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영우 (의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우는 대한민국의 의사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병원 인턴 및 레지던트 과정을 거쳤으며, 이대목동병원 전임의, University of Maryland 방문 연구원, 여러 기관의 방문 교수를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및 조교수를 거쳐, 2002년부터 국립암센터 위암센터 전문의로 활동하며, 위암연구과 책임연구원, 센터장, 과장, 부장, 암예방검진센터 센터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립암센터 외과 의사,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 연구소장 및 영년제 교수로 재직 중이며, World Journal of Surgery, World Journal of Gastrointestinal Oncology의 편집위원 및 부편집자를 역임했다. 또한, 위암 관련 저서를 출간하고, 국내외 학술상 및 정부 포상을 다수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방영주
    방영주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수석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위암 및 초기 임상시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는 대한민국 의사, 의학자이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 - 방영주
    방영주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수석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위암 및 초기 임상시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는 대한민국 의사, 의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의사 - 박경철
    박경철은 '시골의사'라는 필명으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작가, 투자 전문가, 방송인으로, 안동신세계연합클리닉 원장이며 경제, 사회 문제에 대한 소신 발언과 강연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의사 - 이병주 (1912년)
    이병주(1912년)는 대구사범학교 졸업 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의학박사이자 정치인으로, 대한결핵협회 이사,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위원, 재단법인 성균관 이사장을 역임하고 제7·8·9대 국회의원 및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위원, 그리고 민주공화당 주요 직책과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지냈다.
김영우 (의사)
인물 정보
원어 이름金榮雨 / Kim Young Woo
김영우
김영우
출생일1964년 4월 30일
국적대한민국
학력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서울대학교 의학 석사
서울대학교 의학 박사
직업의사
소속국립암센터 연구소장

2. 학력

김영우는 1982년부터 1988년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1982-1988)

김영우는 1982년부터 1988년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1990-1992)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 과정을 밟았다.

학위학교전공기간
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의학과1990년 ~ 1992년




2. 3.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1992-1998)

김영우는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밟았다.

3. 주요 경력

김영우는 서울대학교 병원에서의 인턴 및 레지던트 과정을 시작으로, 이대목동병원 전임의, 미국유럽에서의 해외 연수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이후 국립암센터에서 위암센터 전문의, 위암센터장, 암예방검진센터 센터장, 외과 의사,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 연구소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하였다.

기간소속직책
1988년 3월 ~ 1989년 2월서울대학교 병원인턴
1989년 3월 ~ 1993년 2월서울대학교 병원레지던트
1996년 5월 ~ 1997년 8월이대목동병원전임의
1997년 1월 ~ 1997년 5월University of Maryland영어방문 연구원 (visiting fellow영어)
1997년 9월 ~ 1999년 8월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전임강사
1999년 9월 ~ 2002년 8월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조교수
2002년 9월 ~ 현재국립암센터 위암센터전문의
2006년 3월 ~ 2012년 1월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책임연구원
2006년 8월 ~ 2012년 1월국립암센터 위암센터센터장
2007년 12월 ~ 2009년 12월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과장
2007년 12월 ~ 2009년 1월이행성임상제1연구부부장
2008년 1월 ~ 2008년 2월Hospital Ambroise Pare프랑스어방문 교수 (visiting professor영어)
2008년 1월 ~ 2008년 2월Regina Elena National Cancer Centerit방문 교수 (visiting professor영어)
2008년 1월 ~ 2008년 2월Technische Universitat Munchende방문 교수 (visiting professor영어)
2008년 12월 ~ 2010년 8월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센터장
2012년 1월 ~ 현재국립암센터외과 의사
2012년 1월 ~ 2013년 2월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과장, 책임연구원
2013년 3월 ~ 2015년 2월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과장, 영년제 책임연구원
2014년 3월 ~ 2015년 2월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정책학과겸임교수
2014년 5월 ~ 현재World Journal of Surgery영어편집위원
2015년 1월 ~ 2019년 12월World Journal of Gastrointestinal Oncology영어부편집자
2015년 2월 ~ 2017년 2월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정책학과교수
2017년 3월 ~ 2019년 8월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학과교수
2019년 9월 ~ 현재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학과영년제교수
2021년 2월 ~ 현재국립암센터연구소장
2021년 9월 ~ 현재국립암센터 종양외과학연구과영년제교수


3. 1. 병원 인턴 및 레지던트 (1988-1993)

1988년 3월부터 1989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인턴 과정을 거쳤다. 1989년 3월부터 1993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거쳤다.

기간소속직책
1988년 3월 ~ 1989년 2월서울대학교 병원인턴
1989년 3월 ~ 1993년 2월서울대학교 병원레지던트


3. 2. 이대목동병원 전임의 (1996-1997)

1996년 5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서 전임의로 근무하였다.

3. 3. 해외 연수 (1997, 2008)

1997년 1월부터 5월까지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2008년 1월부터 2월까지는 프랑스 앙브루아즈 파레 병원(Hospital Ambroise Pare), 이탈리아 레지나 엘레나 국립 암센터(Regina Elena National Cancer Center), 독일 뮌헨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at Munchen)에서 방문 교수로 활동하였다.

3. 4.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1997-2002)

University of Maryland영어 방문 연구원으로 근무한 후, 1997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로 재직하였다. 1999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3. 5. 국립암센터 위암센터 전문의 및 센터장 (2002-현재)

김영우는 2002년부터 국립암센터 위암센터에서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2006년부터 2012년 1월까지는 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 책임연구원 및 위암센터 센터장을 역임했다. 2007년 1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는 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 과장을 맡았고, 2007년 12월부터 2009년 1월까지는 이행성임상제1연구부 부장을 역임했다.

2008년 12월부터 2010년 8월까지는 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 센터장을 역임했다. 2012년 1월부터 현재까지 국립암센터 외과 의사로 재직 중이며, 2012년 1월부터 2013년 2월까지는 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 과장 및 책임연구원을, 2013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는 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 과장 및 영년제 책임연구원을 역임했다.

3. 6.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 (2014-현재)

김영우는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정책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 2015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같은 학과 교수로, 2017년 3월부터 2019년 8월까지는 암관리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2019년 9월부터 현재까지 같은 학과 영년제교수로 재직 중이다.

3. 7. 학술지 편집위원 (2014-2019)


  • 2014년 5월부터 World Journal of Surgery 편집위원으로 활동하였다.
  • 2015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World Journal of Gastrointestinal Oncology 부편집자로 활동하였다.

3. 8. 국립암센터 연구소장 (2021-현재)

김영우는 World Journal of Surgery영어 편집위원(Editorial Board)과 World Journal of Gastrointestinal Oncology영어 부편집장(Associate Editor)을 역임했다. 2021년 2월부터 국립암센터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직책기간
국립암센터 연구소장2021년 2월 ~ 현재
World Journal of Surgery영어 편집위원2014년 5월 ~ 현재
World Journal of Gastrointestinal Oncology영어 부편집장2015년 1월 ~ 2019년 12월


4. 수상, 서훈 및 표창

김영우는 다음과 같은 상을 받았다.

연도수상 내역주최
2005the Best Poster of the Session PrizeInternational Gastric Cancer Congress
2008Best Poster Award
(498개 포스터 중 24개 최우수 포스터에 선정)
European Association of Endoscopic Surgeon
2008젊은 연구자상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 동문회
2008지식경제부 전략과제 우수 성과상산업기술평가원
2009대한 암학회 우수연구자상대한 암학회
2011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국립암센터 개원 10주년 기념 공로상)
보건복지부
2011Karl Storz award(최우수 논문상)EAES(유럽복강경외과학회)
2016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2016 보건의료기술기술기술유공자)
보건복지부
2016Niall O’Higgins Best Proffered Paper Award
(ESSO 36 Congress)
The European Society of Surgical Oncology
2017최우수연구자상국립암센터
2017SCI IF 최우수상국립암센터
2017최고 Impact Factor 상국립암센터
20172017년 두산연강재단 외과학 학술상두산연강재단
2017Outstanding Innovation Video Award대한 내시경 복강경학회
2018함춘동아의학상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창회 학술연구재단
2021제25회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정기학술대회(KSELS 2021) - 우수논문상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4. 1. 국내 수상 (2008-현재)

연도수상 내역주최
2008젊은 연구자상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 동문회
2008지식경제부 전략과제 우수 성과상산업기술평가원
2009대한 암학회 우수연구자상대한 암학회
2011국립암센터 개원 10주년 기념 공로상보건복지부
20162016 보건의료기술기술기술유공자보건복지부
2017최우수연구자상국립암센터
2017SCI IF 최우수상국립암센터
2017최고 Impact Factor 상국립암센터
20172017년 두산연강재단 외과학 학술상두산연강재단
2017Outstanding Innovation Video Award대한 내시경 복강경학회
2018함춘동아의학상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창회 학술연구재단
2021제25회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정기학술대회(KSELS 2021) - 우수논문상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4. 2. 국제 수상 (2005-현재)

연도수상 내역주최
2005the Best Poster of the Session PrizeInternational Gastric Cancer Congress
2008Best Poster Award (498개 포스터 중 24개 최우수 포스터에 선정)European Association of Endoscopic Surgeon
2011Karl Storz award(최우수 논문상)EAES(유럽복강경외과학회)
2016Niall O’Higgins Best Proffered Paper Award (ESSO 36 Congress)The European Society of Surgical Oncology
2017Outstanding Innovation Video Award대한 내시경 복강경학회


4. 3. 정부 포상 (2011, 2016)

연도수상 내역주최
2011국립암센터 개원 10주년 기념 공로상보건복지부
20162016 보건의료기술유공자보건복지부


5. 논문

2022년 현재 김영우는 총 341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중 SCIE급 논문은 267편, 기타 논문은 74편이다.

6. 저서

출판 연도저서출판사비고
2010년《위암 100문 100답》국립암센터
2011년《위암과 위장관질환》대한위암학회
2012년Laparoscopic Gastectomy for Cancer. Standard Techniques and Clinical Evidences영어Springer
2016년Surgical Oncology : Theory and Multidisciplinary Practice, 2nd edition영어ESSO


6. 1. 위암 100문 100답 (2010)

국립암센터에서 2010년에 출간한 책이다. 위암에 대한 100가지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을 담고 있다. 일반인들이 위암에 대해 궁금해하는 점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6. 2. 위암과 위장관질환 (2011)

Kim Young-Woo|김영우영어는 2011년 대한위암학회에서 출간한 《위암과 위장관질환》을 저술하였다.

6. 3. Laparoscopic Gastectomy for Cancer (2012)

Laparoscopic Gastectomy for Cancer. Standard Techniques and Clinical Evidences|복강경 위 절제술. 표준 기술 및 임상 증거영어는 2012년 Springer에서 출간한 영문 서적이다.

제목출판 연도출판사
Laparoscopic Gastectomy for Cancer. Standard Techniques and Clinical Evidences영어2012년Springer


6. 4. Surgical Oncology (2016)

Surgical Oncology : Theory and Multidisciplinary Practice, 2nd edition영어는 유럽종양외과학회(ESSO)에서 출간한 종양 외과 관련 영문 저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