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꼭지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꼭지근은 심장의 좌심실과 우심실에 위치한 근육으로, 힘줄끈을 통해 방실판막에 연결되어 심실 수축 시 방실판막이 심방으로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좌심실에는 두 개의 꼭지근이, 우심실에는 세 개의 꼭지근이 존재하며, 각 꼭지근은 특정 관상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다. 심근 경색이나 외상으로 인해 꼭지근이 파열되거나 기능 이상이 발생하면 승모판 역류를 악화시킬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장해부학 - 승모판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혈액의 흐름을 조절하는 심장 판막으로, 두 개의 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심장 초음파 검사 등으로 진단하며 수술적 치료 등을 시행한다.
  • 심장해부학 - 대동맥
    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동맥으로,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흉부 및 복부 대동맥으로 이어지며, 혈관벽은 세 층으로 구성되어 혈압 유지와 맥파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꼭지근
개요
꼭지근
심장의 오른쪽 내부 모습. 꼭지근은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음.
열린 심장과 흉벽 앞면의 관계도
열린 심장과 흉벽 앞면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삼첨판의 앞쪽 부분.
대동맥
앞꼭지근.
팔머리동맥 (무명동맥)
왼온목동맥
왼빗장밑동맥
좌심실
폐동맥
우심방
우심실
심실사이막
상세 정보
라틴어musculus papillaris
구조
위치심실
기능
작용방해
길항근없음
참고 문헌
참고 문헌Moore KL, Dalley AF, Agur AM, Clinically Oriented Anatomy, 3rd판,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92, 94쪽, ISBN 978-0-7817-6274-8.
Fung, Yuan-Cheng, BIOMECHANICS, SHOCK, 9 (2): 155, doi:10.1097/00024382-199802000-00018, ISSN 1073-2322.

2. 구조

심장에는 총 5개의 꼭지근이 있으며, 우심실에 3개, 좌심실에 2개가 존재한다.[16][17][2][8] 우심실의 꼭지근은 앞꼭지근, 뒤꼭지근, 사이막꼭지근(septal papillary muscleeng)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힘줄끈을 통해 삼첨판에 붙어 판막을 지지한다.[16][17][2][8] 좌심실의 꼭지근은 앞가쪽꼭지근(anterolateral papillary muscleeng)과 뒤안쪽꼭지근(posteromedial papillary muscleeng)으로 나뉘며, 역시 힘줄끈을 통해 승모판에 붙어 판막을 지지한다.[16][17][2][8]

2. 1. 혈액 공급

좌심실의 승모판에 연결된 꼭지근은 크게 앞가쪽 꼭지근과 뒤안쪽 꼭지근으로 나뉜다.[18][3][9] 각 꼭지근의 혈액 공급원은 다음과 같다.

꼭지근 종류주요 혈액 공급 동맥
앞가쪽 꼭지근왼앞내림동맥(LAD)의 대각가지
왼휘돌이동맥(LCX)의 왼모서리가지[18][3][9]
뒤안쪽 꼭지근오른관상동맥(RCA)의 뒤심실사이동맥[18][3][9]



뒤안쪽 꼭지근은 앞가쪽 꼭지근과 달리 단 하나의 동맥(뒤심실사이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다.[18][3] 이러한 단일 혈액 공급 구조 때문에 혈류 공급에 문제가 생길 경우(예: 오른관상동맥 폐쇄) 허혈성 손상이나 파열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다.[18][3][10] 실제로 꼭지근 파열은 뒤안쪽 꼭지근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18]

3. 기능

우심실과 좌심실의 꼭지근은 모두 심실 수축기 직전에 수축을 시작하여 수축기 동안 긴장을 유지한다.[14][1][11] 이 긴장은 심실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방실판막이 심방 쪽으로 밀려나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14][1][11] 이를 통해 심실 혈액이 심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14][1]

4. 임상적 중요성

심근 경색이나 허혈과 같은 심장 질환은 꼭지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근 경색이 발생하면 꼭지근이 파열될 수 있으며, 허혈 상태에서는 꼭지근의 기능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19][4][12] 드물지만, 갑작스러운 감속이나 심장에 가해지는 압박과 같은 외상으로 인해 꼭지근이 파열되는 경우도 있다.[4] 이러한 꼭지근의 손상은 심장 판막 중 하나인 승모판이 제대로 닫히지 못하게 하여 혈액이 역류하는 승모판 역류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19][5][12] 이는 심장 기능에 부담을 주어 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5. 추가 이미지

꼭지근과 힘줄끈.


꼭지근과 힘줄끈.


깊은 곳까지 해부하여 꼭지근이 보이게 한 사진.

참조

[1]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 문서 Netter's Atlas of Human Anatomy, plates 216B and 217A
[3] 간행물 Rupture of the Posteromedial Papillary Muscle Leading to Partial Flail of the Anterior Mitral Leaflet 2011-03-07
[4] 간행물 Traumatic papillary muscle rupture https://linkinghub.e[...] 2001-07
[5] 서적 Step-Up to Medicine (Step-Up Serie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7] 간행물 BIOMECHANICS https://doi.org/10.1[...] 1998-02
[8] 문서 Netter's Atlas of Human Anatomy, plates 216B and 217A
[9] 간행물 Rupture of the Posteromedial Papillary Muscle Leading to Partial Flail of the Anterior Mitral Leaflet 2011-03-07
[10] 간행물 Rupture of the Posteromedial Papillary Muscle Leading to Partial Flail of the Anterior Mitral Leaflet 2011-03-07
[11]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12] 서적 Step-Up to Medicine (Step-Up Serie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 웹사이트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14]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15] 저널 BIOMECHANICS 1998-02
[16] 문서 Netter's Atlas of Human Anatomy, plates 216B and 217A
[17] 서적 Anatomy, Thorax, Heart Papillary Muscles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18] 저널 Rupture of the Posteromedial Papillary Muscle Leading to Partial Flail of the Anterior Mitral Leaflet 2011-03-07
[19] 서적 Step-Up to Medicine (Step-Up Serie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