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강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강태는 대한민국의 수학자로, 다변수복소수함수론 및 복소미분기하학 분야를 연구한다. 1957년 제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해군 장교로 복무했다. 이후 UCLA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브라운 대학교 교수를 거쳐 1994년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대한수학회 학술상 수상, SCI급 국제학술지 편집위원 선임 등 학술적 업적을 쌓았으며, 현재 Springer의 Journal of Geometric Analysis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편집자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편집자 - 제임스 바
    제임스 바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신학자이자 구약학자로서, 성경 언어 의미론과 근본주의 비판에 기여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박이문
    박이문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시인, 문학 평론가로, 서울대학교 등에서 수학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실존주의 문학 평론과 프랑스 문학 번역, 다수의 저서 출간 등의 활동을 하다가 2017년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수학자 - 이상설
    이상설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로, 성균관 교수와 탁지부 재무관을 역임하며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어 독립을 호소하고,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수학자 - 박경미
    박경미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졸업 후 미국에서 수학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홍익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를 역임, 교육 분야 전문성을 쌓아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국회의장 비서실장 등을 거쳐 현재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회 위원장과 대변인으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수학교육학 박사이다.
김강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강태
로마자 표기Gim Gangtae
출생1957년
출생지제주특별자치도
국적대한민국
분야수학
소속포항공과대학교
학력
학사서울대학교 (1978년)
박사UCLA (1988년)
박사 지도교수로버트 E. 그린
수상
수상대한수학회 학술상

2. 생애

김강태는 1988년 7월 미국 로드아일랜드 소재 브라운 대학교 J. D. 타마킨 조교수로 임용되어 3년간 근무 후 정규 조교수로 승진하였다. 1994년 12월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부교수로 부임하였고, 1999년 3월 교수로 승진하였다. 1998년 9월부터 2년간, 그리고 2002년부터 2년간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주임교수를 역임하였다.[1]

1992년-1993년 브라운 대학교 특별 안식년 기금을 지원받아 워싱턴 대학교인디애나 대학교 방문 조교수로 재직하였고, 1995년 캘리포니아 버클리 소재 수리과학연구소(MSRI) 초청으로 1개월간 방문회원으로 연구하였다.[1] 1999년 6-7월에는 이탈리아 제21차 수학연합대학교 교수로 초빙되어 이탈리아와 유럽 대학원생 및 신진 박사들을 지도하였고, 2001년 워싱턴 대학교 방문 교수로 1년간 연구, 강의 및 대학원생 지도를 수행하였다. 2002년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 프로방스 대학교(현 Aix Marseille Université) 석좌방문교수로 1개월간 연구와 세미나를 담당하였다.[1] 2001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포항공과대학교 제1대 권경환 석좌교수로 재직하였다.[1] 1997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수학분야 우수논문상, 2000년 대한수학회 새천년학술회의에서 대한수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프랑스 College de France, Ecole Polytechnique, Université Joseph Fourier(현 Université de Grenoble-Alpes) L'institut Fourier, 미국 UCLA 등에서 방문교수를 역임하였다.[1]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1957년제주에서 태어나서, 1974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할 때까지 그곳에서 자랐다. 성도교회 출신으로 옥한흠 목사와 황성철 교수로부터 신앙적 훈련을 받았다.[1] 서울대학교에서 6년 동안 재학하며 1978년에 수학으로 이학사, 1980년에 수학으로 이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1980년 3월에는 제71차 해군사관후보생대에 입소, 동년 6월 28일 자로 해군 중위로 임관하여 이후 3년간 해군사관학교 교수부 교관 및 전임강사로 근무하였다.[1] 1983년 10월 미국 UCLA 박사 과정에 입학하여 Robert E. Greene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미분기하, 다변복소함수론, 대수기하 등의 여러 분야의 교육을 받고 연구를 수행하여 1988년 6월 수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연도내용
1978년서울대학교에서 이학사(B. Sc.) 취득, 1980년 동 대학 수학 석사(M. Sc.) 취득[1]
1980–83년대한민국 해군 해군 소위[1]
1983–88년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미국[1]
1988년UCLA에서 수학 박사 학위 취득 (지도교수: 로버트 E. 그린)[1]


2. 2. 해군 복무

1980년 3월, 제71차 해군사관후보생대에 입소하여 같은 해 6월 28일에 해군 중위로 임관하였다. 이후 3년간 해군사관학교 교수부 교관 및 전임강사로 근무하였다.[1]

2. 3. 미국 유학 및 교수 임용

1983년 10월 미국 UCLA 박사 과정에 입학하여 로버트 E. 그린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미분기하, 다변복소함수론, 대수기하 등 여러 분야의 교육을 받고 연구를 수행하여 1988년 6월 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같은 해 7월 미국 로드아일랜드 소재의 브라운 대학교 J.D. Tamarkin 조교수로 임용되었다.[1] 3년 후 브라운 대학교 수학과 정규 조교수로 승진하였고, 1994년 12월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부교수로 부임하였다. 1999년 3월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승진하였으며, 1998년 9월부터 2년간, 그리고 2002년부터 2년간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주임교수를 역임하였다.[1]

1992년-1993년 브라운 대학교 특별 안식년 기금을 지원받아 워싱턴 대학교인디애나 대학교 방문 조교수로 재직하였고, 1995년 캘리포니아 버클리 소재 수리과학연구소(MSRI) 초청으로 1개월간 방문회원 자격을 받았다.[1] 1999년 6-7월에는 이탈리아 제21차 수학연합대학교 교수로 초빙되어 이탈리아와 유럽의 대학원생 및 신진 박사들을 지도하였고, 2001년 워싱턴 대학교 방문 교수로 1년간 연구, 강의 및 대학원생 지도를 수행하였다. 2002년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 프로방스 대학교(현 Aix Marseille Université) 석좌방문교수로 1개월간 연구와 세미나를 담당하였다.[1] 2001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포항공과대학교 제1대 권경환 석좌교수로 재직하였다.[1] 이 외에도 프랑스 College de France, Ecole Polytechnique, Université Joseph Fourier(현 Université de Grenoble-Alpes) L'institut Fourier의 Professeur invité, 미국 UCLA 방문교수 등을 역임하였다.[1]

2. 4.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임

1994년 12월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부교수로 부임하여, 1999년 3월에 교수로 승진하였다. 1998년 9월부터 2년간, 그리고 다시 2002년부터 2년간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주임교수로 총 4년간 봉사하였다. 2001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3년간 포항공과대학교의 제1대 권경환 석좌교수로 재직하였다.

상세 이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내용
1994–1998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수학과 부교수
1999–현재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수학과 교수
1998–2000, 2004–2006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수학과 학과장 (2회)
2011–현재포항공과대학교(POSTECH) 기하학 및 응용 연구 센터(SRC-GAIA) 센터장


3. 학력 및 경력

연도내용
1978년서울대학교 이학사(B. Sc.) 취득
1980년서울대학교 수학 석사(M. Sc.) 취득
1980년–1983년해군 소위 복무
1983년–1988년UCLA 수학 박사 과정
1988년UCLA 수학 박사 학위 취득 (지도교수: 로버트 E. 그린)
1988년–1994년브라운 대학교 J.D. 타마킨 및 전임 조교수
1991년 ~ 1994년브라운 대학교 조교수[18]
1994년–1998년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부교수
1994년 ~ 현재포항공과대학교(POSTECH) 교수[18]
1998년–2000년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수학과 학과장
1999년–현재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수학과 교수
2004년–2006년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수학과 학과장
2005년 ~ 2007년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수학과 주임교수[18]
2011년–현재기하학 및 응용 연구 센터(SRC-GAIA) 센터장



김강태 교수는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브라운 대학교 교수를 거쳐 1994년 포항공과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18] 2000년 국내 학자로는 처음으로 SCI급 국제학술지 편집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현재는 Springer의 Journal of Geometric Analysi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18] 2002년에는 Krantz와 공동으로, 한국에서 활동하는 학자임에도, 미국 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of the U.S.A.)의 학술연구비 수혜를 받기도 하였다.[19]

4. 연구 분야

5. 수상 실적 및 주요 활동

연도내용
1992-1993워싱턴 대학교인디애나 대학교 방문조교수[18]
1995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소재 수리과학연구소(MSRI) 방문회원[18]
1997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우수논문상[18]
1997-현재KSCV 컨퍼런스 의장 (10회)
1999이탈리아 제21차 수학연합대학교 (Scuola matematica interuniversiteria) 교수[18]
2000대한수학회 학술상[18]
2001워싱턴 대학교 방문 교수[18]
2001-2004포항공과대학교 제1대 권경환 석좌교수[18]
2001–2005Centre International de Rencontres Mathématiques (프랑스 뤼미니)에서 컨퍼런스/학교 (2회) 조직
2001–2009Journal of Mathematical Analysis and Applications (Elsevier) 부편집장
2002프랑스 마르세유 소재 프로방스 대학교 (현재는 Aix Marseille Université) 석좌방문교수[18]
2007대한수학회지 편집장
2008–현재Journal of Geometric Analysis (Springer) 편집위원[18]
2013–현재Complex Analysis and its Synergies (Springer) 편집장
기타프랑스의 College de France, Ecole Polytechnique, Université Joseph Fourier (현재는 Université de Grenoble-Alpes)의 L'institut Fourier의 Professeur invité, 미국 UCLA의 방문교수 등을 역임.[18]



2002년에는 Krantz와 공동으로, 한국에서 활동하는 학자임에도, 미국 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of the U.S.A.)의 학술연구비 수혜를 받기도 하였다.[19] 2017년 11월에는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시 소재 워싱턴대학교 수학과의 휴스턴 커크 콜로퀴움 (Houston Kirk colloquium) 강연에 초청되어 역사적인 "리만 함수정리에 대한 리만의 증명"에 관한 강연을 하였다.[19]

6. 저서

} 교우사.

|-

| 2017 || 곡선과 곡면; 국소이론 간추림 (강의 노트).

|-

| 2015 || 리만기하학, 교우사.

|-

| 2015 || 미분다양체론, 교우사.

|-

| 2015 || 그대 안의 미적분학, 그 잠재력을 깨워라, 교우사.

|-

| 2011 || R. E. 그린, 김강태, S. G. 크란츠: The Geometry of complex domains|복소 영역의 기하학영어, Progress in Mathmatics|진보하는 수학영어, 제291권, Birkhauser-Verlag|Birkhäuser-Verlag영어.[11]

|-

| 2011 || 김강태, 한진 리: Schwarz’s lemma from a differential geometric viewpoint|미분 기하학적 관점에서 본 슈바르츠 보조 정리영어, Indian Institute of Science, Bangalore, India|인도 과학 연구소, 방갈로르, 인도영어, World Scientific|World Scientific영어 출판.

|-

| 2008 || J. S. 블랜드, 김강태, S. G. 크란츠 편저: Complex and Riemannian geometry|복소 기하학과 리만 기하학영어, Contemporary mathematics 322|현대 수학 322영어,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미국 수학회영어.

|-

| 1999 || 김강태, 김성옥: 우리 아이들을 위한 미적분학 I, 교우사.

|-

| 1998 || 김강태, S. G. 크란츠 편저: Complex geometry in Pohang|포항의 복소 기하학영어, Contemporary mathematics 222|현대 수학 222영어,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미국 수학회영어.

|-

| 1990 || 김강태: Scaling methods in several complex variables|다변수 복소 변수에서의 스케일링 방법영어, Lecture note series|강좌 노트 시리즈영어, Global Analysis Research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서울대학교 글로벌 분석 연구 센터영어.

|}

7. 학술지 편집 활동

김강태는 2000년 국내 학자로는 처음으로 SCI급 국제학술지 편집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현재는 Springer의 ''Journal of Geometric Analysi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18]


  • 2013년–현재: ''Complex Analysis and its Synergies'' (Springer) 편집장
  • 2008년–현재: ''Journal of Geometric Analysis'' (Springer) 편집위원
  • 2007년: ''대한수학회지'' 편집장
  • 2001년–2009년: ''Journal of Mathematical Analysis and Applications'' (Elsevier) 부편집장

8. 논문

출판 연도저서
2020{{lang|en|Lecture Notes on CALCULUS at POSTECH(for students who learned some Calculus before)|POSTECH CALCULUS 강의 노트(미적분학을 미리 배운 학생들을 위한)|}
연도저널명논문 제목공동 저자
2017Complex analysis and its synergies리만의 관점에서 본 리만 사상 정리[1]로버트 E. 그린
2016Math. Ann.Forelli 정리의 일반화에 관하여[2]주재천, 게르트 슈말츠
2016Pacific J. Math.Cn에 있는 유계 볼록 영역의 균일한 압착 특성에 관하여[3]장리유
2016J. Geom. Anal.불변 메트릭의 양수성과 완전성[4]안태용, 에르베 가우시에
2015Complex analysis and geometry몇 가지 문제[5]존-에릭 포르나에스
2015Complex analysis and geometryCn에 있는 무계 pseudoconvex 영역과 그 불변 메트릭[6]안태용, 에르베 가우시에
2015Trans. Amer. Math. Soc.무한 타입 점에서 사라지는 접선 홀로모픽 벡터 필드에 관하여[7]닌 반 투
2013Geometry, number theory and representation theory복소 영역의 자기 동형 사상 군에 관하여[8]
2013Pacific J. Math.강하게 pseudoconvex 영역의 자기 동형 사상 군의 반연속성: 낮은 미분 가능성 경우[9]로버트 E. 그린, 스티븐 G. 크란츠, 서애령
2013Math. Ann.Forelli 정리를 일반화[10]주재천, 게르트 슈말츠
2011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Workshop on Differential Geometry and the 4th KNUGRG-OCAMI Differential Geometry Workshop홀로모픽 자기 동형 사상 군에 대한 반연속성 정리[11]
2011IISc Lecture Notes Series미분 기하학적 관점에서 본 슈바르츠 보조정리[12]이한진
2011J. Geom. Anal.CR 수축을 허용하는 CR 다양체[13]장-크리스토프 요코즈
2011Mem. Amer. Math. Soc.복소 다양체에 대한 로빈 함수와 응용[14]노먼 레벤베르크, 히로시 야마구치
2009Complex analysis and digital geometry복소 다양체에 대한 로빈 함수와 응용[15]노먼 레벤베르크, 히로시 야마구치
2009Complex Var. Elliptic Equ.함수 대수 A−∞(Ω)에 대한 약하게 충분한 집합의 명시적 구성에 관하여[16]최영준, 레 하이 호이
2009J. Geom. Anal.홀로모픽 벡터 필드를 따라 홀로모픽 함수[17]에브게니 폴레츠키, 게르트 슈말츠
2008Bull. Korean Math. Soc.복소 스케일링과 여러 변수의 기하학적 분석[18]스티븐 G. 크란츠
2008J. Geom. Anal.수축 자기 동형 사상을 갖는 CR 초곡면[19]김성연
2007Complex analysis and its applications복소 다양체에 대한 로빈 함수와 응용노먼 레벤베르크, 히로시 야마구치
2007J. Math. Anal. Appl.오모리-야우 거의 최대 원리에 관하여이한진
2007Nagoya Math. J.무한 차원 힐베르트 공간에 대한 카라테오도리-카르탄-카우프-우 정리조셉 A. 시마, 이안 그레이엄, 스티븐 G. 크란츠
2006Rocky Mountain J. Math.홀로모픽 자기 동형 사상에 대한 결정 집합에 관하여B. L. 프리드먼, 스티븐 G. 크란츠, D.
2005Amer. Math. Monthly영역의 자기 동형 사상 군스티븐 G. 크란츠
2005J. Math. Anal. Appl.다음 논문에 대한 주석: "자기 동형 사상에 의한 힐베르트 구의 특성화"다웨이 마
2005J. Reine Angew. Math.비콤팩트 자기 동형 사상 군을 갖는 C2의 해석적 다면체스티븐 G. 크란츠, 안드레아 F. 스피로
2004Adv. Geom.Cn에 있는 볼록 영역의 자기 동형 사상 군에 관하여
2004Math. Notes임베딩된 CR-다양체의 국소 자기 동형 사상의 역학G. 슈말츠
2004J. Geom. Anal.실수 n2 차원 자기 동형 사상 군을 갖는 복소 n 차원 다양체루이지 베르디아니
2004'Complex analysis in several variables—Memorial Conference of Kiyoshi Okas Centennial Birthday''비콤팩트 자기 동형 사상 군을 갖는 해석적 다면체
2004Internat. J. Math.Cn으로의 특정 유사 홀로모픽 매핑족의 콤팩트성에르베 가우시에
2003Explorations in complex and Riemannian geometry베르그만 메트릭 불변량과 그 경계 거동스티븐 G. 크란츠
2003Pacific J. Math.우 불변 메트릭의 상수 곡률 특성C. K. 쳉
2003Expo. Math.바나흐 공간에서의 홀로모픽 함수와 매핑의 정규족스티븐 G. 크란츠
2003Function spaces (Edwardsville, IL, 2002)홀로모픽 자기 동형 사상에 대한 결정 집합과 고정점스티븐 G. 크란츠
2003J. Math. Anal. Appl.비콤팩트 자기 동형 사상 군을 갖는 복소 공간의 영역에 대한 몇 가지 새로운 결과스티븐 G. 크란츠
2002Michigan Math. J.홀로모픽 자기 동형 사상에 대한 고정점 및 결정 집합에 관하여B. L. 프리드먼, 스티븐 G. 크란츠, D.
2002Forum Math.특정 무한 타입 pseudoconvex 영역에서 베르그만 커널 및 관련 불변량의 점근적 거동이선홍
2002J. Geom. Anal.바나흐 공간에서 홀로모픽 매핑의 약한 타입 정규족과 자기 동형 사상 군에 의한 힐베르트 구의 특성화변지수, 에르베 가우시에
2002Trans. Amer. Math. Soc.자기 동형 사상 군에 의한 힐베르트 구의 특성화스티븐 G. 크란츠
2001Illinois J. Math.복소 스케일링과 비콤팩트 자기 동형 사상 군을 갖는 영역스티븐 G. 크란츠
2001J. Geom. Anal.비콤팩트 자기 동형 사상 군을 갖는 C2의 정규 해석적 다면체안드레아 파가노


참조

[1] 웹사이트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https://www.genealog[...]
[2] 서적 Robin Functions for Complex Manifolds and Applications http://bookstore.ams[...] 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1
[3] 웹사이트 Prof. Kangtae Kim https://sites.google[...]
[4] 웹사이트 Professor Kang-Tae Kim http://math.postech.[...]
[5] 웹사이트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
[6] 뉴스 Webpage of K.-T. Kim, professor of mathematics, POSTECH http://news.naver.co[...]
[7] 간행물 Complex Analysis and its Synergies, Executive Editors https://www.springer[...]
[8] 뉴스 "포스텍 김강태 교수, 세계적 학술지 주필로 선임" http://news.khan.co.[...] 2013-12-05
[9] 뉴스 김강태 교수 세계적 학술지 주필. MK 증권 http://vip.mk.co.kr/[...] MK 증권 2013-12-05
[10] 뉴스 포스텍 김강태 교수, 세계적 학술지 주필로 선임 중앙일보 http://news.naver.co[...] 중앙일보 2013-12-05
[11] 서적 The Geometry of Complex Domains https://www.bokus.co[...]
[12] 서적 Robin Functions for Complex Manifolds and Applications http://bookstore.ams[...] 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1
[13] 뉴스 Webpage of K.-T. Kim, professor of mathematics, POSTECH http://news.naver.co[...]
[14] 간행물 Complex Analysis and its Synergies, Executive Editors http://www.springer.[...]
[15] 뉴스 "포스텍 김강태 교수, 세계적 학술지 주필로 선임" http://news.khan.co.[...] 2013-12-05
[16] 웹인용 김강태 교수 세계적 학술지 주필. MK 증권, 2013-12-05 https://web.archive.[...] 2018-01-13
[17] 뉴스 포스텍 김강태 교수, 세계적 학술지 주필로 선임 중앙일보 http://news.naver.co[...] 중앙일보 2013-12-05
[18] 웹인용 postech http://math.postech.[...] 2018-01-13
[19] 웹사이트 the Webpage of K.-T. Kim, professor of mathematics, POSTECH https://site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