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군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주군 을은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김상호, 서상덕, 정명섭, 이경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주시의 정치 - 나주시·화순군
나주시·화순군 선거구는 전라남도 나주시와 화순군을 관할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2004년 신설되었으며 신정훈 의원이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나주시의 정치 - 나주시장 선거
나주시장 선거는 1995년부터 나주시의 시장을 선출하기 위해 시행된 선거로, 나인수, 김대동, 신정훈, 임성훈, 강인규를 거쳐 2022년에는 윤병태 후보가 당선되었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나주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나주군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남도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나주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주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이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나주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설치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주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2. 2. 폐지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나주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를 거치면서 나주군 을 선거구에서는 다양한 정당과 후보들이 경쟁하였다.
초대 선거에서는 한국민주당 김상호 후보가, 2대 선거에서는 대한청년당 서상덕 후보가 당선되었다. 3대와 4대 선거에서는 자유당 정명섭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으며, 5대 선거에서는 민주당 이경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라남도 나주군 을 선거구에서는 한국민주당 김상호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상호 | 한국민주당 | 11,343 | 32.62% |
서상덕 | 조선민족청년단 | 10,117 | 29.10% |
박금석 | 한국민주당 | 8,005 | 23.02% |
강신태 | 무소속 | 5,301 | 15.24% |
정순모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0 | 0% |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상덕 | 대한청년당 | 7,470 | 38.85% |
홍정희 | 무소속 | 5,144 | 26.75% |
최창희 | 대한국민당 | 3,097 | 16.11% |
나기보 | 무소속 | 1,955 | 10.16% |
김영섭 | 무소속 | 995 | 5.17% |
박금석 | 무소속 | 563 | 2.92% |
합계 | 19,224 | 100% |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정명섭 | 자유당 | 13,843 | 37.27% |
김태호 | 민주국민당 | 8,706 | 23.44% |
서상덕 | 무소속 | 5,354 | 14.41% |
나기보 | 무소속 | 2,926 | 7.87% |
최창희 | 무소속 | 2,662 | 7.16% |
고판봉 | 무소속 | 2,560 | 6.89% |
김영섭 | 무소속 | 1,088 | 2.92% |
합계 | 37,139 | 100% |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경 | 민주당 | 8,867 | 21.26% |
홍정희 | 사회대중당 | 5,490 | 13.16% |
정명섭 | 자유당 | 5,159 | 12.37% |
서상덕 | 무소속 | 4,959 | 11.89% |
김동주 | 무소속 | 4,484 | 10.75% |
김영필 | 민주당 | 3,923 | 9.40% |
김종순 | 무소속 | 3,377 | 8.09% |
최창희 | 무소속 | 2,791 | 6.69% |
정순봉 | 무소속 | 2,652 | 6.35% |
김태호 | 무소속 | 0 | 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