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승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승찬은 대한민국의 생물학자이자 발명가로, 바이오매그네티즘 분야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했다. 자석을 이용한 암 성장 억제 메커니즘을 연구하여 세포 분열 지연 현상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으며, 자기장을 이용한 신경 세포 성장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교육부 교육기부단체 팀장, 대한민국인재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통령 과학 장학생, 서울시민상 청년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동문 - 반용선
    반용선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언더우드특훈교수이자 학과장으로, 연세대학교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듀크 대학교 Research Associate, 숭실대학교 전임강사 등을 역임했고 미국미생물학회 석학회원이며 여러 학술지 편집자로 활동하고 있다.
  • 서울과학고등학교 동문 - 신현영
    신현영은 의사 출신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에 기여하고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21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며, 의료 및 정치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쌓았다.
  • 서울과학고등학교 동문 - 윤송이
    윤송이는 MIT 박사 학위 후 맥킨지, SK텔레콤을 거쳐 엔씨소프트의 사장, CSO, 엔씨소프트 웨스트 CEO, 엔씨소프트문화재단 이사장으로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김승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승찬
출생일1991년 4월 15일 ()
국적대한민국
출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교천주교 (세례명: 스테파노)
직업발명가
학력
학교서울과학고등학교(2007~2009)
대학교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공학사 (2009~2014)
대학원연세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본과4학년 수료 (2014 ~2019)
병역
병역사회복무요원
학술 활동
논문

2. 경력

연도내용
2009년제7회 대통령 과학 장학생 (대통령 이명박)
2010년대한민국인재상 수상 (대통령상)[5]
2012년제47회 발명의 날 유공자 표창 (특허청장)[4]
2013년대한민국인재연합회 회장
2013년 ~ 2017년교육부 교육기부단체 팀장 (꿈길나루)
2014년제49회 발명의 날 유공자 표창 (한국발명진흥회장)[3]
2015년서울시민상 청년상 (창의과학예술부문, 서울특별시장상)


2. 1. 주요 경력

2. 2. 연구 분야

김승찬은 바이오매그네티즘 국내 원천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생물학자이다. 다양한 연구 성과를 통해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한 발명가이기도 하다.

자석을 기초로 한 세포의 성장 억제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으며, 특히 세포 분열 주기에서 방추사 형성에 가장 중요한 단백질인 GCP3가 정적 자기장에 의해 분산되어 세포 분열이 지연되는 현상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는 향후 화학 요법에 자기장을 이용할 수 있다는 기초 학문적 기반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Harvard MGH와의 연구 교류에서, 신경 세포에 자기장을 처리하면 신경 세포의 돌기가 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성숙되어 세포 재생에 필요한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척수 신경 질환이나 시냅스 연결 불일치로 발생하는 질병의 치료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특허 원천 기술이다.

3. 연구 업적 및 성과

생물학자이며, 바이오매그네티즘 국내 원천 기술 연구 개발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통해 대한민국 인재상 등을 수상한 발명가이다.

자석을 기초로 한 세포의 성장 억제 메커니즘을 규명했으며, 특히 세포 분열 주기에서 방추사 형성에 가장 중요한 단백질인 GCP3의 정적 자기장에 의한 분산으로 세포 분열이 지연되는 현상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1] 이를 통해 향후 화학 요법에 자기장을 이용할 수 있다는 기초 학문적 기반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 Harvard MGH와의 연구 교류에서, 자기장을 신경 세포에 처리할 때 신경 세포의 돌기가 일정한 방향(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성숙되어 세포 재생에 필요한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1] 특히 척수 신경 질환이나 시냅스 연결 불일치로 발생하는 질병의 치료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최초로 밝혀낸 특허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1]

4.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2015년서울시민상 청년상 (창의과학예술부문, 서울특별시장상)
2014년제49회 발명의 날 유공자 표창 (한국발명진흥회장)[3]
2012년제47회 발명의 날 유공자 표창 (특허청장)[4]
2010년대한민국인재상 수상 (대통령상)[5]
2009년제7회 대통령 과학 장학생 (대통령 이명박)
2009년대한민국인재상 (대통령 표창)
(연도 미상)제47회 발명의 날 국가지술진흥 유공자 포상 (특허청장 표창)
(연도 미상)제49회 발명의 날 유공자 (한국발명진흥회 회장상)
2016년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등재


참조

[1] 논문 Static Magnetic Fields Inhibit Proliferation and Disperse Subcellular Localization of Gamma Complex Protein3 in Cultured C2C12 Myoblast Cells 2010-05
[2] 논문 Gene expression profile analysis in cultured human neuronal cells after static magnetic stimulation 2012-09
[3] 뉴스 http://www.globalnew[...]
[4] 간행물 http://www.kipa.org/[...]
[5] 뉴스 http://news.mk.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