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중명은 일본 도쿄 출생의 재일 한국인 작가이자 번역가이다. 도쿄대학교, 오사카 외국어대학교를 중퇴하고 학원 강사, 번역 등의 활동을 하였으며, 1997년 소설 『산학무예첩』으로 아사히신인문학상을 수상했다. 역사 소설, 수학 관련 서적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 활동을 했으며, 한국 관련 서적 및 드라마, 영화 등을 일본어로 번역하는 활동도 활발히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번역가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대한민국의 번역가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소설가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소설가 - 백민석
백민석은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5년 "내가 사랑한 캔디"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잔혹하고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의 '기괴소설'을 통해 권력과 '정상성'에 대한 비판, 일상 속 공포를 탐구하는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목화밭 기이한 이야기》, 《죽은 올빼미를 위한 농장》 등이 있다. - 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김중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김중명 |
원어명 | 金重明 |
로마자 표기 | Gim Jung-myeong |
본명 | 김중명 |
출생일 | 1956년 |
국적 | 일본 |
직업 | 소설가, 번역가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소속 | 알 수 없음 |
종교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상훈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서명 | 알 수 없음 |
2. 약력
일본 도쿄도에서 태어났으나, 본적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이다.[2][1] 도쿄 대학과 오사카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조선어학과)를 중퇴하였다.[1][3] 이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재일교포로서 대학 졸업 후 좋은 직장을 얻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판단이 있었다고 술회했다.[3] 학원 강사와 번역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다가, 제주도 지방지인 제민일보의 일본판 편집장을 맡으면서 생활이 안정되었다고 한다.[3]
김중명은 주로 역사 소설과 수학 관련 대중서를 집필하는 작가로 활동했다. 그의 역사 소설은 장보고, 삼별초, 조선 왕조 등 한국사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많다. 대표작으로는 『장보고의 백성들』(원제: 皐の民), 『항몽의 오름 삼별초 탐라전기』(원제: 抗蒙の丘[4] 三別抄耽羅戦記), 『이야기로 보는 조선 왕조의 멸망』(원제: 物語 朝鮮王朝の滅亡) 등이 있다. 『장보고의 백성들』은 2006년 변성 출판(勉誠出版)에서 펴낸 《자이니치 문학전집》 제13권에 수록되기도 했다.
1997년에는 자신의 뿌리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한국 체류 중에 집필한 소설 算学武芸帖|산학무예첩일본어으로 아사히 신인 문학상을 수상했다.[1][3] 이후 장보고를 다룬 張保皐の百姓|장보고의 백성일본어 등 한국사를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재일교포 작가로서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3] 2006년에는 耽羅戦記三別抄|탐라전기 삼별초일본어로 역사 문학상을 수상했다.[1]
한국사 외에도 임진왜란을 그린 叛と義と|반역과 의리일본어,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난과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난을 다룬 巨海に出んと欲す|큰 바다로 나아가고자일본어, 구스노키 마사시게를 그린 悪党の戦|악당의 싸움일본어, 안도 지카스에를 주인공으로 한 北天の巨星|북쪽 하늘의 큰 별일본어 등 일본사를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도 다수 집필했다.
수학에도 깊은 관심을 보여, 13歳の娘に語るガロアの数学|열세 살 딸에게 가르치는 갈루아 이론일본어으로 2014년 일본 수학회 출판상을 수상했으며,[1] 13歳の娘に語るガウスの黄金定理|열세 살 딸에게 가르치는 가우스의 황금정리일본어, 보신전쟁을 수학적 관점에서 조명한 戊辰算学戦記|무진산학전기일본어 등 관련 서적을 출간했다.
번역 활동도 활발히 하여, 특히 제민일보가 펴낸 『4.3은 말한다』 1~4권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일본 사회와 재일동포 사회에 제주 4·3 사건의 진실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2] 또한, 일본 내 제주 출신 재일 인사들과 함께 '4.3사건을 생각하는 모임'을 결성하여 제주 4·3 사건의 진상 규명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2]
3. 저술 활동
수학 분야에서는 어려운 개념을 쉽게 풀어 설명하는 데 재능을 보였다. 특히 『열세 살 딸에게 가르치는 갈루아 이론』, 『열세 살 딸에게 가르치는 가우스의 황금 법칙』[5], 『열세 살 딸에게 가르치는 아르키메데스의 무한소』 등 '13세 딸에게 가르치는' 시리즈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 외에도 『산학무예장』, 『방정식의 갈루아군』 등 다수의 수학 관련 저서를 출간했다. 『열세 살 딸에게 가르치는 가우스의 황금 법칙』은 한국에서도 『수학왕 가우스의 황금정리』, 『천재 수학자 가우스가 들려주는 수학』 등의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다.[5]
3. 1. 역사 소설
wikitext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비고 |
---|---|---|---|
환상의 대국수 | 1990년 | 신간사 | |
산학 무예장 | 1997년 | 아사히 신문사 | |
무진 산학 전기 | 1999년 | 아사히 신문사 | |
미기와의 백성 | 2000년 | 고단샤 | |
거대한 바다로 나아가고자 함 | 2003년 | 고단샤 | |
김중명・김재남 | 2006년 | 변성 출판 | 〈재일〉문학 전집 제13권 |
항몽의 오름 삼별초 탐라 전기 | 2006년 | 신인물 왕래사 | |
반역과 의 | 2008년 | 신인물 왕래사 | |
악당의 싸움 | 2009년 | 고단샤 | |
산학 무예장 | 2010년 | 아사히 신문 출판 | 아사히 문고 지15-1 (문고판) |
북천의 거성 | 2010년 | 고단샤 |
3. 2. 수학 및 과학 서적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97년 | 산학 무예장 | 아사히 신문사 | ISBN 978-4-02-257186-1 |
1999년 | 무진 산학 전기 | 아사히 신문사 | ISBN 978-4-02-257395-7 |
2010년 | 산학 무예장 | 아사히 신문 출판 | 아사히 문고 지15-1, ISBN 978-4-02-264586-9 |
2011년 | 13세 딸에게 들려주는 갈루아의 수학 | 이와나미 서점 | ISBN 978-4-00-005211-5 |
2013년 | 13세 딸에게 들려주는 가우스의 황금 정리 | 이와나미 서점 | ISBN 978-4-00-005216-0 |
2014년 | 13세 딸에게 들려주는 아르키메데스의 무한소 | 이와나미 서점 | ISBN 978-4-00-005013-5 |
2015년 | 야지우마 입시 수학 문제에 숨겨진 맛의 포인트 | 고단샤 | 블루 백스 B-1913, ISBN 978-4-06-257913-1 |
2018년 | 방정식의 갈루아 군 심오한 해의 구조를 이해하다 | 고단샤 | 블루 백스 B-2046, ISBN 978-4-06-502046-3 |
2018년 | 갈루아의 논문을 읽어 보았다 | 이와나미 서점 | 이와나미 과학 라이브러리 277, ISBN 978-4-00-029677-9 |
2021년 | 세계는 "e"로 만들어졌다 오일러가 발견한 신출귀몰의 초월수 | 고단샤 | 블루 백스 B-2188, ISBN 978-4-06-526516-1 |
4. 번역
김중명은 한국의 문학, 역사, 사회, 정치,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저작물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일본 사회에 소개해왔다. 특히 제주 4·3 사건의 진상을 다룬 『제민일보』의 기록이나 엄상익 변호사가 기록한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재판 방청기, 박영규의 《한국 대통령 실록》 등을 번역하여, 일본 독자들이 한국 현대사와 사회의 중요한 단면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김민기의 음악 세계를 다룬 책이나, 쉬리, JSA 공동경비구역, 친구 등 한국 영화의 원작 소설 및 시나리오, 대장금, 동이, 기황후와 같은 인기 드라마의 소설판을 번역하여 한국 대중문화가 일본에 알려지는 데도 역할을 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문학 작품과 사회 비평 서적 등을 번역했으며, 구체적인 번역 목록은 아래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문학 작품 번역
김중명은 다수의 한국 관련 서적을 일본어로 번역하였다. 주요 번역 작품은 다음과 같다.연도 | 원작자/저자 | 작품명 (원제/번역명) | 출판사 | 비고 |
---|---|---|---|---|
1994 | 『제민일보』4・3 취재반 | 제주 4·3 사건 제1권 조선 해방에서 4·3 전야까지 | 신간사 | 문경수 공역 |
1995 | 『제민일보』4・3 취재반 | 제주 4·3 사건 제2권 4·3 봉기에서 단독 선거까지 | 신간사 | 박향구 공역 |
1996 | 『제민일보』4·3 취재반 | 제주 4·3 사건 제3권 유혈 참사로의 전초전 | 신간사 | |
1997 | 엄상익 | 피고인 각하 전두환・노태우 재판 방청기 | 분게이슌주 | |
1998 | 『제민일보』4・3 취재반 | 제주 4·3 사건 제4권 초토화 작전 상 | 신간사 | 문순실 공역 |
1998 | 모모세 가쿠 | 한국이 죽어도 일본을 따라잡을 수 없는 18가지 이유 | 분게이슌주 | 2001년 분슌문고 재발행 |
1999 | 강제규 (원작) 정석화 (노벨라이즈) | 쉬리 서울 잠입 폭파 명령 | 분슌문고 | |
1999 | 모모세 가쿠 | 역시 한국이 죽어도 일본을 따라잡을 수 없는 18가지 이유 | 분게이슌주 | |
2001 | 김민기 | 지하철 1호선 | 신간사 | |
2001 | 박상연 | JSA 공동경비구역 | 분슌문고 | |
2002 | 홍하상 | 머지않아 중국이 세계를 제패한다! | 고사이도 출판 | |
2002 | 곽경택 | 친구 | 분슌문고 | |
2004 | 이치선 | 지선, 사랑해. | 아스펙트 | |
2004 | 최호영 (각본) | 여름 향기 상/하 | 다케쇼보 | 김중명 노벨라이즈 편역 2006년 문고판(상/중/하) 발행 |
2004 | 박혜경 외 (각본) | 천국의 계단 상/하 | 카도카와 서점 | 김중명 노벨라이즈 편역 2005년 문고판(상/하) 발행 |
2005 | 김영현 (각본) 우현옥 (노벨라이즈) | 궁중 여관 장금의 맹세 | PHP연구소 | |
2005 | 김정현 | 아버지의 날들 | 소프트뱅크 문고 | |
2006 | 이치선 | 오늘도 행복합니다. | 아스펙트 | |
2011 | 김이영, 정재인 | 동이 | 키네마 준보사 | |
2012 | 김정민, 조정주 김욱, 이영영 | 공주의 남자 | 키네마 준보사 | |
2012 | 오수연 (원작) | 사랑비=LOVE RAIN 상/하 | 키네마 준보사 | 김중명 노벨라이즈 |
2015 | 박영규 | 한국 대통령 실록 | 키네마 준보사 | |
2015 | 장영철, 정경순 | 기황후 상/하 | 고단샤 | |
2020 | 조진호 | 만화로 배우는 중력 그래비티 익스프레스 | 마이내비 출판 | |
2020 | 조진호 | 만화로 배우는 게놈 게놈 익스프레스 | 마이내비 출판 | 김우제 감수 |
2020 | 정권우 (Jung Kweon Woo) | Kaggle 컴피티션 챌린지 북 | 마이내비 출판 |
4. 2. 역사 자료 번역
김중명은 한국의 역사,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일본어로 번역하거나 편역하여 일본에 소개하는 활동을 하였다.특히 제주 4·3 사건의 진상을 알리는 데 기여했는데, 『제민일보』 4·3 취재반이 집필한 《제주 4·3 사건》 시리즈(총 4권)의 번역에 참여했다. 1994년 문경수와 함께 제1권 「조선 해방에서 4·3 전야까지」를 공역한 것을 시작으로, 1995년 박향구와 제2권 「4·3 봉기에서 단독 선거까지」를 공역했고, 1996년에는 제3권 「유혈 참사로의 전초전」을 단독으로 번역했다. 1998년에는 문순실과 함께 제4권 「초토화 작전 상」을 공역하여 시리즈 번역을 마무리했다. 이는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비극을 일본 사회에 알리는 의미 있는 작업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엄상익 변호사가 기록한 《피고인 각하 전두환・노태우 재판 방청기》(1997)와 박영규의 《한국 대통령 실록》(2015) 등을 번역하여 한국 현대 정치사의 단면을 일본 독자들에게 소개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문학, 드라마 노벨라이즈, 사회 비평, 과학 교양 서적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관련 서적을 번역하거나 편역했으며, 주요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원저자/각본 | 제목 | 역할 | 출판사 | 각주 |
---|---|---|---|---|---|
1994 | 『제민일보』4・3 취재반 | 제주 4·3 사건 제1권 조선 해방에서 4·3 전야까지 | 공역 (with 문경수) | 신간사 | |
1995 | 『제민일보』4・3 취재반 | 제주 4·3 사건 제2권 4·3 봉기에서 단독 선거까지 | 공역 (with 박향구) | 신간사 | |
1996 | 『제민일보』4・3 취재반 | 제주 4·3 사건 제3권 유혈 참사로의 전초전 | 번역 | 신간사 | |
1997 | 엄상익 | 피고인 각하 전두환・노태우 재판 방청기 | 번역 | 분게이슌주 | |
1998 | 『제민일보』4・3 취재반 | 제주 4·3 사건 제4권 초토화 작전 상 | 공역 (with 문순실) | 신간사 | |
1998 | 모모세 가쿠 | 한국이 죽어도 일본을 따라잡을 수 없는 18가지 이유 | 번역 | 분게이슌주 | |
1999 | 강제규 (원작), 정석화 (노벨라이즈) | 쉬리 서울 잠입 폭파 명령 | 번역 | 분게이슌주 (분슌문고) | |
1999 | 모모세 가쿠 | 역시 한국이 죽어도 일본을 따라잡을 수 없는 18가지 이유 | 번역 | 분게이슌주 | |
2001 | 김민기 | 지하철 1호선 | 번역 | 신간사 | |
2001 | 박상연 | JSA 공동경비구역 | 번역 | 분게이슌주 (분슌문고) | |
2002 | 홍하상 | 머지않아 중국이 세계를 제패한다! 중국 주식을 움직이는 10대 기업의 야망과 전략 | 번역 | 고사이도 출판 | |
2002 | 곽경택 | 친구 | 번역 | 분게이슌주 (분슌문고) | |
2004 | 이지선 | 지선, 사랑해. | 번역 | 아스펙트 | |
2004 | 최호영 (각본) | 여름향기 (상) | 편역 | 다케쇼보 | |
2004 | 최호영 (각본) | 여름향기 (하) | 편역 | 다케쇼보 | |
2004 | 박혜경 외 (각본) | 천국의 계단 (상) | 편역 | 카도카와 서점 | |
2004 | 박혜경 외 (각본) | 천국의 계단 (하) | 편역 | 카도카와 서점 | |
2005 | 김영현 (각본), 우현옥 (노벨라이즈) | 궁중 여관 장금의 맹세 | 번역 | PHP연구소 | |
2005 | 김정현 | 아버지의 날들 | 번역 | SB크리에이티브 (소프트뱅크 문고) | |
2006 | 이지선 | 오늘도 행복합니다. | 번역 | 아스펙트 | |
2011 | 김이영, 정재인 | 동이 | 번역 | 키네마 준보사 | |
2012 | 김정민, 조정주, 김욱, 이영영 | 공주의 남자 | 번역 | 키네마 준보사 | |
2012 | 오수연 (원작) | 사랑비 (상) | 편역 | 키네마 준보사 | |
2012 | 오수연 (원작) | 사랑비 (하) | 편역 | 키네마 준보사 | |
2015 | 박영규 | 한국 대통령 실록 | 번역 | 키네마 준보사 | |
2015 | 장영철, 정경순 | 기황후 (상) | 번역 | 고단샤 | |
2015 | 장영철, 정경순 | 기황후 (하) | 번역 | 고단샤 | |
2020 | 조진호 | 만화로 배우는 중력 그래비티 익스프레스 | 번역 | 마이내비 출판 | |
2020 | 조진호 | 만화로 배우는 게놈 게놈 익스프레스 | 번역 | 마이내비 출판 | |
2020 | Jung Kweon Woo | Kaggle 컴피티션 챌린지 북 파이썬에 의한 기계 학습 실전 분석 | 번역 | 마이내비 출판 |
참조
[1]
웹사이트
金 重明 CHUNG-MYONG KIM {{!}} ブルーバックス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3-02-21
[2]
뉴스
제주출신 재일 김중명씨 '역사문학상' 수상
http://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05-12-10
[3]
뉴스
「올 아사히신문 신인문학상 김중명씨」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1997-05-16
[4]
문서
일본어 원제에서는 언덕을 뜻하는 丘라는 한자에 제주 사투리인 [[오름]]을 일본어 [[가타가나]]로 オルム으로 병기해 두었다.
[5]
웹사이트
교보문고
https://search.kyob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