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41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1년은 일제강점기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하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전 세계로 확산된 해이다. 한국에서는 독립운동 역량 강화, 사상 통제, 경제적 어려움 가중, 학생 강제 동원, 민족 문화 말살 시도 등 일제의 통치가 강화되었다. 1941년 1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일 선전포고를 했고, 주요 사건으로는 한국청년공작대의 대한광복군 편입, 국민학교 개칭, 한글 전보 폐지 등이 있었다. 한편,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함께 루스벨트의 미국 대통령 셋째 임기 시작, 진주만 공격, 대서양 헌장 발표 등 동아시아 정세가 급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1년 - 신사군 사건
    1941년 1월, 국공합작 시기에 국민당 군대가 공산당의 신사군을 공격한 신사군 사건은 제2차 국공합작의 결렬과 국공 내전의 배경이 되었으며, 중국 공산당은 이를 국민당의 반공 쿠데타로 규정하고 항일 영웅 이미지를 강화했다.
  • 1941년 - 일본 제국 육군의 1941년 12월 전투 서열
    1941년 12월 일본 제국 육군의 전투 서열은 일본 본토 방위, 해외 점령지 방어, 침략을 위해 다양한 부대로 편성되었으며, 각 군은 담당 지역 방어 및 작전 수행, 대륙 침략 정책 수행 등의 역할을 담당했다.
1941년
지도
1941년
주요 사건
전쟁제2차 세계 대전
기타 사건프로코피예프의 작품 발표
출생
주요 인물밥 딜런
조안 바에즈
마이클 하트
에바 시네르
앤 프랜시스
제임스 호건
시드니 브레너
고바야시 마코토
우치다 시게루
오기 히로시
박종철
김기춘
정원식
사망
주요 인물헨리 베르크손
프랜시스 코딩턴
로버트 길머
라게르크비스트
비탈리 크루토프
이강
최정우
기타
사망자 수약 4000만 명(출처: Our World in Data)

2. 역사적 배경

1941년일제강점기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변화와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 1월 1일 - 중국 시안의 한국청년공작대가 대한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었다. 이는 독립운동 역량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었다.
  • 1월 25일 - 조선총독부가 사상통제 목적으로 조선음악가협회를 조직하였다. 이는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억압하려는 의도였다.
  • 2월 12일 - 일제가 조선사상범예방구금령을 공포하였다. 이는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기 위한 조치였다.
  • 2월 22일 - 조선미술가협회가 조직되었다.
  • 3월 8일 - 일제가 농업노무자 임금을 전면 통제하였다. 이는 한국 농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 3월 15일 - 조선총독부가 학도정신대를 조직하고 근로동원을 실시하였다. 이는 학생들을 강제 노동에 동원하여 전쟁에 필요한 물자를 확보하려는 목적이었다.
  • 3월 25일 - 일제가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이는 한국인들에게 일본식 교육을 강요하여 민족 정체성을 말살하려는 시도였다.
  • 3월 31일 - 일제가 국민학교규정을 공포하여 조선어 학습을 폐지하였다. 이는 한국어 사용을 금지하고 일본어 사용을 강제하여 민족 문화를 파괴하려는 정책이었다.
  • 4월 1일 - 평원선이 개통되고, 일제가 생활필수물자통제령을 공포, 시행하였다. 이는 전쟁 수행을 위해 물자를 통제하고 한국인들의 생활을 억압하려는 조치였다.
  • 4월 5일 - 조선만화인협회가 결성되었다.
  • 4월 20일 -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주 각 한인단체 대표가 한족연합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이는 해외 독립운동의 역량을 결집하려는 노력이었다.
  • 4월 23일 - 조선불교 총본산으로 태고사 (조계사)가 결정되었다.
  • 5월 10일 - 조선 전역에서 도의원선거가 실시되었다. 이는 일제의 식민 통치에 대한 형식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기만적인 행위였다.
  • 5월 20일 - 한국독립당 제1차 전당대회가 개최되었다.
  • 5월 21일 - 일제가 무역통제령을 공포하였다.
  • 6월 30일 - 한반도 남부 일대 호우로 경부선, 호남선이 마비되었다.
  • 7월 1일 - 한글 전보가 폐지되었다. 이는 한국어 사용을 억압하려는 또 다른 시도였다.
  • 7월 2일 - 조선영화협회가 창립되었다.
  • 7월 20일 - 조선잡곡배급통제규칙이 공포되었다. 이는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였지만, 한국인들에게는 더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 8월 - 보천교 사건 관련자 6명에게 사형이 선고되었다. 이는 일제의 가혹한 탄압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 8월 26일 - 일제가 외국인의 조선 입국을 제한하였다.
  • 9월 16일 -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부가 중등이상의 학교 남녀학생들에게 학교총결대 결성을 지시하였다. 이는 학생들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었다.
  • 9월 21일 - 일제가 국민개로운동을 조선 전역에 일제히 실시하였다. 이는 한국인들의 생활 방식을 일본식으로 바꾸려는 시도였다.
  • 9월 28일 - 만주국 조선 국경의 수풍댐이 영업 발전을 개시하였다.
  • 10월 16일 - 일제가 전화통화 도수 및 통화시간을 제한하였다.
  • 11월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에 구미외교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이는 외교적 노력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려는 움직임이었다.
  • 11월 15일 - 조선언론보국회가 조직되었다. 이는 언론을 통제하여 친일 여론을 조성하려는 목적이었다.
  • 11월 25일
  •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가 중국군사위원회가 제시한 한국광복군 행동준승을 승인하여, 중국의 원조를 받는 대신 작전지휘권은 중국군이 장악하도록 하였다. 이는 독립군 활동의 제약을 의미했지만,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발표하여 정치이념과 독립전쟁 준비를 천명하였다. 이는 독립 이후의 국가 건설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 것이었다.
  • 12월 8일 - 조선 내 미국 및 외국인 신부와 교구장 67명이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다.
  • 12월 10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일 선전포고를 하였다. 이는 태평양 전쟁 발발에 따른 적극적인 대응이었다.
  • 12월 23일 - 조선연극협회가 결성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동아시아 정세

1941년제2차 세계 대전이 전 세계로 확산되고 동아시아 정세가 급변한 해였다.

1월 20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미국 대통령 셋째 임기를 시작했다. 3월 11일에는 무기대여법에 서명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간접적으로 참전하였다. 1월 1일에는 중국 시안의 한국청년공작대가 대한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었다.

일제2월 12일 조선사상범예방구금령을 공포하고, 3월 25일에는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3월 31일 국민학교규정 공포로 조선어 학습을 폐지하는 등 식민 통치를 강화했다. 또한 4월 1일 생활필수물자통제령을 공포 시행하고, 7월 20일 조선잡곡배급통제규칙을 공포하는 등 전쟁 물자 확보에 주력했다.

3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불가리아추축국에 합류한 이후, 첫 번째 독일군 부대가 불가리아로 진주했다. 6월 22일, 나치 독일바르바로사 작전을 실행해 소련을 침공했다. 9월 8일에는 독일이 소련의 레닌그라드에 대해 포위공격을 시작했다. 이 포위는 900여일간 계속되었다.9월 14일 -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군은 소련 레닌그라드 교외로 진격했다. 10월 2일에는 모스크바 공방전이 시작되었다.

5월 10일 루돌프 헤스가 독단으로 영국으로 건너가 평화를 제안하였으나 체포되었고 그는 이후 종전 때까지 영국의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8월 14일, 윈스턴 처칠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대서양 헌장을 발표했다.

11월 26일, 미국 국무장관은 일본에 대륙침략에서 손을 떼도록 최후통첩을 내렸다. 같은 날 야마모토 이소로쿠 대장 휘하의 일본 해군 연합함대가 진주만 공격을 위해 일본에서 출발했다.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다. 12월 8일 미국영국이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하였고, 12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대일 선전포고를 했다. 12월 25일에는 일본군이 영국령 홍콩을 점령했다.

11월 25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중국군사위원회가 제시한 한국광복군 행동준승을 승인하고,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발표했다.

2. 2. 일제강점기 한국의 상황


  • 1월 1일 - 중국 시안의 한국청년공작대가 대한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었다.
  • 1월 25일 - 조선총독부가 사상통제 목적으로 조선음악가협회를 조직하였다.
  • 2월 12일 - 일제가 조선사상범예방구금령을 공포하였다.
  • 2월 22일 - 조선미술가협회가 조직되었다.
  • 3월 8일 - 일제가 농업노무자 임금을 전면 통제하였다.
  • 3월 15일 - 조선총독부가 학도정신대를 조직하고 근로동원을 실시하였다.
  • 3월 25일 - 일제가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 3월 31일 - 일제가 국민학교규정을 공포하여 조선어 학습을 폐지하였다.
  • 4월 1일 - 평원선이 개통되고, 일제가 생활필수물자통제령을 공포, 시행하였다.
  • 4월 5일 - 조선만화인협회가 결성되었다.
  • 4월 20일 -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주 각 한인단체 대표가 한족연합위원회를 조직하였다.
  • 4월 23일 - 조선불교 총본산으로 태고사 (조계사)가 결정되었다.
  • 5월 10일 - 조선 전역에서 도의원선거가 실시되었다.
  • 5월 20일 - 한국독립당 제1차 전당대회가 개최되었다.
  • 5월 21일 - 일제가 무역통제령을 공포하였다.
  • 6월 30일 - 한반도 남부 일대 호우로 경부선, 호남선이 마비되었다.
  • 7월 1일 - 한글 전보가 폐지되었다.
  • 7월 2일 - 조선영화협회가 창립되었다.
  • 7월 20일 - 조선잡곡배급통제규칙이 공포되었다.
  • 8월 - 보천교 사건 관련자 6명에게 사형이 선고되었다.
  • 8월 26일 - 일제가 외국인의 조선 입국을 제한하였다.
  • 9월 16일 -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부가 중등이상의 학교 남녀학생들에게 학교총결대 결성을 지시하였다.
  • 9월 21일 - 일제가 국민개로운동을 조선 전역에 일제히 실시하였다.
  • 9월 28일 - 만주국 조선 국경의 수풍댐이 영업 발전을 개시하였다.
  • 10월 16일 - 일제가 전화통화 도수 및 통화시간을 제한하였다.
  • 11월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에 구미외교위원회를 설치하였다.
  • 11월 15일 - 조선언론보국회가 조직되었다.
  • 11월 25일
  •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가 중국군사위원회가 제시한 한국광복군 행동준승을 승인하여, 중국의 원조를 받는 대신 작전지휘권은 중국군이 장악하도록 하였다.
  •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발표하여 정치이념과 독립전쟁 준비를 천명하였다.
  • 12월 8일 - 조선 내 미국 및 외국인 신부와 교구장 67명이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다.
  • 12월 10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일 선전포고를 하였다.
  • 12월 23일 - 조선연극협회가 결성되었다.

3. 주요 사건

1월 1일 - 중국 시안의 한국청년공작대가 대한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었다.

1월 25일 - 조선총독부가 사상통제 목적으로 조선음악가협회 조직.

2월 22일 - 조선미술가협회 조직.

3월 15일 - 조선총독부, 학도정신대 조직 및 근로동원 실시.

4월 5일 - 조선만화인협회 결성.

4월 23일 - 조선불교 총본산으로 태고사 (조계사) 결정.

5월 10일 - 조선 전역에서 도의원선거 실시.

6월 30일 - 한반도 남부 일대 호우로 경부선, 호남선 마비.

7월 2일 - 조선영화협회 창립.

9월 21일 - 일제, 국민개로운동을 조선 전역에 일제히 실시

9월 28일 - 만주국 조선 국경의 수풍댐이 영업 발전을 개시.

11월 15일 - 조선언론보국회 조직.

12월 23일 - 조선연극협회 결성

3. 1. 전쟁과 갈등

1941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3월 2일에는 독일군 부대가 불가리아에 진주했고, 3월 11일에는 미국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무기대여법에 서명했다. 6월 22일에는 나치 독일이 바르바로사 작전을 실행하여 소련을 침공했다. 8월 14일, 윈스턴 처칠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비밀 회의 후 대서양 헌장을 발표했다. 독일은 9월 3일에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유대인 독가스 학살을 시작했고, 9월 8일에는 레닌그라드에 대한 포위공격을 시작했다. 10월 2일, 독일군은 모스크바 총공격을 개시했다.

일본 제국은 12월 7일 진주만 공격을 감행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다. 이에 12월 8일 미국과 영국이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고, 12월 10일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일 선전포고를 하였다. 12월 25일, 일본군은 영국령 홍콩을 점령했다.

일제강점기 조선에서는 1월 1일에 중국 시안의 한국청년공작대가 대한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었고, 2월 12일에는 일제가 조선사상범예방구금령을 공포했다. 3월 31일에는 국민학교규정 공포로 조선어 학습이 폐지되었다. 4월 20일에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주 각 한인단체 대표가 한족연합위원회를 조직했다. 5월 10일에는 조선 전역에서 도의원선거가 실시되었고, 5월 20일에는 한국독립당 제1차 전당대회가 개최되었다. 11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에 구미외교위원회를 설치했고, 11월 25일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발표했다.

3. 2. 정치와 외교

1941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황이 급변한 해였다. 1월 20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미국 대통령 셋째 임기를 시작했고, 3월 11일에는 무기대여법에 서명하여 연합국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다.

1월 1일, 중국 시안의 한국청년공작대가 대한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었다. 4월 20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주 각 한인단체 대표가 한족연합위원회를 조직했다. 11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에 구미외교위원회를 설치했고, 11월 25일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중국군사위원회가 제시한 한국광복군 행동준승을 승인했다. 같은 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발표했다. 12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일 선전포고를 했다.

일본은 2월 12일 조선사상범예방구금령을 공포하고, 3월에는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하고 국민학교규정 공포로 조선어 학습을 폐지하는 등 식민 통치를 강화했다. 4월 1일에는 평원선이 개통되었고, 생활필수물자통제령을 공포시행했다. 7월 1일에는 한글 전보가 폐지되었고, 7월 20일에는 조선잡곡배급통제규칙이 공포되었다. 8월에는 보천교 사건 관련자 6명에게 사형이 선고되었고, 8월 26일에는 외국인의 조선 입국이 제한되었다. 9월 16일, 조선 총독부는 중등 이상의 학교 남녀 학생들에게 학교총결대 결성을 지시했다.

3월 2일, 불가리아추축국에 합류하면서 첫 번째 독일군 부대가 불가리아로 진주했다. 6월 22일, 나치 독일이 소련에게 선전포고하고 바르바로사 작전을 실행했다. 9월 8일, 독일이 소련의 레닌그라드에 대해 포위공격을 시작했다. 9월 14일, 나치 독일군은 소련 레닌그라드 교외로 진격했다. 10월 2일, 독일군은 모스크바 총공격을 개시했다(모스크바 공방전).

5월 10일, 루돌프 헤스가 독단으로 영국으로 건너가 평화를 제안하다 체포되었다. 8월 14일, 윈스턴 처칠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대서양 헌장을 발표했다. 10월 18일, 도조 히데키가 일본 총리에 취임했다. 11월 26일, 미국 국무장관은 일본에 대륙 침략에서 손을 떼도록 최후통첩을 내렸다. 같은 날, 야마모토 이소로쿠 대장 휘하의 일본 해군 연합함대가 진주만 공격을 위해 일본을 출발했다. 12월 7일,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다. 12월 8일, 미국영국이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했고, 조선 내 미국 및 외국인 신부와 교구장 67명이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다. 12월 25일, 일본군은 영국령 홍콩을 점령했다.

3. 3. 사회와 문화

1941년 5월 1일, 미국에서 제너럴 밀스(General Mills)가 시리얼 제품 체리오(Cheerios)를 출시하였다. 같은 날, 오손 웰스 감독의 영화 시민 케인이 뉴욕에서 개봉하였다. 또한 군사 장비 생산 증대를 위한 자금 조달을 위해 미국에서 최초의 국방채 및 국방 저축 우표가 판매되기 시작하였다. 1941년 5월 6일에는 캘리포니아의 마치 필드에서 밥 호프(Bob Hope)가 최초의 USO 공연을 하였다. 1941년 5월 15일에는 뉴욕 양키스(New York Yankees)의 중견수 조 디마지오(Joe DiMaggio)가 시카고 화이트삭스(Chicago White Sox)의 투수 에디 스미스(Eddie Smith)를 상대로 4타수 1안타를 기록하며 조 디마지오의 56경기 연속 안타 기록이 시작되었다. 1941년 5월 29일에는 월트 디즈니(Walt Disney)가 애니메이터들의 임금 및 특전 불평등을 인정하지 않아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이 시작되었다.

1941년 7월 1일, 미국에서 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상업 텔레비전을 승인하면서, NBC 텔레비전이 WNBT(1채널)에서 상업 방송을 시작하였다. 세계 최초의 합법적인 TV 광고는 오후 2시 29분에 WNBT에서 부로바 시계 광고로 방영되었다.[15][16] 특별 편성으로 최초의 퀴즈쇼인 "엉클 비"가 WNBT의 개국일에 방영되었고, 같은 날 랄프 에드워즈가 진행하는 두 번째 게임쇼 방송인 ''진실 혹은 결과''가 라디오와 TV로 동시 방송되었으며, 아이보리 비누가 후원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1956년에 밥 바커의 진행으로 정규 방송을 시작하였다. CBS 텔레비전 또한 뉴욕 방송국 WCBW(현재 WCBS-TV) 2채널에서 상업 방송을 시작하였다. 1941년 7월 17일에는 조 디마지오의 56경기 안타 연속 기록이 종료되었다. 1941년 7월 19일에는 톰과 제리 만화 단편 ''한밤중의 간식''이 개봉되었는데, 이는 이 둘의 두 번째 등장이자 공식적으로 이름이 지어진 첫 번째 작품이었다.

1941년 미국에서 클래식 코믹스(Classics Illustrated) 시리즈가 출시되면서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 버전이 나왔다. 한국에서는 한국타이어(Hankook)의 전신인 조선타이어공장이 서울(당시 일제강점기 시절)에 설립되었다. 다국적 식품 서비스 기업 컴퍼스 그룹(Compass Group)의 전신인 팩토리 캔틴(Factory Canteen)이 영국에서 잭 배트먼(Jack Bateman)에 의해 설립되었다.[36]

1941년의 스포츠 분야에서는 경마에서 센트라이트가 일본 경마 역사상 최초로 수말 클래식 삼관을 달성하였다. 중등 야구에서는 제18회 선발 중등학교 야구 대회에서 동방상이 우승하였고, 제27회 전국 중등학교 우승 야구 대회(여름 고시엔)는 중지되었다.

1941년에 제작된 영화로는 시민 케인(감독: 오슨 웰스), 몰타의 매(감독: 존 휴스턴), 레이디 이브(감독: 프레스턴 스터지스), 내 마음의 갈망(감독: 존 포드), 덤보, 메뚜기 군 마을에 간다, 지도 이야기, 지로 이야기 등이 있다.

1941년의 문학 분야에서는 아쿠타가와상 제13회(1941년 상반기) 수상작은 다다 히로케의 『장강 델타』, 제14회(1941년 하반기) 수상작은 시바키 요시코의 『청과의 시』였다. 나오키상 제13회(1941년 상반기) 수상작은 키무라 소쥬의 『운남 수비병』이었고, 제14회(1941년 하반기)는 해당 작품이 없었다.

4. 인물

1941년은 일제강점기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방위원장 김정일이 2월 16일에 출생하였다.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 이명박이 12월 19일에 출생하였다.

이명박


1월 11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중근이, 1월 19일에는 대한민국의 교수, 과학자 성용길이 태어났다. 1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영주가, 1월 30일에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강문철이 태어났다. 2월에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신낙균, 건축가 이수형, 기업인, 정치인 정종득, 시인 김지하, 기업인 손길승이 출생하였다. 2월 8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강부자와 행정학자 안병만이, 2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 이재환이 태어났다. 2월 11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종교인 유병언과 소설가 현기영이, 2월 14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정희가, 2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신귀식이, 2월 20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출신 정치인 홍성우가 태어났다.

3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주현이, 3월 3일에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안동수와 성우 이두화가 태어났다. 3월 9일에는 대한민국 정치인 김덕규가, 3월 11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훈이, 3월 18일에는 대한민국의 바둑기사 권경언이 태어났다. 4월 7일에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심대평이, 4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조류학자 윤무부가, 4월 16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광길이 태어났다. 4월 18일에는 대한민국의 만화가 애니메이션감독 김청기가, 4월 19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병윤이, 4월 27일에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신기하가 태어났다.

5월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이호재와 김성겸이, 5월 14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채청이, 5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금식이 태어났다. 6월 6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의종이, 7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박주천이 태어났다. 7월 13일에는 대한민국의 만화가 윤준환이, 7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최청림이, 7월 28일에는 대한민국의 음향 연출가 김벌래가 태어났다. 8월에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구창림과 정치인 김수일, 만화가 이정문이 태어났다. 8월 23일에는 대한민국의 사상가, 대학 교수 신영복이, 8월 30일에는 대한제국의 황손 이석이 태어났다.

9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삼남이 태어났다. 10월 25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자가 태어났다. 10월 30일에는 대한민국의 가수 이미자와 야구 선수 김성근이 태어났다. 11월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준호, 배우 김진해, 전 야구 선수, 야구 감독 박영길, 정치인 권영길, 만화가 박수동과 김삼, 언론인 김주철, 배우 나문희가 태어났다. 12월에는 대한민국의 소설가 안정효, 금융 출신 정치인 박태영, 배우 한태일, 행정 출신 정치인 박진규, 법조인, 국제사회지도자 송상현, 영화감독 이두용, 컴퓨터 과학자 김광식이 태어났고, 배우 엄동환과 김정철이 출생하였다.

8월 30일에는 대한민국의 음악가 홍난파가 사망하였다.

==== 일본 ====

1월 5일에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가 태어났다. 9월 13일에는 일본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태어났다. 6월 29일에는 일본의 배우이자 가수인 바이쇼 치에코가 태어났다. 11월 5일에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소설가인 토미노 요시유키가 태어났다.

미야자키 하야오(Hayao Miyazaki)


==== 미국 ====

1941년 미국에서는 여러 유명 인사가 태어났다. 1월 9일에는 미국의 가수이자 인권 운동가인 조안 바에즈가, 1월 14일에는 미국의 배우 페이 더너웨이가 태어났다. 1월 30일에는 미국의 정치가 딕 체니가 태어났으며, 5월 24일에는 미국의 가수이자 기타리스트인 밥 딜런이, 9월 8일에는 미국의 정치인 버니 샌더스가 태어났다. 10월 3일에는 미국의 가수 처비 체커가, 10월 8일에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목사인 제시 잭슨이, 10월 13일에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폴 사이먼이 태어났다.

딕 체니(Dick Cheney)


버니 샌더스


제시 잭슨(Jesse Jackson)


폴 사이먼(Paul Simon)


==== 기타 ====

1941년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여러 인물들이 태어났다. 1월 14일에는 에스파냐의 테너 플라시도 도밍고가 태어났다.[57] 2월 16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방위원장 김정일이 태어났다.[57] 3월 16일에는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가, 3월 26일에는 영국의 동물행동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태어났다.[58] 4월 8일에는 잉글랜드의 패션디자이너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태어났다. 12월 31일에는 영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인 알렉스 퍼거슨이 태어났다.

버지니아 울프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제임스 조이스


같은 해, 여러 저명 인사들이 사망했다. 1월 13일에는 아일랜드의 문학가 제임스 조이스가, 3월 28일에는 잉글랜드의 문학가 버지니아 울프가 사망했다. 6월 4일에는 독일 제2제국의 3대 황제 빌헬름 2세가 사망했고,[48] 8월 7일에는 인도의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사망했다.

4. 1. 한국

1941년은 일제강점기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방위원장 김정일이 2월 16일에 출생하였다.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 이명박이 12월 19일에 출생하였다.

1월 11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중근이, 1월 19일에는 대한민국의 교수, 과학자 성용길이 태어났다. 1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영주가, 1월 30일에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강문철이 태어났다. 2월에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신낙균, 건축가 이수형, 기업인, 정치인 정종득, 시인 김지하, 기업인 손길승이 출생하였다. 2월 8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강부자와 행정학자 안병만이, 2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 이재환이 태어났다. 2월 11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종교인 유병언과 소설가 현기영이, 2월 14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정희가, 2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신귀식이, 2월 20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출신 정치인 홍성우가 태어났다.

3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주현이, 3월 3일에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안동수와 성우 이두화가 태어났다. 3월 9일에는 대한민국 정치인 김덕규가, 3월 11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훈이, 3월 18일에는 대한민국의 바둑기사 권경언이 태어났다. 4월 7일에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심대평이, 4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조류학자 윤무부가, 4월 16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광길이 태어났다. 4월 18일에는 대한민국의 만화가 애니메이션감독 김청기가, 4월 19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병윤이, 4월 27일에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신기하가 태어났다.

5월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이호재와 김성겸이, 5월 14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채청이, 5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금식이 태어났다. 6월 6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의종이, 7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박주천이 태어났다. 7월 13일에는 대한민국의 만화가 윤준환이, 7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최청림이, 7월 28일에는 대한민국의 음향 연출가 김벌래가 태어났다. 8월에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구창림과 정치인 김수일, 만화가 이정문이 태어났다. 8월 23일에는 대한민국의 사상가, 대학 교수 신영복이, 8월 30일에는 대한제국의 황손 이석이 태어났다.

9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삼남이 태어났다. 10월 25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자가 태어났다. 10월 30일에는 대한민국의 가수 이미자와 야구 선수 김성근이 태어났다. 11월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준호, 배우 김진해, 전 야구 선수, 야구 감독 박영길, 정치인 권영길, 만화가 박수동과 김삼, 언론인 김주철, 배우 나문희가 태어났다. 12월에는 대한민국의 소설가 안정효, 금융 출신 정치인 박태영, 배우 한태일, 행정 출신 정치인 박진규, 법조인, 국제사회지도자 송상현, 영화감독 이두용, 컴퓨터 과학자 김광식이 태어났고, 배우 엄동환과 김정철이 출생하였다.

8월 30일에는 대한민국의 음악가 홍난파가 사망하였다.

4. 2. 일본

1941년에는 많은 উল্লেখযোগ্যな人物이 태어났다.

1월 5일에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가 태어났다. 9월 13일에는 일본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태어났다. 6월 29일에는 일본의 배우이자 가수인 바이쇼 치에코가 태어났다. 11월 5일에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소설가인 토미노 요시유키가 태어났다.

1월 13일에는 아일랜드의 문학가 제임스 조이스가 사망했다. 3월 28일에는 잉글랜드의 문학가 버지니아 울프가 사망했다. 8월 7일에는 인도의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사망했다. 8월 30일에는 대한민국의 음악가 홍난파가 사망했다.

4. 3. 미국

1941년 미국에서는 여러 유명 인사가 태어났다. 1월 9일에는 미국의 가수이자 인권 운동가인 조안 바에즈가, 1월 14일에는 미국의 배우 페이 더너웨이가 태어났다. 1월 30일에는 미국의 정치가 딕 체니가 태어났으며, 5월 24일에는 미국의 가수이자 기타리스트인 밥 딜런이, 9월 8일에는 미국의 정치인 버니 샌더스가 태어났다. 10월 3일에는 미국의 가수 처비 체커가, 10월 8일에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목사인 제시 잭슨이, 10월 13일에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폴 사이먼이 태어났다.

4. 4. 기타

1941년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여러 인물들이 태어났다. 1월 5일에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가, 1월 9일에는 미국의 가수이자 인권 운동가 존 바에즈가 태어났다.[55] 1월 14일에는 미국의 배우 페이 더너웨이와 에스파냐의 테너 플라시도 도밍고가 태어났다.[57] 2월 16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방위원장 김정일이 태어났다.[57] 3월 16일에는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가, 3월 26일에는 영국의 동물행동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태어났다.[58] 4월 8일에는 잉글랜드의 패션디자이너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태어났다. 5월 24일에는 미국의 가수 겸 기타리스트 밥 딜런이 태어났다. 9월 8일에는 미국의 정치인 버니 샌더스가, 9월 13일에는 일본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태어났다. 10월 13일에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폴 사이먼이 태어났다. 12월 31일에는 영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인 알렉스 퍼거슨이 태어났다.

같은 해, 여러 저명 인사들이 사망했다. 1월 13일에는 아일랜드의 문학가 제임스 조이스가, 3월 28일에는 잉글랜드의 문학가 버지니아 울프가 사망했다. 6월 4일에는 독일 제2제국의 3대 황제 빌헬름 2세가 사망했고,[48] 8월 7일에는 인도의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사망했다.

5. 같이 보기


  • 간지: 신사(辛巳)
  • 일본
  • * 쇼와 16년
  • * 황기 2601년
  • 중국
  • * 중화민국: 민국 30년
  • * 만주국: 간덕 8년
  • 조선
  • * 단기 4274년
  • * 주체 30년
  • 응우옌 왕조(베트남)
  • * 보대 15년 12월 4일 - 16년 11월 14일
  • 불멸기원: 2483년 - 2484년
  • 이슬람력: 1359년 12월 2일 - 1360년 12월 12일
  • 유대력: 5701년 4월 2일 - 5702년 4월 11일
  • 수정율리우스일(MJD): 29995 - 30359
  • 릴리우스일(LD): 130836 - 131200

단기는 대한민국에서 1948년에 법적 근거를 부여받았으나, 1962년부터는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주체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997년에 제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eaths in conflicts by source https://ourworldinda[...] 2023-07-22
[2] 웹사이트 "The Bormann Decree" banning the use of the Fraktur typeface https://web.archive.[...] About.com 2013-10-23
[3] 법규 United States Code Title 8, Section 1402
[4] 서적 German Raiders of WWII Prentice-Hall
[5] 서적 The Summer of '45 Aurum Press Ltd
[6] 뉴스 Post-Gazette Feb. 3, 1941 https://www.newspape[...]
[7] 기타
[8] 서적 The Shell Book of Firsts Ebury Press
[9] 웹사이트 BBC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U.S. Navy Destroyers. Part II - World War II (1941-1943) http://www.navy.mil/[...] US Navy 2018-04-28
[11] 서적 Tragedy And Hope https://books.google[...] Macmillan
[12]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Middle East Naval & Military Press
[13] 법규 Proclamation of Unlimited National Emergency http://www.ibiblio.o[...] 1941-05-27
[14] 서적 Solidarité, débats, mouvement: cent ans de Parti socialiste suisse, 1888-1988 https://books.google[...] Editions d'en bas
[15] 웹사이트 About Bulova https://web.archive.[...] 2012-12-28
[16] 웹사이트 A U. S. Television Chronology, 1875-1970 http://jeff560.tripo[...]
[17] 서적 The Illustrated Timeline of World War II Rosen Publishing
[18] 웹사이트 The Jedwabne Tragedy http://info-poland.b[...] Polish Academic Information Center, University at Buffalo 2012-07-10
[19] 서적 The Welensky Papers: A History of the Federation of Rhodesia and Nyasaland https://books.google[...] Graham Publishing
[2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Holocaust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1] 학술지 The beginning of war in the East and hastening the approaches against the Jewish population https://www.research[...]
[22] 서적 Disobeying Hitler: German Resistance After Valkyri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Teen Speak http://www.englishpr[...] 2008-04
[24] 서적 Royal Scots Greys Osprey
[25] 서적 1940: FDR, Willkie, Lindbergh, Hitler—the Election amid the Storm Yale University Press
[26] 뉴스 Vermont declares war on Germany http://archive.bosto[...]
[27] 뉴스 No Sabotage Found in Firestone Blaze by FBI Men Making Probe 1941-10-14
[28] 웹사이트 Memo from Joseph Stalin about Opening of Second Front during World War II, August 13, 1942 https://history.iowa[...] 2024-12-14
[29] 웹사이트 Speech at Celebration Meeting of the Moscow Soviet of Working People's Deputies and Moscow Party and Public Organization https://www.marxists[...] 2024-03-24
[30] 서적 Sevastopol 1942, Von Manstein's triumph
[31] 서적 German Raiders of WWII Prentice-Hall
[32] 서적 German Raiders of WWII Prentice-Hall
[33] 서적 World War II Day by Day Spellmount
[34] 서적 Manipulating the Ether: the Power of Broadcast Radio in Thirties America https://archive.org/[...] McFarland & Co
[35]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Naval Academy Alumni Association and the United States Naval Academy Foundation website http://www.usna.com/[...] 2014-12-04
[36] 논문 Situating the factory canteen in discourses of health and industrial work in Britain (1914-1939) 2014
[37] 뉴스 The Gosnell case: Here's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washingt[...]
[38] 뉴스 Who is the real Buffy Sainte-Marie? https://www.cbc.ca/n[...] 2023-10-31
[39] 뉴스 The Short but Brilliant Eight-Year Life of "Little Radish Head" Song Zhenzhong https://www.chinanew[...] China News Service 2024-10-15
[40] 웹사이트 Denning: Going against social norms - The Prague Post http://www.praguepos[...] 2013-09-10
[41] 웹사이트 Nicolae SARAMANDU - Filolog, Lingvist https://acad.ro/acad[...] Romanian Academy 2023-02-23
[42] 웹사이트 David Crosby, Byrds and Crosby, Stills & Nash Co-Founder, Dies at 81 https://variety.com/[...] 2023-01-19
[43] 뉴스 Nicolae-Șerban Tanașoca, In Memoriam https://www.rador.ro[...] Agenția de presă RADOR 2017-04-10
[44] 서적 The Eighth Wonder of the World: The True Story of André the Giant https://books.google[...] ECW Press 2020-04-28
[45] 뉴스 Guy Clark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6-10-25
[46] 서적 Amy Johnson: Enigma in the Sky https://books.google[...] Airlife 2002
[47] 웹사이트 Cruttwell, Charles Robert Mowbray Fraser http://www.oxforddnb[...] 2010-11-01
[48] 웹사이트 Historic Figures: Wilhelm II (1859 - 1941) https://www.bbc.co.u[...] 2018-08-22
[49] 웹사이트 Ezen a napon született Kürschner Izidor, a kiváló játékos és világjáró edző, akinek Brazíliában szobrot állítottak https://www.mtkbudap[...]
[50] 웹사이트 Phillips, Sir Tom Spencer Vaughan https://www.cwgc.org[...] 2020-06-03
[51] 웹사이트 無限定国家非常事態宣言(Proclamation of Unlimited National Emergency) http://www.ibiblio.o[...] 1941-05-27
[52] 서적 Siberia: Mass Deportations from Lithuania to the USSR Genocide and Resistance Research Centre of Lithuania
[53] 뉴스 バス、タクシーのガソリン使用全面禁止 1942-08-21
[54] 웹사이트
[55] 웹사이트 エレンビー氏死去75歳、「ノートパソコンの父」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10-31
[56] 웹사이트 石丸 博也|ぷろだくしょんバオバブ https://pro-baobab.j[...] 2020-11-23
[57] 뉴스 金正日総書記が死去、69歳 北朝鮮の混乱必至(日本経済新聞) http://www.nikkei.co[...] 2020-11-21
[58] 뉴스 「ラストタンゴ・イン・パリ」「ラストエンペラー」ベルナルド・ベルトルッチ監督死去 https://eiga.com/new[...] 映画.com 2020-11-06
[59] 뉴스 電子メール発明のレイ・トムリンソン氏死去 74歳 https://www.afpbb.co[...] 2020-10-28
[60] 웹사이트 元西鉄ライオンズ井上善夫氏、敗血症で死去 78歳 - プロ野球 https://web.archive.[...] 2020-11-21
[61] 뉴스 元西鉄・井上善夫さん死去 64年ノーヒッター - プロ野球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12-11
[62] 뉴스 漫画家の砂川しげひささん死去 「寄らば斬るド」 https://www.asahi.co[...] 2020-11-20
[63] 웹사이트 青森伸(あおもりしん)の解説 - goo人名事典 https://dictionary.g[...] 2020-11-25
[64] 뉴스 岡田武夫・前東京大司教死去、79歳 司教協議会会長など歴任 https://www.christia[...] 2021-01-29
[65] 뉴스 Mel Stottlemyre, New York baseball legend, dead at 77 https://www.nydailyn[...] NY Daily News 2020-11-06
[66] 뉴스 Grammy-winning musician Dr John dies at 77 https://www.bbc.com/[...] 2020-10-28
[67] 뉴스 俳優の渡哲也さんが死去 肺炎、78歳、家族葬…故人の遺志によりお別れ会なし https://www.daily.co[...] 2020-10-30
[68] 서적 宇宙戦争1941 朝日新聞出版
[69] 서적 KAMPF RIESEN MARS 1941/1945 キャビコ
[70] 웹사이트 年表 http://kampf-riesen-[...] 2019-03-13
[71] 웹사이트 1941 / KAMPF RIESEN MARS ILLUSTRATION STORY http://kampf-riesen-[...] 2019-03-13
[72] 웹사이트 ドクター・フー世界年表 https://www.vap.co.j[...] バップ 2021-01-23
[73] 웹사이트 英国ナンバーワンの人気ドラマ『ドクター・フー』の歴代ドクター総まとめ! https://kaigai-drama[...] AXNジャパン 2021-01-23
[74] 서적 鼻行類 新しく発見された哺乳類の構造と生活 平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