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우시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우시카는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파이아케스족의 공주이다. 오디세우스가 칼립소의 섬에서 탈출하여 스케리아 섬에 표류했을 때 그를 만나 도움을 준다. 나우시카는 오디세우스를 왕궁으로 안내하고, 알키노오스 왕의 환대를 받도록 돕는다. 《오디세이아》에서 나우시카는 아름답고 현명하며 적극적인 여성으로 묘사되며, 오디세우스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로맨틱한 관계는 맺지 않는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나우시카는 텔레마코스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나우시카는 문학 작품 속에서 최초로 공놀이를 하는 인물로 묘사되며,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의 주인공 이름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

2. 《오디세이아》에서의 역할

오디세이아에서 나우시카는 오디세우스의 귀향 과정에서 중요한 조력자 역할을 한다. 스케리아 섬에 표류한 오디세우스를 만나 옷과 음식을 주고, 아버지 알키노오스 왕에게 안내하여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4]

호메로스는 나우시카를 통해 현명하고 적극적인 여성상을 보여준다. 나우시카는 오디세우스에게 호감을 느꼈지만, 그 감정은 짝사랑으로 그친다. 훗날 나우시카는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다는 전승도 있다.[5]

2. 1. 오디세우스와의 만남

오디세우스칼립소에게 붙잡혀 고향 이타카로 돌아가지 못하고 7년을 보낸다. 아테나 여신의 도움으로 칼립소의 섬에서 탈출하지만, 포세이돈의 방해로 스케리아 섬에 표류하게 된다. 여기서 오디세우스는 파이아케스족의 공주 나우시카를 만난다.[4]

나우시카는 아테나 여신의 현몽을 받고 시녀들과 함께 빨래하러 해변에 갔다. 빨래를 마치고 시녀들과 공놀이를 하던 중, 처녀들의 떠들썩한 소리에 잠에서 깬 오디세우스가 숲에서 나온다. 낯선 사내의 모습에 다른 시녀들은 모두 도망쳤지만, 나우시카는 홀로 남아 오디세우스를 침착하게 대한다. 오디세우스에게 자신의 딱한 처지를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하자, 나우시카는 그에게 옷과 음식을 제공하고, 아버지 알키노오스 왕의 궁전으로 안내한다.[4]

W. Heath Robinson: ''Nausicaa and Her Maidens Brought Him Food and Wine'' (날짜 미상)


오디세우스는 알키노오스 왕의 환대를 받고, 그의 도움으로 고향 이타카로 돌아갈 수 있게 된다. 호메로스오디세이아에서 나우시카는 현명하고 적극적인 여성상을 보여주는 아름다운 소녀로 묘사된다. 나우시카는 오디세우스에게 호감을 느꼈지만, 두 사람 사이에 특별한 감정은 없었던 것으로 묘사된다. 나우시카는 오디세우스에게 "나를 잊지 말아요, 내가 당신에게 생명을 주었으니"라고 말하며 자신의 마음을 표현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나우시카는 훗날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5]

2. 2. 알키노오스 왕의 환대

오디세이아에 따르면, 스케리아 섬(일부 번역에서는 파이에케아)의 왕 알키노오스는 오디세우스를 자신의 궁으로 초대하여 몸단장을 시켰다. 멋진 모습이 된 오디세우스를 본 알키노오스는 그가 이대로 머물며 자신의 딸 나우시카와 결혼하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나우시카 또한 오디세우스에게 호감을 가졌다. 그러나 오디세우스가 이타카의 왕이며, 아내 페넬로페가 기다리는 이타카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게 되자, 알키노오스는 오디세우스를 배에 태워 이타카로 보냈다.[4]

오디세우스는 알키노오스의 환대를 받으며 그의 궁정에서 자신의 모험담을 이야기했는데, 이는 오디세이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액자 소설이다. 알키노오스는 오디세우스에게 그를 이타카로 데려다줄 배를 아낌없이 제공했다.[4]

2. 3. 나우시카의 감정

오디세이아에 따르면, 나우시카는 스케리아 섬(일부 번역에서는 파이에케아)의 공주로, 오디세우스에게 호감을 느꼈다. 그녀의 아버지 알키노오스 왕 역시 오디세우스가 나우시카와 결혼하기를 바랐다. 하지만 오디세우스는 아내 페넬로페가 기다리는 이타카로 돌아가기를 원했다.[5]

나우시카는 오디세우스를 배웅하며 고국에 돌아가서도 자신을 기억해 달라고 부탁한다. 호메로스는 나우시카의 짝사랑을 문학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문학에서 짝사랑의 초기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오디세우스가 페넬로페에게 나우시카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점은 그가 나우시카에게 더 깊은 감정을 느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5]

2. 4. 이후의 전승

아리스토텔레스와 크레테의 딕티스에 따르면, 나우시카는 훗날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와 결혼하여 폴리포르테스 또는 페르세폴리스라는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5] 일부 전승에서는 나우시카의 아들이 텔레마코스가 아닌 오디세우스의 아들이라고도 한다.[5]

3. 기타

나우시카는 문학 작품에서 최초로 공놀이를 하는 사람으로 묘사되며, 기원전 2세기 여성 문법학자 아갈리스가 나우시카의 공놀이를 창안했다고 한다. 1879년 발견된 소행성에는 192 나우시카라는 이름이 붙었다.

3. 1. 문화적 영향

미야자키 하야오1984년 장편 애니메이션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 주인공 이름은 나우시카에서 유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ausicaa https://www.dictiona[...]
[2] 웹사이트 Nausicaä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12
[3] 서적 The Origins of English Words: A Discursive Dictionary of Indo-European Root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서적 Mythology: Timeless Tales of Gods and Heroes Grand Central Publishing Hachette Book Group USA
[5] 서적 Classical Myth Prentice-Hall, Inc.
[6] 문서 日本では「パイアキア」とも表記さ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