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산호 (만화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산호는 대한민국의 만화가로, 한국 전쟁 중 난민촌에서 만화를 접하고 만화가의 꿈을 키웠다. 서라벌예술대학에서 순수 미술을 전공했으며, 1958년 장편 만화 《찬란한 황혼별》로 데뷔했다. 1959년에는 SF 만화 《정의의 투사 리피》를 발표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라이파이》 등 다양한 장르의 만화를 그렸다. 1966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찰턴 코믹스 등에서 공포, 스릴러, 서부극, 전쟁 만화 등에 참여했으며, 《하우스 오브 양》과 같은 아시아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1990년대 초 중국 방문 후 역사적 주제로 만화의 방향을 전환하여 《대쥬신제국사》를 출간했고, 1996년 귀국하여 200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라벌예술대학 동문 - 정욱 (1938년)
정욱은 1966년 영화 '육체의 산하'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했으며 특히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 전문 배우로 알려졌으나, 2006년 아들 관련 사건으로 방송 출연 정지 처분을 받았다. - 서라벌예술대학 동문 - 이대근
이대근은 1962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1967년 KBS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영화, 드라마, 라디오, CF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였고, '제3공화국', '제4공화국'에서 차지철 역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으며, 다수의 영화와 드라마 출연 및 수상 경력을 통해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현재는 연기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만화가 - 차명진
차명진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 후 노동운동과 정치 활동을 거쳐 부천시 소사구에서 재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MBN 뉴스 패널 및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만화가 - 김태권
김태권은 서울대학교에서 미학과 서양고전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작가로,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데뷔하여 역사, 인문학,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문학적 깊이와 풍자, 해학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 1940년 출생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1940년 출생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김산호 (만화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산호 |
본명 | 김철수 |
출생 | 1939년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만화가, 기업가 |
학력 | 서라벌예술대학 |
작품 활동 | |
주요 작품 | 리피 고스트 맨션 하우스 오브 양 |
수상 | |
수상 내역 | 옥관문화훈장, 2008년 |
기타 수상 |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영화제 코믹 어워드 |
2. 초기 생애 및 교육
한국 전쟁 중 난민촌에서 생활하던 김산호는 부산 신문에 연재된 만화 "미스터 만홍"을 읽고 만화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이후 서울의 서라벌예술대학에서 서양화를 포함한 순수 미술을 공부했다.[2]
2. 1. 데뷔
어린 시절 한국 전쟁 중 김산호는 난민촌에서 생활하며, 부산 신문에 연재된 만화 "미스터 만홍"을 읽었다. 만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김산호는 서울의 서라벌예술대학에서 서양화를 포함한 순수 미술을 공부했다.[2]대학 재학 중 김산호는 잡지 《만화세계》에 발표한 "새벽의 빛나는 별"로 데뷔했는데, 이 작품은 일본으로부터의 한국 독립운동 투사들에 대한 이야기로 호평을 받았다.[2] 1958년 첫 장편 만화 《찬란한 황혼별》을 출간했다.
3. 만화 경력
김산호는 서라벌예술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1958년 《찬란한 황혼별》을 출간하며 만화가로 데뷔했다. 1959년에는 22세기를 배경으로 한 SF 만화 《정의의 투사 라이파이》를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2] 《라이파이》는 가슴에 "ㄹ"자 모양의 배지를 단 주인공이 미래형 무기로 악당과 싸우는 내용으로, 어려운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국인의 정신을 표현하고 독자들에게 희망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2] 1961년부터 1967년까지는 장편 만화 《라이파이》(일명 《프리에플》)를 연재했다.[3]
1966년 미국으로 이주한 후에는 출판사를 설립하고 잡지 아트 디렉터로 일하며, 찰턴 코믹스를 중심으로 워렌 퍼블리싱, 스카이월드 퍼블리케이션스, 마블 코믹스 등 여러 출판사에서 300편 이상의 작품을 발표했다.[2] 특히 찰턴 코믹스에서는 《닥터 그레이브스의 많은 유령들》, 《고스트 매너》 등 공포 만화와 《하우스 오브 양》과 같은 무협 만화를 통해 독특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1990년대 초 중국 방문 이후 역사 만화로 전향한 김산호는 1993년 대쥬신제국사를 발표했다.[2] 1996년 한국으로 귀국했으며, 2008년에는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2]
3. 1. 한국 활동
어린 시절 한국 전쟁 중 김산호는 난민촌에서 생활하며, 부산 신문에 연재된 만화 "미스터 만홍"을 읽었다. 만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김산호는 서울의 서라벌예술대학에서 서양화를 포함한 순수 미술을 공부했다.[2]대학 재학 중 김산호는 잡지 《만화세계》에 발표한 "새벽의 빛나는 별"로 데뷔했는데, 이 작품은 일본으로부터의 한국 독립운동 투사들에 대한 이야기로 호평을 받았다.[2] 김산호는 1958년 첫 장편 만화 《찬란한 황혼별》을 출간했다.
1959년, 김산호는 22세기를 배경으로 한 SF 베스트셀러 《정의의 투사 리피》를 발표했다. 전후 경제적 어려움이 심했던 시기에 출판된 이 작품에서 김산호는 자신의 영웅을 통해 한국인의 정신을 표현하고 독자들에게 역경을 극복할 것을 촉구했다. 가슴에 "ㄹ"자 모양의 배지(태백산맥을 모티브로 함)를 달고 미래형 무기로 무장한 리피는 악당들과 싸웠다. 만화가 저급한 장르로 치부되던 시대였음에도 《리피》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고, 그의 이미지는 전국적으로 널리 퍼졌다.[2]
1961년부터 1967년까지 김산호는 장기 연재작 《라이파이》(일명 《프리에플》)를 출판했다.[3] 그는 모험, 경찰, 전쟁 등 다양한 장르의 만화를 그렸다.[2]
3. 2. 미국 활동
1966년, 김산호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출판사를 설립하고[2], 잡지 ''오프 브로드웨이''(Off Broadway)와 ''빌리지 타임즈''(Village Times)에서 아트 디렉터로 일했다. 1969년부터 1976년까지 미국 만화 산업에서 300건 이상의 작품을 발표했다.[2] 주로 찰턴 코믹스에서 활동했으며, 워렌 퍼블리싱, 스카이월드 퍼블리케이션스, 마블 코믹스에서도 활동했다. 김산호는 한국적인 스타일을 바탕으로, 미국에서 정기적으로 작품을 발표한 최초의 만화가가 되었다.[3]3. 2. 1. 찰턴 코믹스
김산호는 찰턴 코믹스에서 여러 편의 공포 및 스릴러 만화에 참여했는데, 특히 《닥터 그레이브스의 많은 유령들(The Many Ghosts of Doctor Graves)》, 《고스트 매너(Ghost Manor)》, 《고스틀리 혼츠(Ghostly Haunts)》, 《고스틀리 테일스(Ghostly Tales)》, 《헌티드(Haunted)》가 대표적이다. 김산호는 많은 내지 스토리에 그림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고스트 매너》 1권의 대부분의 표지를 그렸다. 그는 또한 찰턴의 서부극 만화 《빌리 더 키드(Billy the Kid)》와 《체옌 키드》,[4] 그리고 전쟁 만화 《워(War)》의 스토리에도 그림을 그렸다.김산호의 가장 중요하고 예술적으로 성공적인 작품은 1973년부터 1976년까지 연재된 찰턴 만화 《양》의 스핀오프인 《하우스 오브 양(House of Yang)》(1975–1976)이었다. 《양》 시리즈는 1970년대 중반의 쿵푸 열풍, 특히 텔레비전 드라마 《쿵푸(Kung Fu)》를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우스 오브 양》은 김산호의 배경과 스타일에 완벽하게 어울리는 아시아를 배경으로 했다. 김산호는 원래 《잘못된 나라》라는 제목의 오리지널 시리즈를 디자인하고 그림을 그릴 예정이었지만, 삽화가 분실되어 찰턴의 단골 작가인 조 길(Joe Gill)과 워렌 삿틀러(Warren Sattler)가 《양》의 연재 기간 동안 대신했다. 《잘못된 나라》를 위해 분실되었던 삽화는 나중에 발견되어 CPL 갱(CPL Gang) 팬진 《찰턴 불스아이(Charlton Bullseye)》에 게재되었다.[5][6]
김산호가 산발적으로 기여한 다른 찰턴 만화로는 《비욘드 더 그레이브》, 《바운티 헌터》, 《파이팅 아미(Fightin' Army)》, 《파이팅 마린스(Fightin' Marines)》, 《헌티드 러브(Haunted Love)》, 《스케어리 테일스(Scary Tales)》, 《스페이스 어드벤처스(Space Adventures)》, 《소드 & 소서리》 등이 있다. 1969년부터 1976년까지 김산호는 찰턴 만화의 표지를 60개 이상 그렸고, 내지 레터링 작업도 했다.
3. 2. 2. 기타 미국 출판사
김산호는 찰턴에서 일하는 동안 워렌 퍼블리싱에서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1971년부터 1972년까지 ''뱀피렐라''의 백업 기능을 제작하고 ''이리''에 기여했다. 1973년 아이언 호스 퍼블리싱에서 발행하고 마이클 줄리아가 쓴 ''검과 처녀''(The Sword and the Maiden, ''Sword's Edge'' 1권)의 삽화를 그렸다.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스카이월드 퍼블리케이션스에서 ''창샤의 악마''(The Fiend of Changsha)와 ''호러''(Horror)의 삽화를 그렸다.3. 3. 한국 귀국 및 역사 만화
1990년대 초 김산호는 중국을 방문하여, 6천 년 전 고대 한국인들이 산둥반도와 만주를 포함한 중국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다고 믿게 되었다.[2] 중국 방문 이후, 김산호는 만화의 주제를 역사적 주제로 바꾸었고, 그중에 대쥬신제국사가 포함되었다. 김산호는 이 작품과 《두만강》, 《부처 이야기》에서 서양화를 만화 기법과 결합하여, 자신의 표현에 따르면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그림 시나리오"를 창조했다.[2]김산호는 1996년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 2008년 10월, 그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2]
4. 기업 경력
5. 수상 경력
6. 작품 목록
제목 | 연도 | 비고 |
---|---|---|
라이파이 | 1959년 | |
대쥬신제국사 | 1993년 | |
새벽의 빛나는 별 | 1958년 이전 | 만화세계 잡지 |
찬란한 황혼의 별 | 1958년 | |
정의의 파이터 리피 | 1959년 | |
라이 파이 (일명 프리플) | 1961년~1967년 | 장기 연재 만화 |
칼과 처녀 | 1973년 | 마이클 줄리어와 공동 집필, 검의 가장자리 1권, 아이언 호스 출판 |
플로토 | 일본 식민 통치에서 탈출하여 상하이를 거쳐 미국으로 온 한국인 난민에 관한 시리즈 | |
고스트 스토리 | 전통적인 한국식 의상인 치마와 저고리를 입은 한국 귀신의 한 정서를 다룸 | |
대쥬신제국사 | 1994년 | 3권 |
두만강 | ||
부처의 이야기 | ||
쿵푸의 치명적인 손 오 omnibus 1권 | 2016년 | |
쿵푸의 치명적인 손 오 omnibus 2권 | 2017년 |
김산호는 찰턴 코믹스(Charlton Comics) (1969년–1976년)에서 활동하였으며, 워렌(Warren)과 마블(Marvel)을 포함한 다른 미국의 출판사에서도 활동하였다.[1] 플로토는 정의를 위해 악당을 처벌하기 위해 태권도를 사용한다.[1] 고스트 스토리는 조선 시대 사람들의 풍습과 감정을 다룬다.[1]
참조
[1]
문서
The artist's first name is alternately spelled "San-ho".
[2]
웹사이트
Who is Sanho Kim?
https://web.archive.[...]
2009-08-16
[3]
웹사이트
Kim entry
http://lambiek.net/a[...]
2011-06-09
[4]
웹사이트
Make Mine Manhwa!: Exporting Korean Comics
http://www.paulgrave[...]
[5]
간행물
Charlton Bullseye #3
CPL Gang
1976
[6]
웹사이트
Black and White Wednesday: Sanho Kim's Wrong Country
http://diversionsoft[...]
2010-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