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지 (198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예지는 1980년생으로, 서울맹학교, 숙명여자대학교 피아노과,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 캠퍼스 대학원 음악예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며 100회 이상의 연주회를 열었고, 유니온 앙상블 예술감독, 덕영트리오 단원,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 단원 등으로 활동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했다. 국회의원으로서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며, 장애인 인권 신장을 위한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 장애 정치인 - 호아킨 발라게르
호아킨 발라게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로서, 라파엘 트루히요 정권에서 요직을 거쳐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장기간 집권하며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치와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고,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시각 장애 정치인 - 데이비드 패터슨
뉴욕주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주지사이자 시각 장애를 가진 민주당 소속 정치인 데이비드 패터슨은 뉴욕주 상원 의원을 거쳐 엘리엇 스피처 주지사 사임 후 주지사직을 승계하여 재정 위기 대응, 동성 결혼 허용 지침 발표 등 주요 정책을 추진하고 여러 논쟁적인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재선 실패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자서전을 출간했다. - 대한민국의 장애인 정치인 - 지성호
지성호는 1982년생으로 1996년 기차 사고로 왼손과 다리를 잃고 2006년 탈북하여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이북5도위원회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장애인 정치인 - 박지원 (1942년)
박지원(1942년)은 전라남도 진도군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김대중 정부 대통령비서실장 및 문화관광부 장관, 문재인 정부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 지원을 통해 정계에 입문하여 주요 당직을 맡았고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으나 대북 불법 송금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김예지 (1980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예지 |
한자 표기 | 김예지 |
로마자 표기 | Gim Yeji |
출생일 | 1980년 12월 13일 |
출신 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
직업 | 피아니스트 |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국적 | 대한민국 |
직함 | 국회의원 |
선거구 | 비례대표 |
당선 횟수 | 2회 |
임기 시작일 | 2020년 5월 30일 |
임기 종료일 | 현직 |
음악가 정보 | |
이름 | 김예지 |
![]() | |
출생일 | 1980년 12월 13일 |
성별 | 여성 |
국적 | 대한민국 |
악기 | 피아노 |
기타 | |
참여 정당 | 미래한국당, 순번 11번 국민의미래, 순번 15번 |
2. 학력
3. 경력
- 유니온 앙상블 예술감독
- 덕영트리오 단원
- 2016년 1월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 단원
- EBS 다큐프라임 '대서사시 나무-3부' 출연 (8살 찬미와 함께)
- 2019년 4월 한국장애예술인협회 이사
- 100회 이상의 연주회를 열었고,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폐막식에서도 연주했다.[2]
- 점자 악보의 단점을 극복하는 3D 촉각 악보를 발명하여 장애인 음악 교육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으며, 2019년 장애인상을 수상했다.[2]
- 장애인 스포츠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한국의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탠덤자전거, 크로스컨트리스키, 바이애슬론 등의 종목에 출전한 경험이 있으며, 2020년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에서는 크로스컨트리스키와 바이애슬론 2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5]
3. 1. 정치 경력
연도 | 직책 및 활동 내용 |
---|---|
2020년 3월 ~ 2020년 4월 | 미래한국당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18][20] |
2020년 4월 15일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비례대표, 미래한국당, 초선)[18][20] |
2020년 6월 ~ 2020년 9월 | 미래통합당 저출생대책특별위원회 일·가정 양립분과위원회 위원 |
2020년 7월 ~ 2020년 9월 | 미래통합당 故 최숙현 선수 사건 진상규명 및 체육인 인권보호 태스크포스 위원 |
2020년 9월 | 국민의힘 저출생대책특별위원회 일·가정 양립분과위원회 위원 |
2020년 9월 | 국민의힘 故 최숙현 선수 사건 진상규명 및 체육인 인권보호 태스크포스 위원 |
2020년 9월 | 국민의힘 호남 동행 국회의원 발대식 명예의원(광주광역시) |
2020년 10월 | 국민의힘 약자와의 동행 위원회 입법동행분과 위원 |
2020년 12월 ~ 2021년 3월 | 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공약개발단 공통공약 개발단 안심안전팀 위원 |
2020년 12월 ~ | 국민의힘 장애인위원회 고문 |
2021년 5월 ~ 2022년 4월 |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
2021년 8월 ~ 2021년 11월 | 국민의힘 유승민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희망22 수석 쓴소리꾼 |
2021년 11월 ~ 2022년 1월 |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위원회 약자와의동행위원회 위원 |
2021년 12월 ~ 2022년 1월 |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직능총괄본부 장애인예술정책지원본부장 |
2022년 1월 ~ 2022년 3월 |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선거 선거대책본부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위원회 약자와의동행위원회 위원 |
2022년 1월 ~ 2022년 3월 |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선거대책본부 직능본부 장애인예술정책지원본부장 |
2023년 10월 ~ 2023년 12월 | 국민의힘 최고의원(지명직) |
2023년 12월 ~ 2024년 4월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 |
2024년 4월 10일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비례대표, 국민의미래, 재선)[19][21] |
2024년 6월 ~ 2024년 7월 |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산하 시급한 민생 현안 해결을 위한 약자동행특별위원회 위원 |
2024년 9월 ~ | 국민의힘 호남동행 국회의원 발대식 명예의원(광주광역시) |
3. 2. 의정 활동
(2020.05.~2024.05.)(202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