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향고래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마향고래속(Kogia)은 꼬마향고래과에 속하는 이빨고래류의 속이다. 꼬마향고래와 쇠향고래 2종을 포함한다. 계통 분류에 따르면 고래하목, 이빨고래에 속하며 향고래과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고래상과 - 꼬마향고래
꼬마향고래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서식하는 꼬마향고래과의 작은 고래로, 뇌유와 암적색 액체를 이용한 방어, 독특한 수면 방식, 단독 또는 소규모 무리 생활을 하는 특징을 가지며, 자료 부족종으로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향고래상과 - 쇠향고래
쇠향고래는 꼬마향고래와 유사하지만 더 큰 이빨고래류로, 멜론, 자철광 결정, 뛰어난 반향 정위 능력을 가지며, 오징어, 문어 등을 섭취하는 멸종 위기종이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피오르드랜드펭귄
피오르드랜드펭귄은 뉴질랜드 남섬 서해안에 서식하며 노란색 볏이 특징인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오징어, 크릴, 물고기를 먹고, IUCN 적색 목록에 위기근접종으로 분류되어 외래 포식자와 인간의 간섭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도요타조
도요타조는 주로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육상 조류로, 구악류에 속하며 레아류의 자매군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짧은 거리를 날거나 주로 걸어 다니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기르는 잡식성 조류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일부 종은 개체 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꼬마향고래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Kogia |
명명자 | G.R. Gray, 1846 |
모식종 | Physeter breviceps |
모식종 명명자 | Blainville, 1838 |
속 | 꼬마향고랫과 (Kogiidae) |
속 명명자 | Gill, 1871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아목 | 경하마형류 |
하목 | 고래하목 |
소목 | 이빨고래 |
종 | |
하위 종 | 꼬마향고래 (Kogia sima) 쇠향고래 (Kogia breviceps) |
시간 척도 | |
화석 범위 | 신생대 (후기 마이오세)-홀로세 |
2. 하위 종
2. 1. 꼬마향고래 (''Kogia sima'')
꼬마향고래(''Kogia sima'')는 꼬마향고래속에 속하는 향고래의 일종이다.2. 2. 쇠향고래 (''Kogia breviceps'')
쇠향고래(''Kogia breviceps'')는 꼬마향고래속에 속하는 향고래의 일종이다.3. 계통 분류
다음은 거테시 등(Gatesy et al..)의 계통 분류이다.[2]
{| class="wikitable"
|-
! 고래하목
|-
|
{| class="wikitable"
|-
! 수염고래
|-
|
{| class="wikitable"
|-
| † ''Janjucetus''
|-
|
{| class="wikitable"
|-
| 긴수염고래과
|-
|
{| class="wikitable"
|-
| 꼬마긴수염고래과
|-
|
귀신고래과![]() |
수염고래과 |
|}
|}
|}
|}
|-
! 이빨고래
|-
|
{| class="wikitable"
|-
|
꼬마향고래과 |
향고래과![]() |
|-
|
{| class="wikitable"
|-
| 남아시아강돌고래과
|-
|
{| class="wikitable"
|-
| 부리고래과
|-
|
{| class="wikitable"
|-
|
아마존강돌고래과 |
라플라타돌고래과![]() |
|-
! 참돌고래상과
|-
|
{| class="wikitable"
|-
| 참돌고래과
|-
|
쇠돌고래과 |
외뿔고래과![]() |
|}
|}
|}
|}
|}
|}
|}
3. 1. 상세 계통 분류
다음은 거테시 등(Gatesy et al..)의 계통 분류이다.[2]{| class="wikitable"
|-
! 고래하목
|-
|
{| class="wikitable"
|-
! 수염고래
|-
|
{| class="wikitable"
|-
| † ''Janjucetus''
|-
|
{| class="wikitable"
|-
| 긴수염고래과
|-
|
{| class="wikitable"
|-
| 꼬마긴수염고래과
|-
|
귀신고래과 |
수염고래과 |
|}
|}
|}
|}
|-
! 이빨고래
|-
|
{| class="wikitable"
|-
|
꼬마향고래과 |
향고래과 |
|-
|
{| class="wikitable"
|-
| 남아시아강돌고래과
|-
|
{| class="wikitable"
|-
| 부리고래과
|-
|
{| class="wikitable"
|-
|
아마존강돌고래과 |
라플라타돌고래과 |
|-
! 참돌고래상과
|-
|
{| class="wikitable"
|-
| 참돌고래과
|-
|
쇠돌고래과 |
외뿔고래과 |
|}
|}
|}
|}
|}
|}
|}
참조
[1]
간행물
MSW3 Cetacea
[2]
논문
A phylogenetic blueprint for a modern whale
https://www.montclai[...]
201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