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꼬마향고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마향고래는 향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몸길이 2.7m, 체중 250kg 정도로 작은 크기가 특징이다. 1853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짧은 주둥이, 왼쪽으로 기울어진 분기공, 정자 고래 기관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꼬마향고래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오징어, 심해어, 갑각류 등을 먹고 산다. 범고래와 상어에게 포식당하며, 해양 쓰레기 섭취, 어구 걸림, 선박 충돌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저위험 -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고래상과 - 꼬마향고래속
    꼬마향고래속은 꼬마향고래과에 속하는 이빨고래류의 속으로, 꼬마향고래와 쇠향고래 2종을 포함한다.
  • 향고래상과 - 쇠향고래
    쇠향고래는 꼬마향고래와 유사하지만 더 큰 이빨고래류로, 멜론, 자철광 결정, 뛰어난 반향 정위 능력을 가지며, 오징어, 문어 등을 섭취하는 멸종 위기종이다.
  • 인도양의 고래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인도양의 고래 - 남극밍크고래
    남극밍크고래는 남극해를 중심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수염고래로, 북방쇠정어리고래와는 다른 종이며, 일반 밍크고래와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크릴을 주식으로 하며,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고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대서양의 고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대서양의 고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꼬마향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평균적인 사람과 비교한 크기
크기 비교
학명Kogia sima
명명자Owen, 1866
한국어 이름꼬마향고래, 오가와꼬마고래
영어 이름Dwarf Sperm Whale
보존 상태취약근접
꼬마향고래 분포 지역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포유강
고래목
아목이빨고래아목
꼬마향고래과
꼬마향고래속
형태 및 크기
길이2 ~ 2.7m
무게136 ~ 272kg
생태 및 습성
서식지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먹이주로 두족류, 갑각류, 작은 물고기
진화
화석 기록플라이오세 ~ 현재 (360만 년 전 ~ 현재)
법적 보호
CITES부록 II
학명 이명

2. 분류

꼬마향고래 두개골


꼬마향고래의 최초 기준 표본은 1853년 박물학자 월터 엘리엇 경(Sir Walter Elliot)이 수집한 수컷과 암컷 두 개체이다. 엘리엇은 이 고래의 짧은 주둥이를 보고 일종의 돌고래로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고래 그림과 골격도를 생물학자 리처드 오웬에게 보냈고, 오웬은 1866년 발표한 논문에서 이 고래를 향고래과(Physeteridae)의 일종으로 분류했다. 오웬은 아래턱에만 기능적인 이빨이 있고, 분기공이 왼쪽으로 기울어진 비대칭 형태이며, 정자 고래 기관과 유사한 특징이 있다는 점을 근거로 삼았다. 그는 이 종을 향고래( ''Physeter macrocephalus'' ) 및 피그미향고래(현재 ''Kogia breviceps'' )와 같은 속인 ''Physeter''에 포함시키고, 아속으로 ''Euphysetes''를 두어 ''Physeter (Euphysetes) simus''라고 명명했다.[5][15] 종명 ''simus''는 라틴어로 "코가 뭉툭한"이라는 뜻으로, 뭉툭한 주둥이 모양에서 유래했다.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1846년에 ''Kogia'' 속을 만들었으나 그 의미를 명확히 밝히지는 않았다. 동물학자 프랭크 에버스 베다드는 1900년에 이 속명이 "과거 지중해에서 고래를 관찰했던 Cogia Effendi라는 성을 가진 터키인에게 헌정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7] ''Kogia'' 속명이 여성형 어미를 가지므로, 20세기 여러 학자들이 ''Kogia simus''라는 조합을 제안했을 때 남성형 종명 ''simus''는 여성형인 ''sima''로 변경되어야 했다.[15][6]

1871년, 포유류학자 테오도르 길은 향고래과(Physeteridae)를 향고래를 포함하는 Physeterinae 아과와 ''Kogia'' 및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Euphysetes''를 포함하는 Kogiinae 아과로 나누었다.[8] 이후 Kogiinae 아과는 독립된 과인 꼬마향고래과(Kogiidae)로 격상되었다.[9] 길은 또한 꼬마향고래를 별도의 속인 ''Calignathus''로 옮겨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1878년, 박물학자 제임스 헥터는 꼬마향고래를 피그미향고래(''K. breviceps'')와 같은 으로 보고 동의어 처리했다. 이후 오랫동안 두 종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다.

그러나 1936년 테이조 오가와 박사,[10] 1954년 연구자 무네사토 야마다,[11] 1966년 스미소니언 박물관의 동물학자 찰스 핸들리,[12] 1979년 포유류학자 그레이엄 제임스 베리 로스[13] 등의 연구를 통해 두 종의 차이가 밝혀졌다. 특히 1966년 핸들리의 연구 이후 꼬마향고래와 피그미향고래는 별개의 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1998년 해양 포유류 분류 검토에서 포유류학자 데일 라이스는 이러한 연구들을 인용하며 두 종을 구분했다.

2006년 유전자 검사 결과, 현재 ''Kogia sima''로 분류되는 꼬마향고래가 실제로는 대서양 개체군과 인도양-태평양 개체군이라는 두 개의 별도 종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희망봉 주변 해역이 이 두 개체군 사이의 지리적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14][20]

3. 형태

향고래(파란색), 꼬마향고래(녹색), 그리고 꼬마향고래(주황색)의 크기 비교


꼬마향고래 박물관 모형


사람과의 크기 비교


머리 부분의 모습


꼬마향고래는 몸길이가 2m에서 2.7m 사이이며, 몸무게는 136kg에서 272kg 사이이다. 이는 몸길이 4.25m, 몸무게 417kg인 향고래( ''Kogia breviceps'' )보다 작다.[17][15][16] 흔히 "고래"라고 불리는 종류 중 가장 작으며, 일부 "돌고래"보다도 작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길이가 약 1m이고 몸무게는 14kg이다. 수컷은 15세, 암컷은 13세에 신체적으로 성숙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몸길이가 2m에서 2.2m 사이에 도달한 후 발생하는 성적 성숙은 수컷의 경우 2~3년, 암컷의 경우 약 5년이 걸린다.[17][15][16] 임신 기간은 약 9.5개월 정도이다.[15]

꼬마향고래는 짙은 회색 또는 청회색을 띠며, 배 부분은 더 밝은 회색이다. 배쪽에는 노란색 정맥과 같은 띠 모양의 무늬가 보이기도 한다. 눈 뒤쪽(꼬리쪽)에는 반달 모양의 옅은 자국이 있는데, 이는 이 종의 특징적인 "가짜 아가미"라고 불리는 아가미와 비슷한 무늬이다. 어떤 개체는 어두운 점을 둘러싸는 옅은 고리 모양을 만들어 두 번째 반달 모양의 자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몸의 중앙 부분에 높은 등지느러미가 있고, 두 개 이상의 목구멍 홈이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짧지만 폭이 넓다.[20][17][19]

꼬마향고래속( ''Kogia'' )에 속하는 고래들은 머리가 사각형이고, 주둥이가 튀어나온 작은 아래턱, 튼튼한 몸을 가지고 꼬리 쪽으로 급격히 가늘어지는 돌고래와 같은 체형을 가지고 있다. 현존하는 고래 중에서 가장 짧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향고래과의 특징으로, 왼쪽 콧구멍이 오른쪽 콧구멍보다 현저하게 크고, 두개골에 정자고래 기관이 있다.[17] 뇌의 무게는 약 0.5kg이다.[18] 눈은 저조도 환경에 적응되어 있다. 아래턱은 작고, 위턱 쪽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 아래턱에는 14~24개(드물게 26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길고 날카로우며 약간 뒤로 굽어 있고, 다른 향고래과 고래들처럼 에나멜이 없다. 이빨은 길이가 30mm를 넘는 경우가 드물며, 향고래의 이빨보다 작다. 위턱에는 최대 6개의 이빨이 있을 수 있지만, 현대 향고래과 고래에서는 위턱 이빨이 기능하지 않는다.[17]

꼬마향고래속 고유의 특징으로, 항문 근처의 소장에서 늘어져 초콜릿 시럽과 비슷한 짙은 적갈색 액체로 채워진 주머니가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 액체를 방출한다. 꼬마향고래는 50~57개의 척추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7개의 경추, 12~14개의 흉추, 29개 또는 35~37개의 요추로 구성된다. 이러한 척추 수의 변동은 표본을 준비하는 동안 뼈가 손실되거나 개체 간의 차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성적 이형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19]

같은 꼬마향고래속에 속하는 향고래( ''Kogia breviceps'' )와는 외모가 비슷할 뿐만 아니라, 행동 면에서도 유사점이 많다. 두 종의 식별은 가까이서 관찰하지 않으면 어려운데, 꼬마향고래 쪽이 향고래보다 약간 작고, 등지느러미는 몸길이에 비해 크며, 향고래보다 약간 앞쪽(머리 쪽)에 위치하고 등은 더 평평하다는 차이가 있다.[20][17][19]

4. 생태

가늘꼬리보석오징어(''Histioteuthis reversa'')는 흔한 먹이 중 하나이다.


꼬마향고래는 원양에서 활동하는 포식자이다. 좌초된 개체의 위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주된 먹이는 오징어이며, 그 다음으로는 심해어(중층어 및 심해저어)와 갑각류 순이다. 특히 하와이에 서식하는 개체들의 식단에서는 갑각류가 최대 15%까지 차지하는 등 중요한 비중을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위 내용물 분석 결과, 눈먼오징어과 유리 오징어과, 특히 긴보석오징어(Histioteuthis reversa)와 ''타오니우스'' 속 오징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꼬마향고래는 흡입 섭식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두에 있는 홈과 잘 발달된 인두 근육은 입의 부피를 늘려 먹이를 빨아들이는 데 도움을 주는 적응으로 여겨지며, 이는 이빨고래 아목 중 가장 발달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뭉툭한 주둥이, 이빨 부족, 축소된 턱 등은 다른 흡입 섭식 이빨고래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먹이를 삼킬 때는 날카로운 아래턱 이빨을 사용하여 먹이를 붙잡고 입안의 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것으로 추정된다.[23]

새끼 꼬마향고래는 몸길이가 약 1.35m에 도달하면 고형식을 먹기 시작하지만, 약 1.5m 크기가 될 때까지는 완전히 젖을 떼지 않는다. 어미는 일반적으로 새끼가 태어난 후 약 18~20개월까지 젖을 먹이는 것으로 보인다.[15]

꼬마향고래의 브리칭 모습. 드물게 관찰된다.


꼬마향고래는 일반적으로 느리게 움직이며, 빠르게 수면 위로 솟구치는 행동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수면에 떠오를 때는 목덜미와 등지느러미만 내놓고 조용히 있으며, 잠수할 때도 향유고래처럼 꼬리를 수면 위로 들어 올리지 않고 수직으로 가라앉아 물보라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17] 이러한 조심스러운 행동 때문에 해상이 잔잔하지 않으면 관찰하기 어렵다.

꼬마향고래는 주로 단독으로 생활하거나 1~4마리의 작은 무리를 이루지만, 때로는 최대 10마리까지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먹이 자원이 제한적이거나 포식자를 피하기 위한 전략일 수 있다.[20][25][26] 돌고래처럼 수백 마리의 큰 무리를 이루어 포식에 대응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이다. 계절에 따라 먹이인 오징어 떼의 이동을 따라 여름에는 먼바다로, 겨울에는 연안 가까이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오징어를 몰아넣거나 사냥 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용승이 발생하는 대륙사면과 같은 경사진 해저 지형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다.[20][25][26] 어린 개체는 비교적 얕은 곳에, 성체는 더 깊은 곳에 모이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주변 해역의 경사 지형은 번식 장소일 가능성도 제기된다.[15]

향유고래과의 향유고래나 같은 꼬마향고래과의 피그미향고래처럼 머리 부분에 경랍이라는 기름 성분 조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위협을 느끼면 장 속에 있는 주머니에서 붉은 갈색의 액체를 분출하는 독특한 방어 행동을 보인다. 이는 마치 오징어가 먹물을 뿜는 것처럼 포식자의 시야를 가리고 혼란스럽게 만들어 도망갈 시간을 벌기 위한 행동으로 생각되며, 이 액체 구름은 물속에서 100m2 넓이까지 퍼질 수 있다.[17]

꼬마향고래는 다른 고래들과 달리 휘파람 소리를 내지 않고, 대신 협대역 고주파수의 클릭음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거나 주변 환경을 파악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클릭음은 시계돌고래(*Sagmatias cruciger*), 헥터돌고래(*Cephalorhynchus hectori*), 칠레돌고래(*Cephalorhynchus eutropia*), 커머슨돌고래(*Cephalorhynchus commersonii*), 상괭이(*Neophocaena phocaenoides*), 달돌고래(*Phocoenoides dalli*)와 같은 일부 돌고래 및 쇠돌고래 종의 소리와 유사하며, 부리고래나 향유고래와 같은 다른 심해 잠수 고래들의 소리와는 구별된다. 꼬마향고래가 내는 소리의 최대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130 kHz 미만이다.[27]

해상에서 직접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로 해안으로 밀려와 좌초된 개체를 통해 연구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생태적 정보가 많다.

4. 1. 분포 및 서식지

코모로 인근 해상에서 촬영된 꼬마향고래 무리.


꼬마향고래는 전 세계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걸쳐 분포하며, 주로 대륙붕대륙사면 지역에 서식한다.[20] 피그미향고래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본적으로 외양성이지만, 향고래보다는 연안 쪽에 더 가깝게 서식하며, 특히 대륙붕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꼬마향고래는 심해 잠수 능력을 지닌 고래로, 잠수 깊이는 서식하는 지역의 해양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하마에서 수행된 연구에서는 평균 잠수 깊이가 약 250m로 측정되었으나, 하와이와 같이 더 깊은 수심의 해역에서는 약 1500m까지 잠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5]

꼬마향고래의 구체적인 분포 범위는 다음과 같다.[17]

전 세계적인 개체 수에 대한 정확한 추정치는 아직 없다. 특정 해역에서 개체 수 조사가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꼬마향고래와 피그미향고래는 외형상 구별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발표된 추정치는 종종 두 종의 개체 수를 합산한 값이다. 예를 들어, 북대서양 해역에서는 약 3,785마리,[21]태평양 해역에서는 약 11,200마리로 추정되는데, 이 수치들은 두 종을 포함한 결과이다.[15]

꼬마향고래는 바다에서는 좀처럼 관찰하기 힘든 종이지만, 해변으로 밀려와 좌초되는(stranding) 경우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심해 잠수 고래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꼬마향고래에 대한 생태학적 정보의 상당 부분은 좌초된 개체를 연구함으로써 얻어진다.[20] 좌초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주요 보고 지역은 다음과 같다.


4. 2. 위협 요인

범고래(*Orcinus orca*)와 상어는 꼬마향고래의 주요 포식자로 알려져 있다.[25][22] 실제로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의 위에서 꼬마향고래의 사체가 발견된 사례가 있으며, 해안으로 밀려온 개체에서 발견된 조충 (*Phyllobothrium delphini*) 감염은 이 조충이 상어 몸속에서 성숙하는 특성상 상어의 공격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5]

꼬마향고래는 먹이인 오징어를 두고 부리고래와 같은 다른 고래류와 종간 경쟁을 벌인다. 특히 근연종인 피그미향고래와 같은 생태적 지위를 공유하지만, 피그미향고래는 더 깊은 바다에서 서식하며 더 크고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차이가 있다.[25][22]

해안가로 밀려와 폐사한 일부 개체에서는 심각한 기생충 감염이 확인되기도 했는데, 위에서는 선충이, 지방에서는 촌충이 다량 발견되었다. 미국 남동부 해안에서 좌초된 꼬마향고래의 경우 심부전으로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심부전 자체가 좌초의 원인이 되었을 수도 있다.[15][24]

꼬마향고래는 위협을 느끼면 항문 근처에서 붉은 액체를 분비하는 독특한 방어 기제를 가지고 있다. 이 액체는 포식자의 시야를 가리고 혼란스럽게 만드는 구름을 형성하여, 그 사이 꼬마향고래가 깊은 바다로 잠수하여 도망갈 시간을 벌어준다.

본래 깊은 바다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인간 활동의 영향권에 더 자주 노출되고 있다. 일본 남부 해안과 인도네시아에서는 어업 활동 중 그물에 우연히 걸리는 혼획 사례가 있으며, 이렇게 잡힌 개체는 시장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또한 해양 오염, 플라스틱과 같은 해양 쓰레기 섭취, 선박과의 충돌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한 다양한 건강 위험에 직면해 있다.

전 세계적인 정확한 개체 수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동태평양 지역에는 약 11,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IUCN의 레드 리스트에는 '관심 필요'(LC, Least Concern)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과거 일본이나 인도네시아에서는 상업적 포경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 현재 일본은 꼬마향고래 포획을 중단한 상태이다.

근연종인 피그미향고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안 가까이에 서식하는 경향 때문에 포경, 혼획, 선박 충돌, 해양 쓰레기 섭취 등의 위협에 더 쉽게 노출될 수 있으며, 화학 물질로 인한 오염의 영향도 받기 쉬울 것으로 우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꼬마향고래 개체군의 장기적인 생존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5. 인간과의 관계

꼬마향고래는 인도네시아, 일본, 스리랑카, 소앤틸리스 제도 등 일부 지역에서 식용이나 미끼로 사용하기 위해 사냥되기도 하지만, 이것이 주요한 활동은 아니다. 오히려 꼬마향고래에게 더 큰 위협이 되는 것은 해양 쓰레기를 먹거나 어구에 걸리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협이 실제로 얼마나 심각한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28][15] 현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꼬마향고래의 보전 상태를 자료 부족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추후 관심 없음으로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3]

꼬마향고래는 국제적인 보호 노력의 대상이기도 하다.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17]과 흑해, 지중해 및 대서양 인접 지역의 고래류 보존 협약(ACCOBAMS)[29]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또한, 서아프리카 수생 포유류 양해 각서(West African Aquatic Mammals MoU)[30]와 태평양 섬 고래류 양해 각서(Pacific Cetaceans MoU)[31]의 보호 대상에도 포함되어 있다.

6. 보존 상태

꼬마향고래는 인도네시아, 일본, 스리랑카, 소앤틸리스 제도 등 일부 지역에서 식용 또는 미끼로 사용하기 위해 사냥되기도 하지만, 이것이 주요한 위협 활동은 아니다. 과거 일본이나 인도네시아에서는 상업적 포경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 최근 일본은 포획을 중단한 상태이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해양 쓰레기 섭취와 어구에 걸리는 것 등이 지목되지만, 이러한 위협이 개체군에 미치는 정확한 심각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8][15] 꼬마향고래는 다른 고래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안 가까이 서식하는 경향이 있어, 포경 외에도 혼획, 선박과의 충돌, 쓰레기 오염, 화학 물질 축적 등의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꼬마향고래의 지속적인 생존에 구체적으로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전체 생존 개체 수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으나, 동태평양 지역에서는 약 11,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현재 꼬마향고래의 보전 상태를 자료 부족(Data Deficient, DD)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아직 충분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의미이며, 향후 연구 결과에 따라 최소 관심종(Least Concern, LC)으로 재평가될 가능성도 있다.[3]

꼬마향고래는 여러 국제 협약을 통해 보호받고 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부속서에 포함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되며[17], 흑해, 지중해 및 대서양 인접 지역의 고래류 보존 협약(ACCOBAMS)을 통해서도 보호받고 있다.[29] 또한, 지역적 보호 조치로 서아프리카 수생 포유류 양해 각서[30]와 태평양 섬 고래류 양해 각서[31]의 보호 대상종 목록에도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fossilworks Kogia sima 2024-03-08
[2] Cetacea
[3] iucn Kogia sima 2020
[4]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5] journal On some Indian Cetacea collected by Walter Elliot, Esq https://zenodo.org/r[...]
[6] book Marine Mammal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http://www.marinemam[...]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7] book A Book of Whales https://archive.org/[...] London, J. Murray; New York, G.P. Putnam's Sons
[8] journal The Sperm Whales, Giant and Pygmy
[9] WoRMS Kogiidae 2018-08-06
[10] journal Studien über die Zahnwale in Japan
[11] journal Some Remarks on the Pygmy Sperm Whale, Kogia https://www.icrwhale[...]
[12] book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book Records of Pygmy and Dwarf Sperm Whales, Genus Kogia, from Southern Africa, with Biological Notes and Some Comparisons Cape Provincial Museums
[14] journal Genetic Variation of Kogia spp. with Preliminary Evidence for Two Species of Kogia sima
[15] thesis The Status and Natural History of Pygmy (Kogia breviceps) and Dwarf (K. sima) Sperm Whales off Southern Africa https://core.ac.uk/d[...] Rhodes University 2004-01
[16] journal Kogia simus http://www.science.s[...] 2013-08-01
[17] journal Status of the dwarf sperm whale, Kogia simus, with special reference to Canada http://whitelab.biol[...]
[18] journal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the brain of a dwarf sperm whale (Kogia simus)
[19] journal First records of dwarf sperm whale (Kogia sima) from the Union of the Comoros
[20] book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21] tech report US Atlantic and Gulf of Mexico Marine Mammal Stock Assessments - 2016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16-06
[22] journal Foraging ecology and niche overlap in pygmy (Kogia breviceps) and dwarf (Kogia sima) sperm whales from waters of the U.S. mid‐Atlantic coast
[23] journal Feeding Kinematics of Kogia and Tursiops (Odontoceti: Cetacea): Characterization of Suction and Ram Feeding
[24] journal Cardiomyopathy in Stranded Pygmy and Dwarf Sperm Whales
[25] journal Temporal Variation in Dwarf Sperm Whale (Kogia sima) Habitat Use and Group Size off Great Abaco Island, the Bahamas
[26] journal Notes on the confirmation of the Dwarf sperm whale Kogia sima Owen, 1866 (Cetacea: Kogiidae) on Venezuelan coasts http://www.bioline.o[...] 2008
[27] journal Clicks of Dwarf Sperm Whales (Kogia sima)
[28] book 2002–2010 Conservation Action Plan for the World's Cetaceans http://iucn-csg.org/[...] IUCN/SSC Cetacean Specialist Group: Dolphins, Whales and Porpoises
[29]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Cetaceans in the Black Sea, Mediterranean Sea and Contiguous Atlantic Area http://www.accobams.[...] 2018-08-13
[30] 웹사이트 Kogia sima https://www.cms.int/[...]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31] 웹사이트 Diversity Database http://www.pacificce[...] Pacific Cetaceans Memorandum of Understanding
[32] 저널 인용 Kogia sima http://www.iucnredli[...] IUCN 2012
[33] Cetac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