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장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장금'은 이영애가 주연을 맡아, 폐비 윤씨 사건으로 부모를 잃고 궁녀가 되어 중종의 주치의가 되는 서장금의 성공과 사랑을 그린 드라마다. 조선 성종, 연산군, 중종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장금의 성장 과정과 함께 조선의 궁중 문화, 음식, 의술 등을 보여준다. 드라마는 장금의 헌신과 인내를 통해 왕실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그리며, 역사적 사실과 픽션이 혼합된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대장금'은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어 한류 열풍을 이끌었고, 드라마 테마파크, 뮤지컬,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속편 제작 계획도 발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금을 소재로 한 작품 - 장금이의 꿈
    장금이의 꿈은 드라마 대장금을 각색하여 어린 서장금이 궁궐 요리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MBC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최상궁의 음모에 맞서는 이야기와 함께 한국방송대상 애니메이션부문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조선의 궁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대명 (드라마)
    대명은 효종 시대의 조선을 배경으로 민족의 긍지를 되살리고자 기획된 드라마로, 효종의 지도력과 국력 신장 정책, 그리고 조선 왕족, 문무백관, 청나라와 명나라 인물들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 조선의 궁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공주의 남자
    2011년 KBS 2TV에서 방영된 드라마 '공주의 남자'는 조선 세조 시대 계유정난을 배경으로 수양대군의 딸 이세령과 김종서의 아들 김승유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이다.
  • 김영현 시나리오 작품 - 아라문의 검
    아라문의 검은 아스에서 타곤, 태알하, 은섬, 탄야의 운명적인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스튜디오드래곤과 KPJ가 제작하고 김영현, 박상연 작가, 김광식 연출, 장동건, 이준기, 신세경, 김옥빈 등이 출연하여 아스달 세력과 아고 연합, 뇌안탈 간의 갈등과 서사를 다룬다.
  • 김영현 시나리오 작품 - 신화 (2001년 드라마)
    《신화》는 2001년 방영된 대한민국의 드라마로, 이레 전자 산업 대표 정문식의 성공 신화를 모티브로 김지수, 김태우, 박정철 등이 출연했다.
대장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보 포스터
홍보 포스터
로마자 표기Dae Jang-geum
장르역사 의학
방송 시간60분
작가김영현
감독이병훈
출연이영애
지진희
홍리나
임호
책임 프로듀서조중현
오프닝 테마창룡
엔딩 테마오나라
방송 네트워크문화방송
에피소드 수54
제작사문화방송 자체 제작
해외 정보
한국어 제목궁정여관 차은금의 맹세 (대장금)
영어 제목Dae Jang Geum
일본어 제목宮廷女官チャングムの誓い (궁정여관 챠은구무노 치카이)
방송 국가





기타 정보
관련 정보장금 (실존 인물)
후속작의녀 대장금(2025년 초 방영 예정)

2. 줄거리

서장금(이영애 분)은 폐비 윤씨 사사 사건에 연루되어 부모를 잃고 수라간 궁녀로 입궐하여 중종의 주치의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겪는다. 이 과정에서 장금의 성공과 사랑 이야기가 펼쳐진다. 드라마는 성종(1457~1494), 연산군(1494~1506), 중종(1506~1544) 재위 기간의 조선을 배경으로 하며, 에필로그는 인종(1544~1545)과 명종(1545~1567) 재위 기간까지 이어진다. 마지막 장면은 1550년 3월이다.

이야기는 성종이 왕세자의 어머니인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내리면서 시작된다. 사약 집행 후, 왕실 호위 무사 서천수는 괴로움에 휩싸인다. 집으로 돌아가던 중 사고를 당하고 신비로운 은둔자에게 구조되는데, 은둔자는 서천수의 삶이 세 여자를 중심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수수께끼 같은 메시지를 전한다. 첫 번째 여자는 이미 만났지만 그가 죽였고, 두 번째 여자는 구하지만 그 때문에 죽을 것이며, 세 번째 여자는 그를 죽이지만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이 세 여자가 사약을 받은 폐비 윤씨, 박명의(서천수의 아내), 장금(서천수의 딸)이라는 사실은 이야기 후반부에 가서야 명확해진다. 서천수는 폐비 윤씨의 저주와 세 번째 여자의 손에 죽을 것이라는 예언에 시달려 직책을 버리고 은둔자가 되어 아내를 맞이하는 것을 거부한다. 몇 년 후, 전 왕이 죽고 왕세자가 왕위에 오른다.

박명이는 궁녀이자 왕실 주방의 견습 요리사이다. 그녀는 최성금이라는 동료 견습생이 대비마마의 음식에 독을 넣는 것을 목격한다. 명의는 선임 주방 관리들이 대비에 대한 음모의 일부라는 것을 알지 못한 채 이 사실을 알린다. 관리들은 명의가 음모를 폭로할까 두려워 명의가 왕실 호위 무사와 간통을 저질렀다는 누명을 씌워 독살하려 한다. 명의의 절친 한백영은 비밀리에 해독제로 독을 희석하여 명의를 구하고, 의식을 잃은 명의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설명하는 편지를 남긴다. 숲을 헤매던 서천수는 의식을 잃어가는 명의를 발견하고 구출한다. 두 사람은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하층 계급 평민으로 한적한 마을에서 평화롭게 살아가며 서장금이라는 총명한 딸을 낳아 기른다.

장금이 여덟 살이 되자, 연산군은 어머니의 죽음에 대해 알게 되고 복수를 맹세하며 이전에 관련된 사람들을 찾아 죽인다. 여기에는 신분을 숨기고 있던 장금의 아버지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 사건으로 인해 장금은 우연히 아버지를 체포하게 만든다. 어머니는 남편을 만나기 위해 한양으로 급히 가던 길에 최씨 가문에 발각되어 화살에 맞아 죽는다. 고아가 된 장금은 술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강덕구와 나주댁에게 입양된다. 2년 후, 장금은 중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궁궐에 들어간다. 그녀는 어머니가 썼던 편지를 찾기 위해 중전의 수랏간에 들어가기로 결심한다. 이 과정에서 한백영을 만나 모녀의 연을 맺는다. 우의정 오겸호(최씨 가문의 왕실 내 협력자)는 한백영과 장금을 조광조와 연계된 역적으로 몰아간다. 장금을 구하기 위해 한백영은 자신이 반역죄를 저질렀다고 선언한다. 둘은 유죄 판결을 받고 제주도로 보내져 관노 생활을 하게 된다. 제주도로 가는 길에 한백영은 부상으로 사망한다. 최씨 가문은 수랏간 최고 상궁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장금은 복수를 맹세한다. 장금을 사랑하는 정민호는 제주도로 따라가 탈출을 돕지만, 장금은 한백영의 누명을 벗기고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궁궐로 돌아갈 수 없다는 이유로 거절한다. 정민호는 그녀를 기다리며 제주도에 머물면서 돕겠다고 선언한다.

그곳에서 장금은 유명한 여의 장덕을 만난다. 장덕의 무뚝뚝하고 솔직한 태도는 처음에는 장금을 불쾌하게 만들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금은 그녀가 헌신적이고 배려심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장금은 궁궐로 돌아가는 유일한 방법은 의녀가 되는 것임을 깨닫고 장덕에게 의술을 가르쳐 달라고 간청한다. 장금의 친구 정운백은 괴짜 왕실 의사로, 복수를 위해 의술을 배우려는 결정에 반대하지만 장금은 굴하지 않고 궁궐에서 의녀 훈련생 자격을 얻는다. 여기서 이전 친구 최금영을 만나는데, 최금영은 수랏간 최고 상궁으로 승진했고 냉혹한 야심가 최씨는 궁궐에서 일하는 모든 여성을 관리한다. 장금의 어린 시절 단짝 친구 이연생은 왕의 눈에 띄어 후궁이 되었다. 장금은 궁궐에서 많은 시련을 겪지만, 훌륭한 업적을 달성한다.

장금의 지위가 높아지면서 최씨 가문을 조사하는 여러 사건이 발생하고, 결국 최씨, 그녀의 오빠, 영의정을 포함한 여러 고위 관리의 기소가 이어진다. 모두 도망치려 하지만 최씨만이 간신히 포졸들의 눈을 피한다. 장금은 그녀를 찾아가, 도망치는 동안 조카 금영을 당국에 희생시킬 의향이 있는지 묻는다. 오래전에 최씨 가문을 위해 윤리 의식을 버린 최씨는 대답할 수 없다. 자기 보존과 죄책감 사이에서 갈등하며 시골을 헤매다 환각을 보고 동인산 절벽에서 떨어져 죽는다. 최금영은 직위를 잃고 다른 관리들과 함께 유배된다.

장금은 헌신, 인내, 의술을 통해 왕실을 반복되는 불운으로부터 구한다. 사산된 아이를 낳은 후, 문정왕후는 병에 걸린다. 장금은 자궁에 있는 두 번째 사산 태아를 정확히 식별하고 생명을 구한다. 사형을 감수하고 대비마마에게 치료를 받도록 설득하고, 경원대군의 천연두를 치료하여 왕후의 영원한 감사를 받는다.

장금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중종은 장금을 6품 벼슬에 임명하고 자신의 주치의로 임명하는데, 이는 그러한 직책을 맡는 최초의 여성이다. 조정은 발칵 뒤집히고, 국무회의는 이 임명이 국가 헌법을 위반한다는 이유로 만장일치로 반대한다. 대비마마는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 스스로를 깎아내리고, 왕은 결정을 철회한다. 대비마마는 왕에게 장금을 후궁으로 삼으라고 촉구한다. 왕은 장금을 사랑했지만, 의사에 반하여 후궁으로 삼는 것을 삼간다. 장금은 천연두 유행을 억제하고, 왕은 마침내 그녀를 자신의 주치의로 선포한다. 그녀는 "대"(The Great)라는 존칭과 3품 벼슬을 받는다. 조정의 대신과 학자들은 칙령을 씁쓸하게 받아들이지만, 장금의 임명을 지지한 정민호에 대한 처벌을 요구한다. 연인들을 갈라놓을 기회를 본 왕은 동의하고 정민호는 유배형을 선고받는다.

결국 왕의 이전 건강 상태가 다시 나타난다. 장금은 당시 사용 가능한 모든 의료 장비와 지식을 사용하여 치료하려 한다. 다른 의사들이 조언하지만, 아무것도 효과가 없다. 왕은 죽어가고, 장금은 마지막 선택으로 마취수술을 사용하는 실험적인 기술에 의존한다. 그러나 왕의 몸은 신성하게 여겨지고 조정은 이 새로운 절차에 만장일치로 반대하며, 왕은 수술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장금이 자신의 죽음 이후 위험에 처할 것을 알고, 왕은 그녀에게 정민호와 함께 도망갈 수 있도록 허락한다. 두 사람은 도망자로 살아가며 딸 소훈을 낳는다.

8년 후, 중종은 죽고 경원대군이 왕위에 올랐으며, 어머니 문정왕후는 대비마마이자 섭정으로서 막대한 권력을 휘두른다. 그녀는 장금이 아직 이 나라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장금과 정민호를 궁궐로 불러들여 이전 직책을 회복시킨다. 장금과 정민호는 기쁘게 돌아오지만, 가족을 위해 궁궐 밖에서 살기로 결정한다. 장금은 멀리서 친구들을 보기 전에 궁궐을 떠난다. 이전 일상으로 돌아가자, 장금은 임산부를 만나 성공적으로 수술 기술을 사용하여 제왕 절개로 아기를 낳는다. 장금이 성공을 축하하는 동안, 정민호는 한국의 억압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야심을 가진 여성을 수용할 수 없는 현실을 슬퍼한다.

3. 제작과 캐스팅

서장금 역은 당초 송윤아, 장진영 등이 거론되었으나 개인 사정을 이유로 출연을 거부하여 이영애가 우여곡절 끝에 낙점됐다.[54]

최금영 역은 당초 강성연이 낙점됐으나 KBS 월화 미니시리즈 《그녀는 짱》에 캐스팅되면서 고사했으며[55] 이 때문에 강성연은 MBC 측으로부터 항의를 받았다. 정선경에게도 제안이 갔지만 정선경 역시 MBC 《귀여운 여인》 캐스팅으로 거절했다.[56]

최상궁 역의 견미리는 당초 한상궁 역이었으나 최상궁 역으로 낙점됐던 송채환이 개인 사정으로 인해 드라마에서 하차하자 양미경이 한상궁 역 대타로 들어갔고 견미리는 최상궁 역이 됐다.[57]

4. 등장인물

다음은 드라마 대장금의 등장인물 목록이다.

배역이름역할 및 설명
박찬환서천수장금의 아버지. 전직 내금위 무관.
김혜선박명장금의 어머니. 전직 주방 상궁으로 한 상궁의 절친이었으나, 최 상궁에게 모함을 당한다.
임현식강덕구장금의 양아버지이자 궁궐 요리사. 덕구의 아내는 나주댁이다.
금보라나주댁덕구의 아내이자 장금의 양어머니. 덕구와 함께 술을 팔아 생계를 유지한다.
박은혜이연생중종의 후궁. 장금과 한 상궁을 그리워하며 임금의 강아지와 놀다 임금의 관심을 받았다. 공주를 임신하여 후궁이 되었다.
이잎새윤영로윤막개의 조카이자 최씨 가문에 충실한 인물. 최 상궁의 심복이다.
김소이민귀열장이의 스승이자 서장금과 이연생의 두 번째 스승. 이연생이 임금의 아이를 임신한 것을 알고 숙원 이씨의 상궁이 되었다.
여운계정말금연생의 스승이자 소주방 출신으로 어머니 같은 인물. 노래와 이야기를 좋아하며 실력주의를 굳게 믿고 연줄과 서열주의에 반대했다.
박정수박용신전 주방 최고 상궁이자 박열이의 양어머니. 최 상궁에게 누명을 쓰고 궁에서 쫓겨났다.
최자혜장이장금과 연생의 친구로 먹는 것을 좋아한다. 연생이 임금의 아이를 임신했을 때 연생의 주방 상궁이 되었다.
조경환오겸호좌의정으로, 궁궐에서 최씨 가문의 동맹.[1]
이희도최판술최 상궁의 오라버니이자 금영의 삼촌. 상인이다.
나성균윤막개영로의 삼촌이자 궁궐 호위 무관. 최씨, 오겸호와 자주 만나는 기생집을 소유하고 있으며 최씨 가문에 충실하지만, 오겸호에게 더 충성한다.
이혜상조방질투심 많고 심술궂은 주방 상궁. 금영을 질투했다.
신국장번내시내시 수장. 주방 최고 상궁 정씨의 동맹이자 내시부 소속. 한 상궁과 장금의 동맹이지만, 장금이 임금의 의무 기록을 훔쳤다는 사실이 최 상궁에게 발각되면서 임금에 대한 충성이 시험받는다.
전인택정윤수임금의 주치의. 임금 병의 원인을 알지 못해 자리에서 물러났다. 최씨와 좌의정이 유황 오리 사건에 연루된 것을 알고 있어 목숨이 위태롭다.[1]
맹상훈정운백내의원 의관 겸 감찰관. 처음에는 장금을 싫어했지만, 장덕이 종양을 치료한 후 왕비의 의관으로 궁궐로 돌아왔다.[1]
김여진장덕제주 출신의 의녀이자 장금의 의학 스승.
한지민신비장금의 친구. 장금과 함께 내의원에 들어갔다. 왕세자와 숙원 이씨의 궁궐 간호사였으며, 박열이가 숙원 이씨를 잘못 진단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
이세은박열이최씨 가문에게 장금을 죽여 신뢰를 얻겠다고 자청한 궁궐 간호사. 전 주방 최고 상궁 박용신의 양딸임이 밝혀졌다.[1]
이승아은비임금의 약을 담당하던 궁궐 간호사. 자순대비의 의녀로 임명되었다.[1]
박은수신익필장금과 신비의 훈련 교관. 대비마마의 의관이 되었지만, 과거 환자가 사망한 일 때문에 처음에는 그녀를 믿지 않았다. 정윤수가 물러난 후 임금의 의관으로 승진했다.[1]
염홍비선궁궐 의녀 규율 담당자이자 의녀 부장 보좌관.[1]
이 교수장금과 신비의 또 다른 훈련 교관. 자순대비의 친척.[1]


4. 1. 주요 인물


: 총명하고 아름다우며 내성적인 성격으로, 타인에 대한 연민과 열정으로 돋보이는 여성이다. 정치적 학살로 부모를 잃은 후, 특히 궁궐에서 많은 고난과 역경을 겪지만 강한 의지와 끈기로 이를 극복해나간다. 강한 의지를 가진 장금은 어떤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 뛰어난 의술과 지식, 그리고 오직 치유만을 위해 자신의 지식을 사용하는 굳건한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왕의 주치의가 된 최초의 여성 의원이 되었고, "대(大)" 장금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3품 벼슬에 오른다. 이는 조선 시대 여성에게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다.
: 교양 있고 매우 총명하며 잘생긴 남자로, 학문과 무술을 겸비한 뛰어난 선비이다. 한성부의 판관으로, 장금이 그가 누구인지 모른 채 그를 구해준다. 이후 장금이 그에게 책을 빌리러 가면서 다시 만나게 된다. 그는 ''내금위'' (왕실 군사 경호대)의 정식 관료인 ''종사관''으로 옮겨가면서 그들은 로맨틱한 관계로 발전한다.

  • 홍리나 - 최금영 역
  • * 이세영 - 어린 최금영 역

: 야심차고 오만한 최금영은 장금의 평생의 라이벌이 되는, 영향력 있는 최 씨 부인의 조카로서 궁궐 생활을 시작한다. 최 씨 가문의 일원임에도 불구하고, 최 씨 가문의 방식에 동의하지 못하고 독립적인 정체성을 찾지 못하며 자신만의 길을 찾고자 갈망한다. 그녀의 지성과 재능은 종종 장금과 경쟁하게 한다. 결국 최 씨 부인의 영향력과 민정호에 대한 짝사랑은 그녀가 최 씨 가문의 방식을 따르도록 만든다.
: 조선의 11대 왕. 즉위 전에는 진성대군으로 불렸다. 다양한 질병으로 고통을 받았지만, 장금에 의해 처음으로 치료를 받았다. 그의 질병이 재발했을 때, 장금은 새로 발견한 방법인 마취수술을 사용하려 했지만, 왕의 몸은 수술에 신성하다고 여겨 거절당했다. 대신 그는 장금과 민정호를 탈출하도록 돕는다.
: 왕실 주방 (''수라간'')에서 일하는 상궁 중 한 명으로, 요리 예술에 재능이 있으며 음식 재료의 출처를 식별할 수 있다. 장금의 어머니의 절친으로, 친구를 구하지 못했던 것을 종종 그리워하고 후회한다. 목적에서 흔들리지 않는 엄격하고 굳건한 사람이다. 완고한 성격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마음이 따뜻하다. 장금의 존재는 그녀가 마음을 열게 해주고, 그녀를 엄격한 스승이자 다정한 어머니로 대한다. 정 상궁이 병으로 죽은 후, 연생에게 두 번째 어머니가 되었다.
: 최판술의 여동생이자 금영의 이모. 가문의 서열과 혈통에 따라 ''수라간'' 최고 상궁 자리를 계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릴 때부터 음식의 섬세함에 대해 배우고 가르침을 받았다. 오만하고 자존심이 강하며,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맹렬한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얻기 전까지는 멈추지 않는다. 날카로운 정신과 빠른 행동력으로, 장금과 한 상궁을 함정에 빠뜨리는 계획보다 항상 한 발 앞선다. 장금, 장금의 어머니, 한 상궁에게 친절하지 않았다. 박용신 상궁이 사적인 파티를 열었다고 모함하여 자신이 최고 상궁이 되도록 하고, 금영이 주방 최고 상궁이 되도록 만들었다.

주요 등장인물 장금과 민정호의 입간판

4. 2. 왕실 사람들

4. 3. 궁인들


  • 박정수: 박용신(朴容信) 역 - 제조상궁
  • 이숙: 부제조상궁 역
  • 최은숙: 최마리(최성금의 고모) 역 - 수라간 최고상궁
  • (고)여운계: 정말금(丁末今, 정상궁) 역 - 장고 상궁 → 수라간 최고상궁
  • 양미경: 한백영(韓白榮, 한상궁) 역 - 수라간 상궁 → 수라간 최고상궁
  • 견미리: 최성금(崔成今, 최상궁, 아역: 김지선) 역 - 수라간 상궁 → 수라간 최고상궁 → 제조상궁
  • 김소이: 민귀열(민상궁) 역 - 수라간 나인 → 수라간 상궁 → 대전 지밀 복이상궁 → 숙원전 지밀 상궁 → 수라간 최고상궁
  • 최자혜: 노창이 역 (아역: 주다영) - 수라간 나인 → 대전 지밀 복이궁녀 → 숙원전 지밀 나인 → 수라간 상궁
  • 이잎새: 윤영로 역 (아역: 김한비) - 수라간 나인 → 제조상궁의 수발상궁
  • 백현숙: 인동 역 - 대전 지밀 상궁
  • 이혜상: 조방 역 (아역: 김소영) - 수라간 나인
  • 김정하: 생각시 전각 훈육 상궁 역
  • 이미숙: 훈육 상궁 역
  • 이영자: 소주방 상궁 역
  • 고용화: 소주방 상궁 역
  • 김진양: 소주방 상궁 역
  • 변은영: 대비전 소주방 상궁 역
  • 차주옥: 동궁전 소주방 상궁 역
  • 한보배: 생각시 채련 역
  • 정인선: 생각시 분이 역
  • 김소원: 노상궁 역
  • 손영순: 중전의 보모상궁 역
  • (이은주): 침방 생각시 역

4. 4. 내의원 사람들


  • 한지민 : 신비(信非) 역. 장금과 함께 내의원에 들어간 동기이다. 의녀로서 재능은 장금보다 부족하지만, 신중하고 성실하게 환자를 대하는 태도로 장금도 신비를 존경한다. 내의원에서 장금의 좋은 이해자이자 동료이다.[1]
  • 이세은 : 박열이(朴烈伊) 역. 어릴 적 부모를 잃고 박용신에게 은혜를 입었다. 박용신의 신분 회복을 위해 최 씨 일가를 몰락시키려 아군을 가장하여 접근하지만, 최 씨 일가에 포섭된다. 의술 실력은 확실하지만, 장금에게 망신을 당해 적대시한다. 최 씨 일가의 신뢰를 얻기 위해 장금을 함정에 빠뜨리려 한다.[1]
  • 전인택 : 정윤수(鄭潤壽) 역. 내의원 주부에서 내의정(정3품)으로 승진한다. 최 씨 일가와 결탁하여 장금을 함정에 빠뜨리지만, 의사로서 양심에 괴로워한다. 여러 사건의 전모를 알고 있어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পরে 면직 처분을 받는다.[1]
  • 박은수 : 신익필(申益弼) 역. 장금과 신비의 훈련 교관으로, 장금이 더 나은 의녀가 되기를 바라 엄격하게 대한다. 처음에는 자순대비의 신뢰를 얻지 못했지만, 정윤수가 물러난 후 임금의 의관으로 승진한다.[1]
  • 맹상훈 : 정운백(鄭雲白) 역. 내의원 주부에서 내의원 판관(종5품)으로 승진. 처음에는 자포자기한 모습이었으나, 장금과 만나 운명이 바뀐다. 장금의 미각 회복을 돕고, 제주도에서 재회하여 의학에 대한 장금의 복수심을 알게 된다.[1]
  • 지상렬 : 조치복(趙治福) 역. 내의원 봉사(종8품). 양반 출신 의사로, 처음에는 장금을 얕잡아보지만, 호감을 느껴 감싸준다. 실없는 사람으로 자신의 실력을 알고 있다.[1]
  • 김민희 : 비선(非先) 역. 내의원 내의녀(훈육 의녀). 은비와 함께 장금에게 냉정한 태도를 보이지만, 최종회에서 화해한다.[1]
  • 이승아 : 의녀 은비(銀非) 역. 장금을 질투하며 냉정하게 대하지만, 최종회에서 화해하고 함께 정진할 것을 맹세한다.[1]
  • 전혜수 : 의녀 초복(草福) 역. 장금과 동기. 혜민서에서 내의원으로 이동 후에도 남는다. 조금 수다스러운 의녀.[1]
  • 강정화 : 의녀 조동(調同) 역. 장금과 동기. 혜민서에서 내의원으로 이동 후에도 남는다. 쾌활하고 씩씩하며, 실없는 사람.[1]
  • 김도연 : 의녀 시연 역. 장금이 미각을 잃었을 때 상담해 준 의녀.[1]

4. 5. 조정 사람들

4. 6. 그 외 인물


  • 김혜선: 박명이(朴明伊) 역 - 과거 수라간 박 나인, 장금의 어머니 (특별출연)
  • 박찬환: 서천수(徐天壽) 역 - 과거 내금위 군관, 장금의 아버지 (특별출연)
  • 임현식: 강덕구(姜德九) 역 - 대령숙수
  • 금보라: 나주댁(덕구의 아내) 역
  • 김여진: 의녀 장덕(長德/張德) 역
  • 이희도: 최판술(崔判述) 역
  • 차윤회: 최판술의 집사 역
  • 서범식: 필두 역 - 최판술의 호위무사. 사헌부에서 최판술을 검거하기 직전에 무술로써 사헌부 무관들을 물리쳐 시간을 벌어주었다.
  • 이장훈: 최판술 댁 이행수 역
  • 신국: 내시부 상온 → 내시부 상선 역
  • 이경원: 감찰내관 역
  • 김광규: 대전내관 역
  • 나성균: 윤막개(尹莫介) 역 - 대전별감
  • 노윤: 홍이 역 - 수라간 무수리
  • 이창환: 박원종
  • 홍민우: 성희안
  • 윤갑수: 오리장수 역
  • 황일청: 옹기 굽는 노인 역
  • 문회원: 제주목사 역
  • 이혜근: 제주목 관비 역
  • 박형선: 제주목 관비 역
  • 정지순: 제주목 관노 역
  • 이상철: 제주목 군관 구만 역
  • 신종훈: 내금위 종사부관 역
  • 오협: 내금위 종사부관 역
  • 이필모: 역관지역 군관 역
  • 김현희: 선돌 역
  • 이도련: 주우빈 역 - 조선에 사신으로 온 명나라 성화제의 아들 익왕
  • 장하린: 민소헌 역 - 서장금과 민정호의 딸
  • 전익령: 일본인 자객 역
  • 조명남: 전 호조판서 역
  • 김학준: 전 호조판서 댁 도련님 역
  • 서진원: 소 마사모리 역 - 대마도 도주 부장
  • 최진호: 소 요시모리 역 - 대마도 도주
  • 조동희: 절에 기거하여 음식을 만드는 역
  • 이병준: 성난 주민 역
  • 변신호: 주민 역
  • 김광규: 대전 내관 역
  • 권소현
  • 박우열: 관원 역
  • 김희라
  • 최성웅: 생선장수 역

5. OST

오나라한국어임세현이 작곡하고 김지현, 백보현, 김슬기가 부른 곡으로, 드라마 대장금의 주제곡이다. 이 곡은 고대 한국어로 되어 있어 가사와 해석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4]

오나라한국어판소리 양식으로, 조선 시대에 등장하여 19세기에 매우 인기를 누렸던 한국 음악의 한 유형이다. 한 명의 소리꾼과 한 명의 고수가 테마가 있는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보컬을 사용한다. 후렴구("He-iya di-iya he-iya naranino")는 ''추임새''라고 불리며, 전통적인 판소리에서 고수가 노래에 리듬을 더하고 박자를 맞추기 위해 제공한다. ''추임새''는 무의미한 모음 소리나 격려의 짧은 단어로 구성된다. ''추임새''는 재즈스캣 창법과 유사하며, 영어 노래의 "La, la, la," 또는 "Shoop, shoop ba doop"과 같은 넌센스 음절을 사용한다.

각 회의 마지막 부분에는 당시 한국 고전 음악을 배우던 초등학생인 김지현, 백보현, 김슬기 등 세 명의 한국 어린이들이 부른 "오나라"가 삽입되었다. 또한, 《대장금》 사운드트랙 앨범에는 서울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한 한국 전통 음악 가수인 이안(본명: 이동희)이 부른 느린 버전의 곡도 수록되었다.

"대장금"은 한국 외 지역에서 방영될 당시 여러 다른 버전의 주제가를 사용했다.

국가/지역언어제목가수
홍콩광동어희망(Hèimohng)켈리 첸
대만표준 중국어아기(Wáwá)장샤오한
중국표준 중국어호환(Hūhuàn)탕찬
중국표준 중국어희망(Xīwàng)슈퍼 걸 노래 경연대회 우승자 5명
필리핀타갈로그어Pangarap na BituinFaith Cuneta
필리핀타갈로그어AlipinShamrock
필리핀타갈로그어Alipin (재방송)레진 벨라스케스
스리랑카싱할라어Gaha kola mal gal gesee bala sitinawa앤젤린 구나틸라케
스리랑카타밀어Maramilay pukkal urindu parkinrana불명, 라반 연주



대장금 OST (한국판)에는 전 17곡이 수록되었으며, 트랙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고원

# 창룡[5]

# 하망연 (何茫然) - feat. 사피나(Alessandro Safina)

# 오나라 II

# 0815 (공팔일오)

# 연밥

# 덕구

# 하망연 - feat. 사피나(Alessandro Safina)

# APNA

# 다솜

# 비 (悲)

# 단가 (短歌)

# 연도 (烟濤)

# 오나라 I

# The Legend Becomes History

# 자야오가 (子夜吳歌) Techno Ver.

# 하망연 (何茫然) - Instrumental

일본판에는 "오나라"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어 전 18곡이 수록되었으며, 발매원은 포니캐년이다.

6. 연장 및 결방

당초 5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방송 시작 후 연일 5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는 등 높은 인기를 얻었다. 특히 한상궁(한백영, 한백영한국어, 韓愛鐘(한애종한국어)) 역의 양미경에 대한 시청자들의 호응이 컸다. 이에 수라간 시대를 당초 17~20화 예정에서 10화 정도 연장하였고, 전체 이야기 전개도 조정되어 총 54부작으로 연장되었다.[58] 이는 후속작인 <불새>의 캐스팅 문제를 고려한 것이었다.[59][60]

다음은 결방 내역이다.

7. 수상 경력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
2003년MBC 연기대상대상이영애
특별상임현식
특별상양미경
작가상김영현
2004년백상예술대상TV 부문 여자 인기상양미경
TV 부문 연출상이병훈
남녀평등방송상대상
한국방송대상TV 드라마 부문 최우수작품상


8. 역사적 사실과 오류

조선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 독살에 관여한 혐의로 처형된 군관 서천수와 궁녀 박명이는 딸 '''서장금'''을 낳는다. 서장금은 어머니의 유언을 이루기 위해 궁녀가 되지만, 모반에 연루되었다는 무고한 죄를 뒤집어쓰고 노비 신분으로 전락한다. 이후 의녀가 되어 궁궐에 복귀하고, 중종의 주치의가 되어 '''"대장금"''' 칭호를 받는다.

"슬퍼해서는 안 돼, 울어도 안 돼, 쉽게 포기해서도 안 돼"라는 어머니의 가르침을 평생 지키며, 한상궁에게 수련을 받고, 이연생과 우정을 쌓고, 최금영과 요리 대결을 하고, 민정호와 사랑을 한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음모에 휘말리면서도 굳세게 살아가는 장금의 모습을 통해, 화려한 조선 문화와 궁중 요리, 당시 조선의 의술을 엿볼 수 있다. 훈구파인 오겸-최상궁-금영 파와 사림파인 민정호-한상궁-장금 파의 권력 투쟁 또한 드라마의 주요 내용이다.

조선왕조실록』의 『중종실록』에는 대장금이라는 의녀가 중용되어 왕의 주치의가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대장금에 관한 기술은 중종실록에 10군데 나오지만, 왕의 주치의를 맡았다는 기록은 중종 39년(1544년) 10월의 '예증여의지지(予의 증은 여의 이것을 안다)'라는 한 줄 뿐이다.[29]

실제 조선 시대 궁정 요리사는 남성이었고, 여성은 주로 보조 역할만 했다. 이는 현대에도 마찬가지로, 요리는 많은 체력과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8. 1. 역사적 사실

조선왕조실록 가운데 중종실록에 '장금'이라는 이름이 10회 가량 등장하며, 의녀 장금이 왕의 신임을 받았다는 정도로 기록되어 있다.[8][9][10][11] 드라마에 등장하는 장금이라는 인물에 관한 내용은 대부분 작가의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이야기이다.

방송대학 교수 대담에서 다카하시 가즈오가 "대장금은 역사에 어느 정도까지 충실한가요?"라는 질문에, 조선사학자 요시다 미츠오는 "결론부터 말하자면 거의 100% 픽션이며, 사실에 근거하지 않습니다"라고 답변했다.[29]

후루타 히로시는 사실과의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30][31]

# 조선에서는 여자가 궁궐에 들어가면 왕과 유사 혼인 관계에 들어가기 때문에 평생 밖으로 나갈 수 없으며, 장금처럼 드나들 수 없다.

# 조선은 중국이나 일본에도 시대와는 달리, 혁신에 반대적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실물 경제로 500년 동안 통치했다. 1805년에 유학자 정동유가 저술한 『주영편』에는 "(우리나라의 졸렬한 점) 바늘 없음, 없음, 수레 없음"이라고 쓰여 있다. 실제로, 바늘은 의류에 구멍이 뚫릴 정도의 조잡한 것이었고, 중국에서 사들였다. 수레도 서양 문화가 유입되기 전까지는 보급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무를 구부리는 기술이 없었고, 조선에는 술통도 없어서, 액체를 멀리 운반하는 것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정체된 시대였다.

# 『대장금』은 색채로 넘쳐나지만, 실제로는 안료가 없어서 민간에는 색깔이 없었고, 상류 계급만이 중국에서 무역하는 어용 상인에게서 색깔 있는 천을 사들였다. 중국에서도 일본에도 시대에서도 도자기에 적색 그림이 있지만, 조선에는 백자밖에 없고, 민중의 의복이 흰색인 것도 안료를 자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하는 "조선의 흰색은 비애의 색"이라는 것도, 지금은 새빨간 거짓말이다.[30][31]

NHK의 방송에서는 중전을 "황후"라고 번역했지만, 미야와키 준코는 "황후"는 "황제"의 비의 칭호이며, 중국 황제의 신하조선 국왕의 비가 "황후"를 칭하는 것은 역사학적으로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32]

8. 2. 역사적 오류


  • 대장금 18화에서 중국에서 온 사신에게 "만한전석"을 차릴 것이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이는 청나라 건륭제 때 등장한 것으로, 조선 중종 시대에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 역사적으로 궁중음식은 3~5첩이 기본이며 특별한 날에만 12첩 정도였다.
  • 수라간 궁녀들이 음식을 하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실제로는 남자 숙수들이 음식을 담당했다.[63] 드라마에 나오는 숙수 덕구가 실제 조선시대 음식 역사에 가까운 인물이다.[63] kbs 역사스페셜에 따르면, 이들은 을 짓는 일만 하는 등 전문분야가 있었던 전문직 노동자들이다.
  • 방송대학 교수 대담에서 다카하시 가즈오의 『대장금』은 "역사에 어느 정도까지 충실한가요?"라는 질문에, 조선사학자 요시다 미츠오는 "결론부터 말하자면 거의 100% 픽션이며, 사실에 근거하지 않습니다"라고 답변했다.[29]
  • 후루타 히로시는 다음과 같은 사실과의 차이점을 지적했다.[30][31]
  • * 조선에서는 여자가 궁궐에 출사하면 왕과 유사 혼인 관계에 들어가 평생 밖으로 나갈 수 없는데, 장금은 자유롭게 드나든다.
  • * 조선은 혁신에 반대적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실물 경제로 500년 동안 통치했다. 1805년 정동유의 『주영편』에는 "(우리나라의 졸렬한 점) 바늘 없음, 없음, 수레 없음"이라고 쓰여 있다. 실제 조선에는 백자밖에 없었고, 민중의 의복이 흰색인 것도 안료를 자급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하는 "조선의 흰색은 비애의 색"이라는 것도 거짓말이다.
  • 실제 조선 시대의 궁정 요리사는 남자가 주를 이루었고, 여성은 주로 보조 역할만 했다.
  • NHK의 방송에서는 중전을 "황후"라고 번역했지만, 미야와키 준코는 "황후"는 "황제"의 비의 칭호이며, 중국 황제의 신하조선 국왕의 비가 "황후"를 칭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32]

9. 대장금 테마파크

경기도 양주시 만송로 394-104 (만송동 30)에 있던 양주 대장금 테마파크는 국내 최초의 드라마 테마파크였다. 이곳에서는 드라마 《상도》, 《허준》, 《왕초》, 《국희》, 《영웅시대》, 《타임머신》 등이 촬영되었다. 《대장금》 방영 이후 인기에 힘입어 2004년 12월 일반 관람객들에게 개장하였다.[7] 이후 국내 및 일본, 대만 등에서 많은 팬들이 방문했으나, 관람객에게 공개할 것을 고려하지 않고 지은 임시 가건물 세트장이어서 안전 문제로 2011년 12월 31일에 폐장하였다.

양주 대장금 테마파크 폐장 이후 세트장 일부가 용인 MBC 드라미아 세트장으로 옮겨가면서, 용인 MBC 드라미아는 용인대장금파크로 이름을 바꾸어 운영 중이다.

10. 참고 사항


  • 본 드라마는 기획 단계부터 정통 사극물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북미, 유럽,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를 비롯한 전 세계 50여개 국에 동시 수출되었다.
  • 이 작품을 통해 배우 이영애는 한류 스타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대장금''은 동아시아의 한류의 일부였으며,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상당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 킹 오브 더 힐 에피소드에서 칸과 민은 라오스어로 더빙된 ''대장금''을 시청하고 있었다.
  • 1화에서 채경의 가족은 ''대장금'' 30화(연생이 왕의 강아지와 놀아서 꾸중을 듣는 장면)를 시청하고 있었다.
  • 진짜 진짜 좋아해 32화에서 여봉순의 어머니(금보라 분)는 ''대장금''을 시청하고 있다. 금보라는 ''대장금''에서 장금의 양어머니 나주댁 역을 맡았다.
  • 후아유 9화에서는 건물 옆에 커다란 ''대장금'' 포스터가 걸려 있다.
  • 침묵 2화에서 박은혜가 출연하는 대만 드라마에서 ''대장금''이 유명한 한국 드라마로 언급된다.
  • 장난스런 키스 8화에서는 주인공의 서툰 요리 실력에도 불구하고 ''대장금''이 언급된다.
  • 2007년 드라마 이산 마지막 화에서 이잎새가 연기한 인물과 동료가 왕실 주방에서 데자뷰를 느끼며 전생에 그곳에서 일했다고 믿게 된다. 이 드라마는 ''대장금'' 이후 조선 시대 2세기 후를 배경으로 한다. 이잎새는 ''대장금''에도 출연했으며, 다른 드라마 역시 같은 제작사, 같은 감독이 제작했다.
  • 러브 인 아시아 시즌 2, 9화에서 임호는 중종 역을 다시 맡아 미주에게 사극 연기를 가르친다.
  • 사적으로는, 『조선왕조실록』의 『중종실록』에 대장금이라고 불리며 중용되어 왕의 주치의가 된 의녀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대장금에 관한 기술은 중종실록에 10군데 나오지만, 왕의 주치의를 맡았다는 기록은 중종 39년(1544년) 10월의 '예증여의지지(予의 증은 여의 이것을 안다)'라는 한 줄 뿐이다.
  • 방송대학 교수 대담에서 다카하시 가즈오의 『대장금』은 "역사에 어느 정도까지 충실한가요?"라는 질문에 대해, 조선사학자 요시다 미츠오는 "결론부터 말하자면 거의 100% 픽션이며, 사 실에 근거하지 않습니다"라고 답변했다[29]
  • 후루타 히로시는, 사실과의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30][31]

1. 조선에서는, 여자가 궁궐에 출사하면 왕과 유사 혼인 관계에 들어가기 때문에 평생 밖으로 나갈 수 없으며, 장금 여사처럼 드나들 수 없다.

2. 조선은 중국이나 일본에도 시대와는 달리, 혁신에 반대적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실물 경제로 500년 동안 통치했다. 1805년에 유학자 정동유가 저술한 『주영편』에는, "(우리나라의 졸렬한 점) 바늘 없음, 없음, 수레 없음"이라고 쓰여 있다. 실제로, 바늘은 의류에 구멍이 뚫릴 정도의 조잡한 것이었고, 중국에서 사들였다. 수레도, 서양 문화가 유입되기 전까지는 당연히 보급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무를 구부리는 기술이 없었고, 조선에는 술통도 없어서, 액체를 멀리 운반하는 것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정체된 시대였다. 『대장금』은 색채로 넘쳐나지만, 실제로는 안료가 없어서 민간에는 색깔이 없었고, 상류 계급만이 중국에서 무역하는 어용 상인에게서 색깔 있는 천을 사들였다. 중국에서도 일본에도 시대에서도 도자기에 적색 그림이 있지만, 조선에는 백자밖에 없고, 민중의 의복이 흰색인 것도 안료를 자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하는 "조선의 흰색은 비애의 색"이라는 것도, 지금은 새빨간 거짓말이다[30][31]

  • 진짜 왜곡이라면, 사실 조선 시대의 궁정 요리사는 남자가 메인이었고, 여성은 주로 보조 역할만 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남성 셰프가 압도적인 현대에도 마찬가지로, 요리는 많은 체력과 힘을 요구한다.
  • NHK의 방송에서는 중전을 "황후"라고 번역했지만, 미야와키 준코는, "황후"는 "황제"의 비의 칭호이며, 중국 황제의 신하조선 국왕의 비가 "황후"를 칭하는 것은 역사학적으로 있을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32]
  • 번역: 장은영, 타키야마 나츠키
  • 프로듀서: 이시게 미키
  • 제작 총괄: 시바타 아키, 다나카 켄지
  • 배급: nep
  • 《대장금》은 1화당 수록 시간이 54분 정도에서 1시간 7분 정도로 일정하지 않다. 일본에서 처음 방송한 KNTV는 오리지널 완전판의 자막 방송이었지만, NHK에서는 편성이 1시간으로 고정되어, 오리지널에 존재하지 않는 "지난 줄거리", 다음 회 예고와 대장금|일본어판 크레딧을 추가하고, 처음 몇 화와 마지막 회를 제외하고 1분 30초의 "콩 사전"이 함께 방송되므로, 57분 정도에 수용할 수 없는 대부분의 회차에서 컷 장면이 있다.
  • 국내판 비디오/DVD도 NHK의 방송과 마찬가지로 컷되어 있다(단, NHK의 방송에서 약 10분의 장면이 컷된 마지막 회만, 비디오/DVD 국내판에서도 본편 노컷의 대장금|일본어판 수록이 실현되었다).
  • 노컷 방송의 요구가 많아, NHK-BS2에서는 2007년 1월 12일부터 2008년 2월 15일까지 "완전판"이라고 칭한 노컷 자막판이 방송되었다. 방송 종료 시간은 각 회마다 다르지만, 이것은 오리지널과 같다. 그러나, 음성이 모노럴인 점과 엔딩은 오리지널판과 다르다. 또한, 완전판은 한 번의 방송만 이루어졌고, 재방송, DVD화는 되지 않았지만, SkyparfcTV! "LaLaTV"에서, 2008년 12월부터 방송이 시작되었다.
  • 동국(同局)의 한국 연속 드라마에서 노컷 자막판의 방송은, 과거에 《겨울연가》의 예가 있었다.

11. 속편 제작

2012년 9월, MBC는 속편인 ''대장금 2'' 제작 계획을 발표했다.[18][19][20] 2013년 10월 서울에서 열린 문화 콘텐츠 포럼에서 김종국 MBC 사장은 "1년간의 사전 제작을 거쳐 2015년 상반기에 제작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며 이 프로젝트를 재확인했다.[21][22][23][24]

2014년 3월, 김영현 작가는 이 시리즈가 2014년 10월에 방영될 것이며, 2006년 배우 활동을 잠정 중단한 이후 속편 출연 제의를 거절했던 주연 배우 이영애가 역할을 다시 맡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확인했다.[25] 김 작가의 시놉시스에 따르면, 장금은 남편을 잃고 딸이 납치되어 중국으로 가게 되며, 장금은 딸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시리즈의 전반부는 원작이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중국으로의 여정을 다루며, 촬영도 그곳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장금은 딸을 찾는 데 실패하고 집으로 돌아와, 그녀의 지도를 받을 어린 후계자를 찾는 것으로 삶을 재개할 것이다. 장금은 첫 번째 시리즈에서 장금의 라이벌이었던 금영의 딸을 훈련시키는 것을 선택할 것이다.[26]

판타지오이영애를 캐스팅하여 2024년 대장금이 의녀가 된 이후 일생을 다룬 의녀 대장금(2025년 초 방영 예정)을 제작한다.

참조

[1] 웹사이트 가장 기다려지는 여배우 이영애, '대장금 2'로 컴백 임박? https://lady.khan.co[...] 2021-04-02
[2] 웹사이트 Japanese soaps cleaning up https://web.archive.[...] 2005-08-31
[3] 웹사이트 10 Years On, Lee Young-ae Looks Back at ''Jewel in the Palace'' https://www.chosun.c[...] 2013-09-14
[4] 웹사이트 Lyrics http://service.joins[...]
[5] 문서 This is the opening theme, and plays during scenes of practicing medicine and the return to the palace.
[6] 웹사이트 TV Dramas' Actresses Line up for Award Ceremony Takeover http://english.chosu[...] 2003-12-29
[7] 웹사이트 Overseas Press to Participate in the Hallyu Promotion Event http://english.tour2[...] 2005-10-10
[8] 웹사이트 Vive La Korean Food! Hallyu Revitalizes Culinary Tradition https://www.koreatim[...] 2008-03-20
[9] 웹사이트 Slow food à Séoul https://madame.lefig[...] 2007-11-03
[10] 웹사이트 French Discover Korean Cuisine https://www.chosun.c[...] 2007-11-05
[11] 웹사이트 Lecture: Korean Royal Cuisine in Korean Drama, Jewel in the palace https://www.koreancu[...] 2010-05-27
[12] 웹사이트 ''Daejanggeum'' Musical to Debut on Stage This Year https://www.chosun.c[...] 2007-02-06
[13] 웹사이트 Musical ''Great Janggeum'' unveiled https://web.archive.[...] 2007-02-07
[14] 웹사이트 MUSICAL REVIEW: ''Great Janggeum'' offers a feast with unfilled dishes http://www.koreahera[...] 2007-05-31
[15] 웹사이트 Royal Palaces Open Wide https://www.koreatim[...] 2008-08-21
[16] 웹사이트 High notes and discord in the musical world https://koreajoongan[...] 2008-12-20
[17] 웹사이트 ''Daejanggeum Week'' Draws Diehard Fans https://www.chosun.c[...] 2007-05-31
[18] 웹사이트 MBC to make sequel to popular TV drama ''Daejanggeum'' https://www.koreatim[...] 2012-09-17
[19] 웹사이트 MBC to make sequel to popular TV drama ''Daejanggeum'' http://www.koreahera[...] 2012-09-17
[20] 웹사이트 MBC plans ''Dae Jang Geum'' sequel https://koreajoongan[...] 2012-09-19
[21] 웹사이트 ''Daejanggeum II'' to be produced https://www.koreatim[...] 2014-01-08
[22] 웹사이트 MBC president plans to produce sequel to ''Daejanggeum'' in 2015 http://www.koreahera[...] 2013-10-18
[23] 뉴스 Sequel to ''Jewel in the Palace'' set for 2015 http://www.koreaobse[...] 2013-10-18
[24] 웹사이트 Epic dramas to rule small screen in 2014 https://www.koreatim[...] 2014-01-10
[25] 웹사이트 ''Jewel in the Palace'' Sequel in the Works http://english.chosu[...] 2014-03-21
[26] 웹사이트 Lee Young-ae could return to iconic series http://koreajoongang[...] 2014-03-22
[27] 서적 East Asian pop culture : analysing the Korean wave https://search.world[...]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8
[28] 웹사이트 宮廷女官 チャングムの誓い (2003 - 2004) https://www.allcinem[...] allcinema
[29] 뉴스 「歴史の光に浮かび上がる 東アジアの過去・現在・未来」 http://www.ouj.ac.jp[...] 放送大学 2009-12
[30] 뉴스 増殖する韓国の「自尊史観」 http://www.sankei.co[...] 2008-12-17
[31] 뉴스 李朝=インカ帝国説 産業経済新聞社 2009-07
[32] 서적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13-08-08
[33] 문서 第51話でカン・ドックの妻が、チャンドクの語る対処法を知っていれば疫病でふたりの息子を失わずに済んだと語っている。
[34] 문서 第46話のトックが書いた恋文で「チュヒャン」とあるが、これが本名かどうかも不明。秋香(チュヒャン)の元となった春香(チュニャン)は18世紀に朝鮮半島でパンソリの台本から生まれた物語『春香伝』により、理想の女性の代名詞で、妻を春香に見立ててラブレターを書いたというギャグ描写の可能性がある。イ・ビョンフン監督は2005年7月にNHKで放送された「チャングム大辞典」で「名前は付けなかった」と発言している。なお、韓国での呼び名、“羅州宅(ナジュテク)”は人物の名ではなく、羅州(ナジュ)から嫁いできた妻という意味。
[35] 웹사이트 宮廷女官 チャングムの誓いDVD-BOX V http://www.vap-shop.[...] バップ 2013-02-03
[36] 웹사이트 宮廷女官 チャングムの誓いDVD-BOX VI http://www.vap-shop.[...] バップ 2013-02-03
[37] 뉴스 MBC 드라마 <대장금>, 일본 NHK 지상파 통해 방영 https://imnews.imbc.[...] MBCニュースデスク 2005-10-08
[38] 문서 FLASH EX35plus vol.1
[39] 뉴스 “나는 대장금의 광팬이었다”...일본 고위 정치인 충격 고백 http://nbiz.heraldco[...] 헤럴드경제 2012-01-12
[40] 뉴스 “아베의 시대착오 용납 못한다” http://legacy.www.ha[...] 한겨레 2006-09-13
[41] 뉴스 日韓友好プロジェクト「熱韓」に、あのパチンコ登場 http://www.zakzak.co[...] 夕刊フジ 2009-07-01
[42] 뉴스 何度でも見たい!「宮廷女官チャングムの誓い」をBSジャパンが1月7日より日本語字幕版で放送!冒頭20分無料視聴 https://navicon.jp/n[...] navicon 2013-01-07
[43] 웹사이트 韓流プレミア 宮廷女官チャングムの誓い {{!}} テレ東・BSテレ東 7ch(公式)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BSテレ東 2024-06-27
[44] 웹사이트 宮廷女官 チャングムの誓い 総集編 http://www.vap-shop.[...] 바프샵 2013-01-27
[45] 뉴스 Korean Wave Ripple Effect http://thediplomat.c[...] ザ・ディプロマット 2010-10-26
[46] 뉴스 イ・ヨンエ 普段の姿は…「喜びが大きいほど苦しかった」 http://www.wowkorea.[...] WOW!Korea 2008-09-24
[47] 뉴스 『チャングムの誓い』、 新年から西欧・アフリカのお茶の間を占領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8-01-22
[48] 뉴스 Hallyu Reaches Other Side of the World http://www.koreatime[...] 코리아 타임즈 2007-10-30
[49] 웹사이트 チャングムの誓い https://stage.corich[...]
[50] 뉴스 菊川怜、「チャングムの誓い」で主演中 東京・日生劇場 2007-12-06
[51] 문서 과거 편성된 발자취가 있었다.
[52] 문서 GTV에서는 15세 이상 시청가로 기재되어 있다.
[53] 뉴스인용 드라마 '대장금', 11년간 드라마 부문 최고 시청률 기록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1-07-04
[54] 뉴스인용 “‘대장금’ 이영애, ‘허준’ 황수정은 7순위 배우” http://entertain.nav[...] 헤럴드POP 2016-06-29
[55] 뉴스인용 강성연 "'대장금' 출연 제의 거절 후 경쟁 드라마로 참패" http://entertain.nav[...]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6-06-29
[56] 뉴스인용 '허준-대장금'놓친 정선경 "서동요 꽉 잡았어요" http://entertain.nav[...]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6-06-29
[57] 뉴스인용 [스타탐구] 송채환 https://news.naver.c[...] 주간한국 2016-06-29
[58] 뉴스인용 이영애 '대장금' 4부 연장 동의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18-09-28
[59] 뉴스인용 에릭-김희선 드라마 랑데부 불발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스포츠투데이) 2018-09-28
[60] 뉴스인용 김승우 “드라마 ‘불새’ 덕분에 김남주와 연애” http://entertain.nav[...] 매일경제(스타투데이) 2018-09-28
[61] 뉴스인용 2003 MBC 방송연예 대상 후보자 발표 https://entertain.na[...] 뉴시스 2024-01-19
[62] 뉴스인용 MBC 연기대상 후보 확정,여자 최우수 이영애 하지원 격돌 https://entertain.na[...] 뉴시스 2024-01-19
[63] 뉴스인용 [이춘호 기자의 푸드 블로그] 食客열전 제4회 - 별별 식객 리스트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16-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