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욱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욱동은 1948년 인천 출생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미시시피 대학교와 뉴욕 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에서 영문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교수를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영문학 명예교수이다. 미국 문학, 문학 비평, 한국 현대 문학, 번역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서구 비평 이론을 한국에 소개하고 한국 문학을 분석하는 데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대화적 상상력: 바흐친의 문학이론》, 《광장을 읽는 7가지 방법》, 《번역과 한국의 근대》 등이 있으며, 《위대한 개츠비》, 《노인과 바다》 등 다수의 세계 문학 작품을 번역했다. 번역 과정에서 오역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시피 대학교 동문 - 존 그리샴
    존 그리샴은 법학 박사이자 변호사, 미시시피주 하원의원이었으며, 법정 스릴러 소설 《타임 투 킬》, 《펠리컨 브리프》 등으로 세계적인 작가가 되었고, 무죄 프로젝트 이사로 활동하는 사회 운동가이기도 하다.
  • 미시시피 대학교 동문 - 아서 가이튼
    아서 가이튼은 《의학 생리학 교과서》의 저자이며 심혈관 생리학 연구에 기여하여 가이튼 곡선과 모델을 제시하고 심혈관 질환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김욱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욱동
로마자 표기Gim Uk-dong
출생일1948년 3월 13일
출생지인천광역시
직업영문학 교수
번역가
문학 평론가
언어한국어
영어
학력
학사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영문학)
석사미시시피 대학교 (영어)
박사스토니브룩 대학교 (영어)
경력
활동 기간1988년-
소속 기관한국외국어대학교
서강대학교

2. 생애

김욱동은 1948년 3월 13일 인천에서 태어났다.[8] 한국외국어대학교 재학 중 맥스 슐먼의 ''Love Is a Fantasy''를 번역하여 학교 연례 잡지에 게재했는데, 이것이 그의 첫 번째 번역이었다.[9] 대학원 졸업 직후에는 벤저민 프랭클린의 ''The Whistle''을 번역하여 1970년 서울특별시 종로구에서 창간된 문화 잡지 ''Samtoh''에 게재했다.[11]

2. 1. 학력 및 경력

연도구분내용
1948년출생인천 출생[8]
-학사한국외국어대학교 영문학 학사[8]
-석사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석사[10]
1978년석사미시시피 대학교 영문학 석사 (논문: 실존주의자로서의 조 크리스마스)[12]
1981년박사뉴욕 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 영문학 박사 (논문: 무의 가장자리: 윌리엄 포크너의 실존주의적 해석)[12]
1982년교수서강대학교 교수[13]
1988년객원 교수하버드 대학교 객원 교수[13]
-객원 교수듀크 대학교 객원 교수[15]
-객원 교수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객원 교수[16]
2005년교수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영어과 교수[17]
2013년명예교수서강대학교 영문학 명예교수[19]
2015년-2020년객원교수울산과학기술원 인문학부 객원교수[21]


2. 2. 학문 활동 및 사회 참여

김욱동은 1982년 서강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13]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던 1988년에 첫 번째 저서인 ''대화적 상상력: 바흐친의 문학이론''을 출판했다.[14] 그는 듀크 대학교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15][16]

2005년 서강대학교 교수직에서 자진 사임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영어과 교수가 되었다.[17][18] 2013년에 정년퇴임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영문학 명예교수이다.[19] 같은 해 서울특별시 교육청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시작한 강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공공 도서관과 평생 교육원에서 헤밍웨이에 대한 강연을 했다.[20]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울산과학기술원 인문학부 객원교수를 역임했다.[21]

3. 연구 분야 및 업적

김욱동은 미국 문학, 문학 비평, 한국 현대 문학, 번역학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는 학자이다. 그는 여러 분야를 연구하는 것에 대해 '불도저 학자'라는 비평을 받기도 했지만,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22]

김욱동은 서구 비평 이론을 한국에 소개하고, 이를 한국 문학과 문화 현상 분석에 적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특히, 최인훈의 소설 《광장》을 다양한 비평 관점에서 분석한 《광장을 읽는 7가지 방법》(1996)을 저술했다.

3. 1. 연구 분야

김욱동은 미국 문학, 문학 비평, 한국 현대 문학, 번역학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는 학자이다. 김욱동은 특정 분야에 집중하지 않는다는 비평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22]

:어떤 사람들은 내가 한 분야를 면밀히 검토하는 대신 여기저기 불을 질렀다고 해서 나를 '불도저 학자'라고 불렀다. 나는 그것을 냉소적인 언급이 아닌 칭찬으로 받아들인다. 연구 방법론 측면에서 '정착민'이 될 것인가, '불도저 농부'가 될 것인가는 단지 선택의 문제일 뿐이다.

김욱동은 서구 비평 이론을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이를 한국 문학과 문화 현상을 분석하는 데 적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그의 저서 《광장을 읽는 7가지 방법》(1996)에서 김욱동은 최인훈이 쓴 한국 문학의 고전 《광장》(1960)을 역사 비평, 형식주의, 심리주의, 사회학적 비평, 신화 비평, 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3. 2. 주요 업적

김욱동은 미국 문학, 문학 비평, 한국 현대 문학, 번역학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는 다작의 저자이다. 김욱동은 특정 분야에 집중하지 않는다는 비평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22]

:어떤 사람들은 내가 한 분야를 면밀히 검토하는 대신 여기저기 불을 질렀다고 해서 나를 '불도저 학자'라고 불렀다. 나는 그것을 냉소적인 언급이 아닌 칭찬으로 받아들인다. 연구 방법론 측면에서 '정착민'이 될 것인가, '불도저 농부'가 될 것인가는 단지 선택의 문제일 뿐이다.

김욱동은 서구 비평 이론을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이를 한국 문학과 문화 현상을 분석하는 데 적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그의 저서 《광장을 읽는 7가지 방법》(1996)에서 김욱동은 최인훈이 쓴 한국 문학의 고전인 《광장》(1960)을 역사 비평, 형식주의, 심리주의, 사회학적 비평, 신화 비평, 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김욱동은 2011년 그의 저서 《번역과 한국의 근대》(2010)와 《번역의 미로: 번역에 대한 열두 가지 질문》(2011)으로 한국출판학회 학술연구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25]

4. 주요 저서

김욱동 교수는 미국 문학, 문학 비평, 한국 현대 소설, 번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했다.


  • 미국 문학 연구: 미국 소설의 이해(2001), 소설의 제국(2008), 헤밍웨이를 위하여(2012), 포크너를 위하여(2013)
  • 문학 비평: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2004), ''포스트모더니즘''(2004), ''적색에서 녹색으로''(2011), ''비평의 변증법''(2022),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 다섯 가지 해석''(2019)
  • 한국 현대 소설: 광장을 읽는 7가지 방법한국어(1996), 소설가 서재필한국어(2010), 한국 문학의 세계적 조망한국어(2019), 궁핍한 시대의 한국문학한국어(2022)
  • 번역학: The translator and Korea's modernity영어(2010), The Maze of Translation: Twelve Questions on Translation영어(2011), The Culture of Mistranslation영어(2014), Translation in Korea: Theory and Practice영어(2019), The Translator's Path영어(2023)

4. 1. 미국 문학 연구

김욱동 교수의 미국 문학 연구 관련 저서
제목출판 연도ISBN
미국 소설의 이해2001년ISBN 978-89-7139-606-3
소설의 제국2008년ISBN 978-89-7139-071-9
헤밍웨이를 위하여2012년ISBN 978-89-94228-43-3
포크너를 위하여2013년ISBN 978-89-94228-60-0


4. 2. 문학 비평

김욱동은 다양한 저서를 통해 문학 비평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쳐왔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ISBN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20049788932312101
포스트모더니즘20049788937454349
적색에서 녹색으로20119788991601031
비평의 변증법20229791191131420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 다섯 가지 해석20199781527522534


4. 3. 한국 현대 소설


  • 광장을 읽는 7가지 방법한국어(1996)
  • 소설가 서재필한국어(2010)
  • 한국 문학의 세계적 조망한국어(2019)
  • 궁핍한 시대의 한국문학한국어(2022)

4. 4. 번역학

The translator and Korea's modernity영어 (2010)

The Maze of Translation: Twelve Questions on Translation영어 (2011)

The Culture of Mistranslation영어 (2014)

Translation in Korea: Theory and Practice영어 (2019)

The Translator's Path영어 (2023)

5. 주요 번역 작품

김욱동은 민음사에서 출판한 ''세계문학전집''에서 가장 많은 책을 번역한 인물로, 총 415권 중 15권을 번역했다.[24]

작가작품명원제
어니스트 헤밍웨이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디 올드 맨 앤 더 씨영어
F. 스콧 피츠제럴드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더 그레이트 개츠비영어
조지 오웰동물 농장Animal Farm|애니멀 팜영어
하퍼 리앵무새 죽이기To Kill a Mockingbird|투 킬 어 모킹버드영어
마크 트웨인톰 소여의 모험The Adventures of Tom Sawyer|더 어드벤처스 오브 톰 소여영어
마야 안젤루나는 왜 작은 새가 노래하는지 알아요I Know Why the Caged Bird Sings|아이 노 와이 더 케이지드 버드 싱스영어
너새니얼 호손주홍 글자The Scarlet Letter|더 스칼렛 레터영어
어니스트 헤밍웨이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포 훔 더 벨 톨스영어
J.D. 샐린저호밀밭의 파수꾼Catcher in the Rye|캐처 인 더 라이영어
마크 트웨인허클베리 핀의 모험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더 어드벤처스 오브 허클베리 핀영어
이디스 워튼이선 프롬Ethan Frome|이선 프롬영어


6. 논란

김욱동은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 번역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데보라 스미스가 번역한 채식주의자의 번역본에 대해 김욱동은 어휘 오용, 동음이의어 오류, 텍스트 누락 및 추가 등의 문제를 지적하며 비판했다. 이 논문은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한강의 소설 ''흰 책''이 맨 부커 인터내셔널상 후보에 오르기 몇 주 전에 발표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26][27][28][29][30][31]

김욱동의 《위대한 개츠비》 번역은 다른 번역가들로부터 오류가 많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정서이(필명)는 김욱동과 김영하의 번역 오류를 지적하는 번역 노트를 출간하기도 했다. 김욱동은 이러한 비판에 대해 직접 대응하지 않았지만, 인터뷰를 통해 원문에 충실하려는 노력이 가독성을 떨어뜨렸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32][33][34][35]

6. 1. 한강의 '채식주의자' 번역 논란

데보라 스미스가 영어로 번역하여 2015년에 출판된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는 2016년 맨 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했다.[27] 김욱동은 2018년 5월 30일 ''Translation Review''에 게재한 〈한강의 '채식주의자'에 대한 '창의적인' 영어 번역〉 논문에서 이 번역본에 대해 비판했다.[26]

김욱동은 스미스의 번역본에서 어휘 오용, 동음이의어 오류, 텍스트 누락, 원본에 없는 텍스트 추가 등 오역을 지적했다. 번역에 창의성이 필요하다는 스미스의 주장은 인정하지만, 스미스의 번역은 원본에서 벗어나 충실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욱동은 한국어와 영어 텍스트의 예시를 통해 오역을 설명하고, 원문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자신의 번역을 제시했다. 김욱동의 논문은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한국 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채식주의자''의 오역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해당 논문은 현재 1,000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이코노미스트''를 포함한 다양한 출처에서 인용되었다.[28][29][30]

해당 논문은 한강의 소설 ''흰 책''(영문 번역: 데보라 스미스)이 2018년 맨 부커 인터내셔널상 후보로 지명되기 몇 주 전에 출판되었다. 김욱동은 자신의 논문 발표가 한강의 수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해당 논문은 한강의 후보 지명 몇 달 전에 작성되었으며, 시상 과정에 영향을 미칠 의도가 없었다고 밝혔다.[31]

6. 2. '위대한 개츠비' 번역 논란

김욱동의 《위대한 개츠비》 번역은 일부 번역가들로부터 많은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32] 2019년, 새움 출판사는 정서이(필명)의 《위대한 개츠비》 번역본을 출간했는데, 여기에는 김욱동과 김영하의 번역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75페이지 분량의 번역 노트가 포함되었다.[32] 이 번역 노트는 소설의 67군데에서 두 번역가의 번역 오류를 지적한다. 이씨는 "이 번역본들이 읽기 좋고 아름답게 쓰였다고 한다면 거짓말이다. 당신은 안데르센의 '벌거벗은 임금님'의 새 옷을 칭찬하는 신하들과 다를 바가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33] 김용성의 《위대한 개츠비》 번역본 역시 김욱동과 김영하가 저지른 오역이나 어색한 번역을 지적하는 번역 노트를 포함하고 있다.[34] 김욱동은 이러한 비판에 대해 공개적으로 대응하지는 않았지만, 인터뷰에서 원문에 충실하려는 그의 노력이 다른 번역본들, 특히 김영하의 보다 자유로운 번역본에 비해 그의 번역본의 가독성을 떨어뜨렸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35]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hani.co.[...] 2024-07-10
[2] 서적 Critical Theory in the Period of Transition Hyeonamsa
[3] 서적 Postmodernist Theory: Literature, Art and Culture Minumsa
[4] 논문 Harper Lee's To Kill a Mockingbird: An Ecocritical Reading 2021
[5] 서적 Translations in Korea: Theory and Practice Palgrave Macmillan
[6] 서적 The Culture of Mistranslation Somyung Books
[7] 서적 Translation or Treason? Moonhak Soochup
[8] 간행물 Wook-Dong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9] 서적 The Path of a Translator Yeon-Am Seoga
[10] 간행물 Wook-Dong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11] 서적 The Path of a Translator Yeon-Am Seoga
[12] 웹사이트 https://english.soga[...] 2024-07-10
[13] 웹사이트 KIM Wook Dong https://www.harvard-[...] 2024-07-10
[14] 웹사이트 https://www.sedaily.[...] 2024-07-10
[15] 웹사이트 Wook-Dong Kim ! Fulbright Scholar Program https://fulbrightsch[...] 2024-07-10
[16] 웹사이트 https://www.yes24.co[...] 2024-07-10
[17] 웹사이트 https://www.sedaily.[...] 2024-07-10
[18] 웹사이트 School of English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https://english.hufs[...]
[19] 웹사이트 https://www.hani.co.[...] 2024-07-10
[20] 뉴스 Seoul Metropolitan Ministry of Education Opens Classics Lecture https://enews.sen.go[...] 2013-11-10
[21] 웹사이트 ScholarWorks: Researcher Page https://scholarworks[...]
[22] 웹사이트 https://www.sedaily.[...] 2024-07-10
[23] 웹사이트 https://www.yes24.co[...] 2024-07-10
[24] 웹사이트 https://www.hani.co.[...] 2024-07-10
[25] 웹사이트 https://www.sedaily.[...] 2024-07-10
[26] 논문 The "Creative" English Translation of the Vegetarian by Han Kang https://www.tandfonl[...] 2018-01-02
[27] 웹사이트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2016 ! The Booker Prizes https://thebookerpri[...] 2024-07-10
[28] 웹사이트 A case against 'creative' translation of 'The Vegetarian' - Books https://www.thejakar[...] 2024-07-10
[29] 웹사이트 A case against 'creative' translation of 'The Vegetarian' https://www.koreaher[...] 2024-07-10
[30] 뉴스 Daniel Hahn on the art of translation https://www.economis[...] 2024-07-10
[31] 웹사이트 Award-winning novel 'The Vegetarian' fraught with errors https://www.koreatim[...] 2024-07-10
[32] 웹사이트 https://www.therepor[...] 2024-07-10
[33] 뉴스 Now The Great Gatsby'…Translator Jeong-Seo Lee In Another Quarrel About Translation https://www.yna.co.k[...] 2017-04-05
[34] 웹사이트 http://www.ihalla.co[...] 2024-07-10
[35]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024-07-10
[36] 뉴스 'During Colonial Occupation, Translating and Introducing World Literature Was a Tool of Resistance' https://www.hani.co.[...] The Hankyoreh 2023-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