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타 사다키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타 사다키치는 일본의 역사학자, 지리학자, 고고학자이며, 일본 민족 형성과 고대사 연구에 기여했다. 그는 도쿄 제국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교토 제국대학 및 도호쿠 제국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역사지리학 연구의 기반을 다졌다. 일본역사지리연구회를 조직하고 학술지를 발간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했으며, 향토사 연구에도 힘썼다. 주요 업적으로는 일본 민족 구성론 제시, 호류사 재건 논쟁 참여, 고고학적 발굴 조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일본중지리』, 『독사백화』 등이 있다. 그러나 일선동조론을 주장하여 한일 병합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쿠시마현 출신 - 미키 다케오
    미키 다케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제66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록히드 사건 조사와 정치 개혁을 시도했으나, 정치적 이상과 현실 간 괴리, 강직한 성격 등으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도쿠시마현 출신 - 세토우치 자쿠초
    세토우치 자쿠초는 불륜과 이혼 후 소설가로 데뷔, 여류문학상과 다니자키 준이치로 상을 수상하고 겐지 이야기 번역으로도 알려진 일본의 소설가이자 비구니로, 출가 후에도 사회 참여 활동을 하다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일본의 역사가 - 하타 이쿠히코
    하타 이쿠히코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일본 근현대사와 군사 및 전쟁사를 연구하며 난징 대학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여 일본 내외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역사가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19세기 일본 사람 -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에도 시대 후기 우키요에 화가로, 풍경화 스타일을 확립하여 『도카이도 오십삼차』, 『에도 명소 백경』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서양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일본 사람 - 주만 가나에
    주만 가나에는 메이지 시대의 교육자이자 야구 선수로, "야구"라는 용어를 일본에 정착시키고 일본 최초의 야구 전문서를 출판하여 일본 야구 용어 표준화와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교육계에서도 활동한 인물이다.
기타 사다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기타 사다키치
원어 이름喜田貞吉
출생일1871년 7월 11일
사망일1939년 7월 3일
국적일본
분야역사학
소속 기관도쿄 제국대학
교토 제국대학
도호쿠 대학
학문
연구 분야역사학
연구 기관도쿄 제국대학
교토 제국대학
도호쿠 대학
주요 개념일본 민족의 형성사에 대해 역사학, 고고학의 입장에서 많은 가설을 제시
개인사
출생지아와 국나가 군구시부치 촌(현 도쿠시마 현고마쓰시마 시)
사망지미야기 현센다이 시
출신 학교제국대학문과대학
자녀기타 신로쿠(장남)
기타

2. 생애

기타 사다키치는 아와국 나카군 구시부치촌(오늘날의 도쿠시마현 고마쓰시마시) 출신의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 교토 제국대학, 도호쿠 제국대학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일본 고대사 및 역사지리학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남북조 정윤 문제로 휴직 처분을 받았고, 미네르바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저서로는 『독사백화』, 『제도』 등이 있으며, 센다이시에서 69세로 사망했다.[1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아와국 나카군 구시부치촌(오늘날의 도쿠시마현 고마쓰시마시)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다. 구시부치소학교, 구제도쿠시마중학교, 제3고등학교를 거쳐 1893년 (메이지 26년) 23세로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에 입학, 역사연구를 배웠다. 우치다 긴조, 구로이타 가쓰미와 동기였다. 1896년 국사학과를 졸업하고[9] 동대학원에 입학하였다. 쓰보이 구메조 등을 지도교수로 연구제목을 「일본의 역사지리」로 정하였다. 1899년 (메이지 32년) 고우타 시게루와 공저로 중등교과서 『일본지리』, 『외국지리』를 간행했다. 이듬해 30세 때 단독저서로 중등교과서 『일본중지리』를 간행한다. 이 책은 「총론」, 「지방지」, 「주민・정치・생업」의 3장으로 구성되었다.[10]

2. 2. 학문 활동과 교수 생활

도쿄 제국대학 강사로 임용된 후, 1909년 "헤이조쿄의 연구·호류사 재건논쟁"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9] 문부성에서 국정교과서 편찬에도 종사했지만, 1911년 남보쿠초 시대의 남조와 북조를 나란히 기술했기 때문에 남조정통론자들에게 비난받고 휴직 처분을 받았다.

1913년 교토 제국대학 전임강사, 1920년부터 1924년까지 동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1923년부터는 전년 설치된 도호쿠 제국대학 국사학연구실 강사로 고대사 및 고고학을 담당하며 이 연구실의 기초를 닦았다. 1936년에는 조몬토기를 만든 사람들이 가마쿠라 시대까지 생활했던 것 아니냐는 가설을 세우고 야마노우치 스가오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미네르바 논쟁)[11]

일본역사지리연구회를 조직하고 학술지 『역사지리』를 발간하여 고대사·건축사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향토사 발전에도 기여하여 많은 후학을 양성했는데, 특히 교토 제국대학 시절 만난 아키타현 출신의 후카사와 타이치가 자비로 『아키타 총서』를 간행했을 때 기타가 그 감수자를 맡아 주었다.[12]

2. 3. 사망

센다이시에서 향년 69세로 사망했다.[13]

3. 주요 업적

기타 사다키치는 독자적인 일본민족구성론과 일선양민족동원론을 주장하여 한일병합을 역사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고 비판받았으며, 호류사 재건・비재건 논쟁에서 재건론을 펼쳐 후에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다.[14] 또한 홋타노 사쿠아토 초기 발굴조사를 지도하여 오카치성이 이전・재건된 것임을 밝혔고, 피차별부락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14]

3. 1. 역사지리학 연구

일본 역사지리학의 선구자로 고대사, 건축사 연구에 기여했다. 1896년 국사학과를 졸업하고[1] 같은 대학원에 입학하여 연구 과목을 "일본의 역사지리"로 정했다. 1909년 "헤이조쿄의 연구·호류지 재건 논쟁"[3]으로 도쿄 제국대학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역사지리 연구회를 조직하여 학술 잡지 『역사지리』를 발간하고, 고대사·건축사에 큰 공헌을 했다. 저서로는 『독사 백화』, 『제도』 등이 있다.

3. 2. 호류사 재건 논쟁

호류사 재건・비재건 논쟁에서 재건론을 주장했으며, 이는 후에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다.[14]

3. 3. 고고학 연구

아키타현 센보쿠군의 홋타노 사쿠아토 초기 발굴조사를 지도하고, 이 성책이 속일본기에 나오는 오카치성이 이전・재건된 것임을 밝혔다.[14] 1936년(쇼와 11년) 도고쿠 지방에서 조몬 토기를 만든 사람들이 가마쿠라 시대 무렵까지 생활하고 있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야마우치 기요오와 논쟁을 벌였다(「미네르바 논쟁」).[4]

3. 4. 일본 민족 형성론

기타 사다키치는 일선양민족동원론을 주장했는데, 이는 1910년 한일병합을 역사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고 비판받는다.[14] 그는 독자적인 일본민족구성론을 펼치며 일본민족의 형성사에 대해 역사학적, 고고학적 입장에서 많은 가설을 제시했다.

3. 5. 피차별부락 연구

기타 사다키치는 피차별부락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14]

4. 일선동조론과 한일병합

기타 사다키치는 일선양민족동원론을 주장했다. 이는 1910년의 한일병합을 역사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고 비판받는다.[14]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주장이 일제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사용되었다고 비판한다.

5. 가족

장남은 중앙 대학교 교수를 지낸 일본 고대사 전공 기타 신로쿠(1903년 - 1964년)이다.

6. 저작

기타 사다키치는 지리, 역사, 사회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폭넓은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출판사비고
1900년 3월일본 중 지리킨코도
1899년 3월일본 중 지리 부록킨코도수정 재판 (1899)
1902년 8월본방 지리 강좌깃카와 코분칸증정 삼판 (1903)
1910년 6월국사의 교육산세이도 서점
1910년 11월한국의 병합과 국사산세이도 서점
1912년 7월독사 백화산세이도 서점
1915년 8월제도일본학술 보급회역사 강좌, 복각판 (1939)
1928년 1월도쿄 황윤론불교 연합회
1924년 6월역사상에서 본 차별 철폐 문제중앙사회사업협회 지방 개선부지방 개선 사업 총서 제1집
1926년 3월융화 자료중앙융화사업협회융화 문제 총서 제1편, 사판 (1928)
1928년 1월융화 문제에 관한 역사적 고찰중앙사회사업협회 지방개선부융화 문제 총서 제6편
1928년 4월일본 역사 이야기 (상)아르스일본 아동 문고 1, 복각판 (1928)
1929년 12월휴가국사 (상권)사지 출판사
1930년 1월휴가국사 (하권)사지 출판사
1930년 1월휴가국사 고대사사지 출판사복각판 (1943)
1933년 4월환갑 기념 육십년의 회고기타 사다키치
1934년 9월본방 도성의 제이와나미 서점이와나미 강좌 일본 역사 제2권3
1935년 9월복신 연구일본학술 보급회
1935년 10월제동 사화리츠메이칸 출판부재판 (1935)
1942년 8월후지와라쿄이카루가 고향사 출판부
1968년 10월특수 부락 연구세계문고근대 문예 자료 복각 총서 제7집, 부락 문제 자료 문헌 총서 제5권
2008년 2월피차별 부락이란 무엇인가가와데 서방 신사
2008년 3월천민이란 무엇인가가와데 서방 신사
2008년 9월차별의 근원을 생각하다가와데 서방 신사
2008년 9월피차별 부락이란 무엇인가가와데 서방 신사
1899년 3월일본 지리긴코도고다 슈세이와 공저
1899년 3월외국 지리 (상권)긴코도고다 슈세이와 공저
1899년 4월외국 지리 (하권)긴코도고다 슈세이와 공저, 수정 재판 (1900)
1903년 10월일본 역사 및 지리 요람일본 역사 지리 연구회홋타 쇼사, 기타 사다키치 공편
1932년 1월일본 석기 시대 식물성 유물 도록기타 사다키치스기야마 주에오와 공저
1898년 2월중학강좌 일본지리중등학과교수법연구회기타 사다키치 교정, 재판 (1898)
1898년 2월중학강좌 일본지리 부도중등학과교수법연구회기타 사다키치 교정, 재판 (1898)
1915년 12월용소유운기타 사다키치(편집)
1975년 6월빙물호분칸 출판(편집), 야마다 노리오 보충
1976년 5월복신호분칸 출판(편집), 야마다 노리오 보충
1981년 7월석기 시대와 고고학 (제1권)헤이본샤(편집) 고바야시 유키오
1979년 6월고분묘 연대 연구 (제2권)헤이본샤(편집) 고바야시 유키오
1981년 11월국사(国史)와 불교사 (제3권)헤이본샤(편집) 하야시야 다쓰사부로
1982년 8월역사 지리 연구 (제4권)헤이본샤(편집) 하야시야 다쓰사부로
1979년 10월도성의 연구 (제5권)헤이본샤(편집) 하야시야 다쓰사부로
1980년 2월나라 시대의 사찰 (제6권)헤이본샤(편집) 고바야시 유키오
1982년 3월호류지 재건론 (제7권)헤이본샤(편집) 고바야시 유키오
1979년 12월민족사 연구 (제8권)헤이본샤(편집) 우에다 마사아키
1980년 5월에조의 연구 (제9권)헤이본샤(편집) 이토 노부오
1982년 6월부락 문제와 사회사 (제10권)헤이본샤(편집) 우에다 마사아키
1980년 11월신앙과 민속 (제11권)헤이본샤(편집) 우에다 마사아키
1980년 8월사이토시화・기행문 (제12권)헤이본샤(편집) 이토 노부오, 하야시야 다쓰사부로
1979년 8월학창 일지 (제13권)헤이본샤(편집) 이토 노부오
1982년 11월육십 년의 회고・일지 (제14권)헤이본샤(편집) 이토 노부오
1940년 9월기타 사다키치 선집 (제1권, 호류지 논고)지진칸(편집) 기타 신로쿠
1972년 10월기타 사다키치집지진칸일본 고고학 선집8, (편집) 사이토 다다시
2008년 1월선주민과 차별 기타 사다키치 역사 민속학 걸작선카와데 쇼보 신샤(편집) 사레키가와 젠지


7. 평가 및 영향

기타 사다키치는 일본 역사지리학, 고고학, 민속학 등 여러 방면에 걸쳐 업적을 남겼다. 특히 호류사 재건 논쟁[3]은 그의 대표적인 학문적 성과로 꼽힌다. 또한, 학술 잡지 『역사지리』를 통해 고대사와 건축사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4]

그러나 일선동조론을 내세워 1910년 한일병합을 역사적으로 정당화하려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14] 이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폄하하고 일본의 식민 지배를 합리화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시각이 존재한다.

7. 1. 긍정적 평가

기타 사다키치는 일본 역사지리학, 고고학, 민속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특히 호류사 재건론을 둘러싼 논쟁[3]은 그의 주요 학문적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또한, 학술 잡지 『역사지리』를 발간하여 고대사와 건축사 연구에 큰 공헌을 하였다.[4]

7. 2. 부정적 평가

기타 사다키치는 일선동조론을 주장하여 1910년한일병합을 역사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14] 이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무시하고 일본의 식민 지배를 합리화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진보 진영에서는 기타 사다키치의 식민사관을 비판적으로 보는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그의 학문적 업적을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官報』第3910号 https://dl.ndl.go.jp[...] 1896-07-11
[2] 서적 岡田 (2011) p.203
[3] 웹사이트 法隆寺再建非再建論の回顧 https://www.aozora.g[...]
[4] 논문 日本先史土器の分類学的研究 —山内清男と日本考古学— http://umdb.um.u-tok[...] 鈴木公雄
[5] 서적 渡邉 (2006) pp.1-21
[6] 서적 渡邉 (2006) pp.10-11
[7] 서적 岡田 (2011) p.209
[8] 서적 小熊 (1995) pp.119-135
[9] 간행물 『官報』第3910号 http://dl.ndl.go.jp/[...] 1896-07-11
[10] 서적 岡田 (2011) p.203
[11] 웹인용 「日本先史土器の分類学的研究〜山内清男と日本考古学」(東京大学) https://web.archive.[...] 2020-05-18
[12] 서적 渡邉 (2006) pp.1-21
[13] 서적 岡田 (2011) p.209
[14] 서적 小熊 (1995) pp.119-13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