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마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마코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오디세이아'에서 아버지 오디세우스를 찾아 나서는 역할을 한다. 그는 트로이 전쟁 이후 20년 동안 고향에 돌아오지 못한 아버지의 소식을 듣기 위해 아테나의 도움을 받아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 아버지의 귀환 후에는 구혼자들을 물리치는 데 기여한다. 이후 텔레고니에서는 텔레고노스에게 살해당하고, 후대 문학과 예술 작품에도 영감을 주었다.
텔레마코스(Τηλέμαχος|텔레마코스el)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전투로부터 멀리 떨어진" 또는 활쏘는 사람처럼 "멀리서 싸우는"을 의미한다.[2]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텔레마코스는 이야기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서사시의 첫 네 권, 이른바 '텔레마케이아'는 텔레마코스가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아테나 여신의 격려와 도움을 받아 아버지 오디세우스의 소식을 찾아 나서는 여정을 그린다. 그는 어렸을 때 트로이 전쟁에 나간 아버지가 20년이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자[3], 필로스의 네스토르 왕과 스파르타의 메넬라오스 왕을 찾아가 아버지의 행방과 명성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4][5] 이 과정에서 텔레마코스는 소년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텔레마코스는 18세기 동안 많은 오페라의 주제가 되었는데, 대부분 페늘롱의 소설을 바탕으로 했다.[15] 주요 오페라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1]
서적
The Odyssey
1921
2. 어원
3. 《오디세이아》에서의 역할
이야기 후반부에서 텔레마코스는 고향 이타카로 돌아와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의 오두막에서 거지로 변장한 아버지 오디세우스와 극적으로 재회한다.[6] 이후 그는 아버지와 힘을 합쳐, 어머니 페넬로페에게 무례하게 구혼하며 집안의 재산을 축내던 구혼자들을 처단할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긴다. 텔레마코스는 오디세우스의 활쏘기 시합에서 구혼자들보다 먼저 활을 시험하며 자신의 성장을 증명하려 하고[7], 마침내 아버지 곁에서 용감하게 싸워 구혼자들을 모두 물리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7] 이를 통해 그는 오디세우스의 합당한 아들이자 후계자임을 입증한다.
3. 1. 아버지 오디세우스를 찾아서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텔레마코스는 이야기 초반 네 권의 중심인물이다. 그는 아테나 여신의 도움과 지시에 따라 아버지를 찾아 나선다. 텔레마코스가 아직 아기였을 때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러 떠난 아버지 오디세우스는 트로이 함락 후에도 포세이돈의 방해 등으로 인해 20년 동안 고향 이타카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었다.[3]
오디세우스가 없는 동안, 그의 집은 어머니 페넬로페에게 구혼하는 수많은 구혼자들에게 점령당한 상태였다. 아테나 여신은 오디세우스의 오랜 친구인 멘토르의 모습으로 텔레마코스 앞에 나타나, 아버지의 소식을 알아보기 위해 피로스의 네스토르 왕과 스파르타의 메넬라오스 왕을 찾아가라고 조언했다.
텔레마코스는 먼저 피로스로 가서 네스토르 왕을 만났다. 그는 네스토르로부터 아버지 오디세우스의 영웅적인 행적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따뜻한 환대를 받았다. 이후 텔레마코스는 네스토르의 아들 페이시스트라토스와 함께 스파르타로 향했다.[4]
스파르타에서 텔레마코스는 메넬라오스 왕과 그의 아내 헬레네를 만났다. 그들은 텔레마코스를 귀한 손님으로 대접하며, 트로이 전쟁 당시 오디세우스의 활약에 대해 서로 보완적이면서도 때로는 상반되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특히 메넬라오스는 텔레마코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해주었는데, 이는 그가 예전에 바다의 신 프로테우스에게 들었던 이야기였다. 그 내용에 따르면 오디세우스는 아직 살아있지만, 바다 요정 칼립소의 섬 오기기아에 억류되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다.[5] 메넬라오스는 또한 오디세우스가 결국 아테나 여신의 도움으로 이타카에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텔레마코스는 이 소식을 듣고 서둘러 이타카로 돌아왔다. 그는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를 찾아갔는데, 그곳에서 거지로 변장한 아버지 오디세우스를 만나게 된다. 아테나의 조언에 따라 오디세우스가 텔레마코스에게 자신의 정체를 밝히자, 부자는 감격적인 재회를 하고 페넬로페를 괴롭히던 구혼자들을 몰아낼 계획을 세운다.[6]
텔레마코스는 먼저 궁전으로 돌아가 구혼자들의 동태를 살피며 거지로 변장한 아버지가 오기를 기다렸다. 페넬로페가 구혼자들에게 오디세우스의 활을 당겨 열두 개의 도끼 머리 고리를 통과시키는 시험을 제안했을 때, 텔레마코스가 가장 먼저 활쏘기에 도전했다. 그는 세 번의 시도 끝에 거의 성공할 뻔했으나, 네 번째 시도 직전 오디세우스가 은밀히 신호를 보내 그를 멈추게 했다.
구혼자들이 모두 활쏘기에 실패하자, 오디세우스가 나서서 자신의 정체를 드러냈다. 그는 손쉽게 활을 당겨 과녁을 맞혔고, 곧바로 텔레마코스와 함께 구혼자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오디세우스의 화살이 구혼자들의 우두머리인 안티노오스의 목을 꿰뚫었고, 부자는 충직한 하인들의 도움을 받아 홀에 있던 구혼자들을 모두 잔혹하게 처단했다.[7] 이 과정에서 텔레마코스는 아버지 곁에서 용감하게 싸우며 자신의 역할을 다했다.
3. 2. 이타카로의 귀환과 구혼자들과의 갈등
아버지 오디세우스에 대한 소식을 찾아 스파르타까지 다녀온 텔레마코스는 마침내 고향 이타카로 돌아온다.[5] 그는 충직한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의 오두막을 찾아가는데, 그곳에서 거지 행색을 한 노인을 만난다. 이 노인이 바로 아테나 여신의 도움으로 변장하고 있던 아버지 오디세우스였다. 아테나의 조언에 따라 오디세우스는 텔레마코스에게 자신의 정체를 밝혔고, 부자는 감격적인 재회를 한다.[6]
오랜 기다림 끝에 만난 오디세우스와 텔레마코스는 힘을 합쳐, 오디세우스가 없는 동안 어머니 페넬로페에게 끈질기게 구혼하며 재산을 탕진하던 무례한 구혼자들을 몰아낼 계획을 세운다. 텔레마코스는 먼저 궁전으로 돌아가 구혼자들의 동태를 살피며, 거지로 변장한 아버지가 도착하기를 기다렸다.[6]
이후 페넬로페는 구혼자들에게 오디세우스의 거대한 활을 당겨 열두 개의 도끼 머리 고리 사이로 화살을 쏘아 통과시키는 자와 결혼하겠다고 선언한다. 텔레마코스가 가장 먼저 활쏘기에 도전하여 거의 성공할 뻔했으나, 네 번째 시도에서 오디세우스가 몰래 신호를 보내 그를 만류한다. 건방진 구혼자들은 누구도 활시위를 당기지 못했다.[7]
모든 구혼자가 실패하자, 거지 행색의 오디세우스가 나서서 활을 시험해 보겠다고 한다. 그는 손쉽게 활시위를 당겨 과녁을 명중시키고 마침내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다. 텔레마코스는 아버지 곁에 서서 문을 잠그고 무기를 숨기는 등 미리 세운 계획에 따라 움직인다. 유모 에우뤼클레이아에게 홀의 문을 잠그게 한 뒤, 텔레마코스는 아버지에게 활을 건네준다. 오디세우스는 가장 오만했던 구혼자 안티노오스의 목을 첫 화살로 꿰뚫었고, 부자는 함께 나머지 구혼자들을 신속하고 무자비하게 처단하며 오랜 세월 쌓인 불의를 청산한다.[7]
4. 《텔레고니》에서의 역할
《텔레고니》(Telegonia)는 《오디세이아》 이후 오디세우스의 삶과 죽음을 다룬 짧은 두 권짜리 서사시이다. 이 이야기에서 오디세우스는 키르케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텔레고노스(Telegonus)에게 우연히 살해당한다. 오디세우스가 죽은 후, 텔레마코스는 텔레고노스와 페넬로페와 함께 키르케가 사는 섬인 아이아이아(Aeaea)로 가서 키르케와 결혼한다.
후대의 전승에서는 이야기가 다소 다르게 전개되기도 한다. 오디세우스와 키르케의 딸이자 텔레마코스의 이복 여동생인 카시포네(Cassiphone)라는 인물이 등장하는 버전이 있다. 이 이야기에서는 키르케가 어떤 시점에서 오디세우스를 부활시키고, 오디세우스는 텔레마코스를 카시포네와 결혼시킨다. 이후 텔레마코스가 키르케와 다투다가 그녀를 죽이는 사건이 발생하자, 카시포네는 복수로 텔레마코스를 죽인다.[8]
5. 후대 문학 및 예술 작품에서의 텔레마코스
작곡가 작품명 연도 안드레 카르디날 드스투슈 텔레마크 (Télémaquefra) 1714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텔레마코 (Telemacoita) 1718 글룩 텔레마코, 혹은 키르케의 섬 (Telemaco, ossia L'isola di Circeita) 1765 주세페 가자니가 텔레마코의 실수들 (Gli errori di Telemacoita) 1776 장-프랑수아 르 쉬르 칼립소 섬의 텔레마코 또는 지혜의 승리 (Télémaque dans l'île de Calypso ou Le triomphe de la sagessefra) 1796 시몬 마이어 칼립소 섬의 텔레마코 (Telemaco nell'isola di Calipsoita) 1797 페르난도 소르 칼립소 섬의 텔레마코 (Telémaco en la isla de Calipsospa) 1797
앨프리드 테니슨 경의 1833년 시 "율리시스"에도 텔레마코스가 등장한다. 이 시에서 화자인 율리시스(단테의 해석을 바탕으로 함)는 자신의 아들 텔레마코스에 대해 어느 정도의 거리감을 느끼며 묘사한다.
현대 문학에서는 루이즈 글릭의 시에 텔레마코스가 자주 등장하는 인물로 나온다.[16] 또한,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캐롤 킹이 키우던 고양이의 이름이 텔레마코스였으며, 그녀의 유명 앨범 ''태피스트리''의 표지 사진에도 이 고양이가 함께 실려 있다.[17] 미국 시인 오션 부엉의 시 중에도 "텔레마코스"라는 제목의 작품이 있다.[18]
참조
[2]
서적
https://books.google[...]
[3]
서적
Odyssey Books I–II
[4]
서적
Odyssey Book III
[5]
서적
Odyssey Book IV
[6]
서적
Odyssey Books XV–XVI
[7]
서적
Odyssey Books XXI–XXII
[8]
서적
Brill's New Pauly Volume 2
https://archive.org/[...]
Brill Leiden Boston
2002-2003
[9]
웹사이트
Hesiod, The Homeric Hymns, and Homerica
http://mcllibrary.or[...]
2019-12-03
[10]
서적
Greek Oracles
[11]
학술지
The Authority of Telemachus
https://online.ucpre[...]
2010
[12]
웹사이트
Brill’s New Pauly s.v. Perseptolis
https://referencewor[...]
2022-04-29
[13]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14]
백과사전
Telemachus
https://quod.lib.umi[...]
[15]
백과사전
Telemachus
[16]
웹사이트
Louise Glück's Poetry and Prose
http://www.baymoon.c[...]
2023-02-19
[17]
뉴스
Carole King interview: 'I didn't have the courage to write songs initially'
https://www.telegrap[...]
2016-03-07
[18]
웹사이트
Telemachus | Forward Arts Foundation
https://web.archive.[...]
2018-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