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전시하는 박물관이다. 2008년 현대사박물관 건립 공포 이후, 2012년 12월 26일 개관하였다.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를 운영하며, 과거 전시 내용의 역사 왜곡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설립된 박물관 - 시몬느 핸드백 박물관
    시몬느 핸드백 박물관은 시몬느 핸드백 설립자 박찬욱이 2012년 서울 강남구에 개관한 핸드백 전문 박물관으로, 1550년부터 현재까지의 핸드백 300여 점을 전시하며 시대별 디자인 트렌드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 등을 보여준다.
  • 2012년 설립된 박물관 - 한성백제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은 서울의 백제시대 역사와 문화를 보존, 연구, 전시하기 위해 송파구 올림픽공원에 건립된 박물관으로, 한성백제 유적과 유물을 관리하며 서울의 선사 문화와 백제 역사를 소개하고 스마트폰 앱과 RFID 기술을 활용한 전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은 다양한 전시를 제공하며, 총 31만 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사 및 아시아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으며, 최첨단 시설을 갖춘 박물관입니다.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유물을 소장, 전시하며, 황실박물관으로 시작하여 여러 변경을 거쳐 2005년 경복궁 내에 개관, 국보와 보물 등 4만여 점의 유물을 통해 왕실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알리고 있다.
  • 서울 종로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서울 종로구 소재의 관공서 - 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본부는 대한민국의 우편,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등 우정 사업을 관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으로, 우편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조직 형태와 명칭의 시대별 변천, 그리고 다양한 이슈들을 겪어왔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대한민국역사박물관
로마자 표기Daehanmingung yeoksa bangmulgwan
한자 표기大韓民國歷史博物館
유형역사박물관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98
개관일2012년 12월 26일
소장 작품 수122,537점
운영문화체육관광부
관장추진오
홈페이지대한민국역사박물관 홈페이지
이미지 정보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로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로고
건축 정보
건축가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2. 연혁

날짜내용
2008년 8월 15일이명박 대통령 8·15경축사에서 현대사박물관 건립 공포.
2009년 2월 11일"대한민국 국립박물관" 위원회 설립에 관한 규정 제정
2009년 4월 16일대한민국 국립박물관 위원회 설립
2009년 5월 4일국립대한민국관건립추진단 발족.
2009년 10월 19일대한민국역사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2010년 11월 25일박물관 기공식 거행
2012년 3월 30일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설치.
2012년 5월 23일박물관 건립 완료
2012년 9월 1일박물관 행정기구 설립
2012년 12월 17일초대 관장 김왕식 취임.
2012년 12월 26일대한민국역사박물관 개관.[2]
2014년 2월 17일박물관 교육홍보부가 문화교류홍보부와 교육부로 분리
2015년 7월 20일박물관 행정 개편: 수석학예관실 설치, 기획총무부를 총무부로, 연구부를 연구기획부로 명칭 변경
2015년 12월 3일특별전시실 1, 2관 확장 개관
2016년 1월 25일2대 관장 김용직 취임.
2017년 11월 1일3대 관장 주진오 취임.
2021년 5월 7일4대 관장 남희숙 취임.
2023년 6월 16일5대 관장 한수 취임.


3. 조직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관장 아래 2개의 과와 4개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 조사연구과
  • 교육과
  • 교류협력팀
  • 운영지원팀
  • 전시운영팀
  • 자료관리팀
  • 건립추진팀

3. 1. 관장

취임일이름비고
2012년 12월 17일김왕식초대
2016년 1월 25일김용직제2대
2017년 11월 1일추진오제3대

[3]

4. 전시 내용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다양한 면모를 조명한다.

5. 역사 왜곡 논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전시 내용과 관련하여 여러 차례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2018년 '전쟁 포로, 평화를 말하다' 특별전에서 국군 포로 송환 문제와 관련하여 북한 측 주장을 인용하고, 국군 포로의 자발적 잔류 가능성을 시사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겨 역사 왜곡 논란을 일으켰다.[8][9]

5. 1. 한국전쟁 국군 포로 관련 왜곡 논란

2018년 12월 5일부터 2019년 1월 17일까지 열린 '전쟁 포로, 평화를 말하다' 특별전에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안내문에 "북한 포로수용소의 국군 포로 및 유엔군 포로들은 대부분 모국으로 귀환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이는 역사 왜곡 및 날조라는 지적과 함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후 박물관 측은 "한국으로 귀환한 국군 포로는 8,000여 명에 불과해 '돌아오지 못한 국군 포로'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고 수정했지만, 여전히 국군 포로들이 자발적으로 북한을 선택했을 수 있다는 뉘앙스를 풍겨 다시 비판을 받았다.[8][9]

박물관 측은 '북한군과 중국군 관할 포로수용소에 수용된 국군과 유엔군 포로는 1만 3,435명(국군 8,656명 / 유엔군 4,797명)'이라고 안내문에 기재했는데, 이는 1953년 휴전 협정 당시 북한이 실제 송환한 국군과 유엔군 포로 수 '1만 3,649명'(국군 총 8,343명, 유엔군 총 5,126명)과 거의 같다고 주장하며 제시한 통계를 인용한 것이었다.[10] 그러나 유엔군 사령부 기록에 따르면, 북한군 총사령부는 1951년 국군과 유엔군 포로 규모를 10만 8천여 명이라고 발표했고, 유엔군 사령부는 휴전 협정 당시 국군 실종자 수를 82,000여 명으로 추정했다. 2014년 2월 유엔 북한인권위원회(COI) 보고서는 5만에서 7만의 한국군 포로가 북한과 북한 동맹국에 억류되었다고 발표했다.[11][12]

계속된 역사 왜곡 비판과 시위에 박물관 측은 해당 통계표를 철거하고, "국군 포로들이 북한에 자발적으로 남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역사 왜곡을 인정했다.[13]

6. 갤러리

참조

[1] 일반
[2] 뉴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개관 http://www.ytn.co.kr[...] 2012-12-26
[3] 일반
[4] 일반
[5] 일반
[6] 일반
[7] 일반
[8] 웹인용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앞 기자회견… 국군포로 왜곡 전시한 주진오 관장 즉각 사퇴하라! http://www.lkp.news/[...] 2019-07-15
[9] 뉴스 국군포로 실상 이리 왜곡하다니… 평양 박물관으로 착각할 정도 https://news.naver.c[...]
[10] 뉴스 돌아오지 못한 국군포로 http://www.bluetoday[...]
[11] 블로그 국군포로들, 역사박물관 왜곡 전시 분노...“냉전 잔재 해체는 국군포로·납북자 해결 우선” https://blog.naver.c[...]
[12] 블로그 유엔 북한인권위원회(COI) 보고서 https://jhsong46/221[...]
[13] 뉴스 “국군포로 특별전 다시 열어 오해 부른 책임 져야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