연출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5] 파이널 판타지 V에서는 사카구치 히로노부와 함께 이벤트 제작을 담당했으며, 후속작인 파이널 판타지 VI에서는 처음으로 디렉터를 맡았다.

2. 3.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핵심 개발자

요시노리 기타세(오른쪽)와 아트 디렉터 카미코쿠료 이사무 (왼쪽)가 2010년 3월 런던 HMV에서 열린 ''파이널 판타지 XIII'' 출시 행사에서


기타세 요시노리는 니혼 대학 예술학부에서 시나리오와 영화 제작을 공부했으며, 특히 촬영된 영상을 새로운 의미로 만들고 감정에 호소하는 후반 편집 과정에 큰 매력을 느꼈다.[4] 졸업 후 작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일하던 중, ''파이널 판타지''를 접하고 게임의 스토리텔링 잠재력에 주목하여 게임 업계로 진로를 바꾸었다.[4] 소프트웨어 개발 경험이 없었음에도 1990년 3월 스퀘어에 입사하여[5], 게임 화면에서 캐릭터의 움직임과 표정을 연출하고 타이밍과 음악 전환을 설정하는 "이벤트 스크립터"로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이 작업을 영화 배우 연출에 비유하며[5], 이후 다른 역할을 맡으면서도 ''파이널 판타지 VIII''의 일부 이벤트 장면[13]이나 ''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 VII''의 니블헤임 섹션 이벤트 기획[17] 등 컷신 연출에 지속적으로 참여했다.

기타세는 ''파이널 판타지 VII''과 ''파이널 판타지 VIII''에서 디렉터 및 스토리 작가 역할을 맡아 게임의 세계관과 캐릭터 설정에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 특히 이 두 작품의 SF 세계관 설정에 깊이 관여했다. 그러나 많은 플레이어들이 "단순한 판타지 세계"를 요구하자, 기타세는 '판타지'의 정의를 중세 유럽 배경 너머로 확장하고자 했고, 이는 ''파이널 판타지 X''의 배경을 동남아시아로 설정하는 계기가 되었다.[6] 그는 ''파이널 판타지 X''부터 프로듀서로 역할을 전환하여 시리즈 전체를 총괄하기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기타세는 ''파이널 판타지 VII''과 주인공 클라우드 스트라이프를 가장 좋아하는 게임과 캐릭터로 꼽았으며[7], 1인칭 슈팅 게임을 즐긴다고 밝히기도 했다.[8]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창시자인 사카구치 히로노부는 기타세가 시리즈의 책임자로서 자신의 뒤를 이었다고 평가했다.[9] 기타세는 ''파이널 판타지 VII: PS3 기술 데모''의 감독을 맡기도 했다.

3. 주요 작품

기타세 요시노리는 스퀘어(현 스퀘어 에닉스)에서 오랫동안 활동하며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를 비롯한 다수의 유명 게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에는 ''성검전설 ~파이널 판타지 외전~''의 게임 디자인과 시나리오, ''파이널 판타지 V''의 필드 플랜 등을 담당하며 경력을 쌓았다.

이후 ''파이널 판타지 VI'', ''크로노 트리거'', ''파이널 판타지 VII'', ''파이널 판타지 VIII'' 등 굵직한 작품들의 디렉터를 맡아 게임 개발을 이끌었으며, 특히 ''파이널 판타지 VII''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그의 명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파이널 판타지 X''를 시작으로 주로 프로듀서 역할을 맡아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및 관련 작품들의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컴필레이션 오브 파이널 판타지 VII 프로젝트와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프로젝트에서도 핵심 프로듀서로 참여하고 있다.

그가 참여한 구체적인 비디오 게임 및 기타 미디어 작품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비디오 게임

기타세 요시노리가 참여한 주요 비디오 게임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담당 역할
1991파이널 판타지 어드벤처게임 디자인, 시나리오
1992로맨싱 사가필드 맵 디자인
파이널 판타지 V필드 플래너, 이벤트 플래너, 시나리오[10]
1994파이널 판타지 VI디렉터, 이벤트 플래너, 시나리오[10]
1995크로노 트리거디렉터, 시나리오[11]
1997파이널 판타지 VII디렉터, 스토리
1999파이널 판타지 VIII디렉터, 스토리, 시스템 디자이너, 이벤트 씬 디렉터[12][13]
2001파이널 판타지 X치프 디렉터, 프로듀서, 시나리오[14][15][16]
2002킹덤 하츠프로듀서
2003파이널 판타지 X-2프로듀서, 시나리오
2004비포 크라이시스: 파이널 판타지 VII총괄 프로듀서
킹덤 하츠: 체인 오브 메모리즈프로듀서
2005킹덤 하츠 II
2006다크 크라이시스: 파이널 판타지 VII
파이널 판타지 V 어드밴스슈퍼바이저
다크 크라이시스 로스트 에피소드: 파이널 판타지 VII총괄 프로듀서
파이널 판타지 VI 어드밴스슈퍼바이저
2007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 VII총괄 프로듀서, 이벤트 플래너[17]
2008시그마 하모닉스프로듀서
디시디아 파이널 판타지
2009파이널 판타지 XIII
2010더 3rd 버스데이
2011파이널 판타지 타입-0
파이널 판타지 XIII-2
2013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
파이널 판타지 X/X-2 HD 리마스터
2014파이널 판타지 VII G-바이크총괄 프로듀서[2]
2015뫼비우스 파이널 판타지프로듀서
2016파이널 판타지 XV스페셜 땡스, 오리지널 프로듀서
2017Flame vs Blaze총괄 프로듀서
2019파이널 판타지 VIII 리마스터스페셜 땡스, 슈퍼바이저[18]
2020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프로듀서
2021파이널 판타지 픽셀 리마스터슈퍼바이저
파이널 판타지 II 픽셀 리마스터
파이널 판타지 III 픽셀 리마스터
파이널 판타지 IV 픽셀 리마스터
파이널 판타지 V 픽셀 리마스터
파이널 판타지 VII: 더 퍼스트 솔저총괄 프로듀서
2022파이널 판타지 VI 픽셀 리마스터슈퍼바이저
초코보 GP총괄 프로듀서
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 VII 리유니온
2023파이널 판타지 VII: 에버 크라이시스
2024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프로듀서


3. 1. 1. 디렉터

기타세 요시노리는 스퀘어(현 스퀘어 에닉스)에서 여러 유명 게임의 디렉터를 맡았다. 대표적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파이널 판타지 VI''' (1994년): 디렉터로 참여했으며, 이벤트 제작에도 관여했다.
  • '''크로노 트리거''' (1995년): 디렉터 역할을 수행했으며, 루카의 추가 에피소드 제작에 참여했다.
  • '''파이널 판타지 VII''' (1997년): 디렉터와 스토리 작성을 동시에 담당했다.
  • '''파이널 판타지 VIII''' (1999년): 디렉터를 맡았으며, 일부 이벤트 연출, 스토리 제작, 세부 시스템 설정에도 참여했다.

3. 1. 2. 프로듀서

기타세 요시노리가 프로듀서, 공동 프로듀서,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총괄 프로듀서 등으로 참여한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영상 및 기술 데모'''

연도제목담당
2005파이널 판타지 VII PS3 기술 데모프로듀서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프로듀서
파이널 판타지 VII 라스트 오더총괄 프로듀서
2009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 컴플리트프로듀서
온 더 웨이 투 어 스마일 - 에피소드: 덴젤총괄 프로듀서



'''게임'''

연도작품명작중 크레딧
2001파이널 판타지 X프로듀서
2002킹덤 하츠공동 프로듀서
2003신약 성검전설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파이널 판타지 X-2프로듀서
2004킹덤 하츠 체인 오브 메모리즈프로듀서
비포 크라이시스 파이널 판타지 VII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2005킹덤 하츠 II공동 프로듀서
2006다지 오브 케르베로스 파이널 판타지 VII프로듀서
다지 오브 케르베로스 로스트 에피소드 파이널 판타지 VII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2007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 VII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2008시그마 하모닉스프로듀서
디시디아 파이널 판타지프로듀서
2009파이널 판타지 XIII프로듀서, 크리스탈 툴즈 개발 스탭
2010더 서드 버스데이프로듀서
2011파이널 판타지 XIII-2프로듀서
파이널 판타지 영식프로듀서
2013파이널 판타지 X / X-2 HD 리마스터프로듀서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프로듀서
2014파이널 판타지 VII G바이크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2015뫼비우스 파이널 판타지프로듀서
2017뫼비우스 파이널 판타지 이벤트 "DREAM WITHIN A DREAM-영원의 꿈-"프로듀서
뫼비우스 파이널 판타지 이벤트 "페이탈 콜링"프로듀서
2018뫼비우스 파이널 판타지 파멸의 전사프로듀서
뫼비우스 파이널 판타지 이벤트 "잠자는 사자"프로듀서
2020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프로듀서
2021파이널 판타지 VII 더 퍼스트 솔저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2022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 VII- 리유니온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3. 1. 3. 기타 역할

3. 2. 기타 미디어

wikitext

연도제목담당
1991Digital Target
1995FINAL FANTASY VI THE INTERACTIVE CG GAME감독
1999파이널 판타지 VIII의 파티감독
2001파이널 판타지스퀘어 그룹 기업
2005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프로듀서
라스트 오더 파이널 판타지 VII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FINAL FANTASY VII TECHNICAL DEMO FOR PS3감수
2009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 컴플리트프로듀서
On the Way to a Smile EPISODE:DENZEL FINAL FANTASY VII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2016킹스글레이브 파이널 판타지 XV스페셜 땡스
2021멋지다! 마사루 The Animation기획 협력


4. 개발 철학 및 영향

니혼 대학 예술학부에서 시나리오와 영화 제작을 공부한 경험은 기타세의 게임 개발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는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시청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후반 편집 과정에 매력을 느꼈다.[4] 이러한 경험은 이후 게임 개발에서 영화적인 연출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반이 되었다.

스퀘어에 입사한 후, 기타세는 '이벤트 스크립터'로서 게임 화면에서 캐릭터의 움직임과 표정을 연출하고, 타이밍과 음악 전환을 설정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는 이 작업을 마치 영화 배우를 연출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며, 게임 내 컷신의 연출을 중요하게 다루었다.[5] 이러한 연출 방식은 ''파이널 판타지 VIII''의 이벤트 장면 일부와 ''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 VII''의 니블헤임 섹션 이벤트 기획 등 후속 작업에서도 이어졌다.[13][17]

기타세는 '판타지'라는 개념이 반드시 중세 유럽 배경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 ''파이널 판타지 VII''과 ''파이널 판타지 VIII'' 이후 팬들이 보다 전통적인 판타지 세계를 요구했을 때, 그는 오히려 판타지의 정의를 확장하고자 했다. 이러한 생각은 ''파이널 판타지 X''의 배경 설정을 동남아시아 문화권에서 영감을 받아 구상하는 계기가 되었다.[6]

기타세는 자신이 제작한 게임 중 ''파이널 판타지 VII''을 가장 좋아하며, 주인공 클라우드 스트라이프를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로 꼽았다.[7] 또한 개인적으로 1인칭 슈팅 게임을 즐겨한다고 밝히기도 했다.[8]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창시자인 사카구치 히로노부는 기타세가 시리즈의 핵심 개발자로서 자신의 뒤를 이어 시리즈를 이끌어갈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그의 영향력을 인정했다.[9]

5. 기타



기타세는 인터뷰에서 1인칭 슈팅 게임을 좋아한다고 말했다.[8] 그는 ''파이널 판타지 VII''과 주인공 클라우드 스트라이프를 각각 가장 좋아하는 게임과 캐릭터로 언급했다.[7]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제작자 사카구치 히로노부는 자신이 시리즈의 책임자로서 기타세에게 "토치를 넘겼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9]

참조

[1] 웹사이트 Board of Directors http://www.jp.square[...] Square Enix 2019-00-00
[2]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完全版)】『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VII Gバイク』 いま明かされる開発秘話 http://app.famitsu.c[...] Famitsu 2014-06-27
[3] 웹사이트 What Does Square Enix's Final Fantasy Committee Do? http://www.siliconer[...] Siliconera 2014-03-25
[4] 웹사이트 Everything we know about the man behind the Final Fantasy 7 remake https://www.gamesrad[...] 2015-08-14
[5] 웹사이트 ja:「ハリウッド映画に負けていますか?」 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プロデューサー北瀬 佳範 http://gendai.ismedi[...] Kodansha 2009-11-25
[6] 웹사이트 Beyond FINAL FANTASY – Interviews https://www.youtube.[...] Square Enix Co., Ltd 2007-01-26
[7] 웹사이트 Yoshinori Kitase on FFXIII, FFVII and Dissidia http://www.videogame[...] VideoGamer.com 2009-05-08
[8] 웹사이트 E3 2005: Yoshinori Kitase Interview http://ps2.ign.com/a[...] IGN 2005-05-19
[9] 웹사이트 Hironobu Sakaguchi and Hajime Tabata Discuss Their Passion for the Series and Behind-the-Scenes Episodes from the Final Fantasy XV Reveal Event http://www.famitsu.c[...] Famitsu 2016-05-13
[10] 웹사이트 Final Fantasy: Kitase's Inside Story http://www.1up.com/d[...] UGO Networks 2010-02-24
[11] 웹사이트 Procyon Studio: Interview with Masato Kato https://web.archive.[...] Cocoebiz.com 1999-11-00
[12] 간행물 Interview with Nomura, Kitase and Naora https://web.archive.[...] ASCII Corporation 1998-06-05
[13] 서적 Final Fantasy VIII Ultimania Square Enix
[14] 웹사이트 Interview: Final Fantasy X http://www.coremagaz[...] Core Magazine 2001-03-06
[1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Final Fantasy X Developers http://www.mmcafe.co[...] The Madman's Cafe 2001-01-19
[16] 서적 Final Fantasy X Ultimania Omega Square Enix
[17] 웹사이트 Crisis Core: Interviewing Yoshinori Kitase http://www.bit-tech.[...] bit-tech 2008-04-26
[18] 웹사이트 Talking FINAL FANTASY VIII Remastered with YOSHINORI KITASE // Meme Review https://www.youtube.[...] 2019-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