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승모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엽(전방 엽, 후방 엽)으로 구성된 심장 판막이다. 승모판은 혈액이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흐르도록 열리고, 좌심실이 수축할 때 닫혀 혈액의 역류를 막는 역할을 한다. 승모판 협착증, 승모판 탈출증, 승모판 폐쇄 부전증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장 초음파 검사, 청진 등을 통해 진단한다.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 등이 있다. "mitral"이라는 단어는 주교관과 같은 모양을 의미하며, "bicuspid"는 두 개의 엽 모양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장판막 - 삼첨판
    삼첨판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한 심장 판막으로, 세 개의 판첨으로 구성되어 혈액이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조절하며, 심한 경우 우심실 부하를 초래할 수 있고,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경피적 치환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 심장판막 - 대동맥 판막
    대동맥판은 심장의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여 혈액의 흐름을 조절하며, 기능 부전 시 심부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복원술 또는 치환술로 치료한다.
  • 심장해부학 - 대동맥
    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동맥으로,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흉부 및 복부 대동맥으로 이어지며, 혈관벽은 세 층으로 구성되어 혈압 유지와 맥파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심장해부학 - 심방
    심방은 심장의 4개의 방 중 위쪽에 위치한 두 개의 방으로, 우심방은 산소가 제거된 혈액을 받아 우심실로 보내고 좌심방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받아 좌심실로 보내며, 심방 기능 이상은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승모판
개요
사람 심장의 다이어그램 (크롭됨).
앞쪽(정면)에서 본 열린 심장의 다이어그램. 흰색 화살표는 정상적인 혈액 흐름을 나타낸다 (가운데 오른쪽에 승모판막이 표시됨).
심방 제거 후 노출된 심실 기저부.
심방 제거 후 노출된 심실 기저부 (아래쪽 왼쪽에 이첨판(승모판)이 보인다. 아래쪽 오른쪽에는 삼첨판이 보인다).
라틴어valva atrioventricularis sinistra, valva mitralis, valvula bicuspidalis
영어mitral valve
상세 정보
위치심장,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기능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혈액이 흐르도록 하고,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의 역류를 방지

2. 구조

전방 엽의 파열로 인한 승모판의 수술적 시야


3D Medical Animation still shot of Mitral Valve Prolapse
승모판 탈출증의 3D 의료 애니메이션 스틸 샷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좌심장에 위치하며, 면적은 4cm2에서 6cm2이다.[5] 승모판은 전방 첨판과 후방 첨판, 두 개의 첨판을 가지고 있다.[6]

2. 1. 첨판 (Leaflets)

승모판은 승모륜이라고 하는 섬유성 고리로 둘러싸여 있으며, 전방 첨판과 후방 첨판의 두 개의 첨판을 가지고 있다.[6] 전방 첨판은 승모륜 원주의 3분의 1에 부착되고, 후방 첨판은 원주의 나머지 3분의 2에 부착된다. 전방 첨판은 후방 첨판보다 더 두껍고 뻣뻣하며,[6] 밸브의 약 3분의 2를 덮는다. 대동맥 구멍과 승모판 사이에 위치한다.[6] 전방 엽이 고리의 더 큰 부분을 차지하고 더 높이 솟아 있지만, 후방 엽은 더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다.

301x301px


카펜티에 분류법에 따르면 승모판의 후방 및 전방 잎은 각각 8개의 분절로 나뉜다. P3(내측 엽), P2(중간 엽), P1(외측 엽), A3(전내측 분절), A2(전내측), A1(전외측), PMC(후내측 연합), ALC(전외측 연합).[7] 승모판 잎의 두께는 보통 약 1mm이지만 때로는 3mm~5mm 범위일 수 있다.[7][8]

승모판은 앞첨과 뒤첨이라고 불리는 두 개의 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삼첨판, 대동맥판, 폐동맥판과 같이 심장에 있는 다른 세 개의 판막이 모두 세 개의 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특징적이다. 이 때문에 이첨판이라고도 불린다.

판막의 끝은 좌심실 쪽에 있으며, 끝에서 끈 모양의 건삭이 나와 심실벽의 유두근과 연결되어 있다. 판막은 좌심실 쪽으로 열리지만, 닫힐 때에는 판막이 좌심방 쪽으로 반전되지 않도록 유두근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건삭의 긴장을 일으킨다.

2. 2. 건삭 (Chordae tendineae)

판막 잎은 건삭의 작용에 의해 좌심방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건삭은 한쪽 끝은 좌심실의 유두근에, 다른 쪽은 판막 첨에 부착된 비탄성 힘줄이다. 유두근은 좌심실 벽에서 뻗어 나온 손가락 모양의 돌출부이다.

심장의 왼쪽 부분. 승모판과 건삭(chordae tendinae)이 흰색 끈으로 보인다. 이들은 근육질의 심실에 부착된 유두근과 연결되어 있다.




좌심실이 수축하면 심실의 압력으로 판막이 닫히고, 힘줄은 판막 잎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여 판막이 잘못된 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따라서 혈액이 좌심방으로 다시 흐르는 것을 방지). 각 건삭은 두께가 다르다. 가장 얇은 건삭은 자유 판막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으며, 가장 두꺼운 건삭(지주 건삭)은 자유 가장자리에서 더 멀리 떨어져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수축기 스트레스 분포 생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9]

판막의 끝은 좌심실 쪽에 있으며, 끝에서 끈 모양의 건삭이 나와 심실벽의 유두근과 연결되어 있다. 판막은 좌심실 쪽으로 열리지만, 닫힐 때에는 판막이 좌심방 쪽으로 반전되지 않도록 유두근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건삭의 긴장을 일으킨다.

2. 3. 승모판륜 (Annulus)

승모판륜은 승모판 엽에 부착된 섬유 고리이다. 인공 심장 판막과 달리 연속적이지 않다. 승모판륜은 안장 모양이며 심장 주기 동안 모양이 변화한다.[10] 륜은 수축기 동안 수축하여 표면적을 줄여 엽이 완전히 닫히도록 돕는다. 륜의 확장은 엽이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게 하여 기능적 승모판 역류를 유발할 수 있다.[11]

정상적인 승모판륜의 직경은 2.7cm에서 3.5cm이며, 둘레는 8cm에서 9cm이다. 현미경적으로 승모판엽이 후방 대동맥 뿌리와 인접한 앞쪽에는 고리 구조의 증거가 없다.[12]

3. 기능

좌심실 이완기 동안, 심실 심근의 이완으로 인해 좌심실의 압력이 감소한 후, 승모판이 열리고 혈액은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이동한다. 승모판을 통과하는 혈액의 약 70~80%는 좌심실의 ''초기 충만기'' 동안 발생한다. 이 초기 충만기는 심실 심근의 활성 이완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좌심방에서 승모판을 통해 혈액이 빠르게 흐르도록 하는 압력 구배를 유발한다. 승모판을 통한 이러한 초기 충만은 승모판의 도플러 심장초음파에서 ''E 파''로 나타난다.

E 파 이후, 심실의 느린 충만 기간이 있다.

좌심방 수축 (좌심방 수축)(좌심실 이완기 동안)으로 인해 좌심실 수축 직전에 추가적인 혈액이 승모판을 통해 흐른다. 열린 승모판을 통한 이 후기 흐름은 승모판의 도플러 심장초음파에서 ''A 파''로 나타난다. 좌심실의 후기 충만은 심실 수축 전에 좌심실의 부피에 약 20%를 기여하며, 이를 ''심방 박출''이라고 한다.

승모판 륜


승모판 륜은 심장 주기 동안 모양과 크기가 변한다. 이는 좌심방이 수축하여 조이는 괄약근과 같이 심방 수축 말기에 더 작아진다. 심방 수축 말기에 륜의 크기가 이렇게 감소하는 것은 좌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을 펌핑할 때 승모판의 판막이 적절하게 닫히는 데 중요할 수 있다.[13] 판막 누출은 적절한 판막 조정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흔한 수술 절차인 승모판 륜성형술로 교정할 수 있다.

승모판은 좌심방이 수축함과 동시에 열려 좌심실로 혈액을 보내고, 좌심실이 수축함과 동시에 닫혀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작용한다.

4. 임상적 의의

승모판에는 여러 판막 심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승모판 협착증은 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정상적으로 들리지 않는 개구 찰칵음이 들릴 수 있다.

승모판 탈출증은 결합 조직 과다 생성으로 발생하며, 판막의 스펀지층을 두껍게 하고 섬유층에서 콜라겐 묶음을 분리시킨다. 이로 인해 판막과 인접 조직이 약화되어 판막 면적이 증가하고 건삭이 길어진다. 건삭이 늘어나면 파열될 수 있으며, 주로 후부 판막에 부착된 건삭에서 발생한다. 진행된 병변은 후부 엽을 포함하여 엽의 접힘, 반전 및 좌심방으로의 변위를 유발한다.[14]

판막 탈출은 승모판 폐쇄 부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판막이 불완전하게 닫혀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는 현상이다. 심장 꼭대기에서 수축기 잡음이 들리며, 좌심방과 폐 순환의 압력 증가로 인해 피로, 호흡 곤란, 심방 세동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5]

류마티스성 심장 질환은 종종 승모판에 영향을 미치며, 감염성 심내막염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천성 심장 이상과 관련된 몇 가지 희귀한 형태의 선천성 승모판 질환이 있다. 낙하산 승모판은 승모판의 모든 건삭이 비정상적으로 단일 (또는 융합된) 유두근에 부착될 때 발생한다. 승모판 걸침은 승모판의 건삭 부착부가 심실 중격 결손(VSD)을 가로지르거나 통과하여 건삭이 심실 중격의 양쪽에서 시작될 때 발생한다. 승모판 무형성은 매우 드물며, 승모판 엽 두 개 모두 없거나(완전 무형성) 최소한으로 존재하거나, 엽 하나만 있는(부분 무형성) 경우로 정의된다.[16]

손상된 판막은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덜 침습적인 방법은 좁아진 판막을 열기 위해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는 승모판 성형술이다. Lawrie 기법은 수리할 수 있는 판막 조직이 적은 환자에게 적합하며, 손상되었거나 약한 판막 엽을 가질 수 있다. Lawrie 기법 동안 인공 천 건삭을 사용하여 판막을 수리하므로 수리 과정에서 기존 판막 엽과 건삭을 보존한다.[17]

드물게 승모판륜 석회화가 심각한 형태로 발생하여 심장 내 덩어리나 혈전으로 오인될 수 있다.[18]

승모판 질환은 엽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는 Carpentier 분류를 사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I형은 정상적인 엽의 움직임에 해당한다. 판막 질환은 역류의 원인에 따라 일차성 승모판 역류 또는 이차성 승모판 역류로 분류된다. II형은 엽 탈출로 이어지는 과도한 엽의 움직임에 해당하며, 바를로우병, 점액성 변성, 염증 및 유두근 파열 등이 원인이다. III형은 엽의 제한적인 움직임에 해당하며, IIIa형은 수축기와 이완기 모두, IIIb형은 수축기에만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인다.[19]

4. 1. 질환

승모판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판막 심장 질환이 있다. 승모판 협착증은 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이는 정상적으로는 들리지 않는 심장 소리인 개구 찰칵음으로 들릴 수 있다.

전형적인 승모판 탈출증은 결합 조직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발생하며, 이는 판막의 스펀지층을 두껍게 하고 섬유층에서 콜라겐 묶음을 분리시킨다. 이로 인해 판막과 인접 조직이 약화되어 판막 면적이 증가하고 건삭이 길어진다. 건삭이 늘어나면 종종 파열되는데, 주로 후부 판막에 부착된 건삭에서 발생한다. 진행된 병변은 후부 엽을 포함하여 엽의 접힘, 반전 및 좌심방으로의 변위를 유발한다.[14]

판막 탈출은 승모판 폐쇄 부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판막이 불완전하게 닫혀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는 현상이다. 심장 꼭대기에서 수축기 잡음이 들린다. 좌심방과 폐 순환의 압력 증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로, 호흡 곤란, 심방 세동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15]

류마티스성 심장 질환은 종종 승모판에 영향을 미친다. 판막은 감염성 심내막염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천성 심장 이상과 관련된 몇 가지 희귀한 형태의 선천성 승모판 질환이 있다. 낙하산 승모판은 승모판의 모든 건삭이 비정상적으로 단일 (또는 융합된) 유두근에 부착될 때 발생한다. 승모판 걸침은 승모판의 건삭 부착부가 심실 중격 결손(VSD)을 가로지르거나 통과하여 건삭이 심실 중격의 양쪽에서 시작될 때 발생한다. 승모판 무형성은 매우 드물며, 승모판 엽 두 개 모두 없거나(완전 무형성) 최소한으로 존재하거나, 엽 하나만 있는(부분 무형성) 경우로 정의된다.[16]

손상된 판막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덜 침습적인 방법은 좁아진 판막을 열기 위해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는 승모판 성형술이다. 또는, Lawrie 기법은 수리할 수 있는 판막 조직이 적은 환자에게 적합하며, 손상되었거나 약한 판막 엽을 가질 수 있다. Lawrie 기법 동안 인공 천 건삭을 사용하여 판막을 수리하므로 수리 과정에서 기존 판막 엽과 건삭을 보존한다.[17]

드물게 승모판륜 석회화가 심각한 형태로 발생하여 심장 내 덩어리나 혈전으로 오인될 수 있다.[18]

승모판 질환은 엽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는 Carpentier 분류를 사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I형은 정상적인 엽의 움직임에 해당한다. 반면, 판막 질환은 역류의 원인에 따라 일차성 승모판 역류 또는 이차성 승모판 역류로 분류된다. II형은 엽 탈출로 이어지는 과도한 엽의 움직임에 해당한다.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바를로우병, 점액성 변성, 염증 및 유두근 파열 등이 있다. III형은 엽의 제한적인 움직임에 해당한다. IIIa형은 수축기와 이완기 동안 제한적인 움직임에 해당한다. IIIb형은 수축기 동안 제한적인 움직임에 해당한다.[19]

  • 승모판 탈출증(MVP)
  • 승모판 협착증(MS)
  • 승모판 폐쇄 부전증(MR)

4. 2. 진단

승모판과 삼첨판이 닫히면서 나는 소리는 제1 심음(S1)을 구성하며, 청진기로 들을 수 있다. 소리를 내는 것은 밸브 자체가 닫히는 것이 아니라 승모판과 삼첨판이 닫힐 때 혈류가 갑작스럽게 멈추는 것이다. 승모판과 관련된 이상은 청진으로 들을 때 종종 감지될 수 있다.

승모판은 밸브의 크기, 해부학적 구조 및 혈류를 보여줄 수 있는 심장 초음파 검사를 사용하여 자주 검사한다.

4. 3. 치료

승모판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판막 심장 질환이 있다. 승모판 협착증은 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개구 찰칵음이라는 비정상적인 심장 소리가 들릴 수 있다. 승모판 탈출증은 결합 조직이 과도하게 많아져 발생하며, 판막이 두꺼워지고 약해져 판막 면적이 증가하고 건삭이 길어진다. 건삭이 늘어나면 파열될 수 있으며, 주로 후부 판막에 부착된 건삭에서 발생한다. 진행된 병변은 후부 엽을 포함하여 엽의 접힘, 반전 및 좌심방으로의 변위를 유발한다.[14]

판막 탈출은 승모판 폐쇄 부전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판막이 불완전하게 닫혀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이다. 심장 꼭대기에서 수축기 잡음이 들리며, 좌심방과 폐 순환의 압력 증가로 인해 피로, 호흡 곤란, 심방 세동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5]

류마티스성 심장 질환도 승모판에 자주 영향을 미치며, 감염성 심내막염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다른 선천성 심장 이상과 관련된 희귀한 형태의 선천성 승모판 질환도 있다. 낙하산 승모판은 승모판의 모든 건삭이 비정상적으로 단일 유두근에 부착될 때 발생한다. 승모판 걸침은 승모판의 건삭 부착부가 심실 중격 결손을 가로지를 때 발생한다. 승모판 무형성은 매우 드물며, 승모판 엽 두 개 모두 없거나(완전 무형성) 엽 하나만 있는(부분 무형성) 경우를 말한다.[16]

손상된 판막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 수술을 할 수 있다.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는 좁아진 판막을 열기 위해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는 승모판 성형술이 있다. Lawrie 기법은 수리할 수 있는 판막 조직이 적은 환자에게 적합하며, 손상되었거나 약한 판막 엽을 가질 수 있다. Lawrie 기법에서는 인공 천 건삭을 사용하여 판막을 수리하므로, 수리 과정에서 기존 판막 엽과 건삭을 보존한다.[17]

드물게 승모판륜 석회화가 심하게 발생하여 심장 내 덩어리나 혈전으로 오인될 수 있다.[18]

승모판 질환은 엽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는 Carpentier 분류를 사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I형은 정상적인 엽의 움직임에 해당한다. 판막 질환은 역류의 원인에 따라 일차성 또는 이차성 승모판 역류로 분류된다. II형은 엽 탈출로 이어지는 과도한 엽의 움직임에 해당하며, 바를로우병, 점액성 변성, 염증, 유두근 파열 등이 원인이다. III형은 엽의 제한적인 움직임에 해당하며, IIIa형은 수축기와 이완기 모두, IIIb형은 수축기에만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인다.[19]

5. 어원

'승모판'(mitral)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주교관(주교의 모자)과 같은 모양을 의미한다. '이첨판'(bicuspid)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고전적 합성어의 결합 형태를 사용하며, "이중"을 의미하는 ''bi-''와 "뾰족한 부분"을 의미하는 ''cusp''를 사용하여 판막의 두 개의 엽 모양을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2] 서적 Guyton and Hall's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3] 서적 PORTH'S PATHOPHYSIOLOGY : concepts of altered health states. WOLTERS KLUWER HEALTH 2018
[4]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15-04-08
[5] 논문 Interaction between mitral valve apparatus and left ventricle. Functional mitral regurgitation: A brief state-of-the-art overview. 2021-10-01
[6] 서적 Last's Anatomy Elsevier Australia
[7] 논문 Echocardiography of the mitral valve 2010-07-01
[8] 논문 European Association of Echocardiography recommendations for the assessment of valvular regurgitation. Part 2: mitral and tricuspid regurgitation (native valve disease) https://academic.oup[...] 2010-05-01
[9] 논문 Patterns of systolic stress distribution on mitral valve anterior leaflet chordal apparatus. A structural mechanical theoretical analysis http://www.fondazion[...] 2000-04-01
[10] 논문 Mitral Annulus: An Intraoperative Echocardiographic Perspective 2013-12-01
[11] 논문 The Mitral Apparatus: Functional Anatomy of Mitral Regurgitation
[12] 서적 Valvular Heart Disease: A Companion to Braunwald's Heart Diseas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09-09-01
[13] 논문 Effect of atrial fibrillation on the dynamics of mitral annular area http://www.icr-heart[...] 2010-03-04
[14] 논문 Mitral valve prolapse: time for a fresh look http://www.medreview[...] 2015-01-01
[15] 웹사이트 Mitral Regurgitation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11-10
[16] 논문 Congenital malformations of the mitral valve 2011-08-01
[17] 웹사이트 Mitral Valve Repair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11-10
[18] 논문 Mitral annulus caseous calcification mimicking cardiac mass in asymptomatic patient – multimodality imaging approach to incidental echocardiographic finding 2014-01-01
[19] 논문 Multi-modality imaging assessment of native valvular regurgitation: an EACVI and ESC council of valvular heart disease position paper 2022-05-01
[20] 논문 Anatomy of the mitral valve: understanding the mitral valve complex in mitral regurgitation 2010-01-01
[21]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옛 대한의협 3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2] 웹사이트 옛 대한의협 3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3] 웹사이트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4]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25] 서적 Guyton and Hall's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26] 서적 PORTH'S PATHOPHYSIOLOGY : concepts of altered health states. WOLTERS KLUWER HEALTH 2018
[27]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15-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