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해군은 금관가야의 중심지였으며, 680년 금관군에서 금관소경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김해소경, 김해부, 임해군, 김해부 등을 거쳐 1413년 김해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 진주부 김해군으로 개편되었고, 1896년 경상남도 김해군이 되었다. 1914년 14면으로 개편되었으며, 1981년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다. 현재 김해군은 김해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 일대를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해시의 역사 -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는 2002년 김해국제공항 착륙 중 돗대산에 추락하여 129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기장의 부적절한 조종과 승무원 자원 관리 미흡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 김해시의 역사 - 금관가야
    금관가야는 1세기 중엽부터 4세기 말까지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철 생산과 해상 무역을 통해 번성했으며, 김수로왕 건국 신화를 바탕으로 42년에 건국되어 532년 신라에 투항하여 멸망했다.
  • 부산 강서구 - 대항항 (부산)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에 위치한 대항항은 전통 어로법인 '육수장망 숭어들이' 시연 축제가 열리는 어항이며, 특정 해역은 해양 레저 활동 허가 구역으로 지정되어 창원해양경찰서장의 허가가 필요하다.
  • 부산 강서구 - 천성항
    천성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에 위치한 지방어항이며, 1992년 지정되었고, 인근 해역은 해양 레저 활동 허가 구역이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마산시
    마산시는 경상남도 남부 해안에 위치했던 도시로, 창원시와 통합되어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로 개편되었으며, 3·15 마산 의거와 부마민주항쟁의 배경이 되었고, 아구찜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기장군
    기장군은 부산광역시 동해안에 위치한 농촌적 특징을 가진 지역으로, 멸치와 미역이 유명한 어업 중심지이며, 해동용궁사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김해군
지도
기본 정보
한자金海郡
위치경상남도
역사
고려 시대김해부
1308년김해도호부
1413년김해군
1945년해방, 김해군으로 유지
1963년 1월 1일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
1981년 7월 1일장유면이 읍으로 승격
1989년 4월 1일가락면, 녹산면, 명지면이 부산직할시로 편입
1995년 1월 1일부산광역시로 승격
1995년 3월 1일김해시와 통합
행정 구역
장유읍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생림면
대동면
교통
철도경전선

2. 역사

가야 시대에는 금관국의 중심지로 번성하였다. 680년(문무왕 20년) 금관군(金官郡)을 금관소경(金官小京)으로 승격하였다. 757년(경덕왕 16년)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개칭하여 양주(良州)에 속했다.

940년 김해부(金海府)로 강등되었다. 이후 임해현(臨海縣)으로 강등되었다가 임해군(臨海郡)으로 승격하였다. 971년 김해부가 되었다. 995년 영동도(嶺東道)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였다. 1012년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다. 1018년 의안군, 함안군, 칠원현, 웅신현을 속군·속현으로 삼았다. 1270년 금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293년 금녕현(金寧縣)으로 강등되었다. 1308년 금주목(金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310년 김해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 고종 32년 6월 23일 진주부 김해군(金海郡)으로 개편되었고,[3]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김해군으로 개편되었다.[4] 1906년 양산군 대상면·대하면이 김해군에 편입되고, 대산면이 창원부로 이관되었다.[2][5]

일제강점기에는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김해군은 14개 면으로 개편되었다.[3] 1918년 7월 1일 좌부면과 우부면이 김해면으로 합면되었고,[4] 1928년 4월 1일 하계면을 진영면으로 개칭하였으며,[6] 1931년 11월 1일 김해면을 김해읍으로 승격하였다.[7] 1942년 10월 1일 진영면을 진영읍으로 승격하고,[8] 1944년 10월 1일에는 하동면을 대동면으로 개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73년 대저면을 대저읍으로 승격하였다.[2] 1978년 대저읍, 명지면과 가락면 일부가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었다.[2] 1981년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다.[2] 1987년 이북면이 한림면으로 개칭되었다.[2] 1989년 녹산면과 가락면이 부산직할시 강서구에 편입되었다.[2]

2. 1. 가야 시대

의 중심지로 번성하였다.

2. 2. 통일신라 시대

680년(문무왕 20년), 금관군(金官郡)을 금관소경(金官小京)으로 승격하였다. 757년(경덕왕 16년),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개칭하여 양주(良州)에 속했다.

2. 3. 고려 시대

940년 김해부(金海府)로 강등되었다. 이후 임해현(臨海縣)으로 강등되었다가 임해군(臨海郡)으로 승격하였다. 971년 김해부가 되었다. 995년 영동도(嶺東道)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였다. 1012년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다. 1018년 의안군, 함안군, 칠원현, 웅신현을 속군·속현으로 삼았다. 1270년 금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293년 금녕현(金寧縣)으로 강등되었다. 1308년 금주목(金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310년 김해부로 강등되었다.[2]

2. 4. 조선 시대

1413년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 고종 32년 6월 23일 진주부 김해군(金海郡)으로 개편되었고,[3]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김해군으로 개편되었다.[4] 1906년 양산군 대상면·대하면이 김해군에 편입되고, 대산면이 창원부로 이관되었다.[2][5]

2. 5.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김해군은 가락면, 좌부면, 우부면, 진례면, 장유면, 이북면, 하계면, 대저면, 녹산면, 주촌면, 상동면, 하동면, 생림면, 명지면의 14개 면으로 개편되었다.[3]

1918년 7월 1일 좌부면과 우부면이 김해면으로 합면되어 13면이 되었다.[4] 1928년 4월 1일 하계면을 진영면으로 개칭하였고,[6] 1931년 11월 1일 김해면을 김해읍으로 승격하였다.[7] 이에 따라 김해군은 1읍 12면을 관할하게 되었다.

1942년 10월 1일 진영면을 진영읍으로 승격하여[8] 2읍 11면이 되었고, 1943년 1월 18일 가락면 식만리 일부를 김해읍에 편입하였다.[9] 1944년 10월 1일에는 하동면을 대동면으로 개칭하였다.

2. 6.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 1973년: 대저면을 대저읍으로 승격하였다. (3읍 10면)[2]
  • 1978년: 대저읍, 명지면과 가락면 일부가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었다. (2읍 9면)[2]
  • 1981년: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다. (1읍 9면)[2]
  • 1987년: 이북면이 한림면으로 개칭되었다.[2]
  • 1989년: 녹산면과 가락면이 부산직할시 강서구에 편입되었다. (1읍 7면)[2]

3. 행정 구역 변천

1914년 4월 1일 김해군이 14면으로 개편되었다.[14]

1914년 이전 김해군은 좌부면, 우부면, 장유면, 하계면, 이북면, 생림면, 상동면, 하동면, 주촌면, 진례면, 가락면, 대저면, 명지면, 녹산면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천이 있었다.


경남 김해군 대저읍 중촌리의 비닐하우스 (1974년)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14]

1914년현재
좌부면(左部面)[15], 우부면(右部面)[16], 장유면(長有面)[17], 하계면(下界面)[18], 이북면(二北面)[19], 생림면(生林面), 상동면(上東面), 하동면(下東面), 주촌면(酒村面), 진례면(進禮面)[20]김해시
가락면(駕洛面)[21], 대저면(大渚面)[22], 명지면(鳴旨面), 녹산면(菉山面)[23]부산광역시 강서구


3. 1. 1914년 행정구역

1914년 김해군 행정구역[14]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김해군 좌부면(左部面) 강창리 일부, 동상리/다전리 일부/부원리 일부, 다전리 일부/강창리 일부/(우부면)고서리 일부, 북내리/(우부면)고서리 일부/능동리 일부좌부면강창리(江倉里), 동상동, 부원동, 북내동
김해군 활천면(活川面) 남역리 일부, 마마리, 불암리/(가락면)식만리 일부/(하동면)수안리 일부, 삼방리, 어방리/남역리 일부, 지내리남역리(南驛里), 마마리(馬麻里), 불암리, 삼방리, 어방리, 지내리
김해군 우부면(右部面) 내동리, 답곡리/북외리/삼산리 일부, 삼계리/두곡리, 매정리/삼산리 일부, 외동리/봉곡리, 전하리/(좌부면)강창리 일부, 회현리/고서리 일부/(좌부면)강창리 일부, 흥동리 일부/(칠산면)화목리 일부우부면내동리, 답곡리(畓谷里), 삼계리, 삼산리(三山里), 외동리, 전하리, 회현리(會峴里), 흥동리
김해군 칠산면(七山面) 음법리, 이동리, 풍유리/(우부면)흥동리 일부, 화목리 일부음법리(陰法里), 이동리, 풍유리, 화목리
김해군 장유면(長有面) 화촌리/관동리 일부/(유하면)신문리 일부, 대청리 일부, 삼문리 일부, 수가리, 응달리, 율하리 일부/관동리 일부, 장유리/율하리 일부장유면관동리, 대청리, 삼문리, 수가리, 응달리, 율하리, 장유리
김해군 유하면(柳下面) 내덕리 일부/유하리 일부, 무계리 일부/내덕리 일부/(장유면)삼문리 일부, 무계리 일부, 내덕리 일부/신문리 일부/(장유면)삼문리 일부, 유하리 일부/무계리 일부내덕리, 무계리, 부곡리, 신문리, 유하리
김해군 하계면(下界面) 여래리 일부, 우동리 일부, 진영리/여래리 일부, 방동리 일부, 우동리 일부/방동리 일부, 좌곤리 일부, 좌곤리 일부하계면여래리, 우동리, 진영리, 방동리, 하계리, 좌곤리, 사산리
김해군 중북면(中北面) 내룡리, 본산리/(상북면)가동리 일부/(하계면)여래리 일부, 신용리, 설창리, 죽곡리 일부, 죽곡리 일부/의전리 일부내룡리, 본산리, 신용리, 설창리, 죽곡리, 의전리
김해군 상북면(上北面) 가산리, 가동리 일부, 시산리/가동리 일부/(밀양군 하남면)명례리 일부, 장방리이북면가산리, 가동리, 시산리, 장방리
김해군 하북면(下北面) 용덕리 일부/명동리 일부, 병동리 일부, 신천리 일부, 안곡리, 용덕리 일부/(생림면)생림리 일부, 신천리 일부/용덕리 일부, 퇴래리/병동리 일부/명동리 일부명동리, 병동리, 신천리, 안곡리, 안하리, 용덕리, 퇴래리
김해군 진례면(進禮面) 청천리/(중북면)의전리 일부, 시례리, 송정리, 신당리/조전리 일부, 조전리 일부/(중북면)의전리 일부, 조전리 일부진례면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신월리, 조전리, 신안리
김해군 율리면(栗里面) 고모리/고령리/상석리/(중북면)죽곡리 일부, 개동리/담안리 일부/(중북면)의전리 일부, 산본리/관동리/성법리/송현리 일부, 송현리 일부/담안리 일부고모리, 담안리, 산본리, 송현리
김해군 가락면(駕洛面) 봉림리 일부/죽림리 일부/(덕도면)제도리 일부, 식만리 일부/죽림리 일부, 죽림리 일부/봉림리 일부, 죽동리가락면봉림리, 식만리, 죽림리, 죽동리
김해군 덕도면(德道面) 대사리 일부/상덕리 일부/북정리 일부, 상덕리 일부/제도리 일부/제도리 일부, 제도리 일부대사리, 북정리, 상덕리, 제도리
김해군 대상면(大上面) 대지리 일부/출두리 일부/평강리 일부, 사덕리 일부/대지리 일부/출두리 일부, 출두리 일부/사덕리 일부/대지리 일부, 평강리 일부/대지리 일부/(대하면)사두리 일부/(덕도면)효울리 일부대저면대지리, 사덕리, 출두리, 평강리
김해군 대하면(大下面) 덕두리 일부/맥도리 일부, 도도리 일부/소덕리 일부/덕두리 일부/맥도리 일부, 맥도리 일부, 사두리 일부/소덕리 일부, 설만리/사두리 일부/(덕도면)효울리 일부/제도리 일부덕두리, 도도리, 맥도리, 사두리, 소덕리, 울만리
김해군 녹산면(菉山面) 녹산리, 화전리, 송정리/(마산부 웅동면)가동리 일부녹산면녹산리, 화전리, 송정리
김해군 태야면(台也面) 범방리/탑동리, 구랑리/소압리 일부, 미음리/상룡리, 지사리/소압리 일부, 생활리/중곡리범방리, 구랑리, 미음리, 지사리, 생곡리
김해군 명지면(鳴旨面) 조동리 일부/중리 일부/동리 일부/신전리 일부, 평성리/조동리 일부, 중리 일부, 신전리 일부, 동리 일부, 진목리/(덕도면)제도리 일부, 신전리 일부명지면조동리, 평성리, 중리, 신전리, 동리, 진목리, 신호리
김해군 하동면(下東面) 수안리 일부, 주중리/주동리 일부, 주동리 일부/초정리 일부, 시례리/초정리 일부, 초정리 일부,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일부, 월당리/평촌리/덕산리 일부하동면수안리, 주중리, 주동리, 예안리, 초정리,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월촌리
김해군 상동면(上東面) 여차리, 감로리, 매리,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상동면여차리, 감로리, 매리,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김해군 주촌면 (酒村面) 외선리/원지리 일부, 천곡리/연지리/망덕리 일부, 망덕리 일부,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상가리, 덕암리 일부, 원지리 일부/덕암리 일부주촌면선지리, 천곡리, 망덕리,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 덕암리, 원지리
김해군 생림면 (生林面) 금곡리 일부, 사촌리 일부, 나전리/사촌리 일부, 봉림리/생림리 일부, 생철리/도요리 일부, 도요리 일부, 도요리 일부, 마사리/(밀양군 하동면)삼랑리 일부, 금곡리 일부/생림리 일부/(하북면)용덕리 일부생림면금곡리, 사촌리, 나전리, 봉림리, 생철리, 도요리, 안양리, 마사리, 생림리



1914년 4월 1일 김해군은 좌부면, 우부면, 장유면, 하계면, 이북면, 생림면, 상동면, 하동면, 주촌면, 진례면, 가락면, 대저면, 명지면, 녹산면의 14개 면으로 개편되었다.[14]

3. 2. 현재 행정구역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14]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914년현재
좌부면(左部面)[15], 우부면(右部面)[16], 장유면(長有面)[17], 하계면(下界面)[18], 이북면(二北面)[19], 생림면(生林面), 상동면(上東面), 하동면(下東面), 주촌면(酒村面), 진례면(進禮面)[20]김해시
가락면(駕洛面)[21], 대저면(大渚面)[22], 명지면(鳴旨面), 녹산면(菉山面)[23]부산광역시 강서구


4. 현대

김해시는 경상남도 중부에 위치하며, 부산 대도시권의 위성도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 단지 조성 및 주거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김해국제공항이 위치하여 교통의 요지 역할을 한다.

5. 정치

김해시는 전통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으로, 정치적인 상징성이 크다.

6. 사회

김해시는 다문화 가정이 많은 지역 중 하나로, 다문화 사회 통합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7. 문화

김해는 가야 시대의 문화 유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김해시에서는 다양한 문화 행사 및 축제가 개최된다.

참조

[1] 법률 경기도평택시와 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05-10
[2] 설명
[3] 칙령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4] 칙령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896-08-04
[5] 칙령 지방구역 정리 건
[6] 도령 경상남도령 1928-01-28
[7] 조선총독부령 1931-10-20
[8] 조선총독부령 1942-09-30
[9] 조선총독부령 1943-01-18
[10] 대통령령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1] 법률 구미시설치및부산시·경상남도간관할구역조정에관한법률 1977-12-19
[12] 법률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13] 법률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91-12-30
[14] 자료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15] 설명
[16] 설명
[17] 설명
[18] 설명
[19] 설명
[20] 설명
[21] 설명
[22] 설명
[23]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