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움 소르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움 소르킨은 러시아 제국 출신의 소련 군인으로,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그는 1919년 볼셰비키당에 입당하여 적군에 입대, 포병 지휘관 과정을 졸업하고 몽골 주재 소련 영사 및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극동전선 정보국장으로 재직하며, 중국 동북항일연군 인사들을 관리하고 김일성을 지원하여 제88국제여단 창설에 관여했다. 소르킨은 라브렌티 베리야의 심복으로 알려졌으며, 김일성을 북한 지도자로 천거했다는 설이 있다. 종전 후 군사 외교 아카데미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58년 은퇴 후 레닌그라드에서 사망했다. 그는 레닌 훈장 등 다수의 훈장을 받았으며, 몽골에서의 경험을 담은 회고록을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무인민위원부 관련자 - 니콜라이 예조프
    니콜라이 예조프는 소련의 정치인이자 대숙청을 주도하며 내무인민위원장으로서 공포 정치를 펼쳤으나, 이후 권력에서 밀려나 처형되어 소련 역사에서 지워진 인물이다.
  • 내무인민위원부 관련자 - 겐리흐 야고다
    겐리흐 야고다는 러시아 제국의 유대인 출신으로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굴라그 감독, 대숙청 주도 등 권력을 행사했으나 스탈린과의 갈등으로 처형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989년 평양에서 177개국 22,000여 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반제국주의 연대, 평화와 우정을 위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으나,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고 남북 관계 악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북한의 김일성 정권, 일본 정부, 조총련의 이해관계로 9만 명이 넘는 재일 조선인과 그 가족들이 북한으로 이주한 사건이다.
  • 소련의 군사점령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소련의 군사점령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나움 소르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물 사진 없음
인물 사진 없음
출생일1899년 2월 11일
출생지알렉산드롭스크, 예카테리노슬라프 현, 러시아 제국
(현재의 자포리자, 자포리자 주, 우크라이나)
사망일1980년 1월 16일
사망지레닌그라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묻힌 곳알 수 없음
별칭알 수 없음
군사 경력
소속소비에트 연방
군종[[파일:Red Army flag.svg|23px]] 붉은 군대 / 소비에트군
복무 기간1919년–1958년
계급소장
부대알 수 없음
지휘총참모부 특별 임무 부서 (1939년–1941년)
극동 전선 정보과 (1941년–1945년)
제1극동 전선 정보과 (1945년)
극동 전선 정보과 (1945년–1947년)
참전 전투러시아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훈장레닌 훈장
붉은 깃발 훈장 (3회)
붉은 별 훈장 (2회)
기타 훈장
기타 활동
이후 활동알 수 없음

2. 생애와 군 경력

나움 소르킨은 소련군에서 약 40년간 복무했다. 그는 레닌 훈장, 적기 훈장 2개, 적성 훈장 3개를 받았다.[1]

소련에서 그는 1933년 6월부터 1935년 6월까지 군사 및 해군 문제 인민 위원회와 혁명 군사 위원회에서, 1935년 6월부터 1936년 6월까지 외무 인민 위원회에서 근무했다. 1939년 5월까지 적군 정보국 제9부(몽골과 신장 관련 정보 담당)의 부국장을 지냈고, 이후 적군 참모 본부의 특수 임무 부서 부서장 대행(1939년 5월~1941년 2월)을 역임했다.[1]

소르킨 아래 정찰부국장은 안쿠지노프 대령이었다.

한국 학계에서는 '왕신림(王新林)'이 누구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는 전임 왕신림은 "류쉔코" 장령, 후임은 "소르킨" 장령이라고 언급되었으나, "류쉔코"는 확인되지 않는다. 중국 문헌에는 전임자는 와시리(瓦西里, Vasily) 소장, 후임자는 소르킨(索尔金, Соркин) 소장으로 나오며, 왕신림(王新林)은 와시리(瓦西里)의 음사이다. 소르킨의 전임자가 왕신림(王新林)이란 암호명을 처음 썼고, 후임자 소르킨도 같은 암호명을 그대로 썼다는 주장도 있다.

Gennady Konstantinov의 책에 따르면, 첫 번째 왕신림은 소련 극동전선군 내무부장 바실리 류쉔코(Василия Люшенко, 瓦西里 留森科) 소장이지만, 구체적인 정보는 없다.[7]

2. 1. 초기 생애

나움 세묘노비치 소르킨은 지금의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당시 알렉산드롭스크)에서 유대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지방 관료였다.[3] 그는 1919년에 볼셰비키당과 적군에 가담했고, 1920~1923년간 포병학교를 다녔다. 1923년에 몽골로 파견되어 1926년까지 포병 교관을 지냈다. 이후 1931년까지 몽골에서 소련 영사관 직원으로 근무했다.[3]

2. 2. 군 입대 및 몽골 파견

1919년 볼셰비키당과 적군에 가담하여 러시아 내전에 참여했다.[3] 1920년 하르코프에서 포병 지휘관 과정을 졸업하고 1922년부터 1923년까지 고등 포병 학교에 다녔다.[1] 1923년 소련 동맹국인 몽골에 파견되어 1926년까지 포병 교관으로 활동했다.[3] 1926년부터 1931년까지 알탄불라그의 소련 영사울란바토르의 소련 대사관 제1 서기관으로 몽골에서 직책을 맡았다.[1]

2. 3. 극동전선 근무

1941년 3월 하바롭스크에 사령부를 둔 극동전선군으로 부임하여 1945년까지 정찰국장을 지냈다.[3] 극동 부임 초기에는 '왕신림(王新林)'이라는 중국식 암호명으로 만주의 동북항일연군 인사들과 접촉하여 그들의 소련 망명과 수용 문제를 다루었다. 이후 이들을 하바롭스크 인근 뱌츠코예 마을의 북야영과 보로실로프 인근 하마탄(현재의 라즈돌노예) 마을의 남야영 두 곳에 분산 수용했다.[4] 1942년 7월에는 뱌츠코예의 북야영에 남, 북야영 인원을 모두 수용한 제88국제여단을 창설하고, 부대 운영을 직접 관장하였다. 88여단장에는 중국인 주보중 중령, 제1대대의 대대장에는 김일성 대위가 임명되었다.[4][5]

2. 4. 소련-일본 전쟁 참전

나움 소르킨은 1944년에 소장으로 진급했으며, 1941년부터 1945년까지 극동 전선 참모부의 정보 부서장이었다.[1] 1945년 8월 소련의 참전 당일, 극동 전선이 군대 대장 키릴 메레츠코프의 제1 극동 전선과 군대 대장 막심 푸르카예프의 제2 극동 전선으로 임시 분할되었을 때, 소르킨은 제1 극동 전선 참모부의 정보 부서장으로 배정되었다.

소르킨은 내무인민위원회 위원 라브렌티 베리야의 심복으로 알려져 있으며, 1945년 8월 대일본전이 끝난 후 스탈린이 북한 지도자를 물색할 때 김일성을 극동군 사령부와 베리야에게 추천한 것으로 파악된다.[6][5]

일본과의 전쟁이 끝나고, 88여단의 인원들이 중국과 북한으로 귀환하게 되자 부대를 해체하는 일도 그가 맡았다.

2. 5. 군사 외교 아카데미 및 은퇴 후

나움 소르킨은 1947년부터 1950년까지 군사 외교 아카데미에서 교편을 잡았다. 1952년 보로실로프 참모대학교를 졸업하고 1952년부터 1958년까지 모자이스키 항공 공학 군사 아카데미에서 근무했다.[1]

1958년, 소르킨은 모자이스키 아카데미와 현역에서 은퇴하여 약 40년간 소련군 복무를 마쳤다. 그는 1970년에 1920년대 몽골에서의 경험을 담은 회고록을 출판했다.

레닌그라드에서 사망했으며, 개인 소장품이었던 러시아 화가들의 미술품 19점을 스몰렌스크 주립 박물관 및 보호 구역에 유증했다.[2]

그의 군사 훈장으로는 레닌 훈장, 적기 훈장 2개, 적성 훈장 3개가 있다.[1]

3. 김일성과의 관계

내무인민위원회 위원 라브렌티 베리야의 심복으로 알려졌던 소르킨은 1945년 8월 대일본전이 끝난 후, 이오시프 스탈린이 북한 지도자를 찾을 때 김일성을 극동군 사령부와 베리야에게 추천했다.[6][5]

소르킨은 1941년부터 1945년까지 극동전선군의 정찰국장을 지냈으며, 극동 부임 초기에는 왕신림(王新林)이라는 중국식 암호명으로 만주의 동북항일연군 인사들과 접촉하여 그들의 소련 망명과 수용 문제를 다루었다.[4] 그는 이들을 하바롭스크 인근 뱌츠코예 마을의 북야영과 보로실로프 인근 하마탄(현재의 라즈돌노예) 마을의 남야영 두 곳에 분산 수용했다.[4] 1942년 7월에는 뱌츠코예의 북야영에 남, 북야영 인원 모두를 수용한 제88국제여단을 창설하고 부대 운영을 직접 맡았다. 88여단장에는 중국인 주보중(周保中, 1902~1964) 중령, 제1대대의 대대장에는 김일성 대위가 임명되었다.[4][5]

일본과의 전쟁이 끝난 후, 소르킨은 88여단의 인원들이 중국과 북한으로 귀환하는 과정에서 부대를 해체하는 일도 맡았다.

4. 왕신림 논란

왕신림(王新林)은 소련 극동전선군이 만주의 동북항일연군과 접촉할 때 사용한 중국식 암호명이다. 이 암호명은 한 사람이 아닌 여러 사람이 사용했는데, 처음에는 소련 극동전선군 내무부장 바실리 류쉔코(Василия Люшенко) 소장이 사용했고, 이후에는 나움 소르킨 소장이 이 암호명을 사용했다.[7]

김일성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는 왕신림에 대해 언급하면서, 전임자는 "류쉔코" 장령, 후임자는 "소르킨" 장령이라고 기록했다. 그러나 "류쉔코"가 정확히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중국 문헌에서는 전임자를 와시리(瓦西里, Vasily) 소장, 후임자를 소르킨(索尔金, Соркин) 소장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와시리(瓦西里)는 왕신림(王新林)의 음역이다.

Gennady Konstantinov의 책에 따르면, 첫 번째 왕신림은 소련 극동전선군 내무부장 바실리 류쉔코(Василия Люшенко, 瓦西里 留森科) 소장이었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다.[7]

5. 회고록


  • 《여정의 시작: 몽골 육군 교관의 기록》. 모스크바: 나우카, 1970.

5. 1. 여정의 시작


  • 《여정의 시작: 몽골 육군 교관의 기록》(V nachale puti: Zapiski instruktora mongolskoy armiiru). 모스크바: 나우카, 1970.

6. 유산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값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게 수정하여 출력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서적 GRU: Dela i Lyudi Moscow: OLMA 2002
[2] 웹사이트 Kolektsiya Sorokina Nauma Semyonovicha http://www.smolensk-[...] 2011-09-29
[3] 위키백과 Naum Semyonovich Sorkin https://en.wikipedia[...]
[4] 서적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人民出版社 1991
[5] 논문 소련 극동군 제88여단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 : 북한 정치에서 제88여단파의 기원과 형성 https://www.dbpia.co[...] 2016-06
[6] 뉴스 秘話(비화) 金日成(김일성)과 北韓(북한) : 前(전) 北韓軍(북한군) 師團(사단) 정치위원 呂政(여정) 手記(수기) <1>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0-04-22
[7] 간행물 "Особая интернациональная. 88-я отдельная стрелковая бригада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фронта (第 88 国际特别旅. 중국어 번역도 같이 있음.)" https://ru.apircente[...] Khabarovsk: Priamurskiye Vedomosti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