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영옥 (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옥은 1919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난 한국계 미국인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다. 그는 100대대 소속으로 이탈리아 전선에서 활약했으며, 한국 전쟁에서는 유격대 지휘와 정보 참모를 역임했다. 전쟁 이후에는 미국 육군 보병학교 교관, 독일 주둔 미군 대대장 등을 지냈으며, 사회 봉사 활동에도 헌신하여 여러 단체 설립에 기여했다. 2005년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학교가 설립되고 훈장이 수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계 미국인 군인 - 서진규
    서진규는 엿장수의 딸로 태어나 미국 이민 후 웨이트리스로 일하며 영문학을 공부하고 성공을 이룬 대한민국의 작가이자 강연가이다.
  • 한국계 미국인 군인 - 댄 최
    댄 최는 미국 웨스트포인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에서 복무한 후, 미군의 '묻지도 따지지도 않기' 정책 폐지와 성 소수자 권리 운동에 헌신적으로 참여한 인물이다.
  • 태극무공훈장 외국인 수훈자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 태극무공훈장 외국인 수훈자 - 매슈 리지웨이
    매슈 리지웨이는 한국 전쟁에서 미 8군 및 유엔군 사령관으로 활약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NATO 최고 연합군 사령관 및 미국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한 미국의 5성 장군이다.
  • 미국 육군 대령 - 딘 러스크
    딘 러스크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케네디 및 존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쿠바 미사일 위기 외교적 해결 지지, 베트남 전쟁 미국 군사 개입 확대 옹호 등의 활동을 했다.
  • 미국 육군 대령 - 시어도어 루스벨트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허약한 체질을 극복하고 다양한 정치 경력을 쌓아 제26대 미국 대통령이 되었으며, 진보적인 개혁 정책 추진, 러일 전쟁 중재 등 국내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김영옥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영옥 (1961년)
이름김영옥
출생일1919년 1월 29일
사망일2005년 12월 29일
출생지로스앤젤레스 군, 미국
사망지로스앤젤레스 군, 미국
묻힌 곳태평양 국립 기념 묘지
복무 기간1941년–1946년
1950년–1972년
최종 계급대령
지휘제1대대, 제31 보병 연대
군사 경력
전투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훈장수훈 십자장
은성훈장 (2)
공로 훈장 (2)
동성훈장 (2)
퍼플 하트 훈장 (3)
군사 용기 동성 훈장 (이탈리아)
레지옹 도뇌르 훈장
십자 무공 훈장
태극 무공 훈장 (한국)
한국 이름
한글김영옥
한자金永玉
로마자 표기Gim Yeongok
일본어 이름
가타카나キム・ヨンオッ
(キム・ヨンオク)
히라가나きん えいぎょく
기타
주요 업적제2차 세계 대전 및 한국 전쟁 참전 용사
미국내 아시아계 커뮤니티 통합에 기여
관련 정보
참고 자료솔저, 100대대 베테랑의 용기를 구현했다
영옥 김, 86세; 제2차 세계 대전 & 한국 전쟁 영웅, LA 아시아 커뮤니티 통합
데일리 도스: 10/08/10
미국 국회의원, 고 김영옥 한국계 미국 전쟁 영웅에게 자유 훈장 수여 촉구

2. 유년 시절 및 교육

김영옥은 1919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아버지 김순권과 어머니 노라 고 슬하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37] 그의 아버지는 이승만미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시절 하와이에서 출범시킨 대한인동지회의 북미총회 일원으로 항일운동가였다.[34] 김영옥의 누나인 윌라 킴은 뮤지컬 의상 디자이너가 되어 토니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8]

김영옥은 벨몬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로스앤젤레스 시티 칼리지에 들어갔지만, 집안 형편이 어려워 1년 후 자퇴하고 여러 직업을 전전하였다.[9] 하지만 당시 미국 사회는 인종차별이 심하여 오래 버티기 힘들었다.[9]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육군 모병소를 찾아갔으나 같은 이유로 거절되었지만, 1941년 아시아계도 징집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미국 군법이 제정되어 22세의 나이로 미국 육군 병사로 입대하였다.[10]

3. 군 경력

김영옥은 1941년 아시아계도 징집 대상에 포함시키는 미국 군법이 제정된 후, 미국 육군 병사로 입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일본계 미국인으로 구성된 100대대에 배치되어 이탈리아 전선과 남프랑스 전선 등에서 활약했다.[37]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 예비역 소집 방식으로 육군에 재입대하여 한국인 유격대를 지휘하고, 7 보병사단 31연대 정보참모 및 1대대장을 역임하며 조선인민군, 중국군과 싸웠다.[38]

전쟁 이후에는 미국 육군 보병학교 교관,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KMAG) 등에서 근무하다 1972년 대령으로 전역하였다.[41]

김영옥의 군 경력
시기내용
1941년미국 육군 입대
제2차 세계 대전100대대 소속, 이탈리아 전선 및 남프랑스 전선 참전
1950년한국 전쟁 발발, 1951년 재입대
한국 전쟁한국인 유격대 지휘, 7 보병사단 31연대 정보참모 및 1대대장 역임
1952년-1956년미국 육군 보병학교 교관
1956년-1959년독일 주둔 7사단 86연대 2대대장
1959년중령 진급, 캔자스주 포트 리브 교관
1963년-1965년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KMAG)
1965년대령 진급
1972년전역[41]


3. 1.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일본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었고, 하와이에 거주하던 일본계 2세들로 100대대를 창설한다. 100대대는 '니세이 부대(二世部隊)'라고도 불렸으며, 이후 일본계 미국인들로 구성된 442 연대전투단의 1대대로 편입되었다. 당시 미국은 일본계 미국인들을 사보타주 등의 행위를 할까봐 사실상 인질로 삼았으며, 이는 일본계 미국인들을 수용소에 감금한 정책의 연장선이었다.[11]

육군 소위로 임관한 김영옥은 한국계가 아닌 일본계로 분류되어 100대대에 배치되었다. 그는 대대장의 전출 제의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는 일본인도 한국인도 없다. 우리는 모두 미국인이며 같은 대의를 위해 싸우고 있다"고 말하며 100대대 B중대 2소대장으로 남았다.[11]

중위로 진급한 김영옥은 미 5군에 배속되어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되었다. 볼투르노 강 전투에서 무공을 세웠고, 로마 해방전에서는 단둘이 새벽에 독일군을 잡아 정보를 빼냄으로써 로마 함락에 큰 공을 세웠다. 또한 구스타프 라인과 고딕 라인 붕괴에도 큰 공을 세웠다.[4][9][12][13]

특히 안치오 전투에서 연합군은 독일군 기갑부대의 위치를 파악해야 했는데, 김영옥은 정보를 얻기 위해 독일군 병사 포획을 제안했다. 1944년 5월 16일, 어빙 아카호시 상등병과 함께 독일 지역에 잠입하여 독일군 병사 두 명을 생포했다. 이 정보는 독일군 기갑부대가 구스타프 전선 돌파 경로에 배치되지 않았음을 확인시켜 주었고, 연합군은 구스타프 전선을 돌파하여 로마를 해방시켰다.

벨베데레와 피사 전투에서도 100대대를 지휘하여 고딕 전선을 돌파하는 데 기여했고, 연합군은 피사를 사상자 없이 점령했다.

이후 남프랑스에 투입된 김영옥은 브뤼에르와 비퐁텐느 해방에 앞장섰다. 비퐁텐느 교회 벽에는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마을 노인들은 그를 "까피텐 김"(김 대위)으로 불렀다. 비퐁텐느 전투에서 큰 부상을 입고 1945년 2월 로스앤젤레스에서 휴식을 취했다. 유럽으로 돌아가려 할 때, 나치 독일이 항복하여 유럽에서의 전쟁이 종결되었다.

3. 2. 한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육군 대위로 전역하고 로스앤젤레스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던 김영옥은 1950년 6월 25일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 예비역 소집 방식으로 육군에 재입대했다.[38] 그는 한국인 유격대인 배내대 유격대[39]를 지휘하며 정보 수집 임무를 수행했다. 배내대 유격대는 흥남 철수 때 남쪽으로 내려온 피난민 중에서 선발한 유격대였다. 이 임무를 마친 후 김영옥 대위는 7 보병사단 31연대의 정보참모가 되었다.

1951년 4월, 31연대가 소양강을 건너 17연대와 임무 교대하자마자, 중국군의 춘계 공세가 개시되었다. 31연대는 다시 소양강을 건너 철수했는데, 김영옥 대위에게 미군 및 한국군의 철수를 엄호하기 위해 인제군 남면 개운동 계곡의 다리를 지키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전차 1개 소대를 이끌고 완전히 후퇴할 때까지 최소한 몇 시간을 버티라는 명령을 받았다. 전차 소대를 다리 남쪽에 세워 놓고 김영옥 대위는 후퇴하던 중대급 한국군 보병들을 멈춰세운 후, 그들과 함께 임시 방어선을 구축하여 후퇴를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지원했다[40].

1951년 9월, 김영옥 대위는 소령으로 진급하고 1대대 대대장이 되었다. 당시 미국에서 아시아계로 백인 병사들을 지휘하는 보병대대장이 된 사람은 미군 역사상 김영옥 소령이 최초였다. 그만큼 김영옥 소령이 능력을 인정받고 있었다. 하지만 이미 31연대장 매카프리 대령의 지시로 5월 23일부터 실전 경험이 없던 대대장을 대신하여 실질적으로 부대를 지휘하고 있던 터였으므로 이 조치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했다.

1951년 5월 무렵부터 31연대의 사기는 최악이었다. 1950년 12월, 장진호 전투에서 해병대와 함께 흥남으로 철수하면서 연대장까지 전사하는 등 큰 패배를 당한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김영옥 대위가 대대를 실질적으로 지휘하게 되면서 제일 먼저 착수한 것은 병사들의 사기 고양이었다. 구만산·탑골 전투에서는 전진하기를 주저하던 병사들을 권총으로 위협하기도 했고, 금병산 전투에서는 총탄이 빗발치는데 팔짱을 끼고 태연히 돌아다니며 엄폐물에 숨어 총만 높이 들어 마구잡이 사격을 하는 병사들을 독려하는 등, 자기 목숨을 내놓고 노력했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부대 사기는 다시 올라갔고, 그가 담당한 구역은 처음과 달리 5월 31일 이후 다른 대대들과 달리 북쪽으로 불쑥 솟아오른 형태가 되었다.

같은 해 6월, 철의 삼각지대에서 아군의 오인 포격으로 중상을 입은 김영옥은 일본의 오사카로 후송되어 치료를 받고, 8월 27일에 다시 전선에 복귀했다. 그 후 10월에 소령으로 진급하고 은성무공훈장 및 동성무공훈장을 수여받고, 정식으로 1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새로 부임한 연대장 모세스 대령이 전공을 쌓고 싶은 욕심으로 병사들을 무리하게 전투 현장에 내몰자 김영옥 대위는 이에 반대하였고, 그 때문에 1952년 9월에 미국으로 귀국했다.

3. 3. 한국 전쟁 이후

1952년부터 1956년까지 포트 베닝의 미국 육군 보병학교 교관으로 근무했으며, 1956년부터 1959년까지는 독일에서 7사단 86연대 2대대장으로 근무했다. 1959년 중령(
)으로 진급한 후 캔자스주의 포트 리브에서 교관으로 근무하고,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KMAG)의 일원으로 다시 대한민국에 부임했다. 부임 후, 전시 방어 체제, 예비 병력 동원 체제, 청와대 방어 등의 기초를 고안했고, 영공 방어를 위한 대공미사일부대 창설을 군사고문단 내에 건의하여 호크 미사일부대 창설의 산파 역할을 했다.[41]

1965년 대령(--)으로 진급한 김영옥은 유럽과 하와이를 돌며 근무하다가 1972년에 전역했다.[41] 전역 후에는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며 여러 사회 봉사활동을 했다. 하지만, 한국전쟁 때 입은 부상이 50여 년 동안 그를 괴롭혔고, 말년에는 방광암으로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아야 했다.[41]

2005년 7월, 방광암 수술을 위해 입원했던 김영옥은 그 해 말에 결국 영면하였다. 영면 후 그의 시신은 하와이주 호놀룰루 근처 펀치볼 국립묘지의 100대대 묘지 근처에 매장되었다.[41]

4. 사회 봉사 활동

김영옥은 전쟁 영웅으로서의 공로뿐만 아니라, 한국 전쟁 때부터 다양한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미국 사회에서 존경을 받았다.

보병대대장 시절, 부대 군목이 데려온 고아들을 위해 직접 고아원을 설립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휴가를 나가는 병사들에게 위문품을 들려 고아원을 방문하게 하여 고아들과 교류하도록 했으며, 이는 병사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대대 장병들은 자발적으로 봉급의 일부를 기부하기도 했다.[42]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김영옥은 전역 후에도 로스앤젤레스 지역 사회에서 활발한 봉사 활동을 이어갔다. 한미연합회, 한미박물관, 한인건강정보센터 등 여러 단체를 설립하거나 지원했으며, 인종 차별 철폐 운동과 가정 폭력 피해 아시아계 여성들을 위한 쉼터 건립에도 힘썼다. 이러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과 KBS 해외동포상을 수상했다.

1973년, 비영리 건강 및 인간 서비스 기관인 특별 서비스 그룹(SSG)에 합류하여 취약하고 다양한 다민족 사회의 요구를 해결하는 지역 사회 기반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힘썼다. 유나이티드웨이 이사회 멤버로 추천받아 지역 사회 봉사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유나이티드웨이 이사회에서 활동한 최초의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총 10년간 봉직했다. 로스앤젤레스의 소외된 다양한 민족 공동체를 인식하고 언어적, 문화적으로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9][16][19] 일본계, 필리핀계, 베트남계, 한국계 미국인 센터를 유나이티드웨이에 추가했으며, 아시아계 미국인 3명을 더 이사회에 영입하여 다양성을 확보했다.[18]

1975년에는 현재 코리아타운 청소년 및 지역 사회 센터(Koreatown Youth and Community Center)로 알려진 한국 청소년 및 문화 센터(Korean Youth and Cultural Center)를 설립하여 매년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 출신 1만 1천 명 이상의 이민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빈곤과 언어 장벽으로 어려움을 겪는 로스앤젤레스의 청소년과 가정을 도왔다. 1985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계 미국인 연합(KAC)의 창립 멤버로서 한국계 미국인 공동체를 위해 봉사했다.[20]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케이로 홈즈(Keiro Homes)의 가족 및 친구 봉사 활동 회원으로 활동했고,[19][21] 1990년대 내내 태평양 아시아 가족 센터(Center for Pacific Asian Families)의 의장을 역임하여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큰 여성 쉼터를 운영했다.[19][22]

1986년, 한국 건강 교육 정보 및 연구 센터(Korean Health, Education, Information, and Research Center)를 공동 설립하여 새로운 이민자들이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영어, 스페인어, 한국어로 이중 언어 서비스를 제공했다.[18][19][23]

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1989년부터 2005년까지 100/442/MIS 기념 재단(100th/442nd/MIS Memorial Foundation)의 의장을 역임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계 미국인 군인들의 이야기를 알리는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고 포 브로크 기념비, 고 포 브로크 재단, 일본계 미국인 국립 박물관 설립에도 참여했다.[24]

노령에도 불구하고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조사 위원회에 참여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등 활발한 사회 활동을 펼쳤다.

김영옥의 펀치볼 국립묘지 묘소

5. 평가 및 유산


  • 마크 클라크 前 미 5군 사령관: "내 휘하에 있던 500만 군인 중에 최고의 군인이다."[44]
  • 채명신 前 파월 한국군 총사령관: "미 보병학교 시절 한국계인 김영옥 대령 덕에 어깨가 으쓱했다."[44]
  • 한우성(김영옥의 전기 작가):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 닮았으면 하는 인물"[44]


2006년 8월 국사편찬위원회는 재외동포사에 김영옥을 수록하기로 결정했다. 김영옥 관련 집필은 그의 일대기(《영웅 김영옥》)를 쓴 한우성 뉴아메리카 미디어(NAM) 한국부장과 장태한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UC Riverside) 교수가 공동으로 집필했다.[44] 2009년 로스앤젤레스 4학군에 새로 문을 연 중학교는 김영옥을 기념하여 김영옥 아카데미(Young Oak Kim Academy)로 명명되었다.[27] 2010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에 김영옥 한국계 미국인 연구 센터(Young Oak Kim Center for Korean American Studies)가 설립되었다.[5]

2016년, 한국계 미국인 협의회(Council of Korean Americans, CKA)는 김영옥을 대통령 자유훈장(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후보로 추천했다.[29] 이 추천은 2016년 5월 17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미국 연방 의회 아시아 태평양계 미국인 코커스(Congressional Asian Pacific American Caucus) 회원들에 의해 공식 발표되었다.[30]

6. 수상 내역

미국
보병 전투 훈장(2차 수훈)
보병 전투 훈장 (2차 수훈)
미국 십자훈장
미국 십자훈장
은성훈장
은성훈장 은색 오크 잎 장식 1개
--공훈훈장 은색 오크 잎 장식 1개
--동성훈장 V 장식과 은색 오크 잎 장식 1개
--자색심장훈장 은색 오크 잎 장식 2개
--육군 칭찬훈장
--육군 대통령 부대표창 은색 및 동색 오크 잎 장식 포함
--미국 방위 근무 훈장
--미국 원정 훈장
--유럽·아프리카·중동 원정 훈장 동성 전투별 4개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기념 훈장
--점령군 훈장
--국가 방위 근무 훈장 근무별 1개
한국 근무 훈장
한국 근무 훈장 동성 전투별 3개
원정군 훈장(미국)
원정군 훈장
이탈리아
무공훈장(이탈리아)
무공훈장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2005년 2월, 오피시에 등급)
--1939년-1945년 끄루아 드 게르 훈장 (1950년)
대한민국
--태극무공훈장 (추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
국민훈장 모란장 (2003년)
기타
--유엔 한국 참전 기장
--한국전 참전 기장


참조

[1] 웹사이트 Young Oak Kim Academy | Monica Garcia – Board Member President http://garcia.lascho[...] 2013-05-17
[2] 웹사이트 Heroes of the Korean War: COL Young-oak Kim http://rokdrop.com/2[...] ROKdrop.com 2008-11-11
[3] 뉴스 Soldier embodied bravery of 100th Battalion vets http://archives.star[...] 2006-01-04
[4] 간행물 YOUNG OAK KIM, 86; WW II & Korean War Hero, Uniter of LA Asian Communities http://www.southbayj[...] South Bay Chapter of the Japanese American Citizens League 2006-01
[5] 뉴스 Daily Dose: 10/08/10 http://www.asianweek[...] 2010-10-08
[6] 웹사이트 U.S. lawmakers call for awarding Medal of Freedom to late Korean-American war hero http://english.yonha[...]
[7] 웹사이트 Young Oak Kim http://www.100thbatt[...]
[8] 뉴스 Willa Kim, Designer of Fanciful Costumes, Dies at 99 https://www.nytimes.[...] 2016-12-28
[9] 논문 Colonel Young Oak Kim Oral History 1986-04
[10] 기록 U.S. World War II Army Enlistment Records, 1938–1946 Ancestry.com Operations Inc 2005
[11] 웹사이트 Remarks by Secretary Eric K. Shinseki - Office of Public and Intergovernmental Affairs https://www.va.gov/o[...]
[12] 웹사이트 Go For Broke National Education Center >> Oral Histories >> Hanashi Oral History Program >> Podcasts http://www.goforbrok[...] Go For Broke National Education Center
[13] 뉴스 Four New Inductees to Museum's Gallery of Heroes http://www.hiarmymus[...] Hawaii Army Museum Society 2006-06
[14] 서적 Unsung hero : the story of Colonel Young Oak Kim Young Oak Kim Center for Korean American Studies, UC Riverside 2011
[15] 웹사이트 Young Oak Kim: First Ethnic Minority to Command a U.S. Army Combat Battalion https://forgottennew[...] 2010-06-08
[16] 뉴스 The Many Firsts of Col. Young-oak Kim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5-08-19
[17] 웹사이트 https://services1.ar[...] 2015
[18] 논문 Young Oak Kim Oral History 2000
[19] 웹사이트 Officials, Students and Community Leaders Dedicate Young Oak Kim Academy middle school named for war hero, community leader pilots single-gender classrooms http://www.goforbrok[...] 2009-05
[20] 웹사이트 Korean American Coalition http://www.kacla.org 2015
[21] 웹사이트 History – KYCC | Koreatown Youth Community Center http://kyccla.org/ab[...] 2015
[22] 웹사이트 Mission, Vision and History http://www.nurturing[...] 2015
[23] 웹사이트 Korean Health, Education, Information & Research (KHEIR) Center, Los Angeles, CA http://www.lakheir.o[...] 2008
[24] 뉴스 Growing Support for Naming School for War Hero Kim Dynamic Korea.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6-02-24
[25] 웹사이트 Young Oak Kim (1919–2005) First Ethnic Minority to Command a U.S. Army Combat Battalion http://forgottennews[...] 2010-08
[26] 보도자료 Colonel Young Oak Kim (U.S. Army Ret.), 86; decorated US World War II and Korean War veteran http://www.goforbrok[...] Go For Broke National Education Center 2006-01-03
[27] 뉴스 L.A. Names School for Korean-American War Hero http://english.chosu[...] ChosunMedia 2009-07-16
[28] 웹사이트 YOK Center - Welcome https://yokcenter.uc[...]
[29] 웹사이트 Colonel Young-Oak Kim – Council Korean Americans http://www.councilka[...]
[30] 웹사이트 CAPAC Seeks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for Young Oak Kim https://www.rafu.com[...] 2016-06
[31] 웹사이트 Young Oak Kim Academy | Monica Garcia - Board Member President http://garcia.lascho[...]
[32] 웹사이트 http://www.renhan.co[...]
[33] 웹사이트 有功者情報 金順権 http://e-gonghun.mpv[...] 功勲電子史料館
[34] 뉴스 英雄になった父子「戦争の英雄」ヨンオク・キムの父金順権独立運動家認定 " 영웅이 된 父子 ‘전쟁영웅’ 김영옥의 아버지 김순권 독립운동가 인정 " http://weekly.chosun[...] 2016-08-22
[35] 웹인용 Young Oak Kim Academy | Monica Garcia – Board Member President http://garcia.lascho[...] 2013-05-17
[36] 일반
[37] 일반
[38] 일반
[39] 일반
[40] 일반
[41] 일반
[42] 뉴스 첫 유색인 대대장 김영옥… 미군들도 '영웅' 추앙 한국일보 2003-03-30
[43] 일반
[44] 웹사이트 주미 대한민국 대사관의 관련 보도 http://www.koreaemba[...] 2007-09-27
[45] 뉴스 오는 9월 김영옥 중학교 개교 https://web.archive.[...] YTN 인터내셔널 2009-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