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카타 겐이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타 겐이치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2004년 주니치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2013년까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한신 타이거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2021년 은퇴 후에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3군, 4군, 1군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최고 구속 130km/h 후반의 공을 던졌고, 대학 시절에는 규슈 6대학 리그에서 우승을 이끌고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프로에서는 2007년 14승을 기록하며 리그 2위에 올랐고, 2018년에는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타큐슈시 출신 야구 선수 - 모리야마 료지
    모리야마 료지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1988년 신인왕과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을 수상했고,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투수 코치와 감독을 거쳐 현재 소프트뱅크 호크스 투수 재활 코치로 활동 중인 일본 야구인이다.
  • 기타큐슈시 출신 야구 선수 - 히다카 다케시
    히다카 다케시는 오릭스와 한신에서 포수로 활동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재 지도자로, 오릭스 시절 주전 포수로 활약했고 은퇴 후 한신에서 코치 등을 역임하고 있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선수 - 이가라시 료타
    이가라시 료타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해외 리그에서 활약하며 핵심 불펜 투수로 명성을 얻었고, 현재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선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기타큐슈시 출신 - 오키아유 료타로
    오키아유 료타로는 1969년 후쿠오카현 출생의 일본 성우 겸 배우로, 아오니 프로덕션 소속이며,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게임, 연극 무대에서 활약하며 2023년 성우 어워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기타큐슈시 출신 - 세이케 마사카즈
    세이케 마사카즈는 한신, 세이부, 야쿠르트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세이부 시절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여러 팀에서 코치 및 감독을 거쳐 현재 하나마우이 야구부 코치로 활동 중인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나카타 겐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이름나카타 겐이치
원어 이름(일본어)
로마자 표기Kenichi Nakata
출생일1982년 5월 11일
출생지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야하타니시구
신장181cm
체중84kg
포지션투수 / 코치
투구우투
타석우타
선수 경력
고등학교후쿠오카현립 야하타 고등학교
대학교기타큐슈 시립 대학
프로 입단 연도2004년
드래프트 순위2차 2순위
소속 구단 (선수)주니치 드래건스 (2005년 ~ 2013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4년 ~ 2019년)
한신 타이거스 (2020년 ~ 2021년)
첫 출장2005년 4월 3일
마지막 경기2020년 9월 20일
데뷔 리그NPB
데뷔 팀주니치 드래건스
최종 리그NPB
최종 팀한신 타이거스
코치 경력
소속 구단 (코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2년 ~ 현재)
코치 역할투수 코치 (불펜 보조)
등번호 (코치)71
통계
통산 승패100승 79패
평균 자책점3.75
홀드16
세이브1
탈삼진1,350
통계 리그NPB
수상 경력
수상 내역NPB 올스타 (2007년)
일본 시리즈 우승 (2007년, 2014년, 2015년, 2017년, 2018년)
이미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의 나카타 겐이치 (2014년 10월 29일,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 (2014년 10월 29일, 후쿠오카 돔)

2. 프로 입단 전

1982년 5월 11일,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야하타니시구에서 태어났다.

1991년, 기타큐슈 시립 나가이누마루 초등학교 3학년 때 아버지가 코치 겸 감독을 맡고 있던 '나가이누마루 레드 라이언스'에서 소프트볼을 시작했고, 1995년, 기타큐슈 시립 오키타 중학교 시대에 '고우즈야쿠 로빈스'에 입단하여 본격적으로 야구를 시작했다.

1998년 4월, 후쿠오카현립 야하타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수업 시작 전 수업이나 여름 방학 보충 수업 등 진학 학교 특유의 수업 구성 속에서 공부와 병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연습을 했다. 하급생 때는 3루수 겸 후보 투수였지만, 2학년 가을부터 에이스가 되었다. 3학년 봄에는 현 북부 대회 베스트 8, 여름에는 현 대회 3회전 패배로 고시엔 출전은 없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최고 구속은 130km/h대 후반이었다.

2001년 4월, 기타큐슈 시립 대학에 진학했다. 2학년 봄, 가을에 연속으로 리그 베스트 나인을 획득했고, 3학년 때 최고 구속이 150km/h에 달할 정도로 성장했다. 4학년 봄에는 39년 만에 리그 우승을 달성하고, 전일본 선수권에 출전했다. 리그 우승 결정전에서는, 제1경기를 9회 완투하여 승리했고, 45분의 휴식 후 열린 제2경기에도 등판하여 연장 11회를 완투하여 사요나라 승리에 기여, 하루에 총 310구를 던졌다. 또한 최다승, 특별상(리그 통산 300탈삼진), 베스트 나인, MVP를 획득했다. 선수권에서는, 첫 경기인 소카대 전에서 승리하여 진구 첫 승리를 거두었다. 또한, 여름에는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는 일본 대표로도 선출되었다. 4학년 가을에는 구루메대를 상대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지만, 10월 중순에 부원들의 불상사 발각으로 유니버시아드 기념 규슈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2004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주니치 드래곤스로부터 2순위로 지명받아 입단했는데 기타큐슈 시립 대학으로서는 최초로 직접 프로에 입단한 선수가 되었다(기타큐슈 시립 대학 출신의 프로 야구 선수는 모리야마 료지 이래로 두 번째). 나카타는 여러 구단의 주목을 받았으나 주니치의 나카다 무네오 스카우트 부장은 성이 같다는 점을 이용해서 ‘우리 친척 아이이니까’라는 소문을 퍼뜨려 타 구단의 스카웃을 견제했는데 드래프트 이후 《구노 마코토의 드래곤스 월드》에 출연했을 때 이런 내막을 폭로했다. 실제로 나카다 본인과의 혈연 관계는 없으며 나카타 겐이치 본인도 주니치 이외의 지명을 받았을 때는 사회인 야구에 진출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기에 서로 뜻이 잘 맞아 떨어져 주니치에 입단하게 되었다.

주니치에 입단하면서 스기시타 시게루, 곤도 히로시, 호시노 센이치, 고마쓰 다쓰오 등 주니치의 역대 에이스가 착용했던 전통의 등번호 20번을 물려받았다(전 시즌까지 20번을 달고 뛰었던 가와사키 겐지로가 퇴단하였기에 이 번호가 비어 있었다).

나카타는 기타큐슈 대학에 재학 중이던 시절, 제33회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선발되었다.

2. 1. 유소년 시절

나카타 겐이치는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아버지가 코치 겸 감독으로 있는 팀에서 소프트볼을 시작했다.[12] 중학교 시절에는 경식 야구 보이스 리그 팀인 ‘고쟈쿠 로빈스’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야구를 시작했다.[12] 그 후 후쿠오카 현립 야하타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진학교 특유의 빡빡한 수업 과정 속에서 야구와 공부를 병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연습을 거듭했다.[12] 고교 시절에는 3학년 봄에 열린 소속 현 북부 대회에서 8강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었고, 최고 구속은 130km/h대 후반으로 프로 구단의 스카우트 제안은 없었다.[12]

2. 2. 대학 시절

기타큐슈 시립 대학에 진학하여 2학년 때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1] 프로 구단과 메이저 리그 스카우트들의 주목을 받았으며, 3학년 때 최고 구속 150km/h를 기록했다.[1] 4학년 때 규슈 6대학 춘계 리그에서 모교를 39년 만에 우승으로 이끌었고,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소카 대학을 상대로 승리했다.[14][15]

같은 해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일본 대표로 발탁되었고,[1] 추계 리그전에서 구루메 대학을 상대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16][17] 리그 통산 300탈삼진을 기록하며 특별상을 수상했고, 최다승, 베스트 나인, MVP를 수상했다.[1] 대학 시절 하루에 두 경기, 20이닝 310개의 공을 던져 리그 우승을 이끈 경험이 있다.[13]

3. 프로 선수 시절


주니치 구단으로서는 1998년 가와카미 겐신 이후 처음으로 신인으로서의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개막 3경기째인 4월 3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 프로 데뷔 후 첫 등판·첫 선발로 나섰고, 두 번째 선발 경기인 4월 15일 한신 타이거스전(나고야 돔)에서 프로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22] 이 때 8회까지 한신 타선을 4피안타 무실점으로 막아냈지만 9회에 가네모토 도모아키에게 홈런을 허용하여 실점하는 바람에 강판당했다.

시즌 전반기에는 평균 자책점이 6점대에 머물다가 5월에는 부상에 의해 2군으로 내려갔다.[26] 그러나 8월 중반에 1군에 복귀하여 선발 6연승을 거두면서 입단 첫 해의 6연승은 26년 만의 구단 타이 기록이었다.[31] 시즌 후반기의 평균 자책점은 1점대로 안정감을 보였다. 신인왕은 아오키 노리치카였지만[32], 주니치 스포츠가 제정한 승룡상 신인상을 수상했다.[33]

나카타 겐이치와 주니치 드래건스

  • ** 2006년

나카자토 아쓰시와 '에이스 후보인 꽃미남 콤비'로서 주니치 스포츠 지면을 통해 ‘나카나카 콤비’라는 애칭이 붙었다.[39] 시즌 초반 부상으로 팀에서 2개월 동안 이탈했지만, 중반부터 복귀했다. 9월 1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아키타 현립 야구장)에서 프로 데뷔 후 첫 완투 승리를 올렸다.[39]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일본 시리즈 4차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4이닝 동안 1실점으로 막아냈음에도 불구하고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패전 투수가 되었다.[40] 시즌 종료 후 나카자토 아쓰시 등과 함께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열린 윈터 리그에 참가했다.[41]

  • ** 2007년

시즌 초반부터 스트레이트는 뛰어난 구위를 뽐내면서 개인 최고 속도를 경신했으나 변화구 제구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의 볼넷도 많았고 시즌 중반에는 한 달 이상 경기에서 이기지 못하는 등 힘든 시기도 겪었다.[46] 그러나 8월 12일의 요미우리전에서 10개의 삼진을 빼앗는 등 완투 승리로 9승을 거둔 무렵부터 결정구인 포크볼이 원래의 큰 낙차를 회복해 연속 승리를 올리면서 팀의 우승 경쟁에도 큰 기여를 했다. 8월 19일의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 시즌 10승째를 기록해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다.[50]

또 탈삼진률도 큰 폭으로 올라가면서 최다 탈삼진 타이틀 자리를 놓고 마지막까지 우쓰미 데쓰야(요미우리)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1위와 겨우 11개차로 맞이한 시즌 최종 등판 경기인 10월 6일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 5이닝까지 8개의 탈삼진을 잡아내는 순조로운 페이스를 보여 이대로 계속 던진다면 최다 탈삼진 타이틀 획득이 거의 확실한 것으로 점쳐졌지만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향한 타 투수진의 조정 등판 때문에 5회 종료 후 마운드에서 내려와야 해서 결국 자신으로서는 첫 타이틀 획득을 놓쳐야만 했다.[51] 시즌에 앞서 자신이 내걸었던 ‘두 자릿수 승리와 1년간 1군’이라는 목표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가와카미 겐신을 제치고 팀내 1위, 리그 2위의 타이 기록인 14승을 기록했다. 볼넷과 폭투 수가 리그 최다를 기록하는 등 제구면에서 다음 시즌의 과제로 남았지만 탈삼진률은 9.35로 리그 1위가 되었고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운 투수 가운데 주니치 구단 사상 최초로 탈삼진률 9.00 이상을 달성했다.[53]

7월 29일의 야쿠르트전에서 3회에 스리볼 상황에서 볼넷을 내주는 진기록을 세웠다(상대 타자 아오키 노리치카). 2대 2 상황에서 던진 7구째가 볼이었는데 볼카운트 2-3임에도 불구하고 아오키가 1루에 출루했다. 전광판에 표시가 잘못된 것이 원인이었는데 모리 주심이나 다른 심판원들도 이를 눈치채지 못했고 나카타나 포수 다니시게 모토노부를 비롯한 양 구단 쪽에서도 이를 지적하지 않았다. 다음 타자 때에 아오키가 도루 실패한 탓에 이 오심이 득점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주니치가 경기에서 승리했고 경기 종료 후에야 오심이 드러나 네 명의 심판이 엄중 주의 처분을 받았다. 올스타전에도 첫 출전해 1실점을 내줬지만 150 km/h대의 속구로 2이닝을 3개의 삼진을 잡았다.[49]

이 해의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한신과의 제1 스테이지 2차전, 요미우리와의 제2 스테이지 3차전에 각각 선발로 나섰는데 두 경기 모두 나카타의 호투를 계기로 다음 스테이지로 진출했다. 특히 일본 시리즈 진출을 결정지은 제2 스테이지의 요미우리전에서는 도쿄 돔에서 요미우리 타선을 상대로 여러 차례 주자를 내보내면서도 11개의 삼진을 잡는 기백이 넘친 호투를 선보여 팬들의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평상시에는 마운드 위에서 쿨한 모습을 보이던 나카타가 이 날은 삼진을 잡을 때마다 몇 번씩 승리 포즈를 취했고 본인 스스로도 “이제까지의 경기 중에서 가장 희로애락을 드러냈다”라고 회상할 만큼 기백으로 팀 승리를 이끌었다. 이어진 일본 시리즈에서는 첫 경기에 에이스 가와카미 겐신을 세웠지만 타선이 다르빗슈 유 앞에서 침묵을 지키는 바람에 팀은 패했고 이후 중요한 2차전에 선발로 등판해 적지인 삿포로 돔에서 8이닝 동안 3피안타 1실점의 호투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56]

그 해 주니치가 53년 만에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이후 나고야 타임스 지면에 수기를 발표했는데 사망한 아버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인용문|

초등학교 때부터 거의 모든 대부분의 경기를 백네트 뒤의 특등석에서 지켜봐 주셨다. 이렇게 말하면 좀 이상할지도 모르겠지만 돌아가실 때까지 평균 수명에서 남은 만큼의 경기를 보러 와 주신 것 같다. … 아버지는 내게 “15승, 20승은 하지 않아도 좋다. 매년 10승을 올리는 부상없는 선수가 되도록 노력하라”고 말씀하셨다.}}

  • ** 2008년

2008년 3월 31일, 베이징 올림픽 일본 대표 1차 후보 선수로 선출되었다.[58] 리그전에서는 3월 30일 1군 등록되었고, 4월 1일 개막 4차전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4월 22일 한신전(나고야 돔)에서 9이닝 5안타 무실점으로 프로 데뷔 첫 완봉 승리를 거두었다.[59] 6월 22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서는 1이닝 2/3를 던지며 5실점하여 프로 최소 강판 기록을 갱신했다.[60] 2경기 연속 KO로 7월 2일 2군으로 강등, 7월 19일에 재승격되자, 7월 20일 한신전에서는 4회부터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구원 최장인 5이닝을 던졌고, 9회에는 3실점했음에도 불구하고 1개월 만에 승리를 챙겼다.[61] 7월 26일부터 선발로 복귀했지만, 8월 25일 요미우리전에서 수비 도중 넘어지면서 왼쪽 무릎을 다쳐,[62] 8월 27일에 등록이 말소되었고, 9월 19일 1군에 복귀했다. CS 1차전에서는 10월 19일 2차전에서 세 번째 투수로 2점 뒤진 6회부터 등판했지만, 선두 타자 도리타니 다카시에게 솔로 홈런을 허용한 후, 만루에서 아카호시 노리히로에게 밀어내기 사구를 내주며 강판, 희생 번트 아웃 1개밖에 잡지 못하고 3안타 2사사구 2폭투 3실점으로, 팀은 패배했다.[63] 투구 폼에 고민하며 입단 후 처음으로 벽에 부딪히는 시즌이 되었다.[64]

  • ** 2009년

가와카미 겐신메이저 리그로 이적하면서 선발 로테이션의 일각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4월 8일 야쿠르트전에서 4이닝 동안 10피안타 6실점을 내주어 패전 투수가 되었다.[65] 그 다음날에 등록이 말소되었지만 7월 7일 야쿠르트전에서 8이닝을 3피안타 1실점 11개의 탈삼진으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19일 클라이맥스 시리즈 야쿠르트전에서는 5이닝 1실점 4개의 탈삼진으로 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 진출에 큰 기여를 했다. 제2 스테이지에서는 어드밴티지를 포함한 1승 3패 상황에서 4차전의 선발을 맡았지만 다니 요시토모에게 만루 홈런을 허용하는 등 2이닝 동안 무려 7실점을 하는 등 부진을 겪었다.[68] 팀도 그대로 패하면서 일본 시리즈 진출은 무산되었다.

  • ** 2010년

같은 성을 가진 나카타 료지가 입단했기 때문에, 전광판 표기가 '中田일본어'(나카타)에서 '中田賢일본어'(나카타 겐)으로 변경되었다.[169] 2월 캠프 중 오른쪽 팔뚝 부상으로 별도 훈련을 받았고,[69] 개막 로테이션에는 합류하지 못했다. 5월 4일에 1군으로 승격되었고, 5월 7일 야쿠르트전에 선발 등판하여 8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며[70]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7월 17일 히로시마전에서 완봉 승리를 거두었고,[71] 이로써 야마이 다이스케, 나카타, 첸웨인의 구단 첫 동일 카드 3연속 완투 완봉 승리를 달성했다.[72] 올스타 기간을 끼고 7월 19일에 한 차례 말소되었다가, 7월 28일에 재승격되어 8월 8일 한신전에서 다시 완봉 승리를 거두었고,[73] 이후에도 로테이션을 지켰다. 규정 투구 이닝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네 차례의 완투와 두 차례의 완봉으로 7승 4패, 평균 자책점 2.90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CS에서는 등판 기회가 없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11월 4일 5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1회부터 5연타를 허용하며 롯데 타선의 맹공에 패했다.[74][75]

  • ** 2011년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해 개막 2경기째가 되는 4월 13일의 요코하마전에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 후로 줄곧 부진을 겪는 등 2군 생활이 계속되었다.[76] 6월 19일의 오릭스 버펄로스전에서는 연장 10회초에 구원 등판해 승리 투수가 되었지만[77] 이후에는 오른쪽 어깨와 등의 이상이 겹쳐 결국 1군에 승격되지 못했다.[78]

  • ** 2012년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4월 4일 요코하마전에서 6이닝 동안 5개의 4사구를 내줬지만 1안타 무실점, 최고 속도 150 km/h를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80] 요시미 가즈키, 가와카미 겐신이 빠진 5월 이후에는 에이스급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교류전에서는 팀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뛰어난 성적에도 불구하고 승리를 따내지 못했다. 6월 23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을 기점으로 투구 내용이 나빠져 올스타전 이후 1개월 동안 2군에 내려갔다.[80]

최종적으로 선발 로테이션의 일원으로 22경기에 등판 또는 선발로 나섰지만 7승 10패를 기록했다. 시즌 후 야쿠르트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1차전에서는 부상 중인 요시미를 대신해 개막 투수를 맡아 6이닝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82] 그러나 자신도 부상을 당해 파이널 스테이지에는 출전하지 못했다.[83]

  • ** 2013년

그 해에는 개막 로테이션에 들어가면서 4월 29일 요미우리전에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170] 5월 5일 요코하마전부터 중간 계투로 배치 전환되었다.[171] 3월 30일 개막 2차전에서 구원 등판하여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고, 4일 휴식 후 개막 5차전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4월 29일 요미우리전에서 8이닝 4실점으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고[84], 5월 5일 요코하마전부터 중간 계투로 보직을 변경했다.[85]

이후 1, 2점 리드 또는 동점 상황에서 등판하는 구원 투수로서 팀을 지탱했고, 7월 17일까지 28경기에서 3승 2패 15홀드를 기록했다. 7월 31일부터 다시 선발로 복귀했지만, 이날부터의 6경기에서 득점 지원이 1점 이하인 경기가 5경기나 되어 0승 4패를 기록했다. 9월 15일에 경기 전 프리 배팅 도중 타구에 가슴을 맞고 선발 등판을 회피했고[86], 9월 19일에 구단은 왼쪽 제2 늑골 흉골 부착부 골절로 발표했고[87], 출전 선수 등록을 말소했다. 그 해에는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최종적으로 선발 11경기에서 1승 4패, 평균자책점 3.80, 구원 29경기에서 평균자책점 2.65, WHIP 1.26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인 11월 6일 국내 FA를 선언했고[88], 출신지인 지역 구단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했다[89]12월 7일 같은 FA로 호크스로 이적한 쓰루오카 신야와 함께 입단 기자 회견을 열었다[90]。연봉은 2017년 시즌까지 4년 계약의 기본 변동제, 7000만 엔 플러스 성과급(금액은 추정)[91]。등번호는 '''11'''[92]
2014년 시즌에는 정규 시즌을 11승 7패, 평균자책점 4.34, 139이닝 116탈삼진으로 마쳤다.[93] 5월 3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라쿠텐 코보 스타디움 미야기)에서는 1000이닝을 달성했다.[94] 8월 23일 지바 롯데전에서 이적 후 첫 완투 승리를 거두었고,[96] 1년을 통해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지키며, 방어율 4점대임에도 팀 내 공동 1위인 11승을 거두어 개인 통산 2번째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다. CS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10월 18일 4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2실점으로 막아내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97] 2014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10월 29일 4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3회에 강판되었다.[98][99]

  • ** 2015년

2015년 시즌에는 정규 시즌을 9승 7패, 평균자책점 3.24, 155 1/3이닝 130탈삼진으로 마쳤다.[103] 3월 29일 롯데전에서 패전 투수가 되었고, 4월 5일 세이부전에서는 완투했지만 2패를 기록[101], 같은 달 6일에 1군 등록 말소되는 등[102], 순조로운 개막은 아니었다. 그러나 1군에 재등록된 4월 17일 롯데전(QVC 마린 필드)에서 1000 탈삼진과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고[103], 5월 27일에는 친정팀인 주니치에서 시즌 첫 완투 승리를 거두는 등 부활하여[104], 팀 내 두 번째로 많은 투구 이닝인 155 1/3이닝을 던지며, 선발 로테이션을 지키며 팀의 리그 2연패에 기여했다. 10월 16일 야후오쿠! 돔에서 열린 CS 파이널 스테이지 3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7이닝 4안타 1실점의 호투를 펼쳐 클라이맥스 시리즈 역대 최다인 6승을 거두었고[105], 일본 시리즈 진출을 달성했다. 2015년 일본 시리즈에 등판했다. 시즌 오프에 현상 유지인 연봉 9500만 엔 플러스 성과급(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06] 12월 5일에는 전년도에 혼인 신고를 한 유키 부인과 후쿠오카 시내에서 결혼 피로연을 열었다.[107]

  • ** 2016년

2016년, 2월 중순에 오른쪽 팔뚝을 다친 영향으로 개막전에 출전하지 못했다.[108] 시즌 첫 승리는 6월 2일 주니치전에서 늦게 기록되었다.[109] 17경기에 등판하여 89⅔이닝 동안 7승 3패를 기록했지만, 3년 연속 20경기 이상 선발 등판 및 100이닝 이상 투구 기록에는 실패했다. 시즌 후, 연봉은 변동 없이 9500만 엔(추정)에 성과급을 추가하는 조건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10]

  • ** 2017년

4월 1일 롯데전(야후오쿠! 돔)에서 첫 선발을 첫 승리로 장식하며 순조로운 개막 스타트를 끊었다.[111] 6월 8일 야쿠르트전까지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담당했지만, 6월 15일 요미우리[112], 7월 23일 롯데전과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강판되어 등판 기회를 잃었다.[113] 약 1개월 만의 선발 등판이 된 8월 24일 세이부전에서 7이닝 5피안타 1실점의 호투를 보여, 앞서 언급한 야쿠르트전 이후 77일 만에 승리를 거두었다.[114] 10월 1일 오릭스전에서는 포스트 시즌을 대비하여 구원 등판하여 승리를 거두었다.[115] 11월 2일에 열린 일본 시리즈 5차전에서는 구원 투수로 불펜에 들어갔지만, 등판 기회는 없었다.[116] 그 해에는 18경기에 등판하여 86⅔이닝을 던져 7승 6패로, 전년과 비슷한 성적을 거두었다. 시즌 오프에 1000만 엔 삭감된 단년 계약, 연봉 8500만 엔(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17] 또한, 그 해 9월 5일에는 첫째 아들(남자)이 태어났다고 보도되었다.[118]

  • ** 2018년

2018년 8월 26일, 구원 투수로서 100승을 기록했다.[4] 8월 21일 니혼햄전 이후 구원 투수로 기용되었다.[122] 8월 26일 세이부전(후쿠오카 야후오쿠! 돔)에서 8 대 8 동점인 연장 11회부터 등판하여 2이닝 무실점, 5탈삼진을 기록했고, 12회말 그라시알의 끝내기 만루 홈런으로 팀이 승리하면서 승리 투수가 되어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122] 결과적으로 선발 13경기, 구원 10경기를 포함해 총 23경기에 등판하여 91⅔이닝을 던져 5승 3패, 평균자책점 5.20으로 성적은 부진했다. 시즌 오프에 2500만 엔 삭감된 연봉 6000만 엔(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23]

  • ** 2019년

2019년, 개막부터 2군에서 조정을 이어가다, 9월 5일에 시즌 첫 승격을 했다. 결과적으로 1군 공식전 등판은 승격 즉시 선발로 나선 야후오쿠! 돔에서의 라쿠텐전(4회 초 1실점으로 승패 없음)이 유일했고,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시즌 무승으로 끝났다.[124] 한편, 2군에서는 21경기 등판하여 팀 최다인 95이닝 1/3을 던져 6승 3패, 방어율 3.02를 기록하며 웨스턴 리그 최우수 방어율, 승률 1위를 차지했다.[125]
2020년에는 3경기에 선발 출장했지만,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 ** 2021년

2021년에는 1군 등판 없이 2군에서 조정을 계속하다가, 같은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는 것이 9월 28일에 발표되었고[130], 29일에 은퇴 기자 회견이 열려 감사의 뜻을 표했다[131][132]

3. 1. 주니치 드래건스 시절

주니치 구단으로서는 1998년 가와카미 겐신 이후 처음으로 신인으로서의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개막 3경기째인 4월 3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 프로 데뷔 후 첫 등판·첫 선발로 나섰고, 두 번째 선발 경기인 4월 15일 한신 타이거스전(나고야 돔)에서 프로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22] 이 때 8회까지 한신 타선을 4피안타 무실점으로 막아냈지만 9회에 가네모토 도모아키에게 홈런을 허용하여 실점하는 바람에 강판당했다.

시즌 전반기에는 평균 자책점이 6점대에 머물다가 5월에는 부상에 의해 2군으로 내려갔다.[26] 그러나 8월 중반에 1군에 복귀하여 선발 6연승을 거두면서 입단 첫 해의 6연승은 26년 만의 구단 타이 기록이었다.[31] 시즌 후반기의 평균 자책점은 1점대로 안정감을 보였다. 신인왕은 아오키 노리치카였지만[32], 주니치 스포츠가 제정한 승룡상 신인상을 수상했다.[33]

나카자토 아쓰시와 '에이스 후보인 꽃미남 콤비'로서 주니치 스포츠 지면을 통해 ‘나카나카 콤비’라는 애칭이 붙었다.[39] 시즌 초반 부상으로 팀에서 2개월 동안 이탈했지만, 중반부터 복귀했다. 9월 1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아키타 현립 야구장)에서 프로 데뷔 후 첫 완투 승리를 올렸다.[39]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일본 시리즈 4차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4이닝 동안 1실점으로 막아냈음에도 불구하고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패전 투수가 되었다.[40] 시즌 종료 후 나카자토 아쓰시 등과 함께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열린 윈터 리그에 참가했다.[41]

시즌 초반부터 스트레이트는 뛰어난 구위를 뽐내면서 개인 최고 속도를 경신했으나 변화구 제구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의 볼넷도 많았고 시즌 중반에는 한 달 이상 경기에서 이기지 못하는 등 힘든 시기도 겪었다.[46] 그러나 8월 12일의 요미우리전에서 10개의 삼진을 빼앗는 등 완투 승리로 9승을 거둔 무렵부터 결정구인 포크볼이 원래의 큰 낙차를 회복해 연속 승리를 올리면서 팀의 우승 경쟁에도 큰 기여를 했다. 8월 19일의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 시즌 10승째를 기록해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다.[50]

또 탈삼진률도 큰 폭으로 올라가면서 최다 탈삼진 타이틀 자리를 놓고 마지막까지 우쓰미 데쓰야(요미우리)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1위와 겨우 11개차로 맞이한 시즌 최종 등판 경기인 10월 6일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 5이닝까지 8개의 탈삼진을 잡아내는 순조로운 페이스를 보여 이대로 계속 던진다면 최다 탈삼진 타이틀 획득이 거의 확실한 것으로 점쳐졌지만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향한 타 투수진의 조정 등판 때문에 5회 종료 후 마운드에서 내려와야 해서 결국 자신으로서는 첫 타이틀 획득을 놓쳐야만 했다.[51] 시즌에 앞서 자신이 내걸었던 ‘두 자릿수 승리와 1년간 1군’이라는 목표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가와카미 겐신을 제치고 팀내 1위, 리그 2위의 타이 기록인 14승을 기록했다. 볼넷과 폭투 수가 리그 최다를 기록하는 등 제구면에서 다음 시즌의 과제로 남았지만 탈삼진률은 9.35로 리그 1위가 되었고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운 투수 가운데 주니치 구단 사상 최초로 탈삼진률 9.00 이상을 달성했다.[53]

7월 29일의 야쿠르트전에서 3회에 스리볼 상황에서 볼넷을 내주는 진기록을 세웠다(상대 타자 아오키 노리치카). 2대 2 상황에서 던진 7구째가 볼이었는데 볼카운트 2-3임에도 불구하고 아오키가 1루에 출루했다. 전광판에 표시가 잘못된 것이 원인이었는데 모리 주심이나 다른 심판원들도 이를 눈치채지 못했고 나카타나 포수 다니시게 모토노부를 비롯한 양 구단 쪽에서도 이를 지적하지 않았다. 다음 타자 때에 아오키가 도루 실패한 탓에 이 오심이 득점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주니치가 경기에서 승리했고 경기 종료 후에야 오심이 드러나 네 명의 심판이 엄중 주의 처분을 받았다. 올스타전에도 첫 출전해 1실점을 내줬지만 150 km/h대의 속구로 2이닝을 3개의 삼진을 잡았다.[49]

이 해의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한신과의 제1 스테이지 2차전, 요미우리와의 제2 스테이지 3차전에 각각 선발로 나섰는데 두 경기 모두 나카타의 호투를 계기로 다음 스테이지로 진출했다. 특히 일본 시리즈 진출을 결정지은 제2 스테이지의 요미우리전에서는 도쿄 돔에서 요미우리 타선을 상대로 여러 차례 주자를 내보내면서도 11개의 삼진을 잡는 기백이 넘친 호투를 선보여 팬들의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평상시에는 마운드 위에서 쿨한 모습을 보이던 나카타가 이 날은 삼진을 잡을 때마다 몇 번씩 승리 포즈를 취했고 본인 스스로도 “이제까지의 경기 중에서 가장 희로애락을 드러냈다”라고 회상할 만큼 기백으로 팀 승리를 이끌었다. 이어진 일본 시리즈에서는 첫 경기에 에이스 가와카미 겐신을 세웠지만 타선이 다르빗슈 유 앞에서 침묵을 지키는 바람에 팀은 패했고 이후 중요한 2차전에 선발로 등판해 적지인 삿포로 돔에서 8이닝 동안 3피안타 1실점의 호투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56]

그 해 주니치가 53년 만에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이후 나고야 타임스 지면에 수기를 발표했는데 사망한 아버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인용문|

초등학교 때부터 거의 모든 대부분의 경기를 백네트 뒤의 특등석에서 지켜봐 주셨다. 이렇게 말하면 좀 이상할지도 모르겠지만 돌아가실 때까지 평균 수명에서 남은 만큼의 경기를 보러 와 주신 것 같다. … 아버지는 내게 “15승, 20승은 하지 않아도 좋다. 매년 10승을 올리는 부상없는 선수가 되도록 노력하라”고 말씀하셨다.}}

2008년 3월 31일, 베이징 올림픽 일본 대표 1차 후보 선수로 선출되었다.[58] 리그전에서는 3월 30일 1군 등록되었고, 4월 1일 개막 4차전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4월 22일 한신전(나고야 돔)에서 9이닝 5안타 무실점으로 프로 데뷔 첫 완봉 승리를 거두었다.[59] 6월 22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서는 1이닝 2/3를 던지며 5실점하여 프로 최소 강판 기록을 갱신했다.[60] 2경기 연속 KO로 7월 2일 2군으로 강등, 7월 19일에 재승격되자, 7월 20일 한신전에서는 4회부터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구원 최장인 5이닝을 던졌고, 9회에는 3실점했음에도 불구하고 1개월 만에 승리를 챙겼다.[61] 7월 26일부터 선발로 복귀했지만, 8월 25일 요미우리전에서 수비 도중 넘어지면서 왼쪽 무릎을 다쳐,[62] 8월 27일에 등록이 말소되었고, 9월 19일 1군에 복귀했다. CS 1차전에서는 10월 19일 2차전에서 세 번째 투수로 2점 뒤진 6회부터 등판했지만, 선두 타자 도리타니 다카시에게 솔로 홈런을 허용한 후, 만루에서 아카호시 노리히로에게 밀어내기 사구를 내주며 강판, 희생 번트 아웃 1개밖에 잡지 못하고 3안타 2사사구 2폭투 3실점으로, 팀은 패배했다.[63] 투구 폼에 고민하며 입단 후 처음으로 벽에 부딪히는 시즌이 되었다.[64]

가와카미 겐신메이저 리그로 이적하면서 선발 로테이션의 일각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4월 8일 야쿠르트전에서 4이닝 동안 10피안타 6실점을 내주어 패전 투수가 되었다.[65] 그 다음날에 등록이 말소되었지만 7월 7일 야쿠르트전에서 8이닝을 3피안타 1실점 11개의 탈삼진으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19일 클라이맥스 시리즈 야쿠르트전에서는 5이닝 1실점 4개의 탈삼진으로 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 진출에 큰 기여를 했다. 제2 스테이지에서는 어드밴티지를 포함한 1승 3패 상황에서 4차전의 선발을 맡았지만 다니 요시토모에게 만루 홈런을 허용하는 등 2이닝 동안 무려 7실점을 하는 등 부진을 겪었다.[68] 팀도 그대로 패하면서 일본 시리즈 진출은 무산되었다.

같은 성을 가진 나카타 료지가 입단했기 때문에, 전광판 표기가 '中田일본어'(나카타)에서 '中田賢일본어'(나카타 겐)으로 변경되었다.[169] 2월 캠프 중 오른쪽 팔뚝 부상으로 별도 훈련을 받았고,[69] 개막 로테이션에는 합류하지 못했다. 5월 4일에 1군으로 승격되었고, 5월 7일 야쿠르트전에 선발 등판하여 8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며[70]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7월 17일 히로시마전에서 완봉 승리를 거두었고,[71] 이로써 야마이 다이스케, 나카타, 첸웨인의 구단 첫 동일 카드 3연속 완투 완봉 승리를 달성했다.[72] 올스타 기간을 끼고 7월 19일에 한 차례 말소되었다가, 7월 28일에 재승격되어 8월 8일 한신전에서 다시 완봉 승리를 거두었고,[73] 이후에도 로테이션을 지켰다. 규정 투구 이닝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네 차례의 완투와 두 차례의 완봉으로 7승 4패, 평균 자책점 2.90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CS에서는 등판 기회가 없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11월 4일 5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1회부터 5연타를 허용하며 롯데 타선의 맹공에 패했다.[74][75]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해 개막 2경기째가 되는 4월 13일의 요코하마전에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 후로 줄곧 부진을 겪는 등 2군 생활이 계속되었다.[76] 6월 19일의 오릭스 버펄로스전에서는 연장 10회초에 구원 등판해 승리 투수가 되었지만[77] 이후에는 오른쪽 어깨와 등의 이상이 겹쳐 결국 1군에 승격되지 못했다.[78]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4월 4일 요코하마전에서 6이닝 동안 5개의 4사구를 내줬지만 1안타 무실점, 최고 속도 150 km/h를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80] 요시미 가즈키, 가와카미 겐신이 빠진 5월 이후에는 에이스급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교류전에서는 팀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뛰어난 성적에도 불구하고 승리를 따내지 못했다. 6월 23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을 기점으로 투구 내용이 나빠져 올스타전 이후 1개월 동안 2군에 내려갔다.[80]

최종적으로 선발 로테이션의 일원으로 22경기에 등판 또는 선발로 나섰지만 7승 10패를 기록했다. 시즌 후 야쿠르트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1차전에서는 부상 중인 요시미를 대신해 개막 투수를 맡아 6이닝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82] 그러나 자신도 부상을 당해 파이널 스테이지에는 출전하지 못했다.[83]

그 해에는 개막 로테이션에 들어가면서 4월 29일 요미우리전에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170] 5월 5일 요코하마전부터 중간 계투로 배치 전환되었다.[171] 3월 30일 개막 2차전에서 구원 등판하여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고, 4일 휴식 후 개막 5차전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4월 29일 요미우리전에서 8이닝 4실점으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고[84], 5월 5일 요코하마전부터 중간 계투로 보직을 변경했다.[85]

이후 1, 2점 리드 또는 동점 상황에서 등판하는 구원 투수로서 팀을 지탱했고, 7월 17일까지 28경기에서 3승 2패 15홀드를 기록했다. 7월 31일부터 다시 선발로 복귀했지만, 이날부터의 6경기에서 득점 지원이 1점 이하인 경기가 5경기나 되어 0승 4패를 기록했다. 9월 15일에 경기 전 프리 배팅 도중 타구에 가슴을 맞고 선발 등판을 회피했고[86], 9월 19일에 구단은 왼쪽 제2 늑골 흉골 부착부 골절로 발표했고[87], 출전 선수 등록을 말소했다. 그 해에는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최종적으로 선발 11경기에서 1승 4패, 평균자책점 3.80, 구원 29경기에서 평균자책점 2.65, WHIP 1.26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인 11월 6일 국내 FA를 선언했고[88], 출신지인 지역 구단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했다[89]12월 7일 같은 FA로 호크스로 이적한 쓰루오카 신야와 함께 입단 기자 회견을 열었다[90]。연봉은 2017년 시즌까지 4년 계약의 기본 변동제, 7000만 엔 플러스 성과급(금액은 추정)[91]。등번호는 '''11'''[92]

3. 1. 1. 2005년

주니치 구단으로서는 1998년 가와카미 겐신 이후 처음으로 신인으로서의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개막 3경기째인 4월 3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 프로 데뷔 후 첫 등판·첫 선발로 나섰고, 두 번째 선발 경기인 4월 15일 한신 타이거스전(나고야 돔)에서 프로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22] 이 때 8회까지 한신 타선을 4피안타 무실점으로 막아냈지만 9회에 가네모토 도모아키에게 홈런을 허용하여 실점하는 바람에 강판당했다.

시즌 전반기에는 평균 자책점이 6점대에 머물다가 5월에는 부상에 의해 2군으로 내려갔다.[26] 그러나 8월 중반에 1군에 복귀하여 선발 6연승을 거두면서 입단 첫 해의 6연승은 26년 만의 구단 타이 기록이었다.[31] 시즌 후반기의 평균 자책점은 1점대로 안정감을 보였다. 신인왕은 아오키 노리치카였지만[32], 주니치 스포츠가 제정한 승룡상 신인상을 수상했다.[33]

3. 1. 2. 2006년

나카자토 아쓰시와 '에이스 후보인 꽃미남 콤비'로서 주니치 스포츠 지면을 통해 ‘나카나카 콤비’라는 애칭이 붙었다.[39] 시즌 초반 부상으로 팀에서 2개월 동안 이탈했지만, 중반부터 복귀했다. 9월 1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아키타 현립 야구장)에서 프로 데뷔 후 첫 완투 승리를 올렸다.[39]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일본 시리즈 4차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4이닝 동안 1실점으로 막아냈음에도 불구하고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패전 투수가 되었다.[40] 시즌 종료 후 나카자토 아쓰시 등과 함께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열린 윈터 리그에 참가했다.[41]

3. 1. 3. 2007년

시즌 초반부터 스트레이트는 뛰어난 구위를 뽐내면서 개인 최고 속도를 경신했으나 변화구 제구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의 볼넷도 많았고 시즌 중반에는 한 달 이상 경기에서 이기지 못하는 등 힘든 시기도 겪었다.[46] 그러나 8월 12일의 요미우리전에서 10개의 삼진을 빼앗는 등 완투 승리로 9승을 거둔 무렵부터 결정구인 포크볼이 원래의 큰 낙차를 회복해 연속 승리를 올리면서 팀의 우승 경쟁에도 큰 기여를 했다. 8월 19일의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 시즌 10승째를 기록해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다.[50]

또 탈삼진률도 큰 폭으로 올라가면서 최다 탈삼진 타이틀 자리를 놓고 마지막까지 우쓰미 데쓰야(요미우리)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1위와 겨우 11개차로 맞이한 시즌 최종 등판 경기인 10월 6일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 5이닝까지 8개의 탈삼진을 잡아내는 순조로운 페이스를 보여 이대로 계속 던진다면 최다 탈삼진 타이틀 획득이 거의 확실한 것으로 점쳐졌지만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향한 타 투수진의 조정 등판 때문에 5회 종료 후 마운드에서 내려와야 해서 결국 자신으로서는 첫 타이틀 획득을 놓쳐야만 했다.[51] 시즌에 앞서 자신이 내걸었던 ‘두 자릿수 승리와 1년간 1군’이라는 목표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가와카미 겐신을 제치고 팀내 1위, 리그 2위의 타이 기록인 14승을 기록했다. 볼넷과 폭투 수가 리그 최다를 기록하는 등 제구면에서 다음 시즌의 과제로 남았지만 탈삼진률은 9.35로 리그 1위가 되었고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운 투수 가운데 주니치 구단 사상 최초로 탈삼진률 9.00 이상을 달성했다.[53]

7월 29일의 야쿠르트전에서 3회에 스리볼 상황에서 볼넷을 내주는 진기록을 세웠다(상대 타자 아오키 노리치카). 2대 2 상황에서 던진 7구째가 볼이었는데 볼카운트 2-3임에도 불구하고 아오키가 1루에 출루했다. 전광판에 표시가 잘못된 것이 원인이었는데 모리 주심이나 다른 심판원들도 이를 눈치채지 못했고 나카타나 포수 다니시게 모토노부를 비롯한 양 구단 쪽에서도 이를 지적하지 않았다. 다음 타자 때에 아오키가 도루 실패한 탓에 이 오심이 득점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주니치가 경기에서 승리했고 경기 종료 후에야 오심이 드러나 네 명의 심판이 엄중 주의 처분을 받았다. 올스타전에도 첫 출전해 1실점을 내줬지만 150 km/h대의 속구로 2이닝을 3개의 삼진을 잡았다.[49]

이 해의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한신과의 제1 스테이지 2차전, 요미우리와의 제2 스테이지 3차전에 각각 선발로 나섰는데 두 경기 모두 나카타의 호투를 계기로 다음 스테이지로 진출했다. 특히 일본 시리즈 진출을 결정지은 제2 스테이지의 요미우리전에서는 도쿄 돔에서 요미우리 타선을 상대로 여러 차례 주자를 내보내면서도 11개의 삼진을 잡는 기백이 넘친 호투를 선보여 팬들의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평상시에는 마운드 위에서 쿨한 모습을 보이던 나카타가 이 날은 삼진을 잡을 때마다 몇 번씩 승리 포즈를 취했고 본인 스스로도 “이제까지의 경기 중에서 가장 희로애락을 드러냈다”라고 회상할 만큼 기백으로 팀 승리를 이끌었다. 이어진 일본 시리즈에서는 첫 경기에 에이스 가와카미 겐신을 세웠지만 타선이 다르빗슈 유 앞에서 침묵을 지키는 바람에 팀은 패했고 이후 중요한 2차전에 선발로 등판해 적지인 삿포로 돔에서 8이닝 동안 3피안타 1실점의 호투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56]

그 해 주니치가 53년 만에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이후 나고야 타임스 지면에 수기를 발표했는데 사망한 아버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인용문|

초등학교 때부터 거의 모든 대부분의 경기를 백네트 뒤의 특등석에서 지켜봐 주셨다. 이렇게 말하면 좀 이상할지도 모르겠지만 돌아가실 때까지 평균 수명에서 남은 만큼의 경기를 보러 와 주신 것 같다. … 아버지는 내게 “15승, 20승은 하지 않아도 좋다. 매년 10승을 올리는 부상없는 선수가 되도록 노력하라”고 말씀하셨다.}}

3. 1. 4. 2008년

2008년 3월 31일, 베이징 올림픽 일본 대표 1차 후보 선수로 선출되었다.[58] 리그전에서는 3월 30일 1군 등록되었고, 4월 1일 개막 4차전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4월 22일 한신전(나고야 돔)에서 9이닝 5안타 무실점으로 프로 데뷔 첫 완봉 승리를 거두었다.[59] 6월 22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서는 1이닝 2/3를 던지며 5실점하여 프로 최소 강판 기록을 갱신했다.[60] 2경기 연속 KO로 7월 2일 2군으로 강등, 7월 19일에 재승격되자, 7월 20일 한신전에서는 4회부터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구원 최장인 5이닝을 던졌고, 9회에는 3실점했음에도 불구하고 1개월 만에 승리를 챙겼다.[61] 7월 26일부터 선발로 복귀했지만, 8월 25일 요미우리전에서 수비 도중 넘어지면서 왼쪽 무릎을 다쳐,[62] 8월 27일에 등록이 말소되었고, 9월 19일 1군에 복귀했다. CS 1차전에서는 10월 19일 2차전에서 세 번째 투수로 2점 뒤진 6회부터 등판했지만, 선두 타자 도리타니 다카시에게 솔로 홈런을 허용한 후, 만루에서 아카호시 노리히로에게 밀어내기 사구를 내주며 강판, 희생 번트 아웃 1개밖에 잡지 못하고 3안타 2사사구 2폭투 3실점으로, 팀은 패배했다.[63] 투구 폼에 고민하며 입단 후 처음으로 벽에 부딪히는 시즌이 되었다.[64]

3. 1. 5. 2009년

가와카미 겐신메이저 리그로 이적하면서 선발 로테이션의 일각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4월 8일 야쿠르트전에서 4이닝 동안 10피안타 6실점을 내주어 패전 투수가 되었다.[65] 그 다음날에 등록이 말소되었지만 7월 7일 야쿠르트전에서 8이닝을 3피안타 1실점 11개의 탈삼진으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19일 클라이맥스 시리즈 야쿠르트전에서는 5이닝 1실점 4개의 탈삼진으로 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 진출에 큰 기여를 했다. 제2 스테이지에서는 어드밴티지를 포함한 1승 3패 상황에서 4차전의 선발을 맡았지만 다니 요시토모에게 만루 홈런을 허용하는 등 2이닝 동안 무려 7실점을 하는 등 부진을 겪었다.[68] 팀도 그대로 패하면서 일본 시리즈 진출은 무산되었다.

3. 1. 6. 2010년

같은 성을 가진 나카타 료지가 입단했기 때문에, 전광판 표기가 '中田일본어'(나카타)에서 '中田賢일본어'(나카타 겐)으로 변경되었다.[169] 2월 캠프 중 오른쪽 팔뚝 부상으로 별도 훈련을 받았고,[69] 개막 로테이션에는 합류하지 못했다. 5월 4일에 1군으로 승격되었고, 5월 7일 야쿠르트전에 선발 등판하여 8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며[70]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7월 17일 히로시마전에서 완봉 승리를 거두었고,[71] 이로써 야마이 다이스케, 나카타, 첸웨인의 구단 첫 동일 카드 3연속 완투 완봉 승리를 달성했다.[72] 올스타 기간을 끼고 7월 19일에 한 차례 말소되었다가, 7월 28일에 재승격되어 8월 8일 한신전에서 다시 완봉 승리를 거두었고,[73] 이후에도 로테이션을 지켰다. 규정 투구 이닝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네 차례의 완투와 두 차례의 완봉으로 7승 4패, 평균 자책점 2.90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CS에서는 등판 기회가 없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11월 4일 5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1회부터 5연타를 허용하며 롯데 타선의 맹공에 패했다.[74][75]

3. 1. 7. 2011년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해 개막 2경기째가 되는 4월 13일의 요코하마전에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 후로 줄곧 부진을 겪는 등 2군 생활이 계속되었다.[76] 6월 19일의 오릭스 버펄로스전에서는 연장 10회초에 구원 등판해 승리 투수가 되었지만[77] 이후에는 오른쪽 어깨와 등의 이상이 겹쳐 결국 1군에 승격되지 못했다.[78]

3. 1. 8. 2012년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4월 4일 요코하마전에서 6이닝 동안 5개의 4사구를 내줬지만 1안타 무실점, 최고 속도 150 km/h를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80] 요시미 가즈키, 가와카미 겐신이 빠진 5월 이후에는 에이스급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교류전에서는 팀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뛰어난 성적에도 불구하고 승리를 따내지 못했다. 6월 23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을 기점으로 투구 내용이 나빠져 올스타전 이후 1개월 동안 2군에 내려갔다.[80]

최종적으로 선발 로테이션의 일원으로 22경기에 등판 또는 선발로 나섰지만 7승 10패를 기록했다. 시즌 후 야쿠르트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1차전에서는 부상 중인 요시미를 대신해 개막 투수를 맡아 6이닝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82] 그러나 자신도 부상을 당해 파이널 스테이지에는 출전하지 못했다.[83]

3. 1. 9. 2013년

그 해에는 개막 로테이션에 들어가면서 4월 29일 요미우리전에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170] 5월 5일 요코하마전부터 중간 계투로 배치 전환되었다.[171] 3월 30일 개막 2차전에서 구원 등판하여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고, 4일 휴식 후 개막 5차전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4월 29일 요미우리전에서 8이닝 4실점으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고[84], 5월 5일 요코하마전부터 중간 계투로 보직을 변경했다[85]

이후 1, 2점 리드 또는 동점 상황에서 등판하는 구원 투수로서 팀을 지탱했고, 7월 17일까지 28경기에서 3승 2패 15홀드를 기록했다. 7월 31일부터 다시 선발로 복귀했지만, 이날부터의 6경기에서 득점 지원이 1점 이하인 경기가 5경기나 되어 0승 4패를 기록했다. 9월 15일에 경기 전 프리 배팅 도중 타구에 가슴을 맞고 선발 등판을 회피했고[86], 9월 19일에 구단은 왼쪽 제2 늑골 흉골 부착부 골절로 발표했고[87], 출전 선수 등록을 말소했다. 그 해에는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최종적으로 선발 11경기에서 1승 4패, 평균자책점 3.80, 구원 29경기에서 평균자책점 2.65, WHIP 1.26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인 11월 6일 국내 FA를 선언했고[88], 출신지인 지역 구단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했다[89]12월 7일 같은 FA로 호크스로 이적한 쓰루오카 신야와 함께 입단 기자 회견을 열었다[90]。연봉은 2017년 시즌까지 4년 계약의 기본 변동제, 7000만 엔 플러스 성과급(금액은 추정)[91]。등번호는 '''11'''[92]

3. 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

2013년 11월 28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계약했다.[2][3]

'''2014년'''

2014년 시즌에는 정규 시즌을 11승 7패, 평균자책점 4.34, 139이닝 116탈삼진으로 마쳤다.[93] 5월 3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라쿠텐 코보 스타디움 미야기)에서는 1000이닝을 달성했다.[94] 8월 23일 지바 롯데전에서 이적 후 첫 완투 승리를 거두었고,[96] 1년을 통해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지키며, 방어율 4점대임에도 팀 내 공동 1위인 11승을 거두어 개인 통산 2번째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다. CS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10월 18일 4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2실점으로 막아내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97] 2014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10월 29일 4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3회에 강판되었다.[98][99]

'''2015년'''

2015년 시즌에는 정규 시즌을 9승 7패, 평균자책점 3.24, 155 1/3이닝 130탈삼진으로 마쳤다.[103] 3월 29일 롯데전에서 패전 투수가 되었고, 4월 5일 세이부전에서는 완투했지만 2패를 기록[101], 같은 달 6일에 1군 등록 말소되는 등[102], 순조로운 개막은 아니었다. 그러나 1군에 재등록된 4월 17일 롯데전(QVC 마린 필드)에서 1000 탈삼진과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고[103], 5월 27일에는 친정팀인 주니치에서 시즌 첫 완투 승리를 거두는 등 부활하여[104], 팀 내 두 번째로 많은 투구 이닝인 155 1/3이닝을 던지며, 선발 로테이션을 지키며 팀의 리그 2연패에 기여했다. 10월 16일 야후오쿠! 돔에서 열린 CS 파이널 스테이지 3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7이닝 4안타 1실점의 호투를 펼쳐 클라이맥스 시리즈 역대 최다인 6승을 거두었고[105], 일본 시리즈 진출을 달성했다. 2015년 일본 시리즈에 등판했다. 시즌 오프에 현상 유지인 연봉 9500만 엔 플러스 성과급(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06] 12월 5일에는 전년도에 혼인 신고를 한 유키 부인과 후쿠오카 시내에서 결혼 피로연을 열었다.[107]

'''2016년'''

2016년, 2월 중순에 오른쪽 팔뚝을 다친 영향으로 개막전에 출전하지 못했다.[108] 시즌 첫 승리는 6월 2일 주니치전에서 늦게 기록되었다.[109] 17경기에 등판하여 89⅔이닝 동안 7승 3패를 기록했지만, 3년 연속 20경기 이상 선발 등판 및 100이닝 이상 투구 기록에는 실패했다. 시즌 후, 연봉은 변동 없이 9500만 엔(추정)에 성과급을 추가하는 조건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10]

'''2017년'''

4월 1일 롯데전(야후오쿠! 돔)에서 첫 선발을 첫 승리로 장식하며 순조로운 개막 스타트를 끊었다.[111] 6월 8일 야쿠르트전까지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담당했지만, 6월 15일 요미우리[112], 7월 23일 롯데전과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강판되어 등판 기회를 잃었다.[113] 약 1개월 만의 선발 등판이 된 8월 24일 세이부전에서 7이닝 5피안타 1실점의 호투를 보여, 앞서 언급한 야쿠르트전 이후 77일 만에 승리를 거두었다.[114] 10월 1일 오릭스전에서는 포스트 시즌을 대비하여 구원 등판하여 승리를 거두었다.[115] 11월 2일에 열린 일본 시리즈 5차전에서는 구원 투수로 불펜에 들어갔지만, 등판 기회는 없었다.[116] 그 해에는 18경기에 등판하여 86⅔이닝을 던져 7승 6패로, 전년과 비슷한 성적을 거두었다. 시즌 오프에 1000만 엔 삭감된 단년 계약, 연봉 8500만 엔(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17] 또한, 그 해 9월 5일에는 첫째 아들(남자)이 태어났다고 보도되었다.[118]

'''2018년'''

2018년 8월 26일, 구원 투수로서 100승을 기록했다.[4] 8월 21일 니혼햄전 이후 구원 투수로 기용되었다.[122] 8월 26일 세이부전(후쿠오카 야후오쿠! 돔)에서 8 대 8 동점인 연장 11회부터 등판하여 2이닝 무실점, 5탈삼진을 기록했고, 12회말 그라시알의 끝내기 만루 홈런으로 팀이 승리하면서 승리 투수가 되어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122] 결과적으로 선발 13경기, 구원 10경기를 포함해 총 23경기에 등판하여 91⅔이닝을 던져 5승 3패, 평균자책점 5.20으로 성적은 부진했다. 시즌 오프에 2500만 엔 삭감된 연봉 6000만 엔(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23]

'''2019년'''

2019년, 개막부터 2군에서 조정을 이어가다, 9월 5일에 시즌 첫 승격을 했다. 결과적으로 1군 공식전 등판은 승격 즉시 선발로 나선 야후오쿠! 돔에서의 라쿠텐전(4회 초 1실점으로 승패 없음)이 유일했고,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시즌 무승으로 끝났다.[124] 한편, 2군에서는 21경기 등판하여 팀 최다인 95이닝 1/3을 던져 6승 3패, 방어율 3.02를 기록하며 웨스턴 리그 최우수 방어율, 승률 1위를 차지했다.[125]

3. 2. 1. 2014년

2014년 시즌에는 정규 시즌을 11승 7패, 평균자책점 4.34, 139이닝 116탈삼진으로 마쳤다.[93] 5월 3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라쿠텐 코보 스타디움 미야기)에서는 1000이닝을 달성했다.[94] 8월 23일 지바 롯데전에서 이적 후 첫 완투 승리를 거두었고,[96] 1년을 통해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지키며, 방어율 4점대임에도 팀 내 공동 1위인 11승을 거두어 개인 통산 2번째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다. CS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10월 18일 4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2실점으로 막아내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97] 2014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10월 29일 4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3회에 강판되었다.[98][99]

3. 2. 2. 2015년

2015년 시즌에는 정규 시즌을 9승 7패, 평균자책점 3.24, 155 1/3이닝 130탈삼진으로 마쳤다.[103] 3월 29일 롯데전에서 패전 투수가 되었고, 4월 5일 세이부전에서는 완투했지만 2패를 기록[101], 같은 달 6일에 1군 등록 말소되는 등[102], 순조로운 개막은 아니었다. 그러나 1군에 재등록된 4월 17일 롯데전(QVC 마린 필드)에서 1000 탈삼진과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고[103], 5월 27일에는 친정팀인 주니치에서 시즌 첫 완투 승리를 거두는 등 부활하여[104], 팀 내 두 번째로 많은 투구 이닝인 155 1/3이닝을 던지며, 선발 로테이션을 지키며 팀의 리그 2연패에 기여했다. 10월 16일 야후오쿠! 돔에서 열린 CS 파이널 스테이지 3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7이닝 4안타 1실점의 호투를 펼쳐 클라이맥스 시리즈 역대 최다인 6승을 거두었고[105], 일본 시리즈 진출을 달성했다. 2015년 일본 시리즈에 등판했다. 시즌 오프에 현상 유지인 연봉 9500만 엔 플러스 성과급(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06] 12월 5일에는 전년도에 혼인 신고를 한 유키 부인과 후쿠오카 시내에서 결혼 피로연을 열었다.[107]

3. 2. 3. 2016년

2016년, 2월 중순에 오른쪽 팔뚝을 다친 영향으로 개막전에 출전하지 못했다.[108] 시즌 첫 승리는 6월 2일 주니치전에서 늦게 기록되었다.[109] 17경기에 등판하여 89⅔이닝 동안 7승 3패를 기록했지만, 3년 연속 20경기 이상 선발 등판 및 100이닝 이상 투구 기록에는 실패했다. 시즌 후, 연봉은 변동 없이 9500만 엔(추정)에 성과급을 추가하는 조건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10]

3. 2. 4. 2017년

4월 1일 롯데전(야후오쿠! 돔)에서 첫 선발을 첫 승리로 장식하며 순조로운 개막 스타트를 끊었다.[111] 6월 8일 야쿠르트전까지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담당했지만, 6월 15일 요미우리[112], 7월 23일 롯데전과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강판되어 등판 기회를 잃었다.[113] 약 1개월 만의 선발 등판이 된 8월 24일 세이부전에서 7이닝 5피안타 1실점의 호투를 보여, 앞서 언급한 야쿠르트전 이후 77일 만에 승리를 거두었다.[114] 10월 1일 오릭스전에서는 포스트 시즌을 대비하여 구원 등판하여 승리를 거두었다.[115] 11월 2일에 열린 일본 시리즈 5차전에서는 구원 투수로 불펜에 들어갔지만, 등판 기회는 없었다.[116] 그 해에는 18경기에 등판하여 86⅔이닝을 던져 7승 6패로, 전년과 비슷한 성적을 거두었다. 시즌 오프에 1000만 엔 삭감된 단년 계약, 연봉 8500만 엔(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17] 또한, 그 해 9월 5일에는 첫째 아들(남자)이 태어났다고 보도되었다.[118]

3. 2. 5. 2018년

2018년 8월 26일, 구원 투수로서 100승을 기록했다.[4] 8월 21일 니혼햄전 이후 구원 투수로 기용되었다.[122] 8월 26일 세이부전(후쿠오카 야후오쿠! 돔)에서 8 대 8 동점인 연장 11회부터 등판하여 2이닝 무실점, 5탈삼진을 기록했고, 12회말 그라시알의 끝내기 만루 홈런으로 팀이 승리하면서 승리 투수가 되어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122] 결과적으로 선발 13경기, 구원 10경기를 포함해 총 23경기에 등판하여 91⅔이닝을 던져 5승 3패, 평균자책점 5.20으로 성적은 부진했다. 시즌 오프에 2500만 엔 삭감된 연봉 6000만 엔(금액은 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23]

3. 2. 6. 2019년

2019년, 개막부터 2군에서 조정을 이어가다, 9월 5일에 시즌 첫 승격을 했다. 결과적으로 1군 공식전 등판은 승격 즉시 선발로 나선 야후오쿠! 돔에서의 라쿠텐전(4회 초 1실점으로 승패 없음)이 유일했고,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시즌 무승으로 끝났다.[124] 한편, 2군에서는 21경기 등판하여 팀 최다인 95이닝 1/3을 던져 6승 3패, 방어율 3.02를 기록하며 웨스턴 리그 최우수 방어율, 승률 1위를 차지했다.[125]

3. 3. 한신 타이거스 시절

2019년 10월 26일, 나카타 겐이치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했다.[5] 시즌 종료 후, 무상 트레이드를 통해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하는 것이 발표되었다.[126][127][128] 등번호는 주니치 시절과 같은 '''20'''번을 사용하게 되었다.[129]

2020년에는 3경기에 선발 출장했지만,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2021년에는 1군 등판 없이 2군에서 조정을 계속하다가, 같은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는 것이 9월 28일에 발표되었고[130], 29일에 은퇴 기자 회견이 열려 감사의 뜻을 표했다.[131][132]

3. 3. 1. 2020년

2020년에는 3경기에 선발 출장했지만,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3. 3. 2. 2021년

2021년에는 1군 등판 없이 2군에서 조정을 계속하다가, 같은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는 것이 9월 28일에 발표되었고[130], 29일에 은퇴 기자 회견이 열려 감사의 뜻을 표했다[131][132]

4. 은퇴 후

2021년 은퇴 후, 2022 시즌부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3군 투수 코치로 임명되었다.[7][133][134] 등번호는 '''94'''였다.[135] 2022년 10월 21일, 팀의 4군제 도입에 따라 4군 투수 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고,[136] 등번호는 '''012'''로 변경되었다.[137] 2023년 12월 2일, 1군 투수 코치(불펜 보조)로 보직 변경되었다.[9][138] 등번호는 '''71'''이다.[138]

나카타는 2021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획득한 드래프트 1위 카자마 키우를 육성했다.[149] 그 다음 해에 나카타가 4군 투수 코치로 배치 전환된 후에도 2022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획득한 드래프트 4위 오노 카즈오도 육성하고 있다.[150] 호크스의 육성 선수에 대해서는 매일 15분간의 캐치볼을 실시하며, 나카타의 3군·4군 투수 코치 경험이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151]

5. 플레이 스타일

평균 구속 약 143km/h,[172] 최고 속도 153km/h의 속구와 낙차가 큰 포크볼, 슬라이더, 커브, 컷 패스트볼을 구사했다.[139][140][141][142] 통산 탈삼진률이 8.37로 탈삼진 능력이 뛰어났다. 아마추어 시절 주무기였던 체인지업은 주니치 시절 시도했으나 단념했다.[143]

독특한 옆회전이 걸린 포크볼은 결정구로 사용되었는데, 스기시타 시게루는 주니치 스포츠 칼럼에서 "가라앉았다가 굽었다가 하는 포크"라고 표현하며 극찬했다.

구위로 밀어붙이는 투구 스타일과 거친 볼이 특징으로, 제구력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어 오치아이 히로미츠 감독으로부터 '난폭한 말'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144][145][146][147] 2009년경부터 제구력 향상을 위해 투구 폼을 수정하여 변화구 제구가 향상되고 4사구 개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지구력이 뛰어나 2007년 9월 16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는 8회 128구째에 자신의 최고 구속인 153km/h를 기록하기도 했다. 나고야 돔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으며, 2005년 4월 15일 한신전에서 프로 첫 승리를 거둔 후 2007년 6월 24일까지 나고야 돔에서 13연승을 기록했다.

6. 개인 기록

; 첫 기록

;; 투수 기록


  • 첫 등판·첫 선발 등판: 2005년 4월 3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3차전(나고야 돔), 4이닝 2/3를 6실점으로 패전 투수
  • 첫 탈삼진: 상동, 2회 초 요시카와 테루아키로부터 헛스윙 삼진
  • 첫 승리·첫 선발 승리: 2005년 4월 15일, 한신 타이거스 1차전(나고야 돔), 8이닝 2실점
  • 첫 세이브: 2006년 7월 8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6차전(나가라가와 구장), 7회 초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완료, 3이닝 무실점
  • 첫 완투 승리: 2006년 9월 1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21차전(아키타현립 야구장), 9이닝 2실점
  • 첫 홀드: 2007년 7월 18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4차전(나고야 돔), 6회 초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
  • 첫 완봉 승리: 2008년 4월 22일, 한신 타이거스 3차전(나고야 돔)

;; 타격 기록

  • 첫 안타: 2005년 8월 21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5차전(나고야 돔), 3회 말 하타 유우지로부터 중전 안타
  • 첫 타점: 2006년 10월 9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4회 초 이시카와 마사노리로부터 중전 적시타

; 이정표 기록

  • 1000 투구 이닝: 2014년 5월 3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7차전(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 1회 말 1사 후지타 카즈야로부터 희생타로 달성 ※역대 338번째
  • 1000 탈삼진: 2015년 4월 17일, 지바 롯데 마린스 4차전(QVC 마린필드), 6회 말 2사 이구치 타다히토로부터 헛스윙 삼진 ※역대 141번째
  • 1500 투구 이닝: 2018년 5월 31일, 한신 타이거스 3차전(고시엔 구장), 7회 말 1사 후쿠도메 코스케로부터 포크볼 삼진으로 달성 ※역대 177번째
  • 100승: 2018년 8월 26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18차전(후쿠오카 야후오쿠! 돔), 11회 초 8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완료, 2이닝 무실점 ※역대 136번째

; 기타 기록

  • 일본 시리즈 개인 이닝 최다 사구: 2 (2006년 일본 시리즈 4차전)
  • 클라이맥스 시리즈 통산 승리: 6 ※역대 1위, 1973~82년 및 2004~06년에 퍼시픽 리그에서 열린 플레이오프에서의 성적을 포함해도 통산 1위
  • 올스타전 출장: 1회 (2007년)

6. 1. 투수 기록

나카타 겐이치는 2005년 4월 3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전에서 첫 등판 및 첫 선발로 출장하여 4⅔이닝 6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 같은 경기 2회초에 요시카와 데루아키로부터 헛스윙 삼진을 기록하며 첫 탈삼진을 기록했다. 2005년 4월 15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는 8이닝 2실점으로 첫 승리 및 첫 선발 승리를 거두었다.

2006년 7월 8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는 7회초에 구원 등판하여 3이닝 무실점으로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같은 해 9월 1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는 9이닝 2실점으로 첫 완투 승리를 따냈다. 2007년 7월 18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는 6회초에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으로 첫 홀드를 기록했다. 2008년 4월 22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는 첫 완봉 승리를 기록했다.

2006년 일본 시리즈 4차전에서는 일본 시리즈 개인 이닝 최다 몸에 맞는 볼 2개를 기록했다.

6. 2. 타격 기록

나카타 겐이치의 첫 안타는 2005년 8월 21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5차전(나고야 돔)에서 나왔으며, 3회말에 하타 유지로부터 중전 안타를 기록했다. 첫 타점은 2006년 10월 9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기록했는데, 4회초에 이시카와 마사노리로부터 중전 적시타를 쳤다.

7. 수상 경력


  • 야나세 MIP상(2005년)
  • 크라운상 특별상(2005년)
  • 크라운상 우수 선수상(2007년)

참조

[1] 웹사이트 第33回 日米大学野球選手権大会 オールジャパンメンバー https://www.jubf.net[...] 2019-10-10
[2] 웹사이트 Nikkan Sports baseball news (Japanese) FA中田賢ソフトB入り 地元愛で決めた https://www.nikkansp[...] 2019-10-10
[3] 웹사이트 Nikkan Sports baseball news (Japanese) ソフトB中田2500万増の9500万でサイン https://www.nikkansp[...] 2019-10-10
[4] 웹사이트 Nikkan Sports baseball news (Japanese) ソフトバンク劇勝で中田100勝「目の前の仕事を」 https://www.nikkansp[...] 2019-10-10
[5] 웹사이트 Yahoo Japan (Japanese) ソフトバンク 中田の阪神移籍を発表「地元福岡で6年間…野球人生の中ですごく幸せな日々でした」 https://headlines.ya[...]
[6] Tweet Veteran pitcher Nakata to end 17-year pro career - The Mainichi #npb 2021-09-28
[7] 웹사이트 Fukuoka SoftBank Hawks team's news 2021/11/03(水) 球団 髙谷コーチ、中田コーチ、城所コーチが就任会見 https://www.softbank[...] 2022-12-03
[8] 웹사이트 Fukuoka SoftBank Hawks press release 2022/11/28(月) プレスリリース 2023年コーチングスタッフについて(2022年11月28日現在) https://www.softbank[...] 2022-12-03
[9] 웹사이트 Fukuoka SoftBank Hawks press release 2023/12/02 (土) プレスリリース 2024年 コーチングスタッフについて https://www.softbank[...] 2023-12-05
[10] 웹사이트 阪神加入中田に心強い味方、妻角野アナの反応明かす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10-29
[11] 뉴스 中田、父子ロードで早朝ラン 故郷で原点回帰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12-22
[12] 뉴스 竜2巡目・中田、一場に負けない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4-11-22
[13] 뉴스 中田の2試合完投で北九大がV/九6 https://web.archive.[...] 日刊スポーツ九州 2004-05-30
[14] 뉴스 中田が歴史刻んだ!北九大1勝 https://web.archive.[...] 日刊スポーツ九州 2004-06-11
[15] 뉴스 第53回全日本大学選手権 北九州市大が初勝利 https://web.archive.[...] 스포츠니ッポン
[16] 뉴스 北九大、中田が無安打無得点/九州6大学 https://web.archive.[...] 日刊スポーツ九州 2004-09-27
[17] 뉴스 北九大中田が中日を「逆指名」 https://web.archive.[...] 日刊スポーツ九州 2004-10-28
[18] 뉴스 中田が川上に弟子入り志願 開幕1軍、先発ローテ、連覇貢献へ強気宣言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4-11-18
[19] 뉴스 北九州大・中田も竜でプロ 他球団指名なら社会人入り https://web.archive.[...] 중일스포츠 2004-11-17
[20] 뉴스 背番号20!エース新伝説 中田が中日入団発表 https://web.archive.[...] 중일스포츠 2004-12-25
[21] 뉴스 中日今季初黒星、中田が6失点KO https://web.archive.[...] 일간 스포츠 2005-04-04
[22] 뉴스 中日中田が初勝利!「とにかくうれしい」 https://web.archive.[...] 일간 스포츠 2005-04-16
[23] 뉴스 スコア速報 西武対中日 https://web.archive.[...] 일간 스포츠
[24] 뉴스 スコア速報 中日対ソフトバンク https://web.archive.[...] 일간 스포츠
[25] 뉴스 中日5カード連続の負け越し、首位陥落 https://web.archive.[...] 일간 스포츠 2005-05-23
[26] 뉴스 スコア速報 ロッテ対中日 https://web.archive.[...] 일간 스포츠
[27] 뉴스 中田 故障後初ブルペン投球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ファーム情報 2005-06-27
[28] 뉴스 일간 스포츠 2005-06-03
[29] 뉴스 中田 1軍復帰へ好投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ファーム情報 2005-08-05
[30] 뉴스 中田、竜の窮地救った https://web.archive.[...] 中일스포츠
[31] 뉴스 中日のルーキー・中田が6連勝!球団新人では26年ぶり https://web.archive.[...] 산케이스포츠 2005-09-28
[32] 웹사이트 2005年度 表彰選手 投票結果(最優秀新人) https://npb.jp/award[...] 일본야구기구
[33] 뉴스 よっ! 竜の若大将 中田、うれし~い昇竜賞新人賞 https://web.archive.[...] 中일스포츠
[34] 웹사이트 2006年4月12日(水) 対中日 1回戦 甲子園 https://web.archive.[...] 阪神タイガース
[35] 뉴스 中田、初体験に落とし穴 高めの速球に威力なし https://web.archive.[...] 중일스포츠 2006-05-01
[36] 뉴스 中田「いつでもOK」 ケガの功名だ絶好調93球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6-05-16
[37] 라디오 エキサイトベースボール | 7月8日(土) 中日 vs 横浜(試合詳細) https://web.archive.[...] TBSラジオ
[38] 뉴스 中田、3回から登板 決勝被弾も復活に手応え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6-08-16
[39] 뉴스 ドラ Vスパート 3連勝で70勝到達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6-09-13
[40] 뉴스 中田、力強く次こそ 4イニング1失点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6-10-26
[41] 뉴스 中田&中里「何でも得て帰ってくる」 きょうドミニカへ出発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6-11-08
[42] 웹사이트 Statistics Aguilas Cibaenas http://www.mlb.com/m[...] MLB.com 2006
[43] 뉴스 中田「天国の父さん見てて」 楽天封じるぞ!あす初のオープン戦登板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3-10
[44] 뉴스 中田ハラハラ3連勝 ボール先行も負けない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4-16
[45] 뉴스 中田で首位陥落 魔の6回に悪夢の6連打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4-23
[46] 뉴스 中田、1カ月半ぶり8勝も反省 “四球病”直らず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7-30
[47] 뉴스 中日対ヤクルトスコア速報 https://www.nikkansp[...] 日刊스포츠
[48] 뉴스 中田、小久保にリベンジだ プロ3年目球宴初選出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7-04
[49] 웹사이트 2007年度ガリバーオールスターゲーム 試合結果(第2戦) https://npb.jp/bis/s[...] NPB.jp 日本野球機構
[50] 라디오 エキサイトベースボール | 8月19日(日) 中日 vs 横浜(試合詳細) https://web.archive.[...]
[51] 뉴스 中田、奪三振王より日本一 あと3つ…5イニング8Kで交代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7-10-07
[52] 웹사이트 2007年度 セントラル・リーグ リーダーズ(投手部門) https://npb.jp/bis/2[...] NPB.jp 日本野球機構
[53] 라디오 エキサイトベースボール | セントラルリーグ投手成績 https://web.archive.[...] TBS라디오
[54] 뉴스 中田で決めた! ナゴヤT戦6戦6勝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7-10-15
[55] 뉴스 中田2暴投3四死球も11Kの力投 https://web.archive.[...] 日刊스포츠 2007-10-21
[56] 뉴스 中田、勝負強ぇ~ Mr.ポストマン3連勝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7-10-29
[57] 뉴스 竜らしさなし日本勢初黒星 アジアシリーズ2007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7-11-09
[58] 웹사이트 北京五輪日本代表1次候補 http://www.sponichi.[...] 스포니치 Sponichi Annex
[59] 뉴스 中田、プロ初完封 落合監督も知らなかった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8-04-23
[60] 웹사이트 不調・中田にオレ流10分間アドバイス https://web.archive.[...]
[61] 뉴스 中田真っ向勝負!!腕振った 復活の兆し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8-07-21
[62] 뉴스 中田、6回途中転んで降板 今季最多11Kも…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8-08-26
[63] 뉴스 中田炎上、CS初黒星 竜虎きょう決着 マサ頼む!!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8-10-20
[64] 뉴스 中田リフォーム “投球のズレ”今季中に直す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8-11-05
[65] 뉴스 中田、守りきれず 魔の5回…6失点KO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9-04-09
[66] 뉴스 中田、488日ぶり完封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9-08-24
[67] 뉴스 中田、大役果たした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9-10-20
[68] 뉴스 落合竜終戦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09-10-25
[69] 뉴스 朝倉に続き中田賢も…別メニュー調整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10-02-17
[70] 뉴스 中田賢、復活祝いだ https://web.archive.[...] 中日스포츠 2010-05-08
[71] 뉴스 中田賢、連夜の歓封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10-07-18
[72] 뉴스 完封3タテ チェンも続いた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10-07-19
[73] 뉴스 中田賢、虎3タテ!完封!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10-08-09
[74] 웹사이트 試合速報 http://dragons.jp/ga[...] 中日ドラゴンズ 公式サイト
[75] 뉴스 崩れたケン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10-11-05
[76] 뉴스 中田賢、2軍で再調整 http://www.chunichi.[...] 中日スポーツ 2011-04-30
[77] 웹사이트 試合速報 http://dragons.jp/ga[...] 中日ドラゴンズ 公式サイト
[78] 뉴스 中田賢、故障後初のフリー打撃登板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ファーム情報 2011-09-05
[79] 뉴스 中田賢4カ月ぶり復帰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ファーム情報 2011-11-01
[80] 뉴스 中田賢不運8回1失点無四球10Kも5敗目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2-06-14
[81] 뉴스 【中日】中田賢CSへ調整の2回1失点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2-10-05
[82] 뉴스 これぞ中田賢、3年ぶりCS勝利 http://www.chunichi.[...] 中日スポーツ 2012-10-14
[83] 뉴스 【中日】右肩関節炎で中田賢抹消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2-10-15
[84] 뉴스 中田賢 初回4失点から別人好投!8回4失点で今季初勝利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3-05-12
[85] 뉴스 「応急処置」森野二塁起用も…中日、11年ぶり借金7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3-05-12
[86] 뉴스 【中日】岡田、中田賢代役で18日緊急先発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3-09-17
[87] 뉴스 【中日】中田賢、肋骨骨折と診断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3-09-19
[88] 뉴스 中田賢がFA権行使=プロ野球・中日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21-08-27
[89] 뉴스 FA中田賢ソフトB入り 地元愛で決めた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08-27
[90] 뉴스 【ソフトB】中田と鶴岡が入団会見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08-27
[91] 웹사이트 ソフトB中田2500万増の9500万でサイン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12-25
[92] 웹사이트 2013/12/07(土) プレスリリース 新入団のお知らせ https://www.softbank[...]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7-12-25
[93] 뉴스 ソフトB中田、日本人43年ぶり5戦5勝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1-24
[94] 뉴스 ソフトB中田1000投球回達成も初黒星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1-24
[95] 뉴스 ソフトB中田2回持たず 最悪タイ10失点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1-24
[96] 웹사이트 先発・中田が移籍後初の完投勝利で9勝目! http://www.softbankh[...]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 オフィシャルサイト
[97] 웹사이트 ゲームレポート http://www.softbankh[...]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98] 웹사이트 一球速報 http://www.softbankh[...]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99] 뉴스 ソフトB中田まさかの乱調3回2失点降板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4-10-29
[100] 뉴스 『アタック25』角野友紀アナ、ソフトバンク中田投手と8年愛実らせ結婚 https://www.oricon.c[...] ORICON STYLE 2021-08-27
[101] 뉴스 ソフトB中田初完投も2敗 いきなり連続2発食らう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4-05
[102] 뉴스 ソフトバンク 中田を抹消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4-06
[103] 뉴스 ソフトB中田が通算1000奪三振達成&初勝利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4-17
[104] 뉴스 ソフトB中田古巣から初完投「元気な姿見せられた」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5-27
[105] 뉴스 ソフトバンク中田CS通算6勝目、ダル抜き歴代最多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10-16
[106]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中田賢一、現状維持9500万でサイン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12-25
[107] 뉴스 ソフトバンク中田が角野アナと結婚披露宴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12-06
[108] 뉴스 ソフトバンク中田「やっと…」29日西武戦で初先発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6-04-28
[109] 뉴스 ソフトバンク3カード連続勝ち越し 中田今季初勝利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6-06-02
[110] 웹사이트 4年契約最終年は「早仕上げ」 中田賢一 https://www.nishinip[...] 西日本スポーツ 2017-12-25
[111] 웹사이트 2017/04/01(土) 第2回戦 福岡ソフトバンク vs 千葉ロッテ http://www.softbankh[...]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7-12-25
[112] 웹사이트 2017/06/15(木) 第3回戦 巨人 vs 福岡ソフトバンク http://www.softbankh[...]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7-12-25
[113] 웹사이트 2017/07/23(日) 第15回戦 福岡ソフトバンク vs 千葉ロッテ http://www.softbankh[...]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7-12-25
[114] 웹사이트 ホークス中田77日ぶり気迫!!6勝 https://www.nishinip[...] 西日本スポーツ 2017-11-23
[115] 웹사이트 2017/10/01(日) 第24回戦 オリックス vs 福岡ソフトバンク http://www.softbankh[...]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7-12-25
[116] 웹사이트 2017年11月2日(木) 横 浜 【SMBC日本シリーズ】 横浜DeNAベイスターズ vs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 第5戦 https://npb.jp/score[...] 日本野球機構 2017-11-23
[117]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中田1000万減 4年契約終了し単年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12-25
[118]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中田に第1子誕生「すごく元気がいい」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11-23
[119] 웹사이트 2017/04/01(日) 第3回戦 福岡ソフトバンク vs オリックス https://www.softbank[...]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9-03-09
[120] 웹사이트 11 中田 賢一 選手名鑑2018 試合別成績 https://www.softbank[...]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9-03-09
[121]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中田賢一がウイルス性胃腸炎で抹消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03-09
[122]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劇勝で中田100勝「目の前の仕事を」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03-09
[123]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中田2500万円ダウン制限超えも納得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03-09
[124] 뉴스 阪神過去に中田賢一の争奪戦に敗北「暴れ馬」と縁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10-27
[125] 뉴스 阪神入りの中田、秋山とファーム表彰 新天地での活躍誓う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online 2019-11-26
[126] 웹사이트 阪神がソフトバンク中田賢一獲得、過去背番18提示 https://www.nikkansp[...] 2019-10-26
[127] 웹사이트 トレードについて https://www.softbank[...]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 2019-10-28
[128] 웹사이트 選手の獲得について https://hanshintiger[...] 阪神タイガース 2019-10-28
[129] 뉴스 阪神加入の中田「しっかりしたプレーを」背番号20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10-29
[130] 웹사이트 阪神・中田が今季限りでの現役引退を発表 https://www.sanspo.c[...] サンケイスポーツ 2021-10-03
[131] 웹사이트 中田賢一選手が引退会見 https://hanshintiger[...] 2021-10-17
[132] 웹사이트 引退の阪神中田賢一「落合監督に言ってもらえた」「暴れ馬」命名に感謝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10-03
[133] 웹사이트 阪神で引退の中田賢一がコーチでソフトバンク復帰、新体制に3軍投手担当で入閣 https://web.archive.[...] 西日本スポーツ 2021-11-01
[134] 웹사이트 髙谷コーチ、中田コーチ、城所コーチが就任会見 https://www.softbank[...]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21-11-03
[135] 웹사이트 2022年 コーチングスタッフについて https://www.softbank[...]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21-11-03
[136] 웹사이트 2023年 コーチングスタッフについて https://www.softbank[...]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22-10-22
[137] 웹사이트 2023年コーチングスタッフについて(2022年11月28日現在) https://www.softbank[...]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22-12-04
[138]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のコーチ陣発表 計33人の豪華スタッフ…奈良原ヘッド、松山2軍監督 https://full-count.j[...] 2023-11-02
[139] 서적 2011プロ野球オール写真選手名鑑 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140] 뉴스 中田、猛虎斬り 完封返しだ勝ち越しだ!!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9-17
[141] 뉴스 中田はフォーク キレ戻す プロに入って落ちなくなった…「悔しい、悔しい」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1-21
[142] 뉴스 中田、キャンプで修得 高速スライダー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DRAGONS TOPICS 2005-10-16
[143] 뉴스 西日本スポーツ紙面 2015-01-26
[144] 뉴스 中田、快投12勝 四球わずか1! 球威も抜群、150キロ出た!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9-10
[145] 뉴스 中日「暴れ馬」中田、荒れ球で5安打完封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08-04-23
[146] 뉴스 ソフトB中田、故星野氏の「闘」球受け継ぐ 中日“20”の魂も https://www.nishinip[...] 西日本スポーツ 2018-01-16
[147] 뉴스 阪神過去に中田賢一の争奪戦に敗北「暴れ馬」と縁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10-27
[148] 뉴스 「暴れ馬」中田賢一に期待する制球難藤浪への好影響 - 虎だ虎だ虎になれ!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10-30
[149] 뉴스 ソフトバンクのドラ1風間球打が初ブルペン「強い球は投げられた」中田コーチから衝撃の目標も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03-16
[150] 뉴스 ドラ4大野稼頭央が初の打撃投手登板 中田賢一4軍投手コーチが評価したポイントは? https://taka.full-co[...] 鷹フル|タカフル 2023-02-23
[151] 뉴스 まず身につけるべきは“投げる体力” 中田賢一4軍投手コーチが語る4軍の現状 https://taka.full-co[...] 鷹フル|タカフル 2023-05-29
[152] 뉴스 中田、ホームは勝つ!! 竜3連勝 首位Gと1.5差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6-11
[153] 뉴스 また小久保!! 中田、2発に沈む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6-25
[154] 뉴스 中田、亡父へ涙の手向け星 6イニング4安打無失点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7-04-02
[155] 웹사이트 「3ボールなのに四球」「4ボールから三振」…本当にあった、プロ野球・仰天エピソード https://baseballking[...] BASEBALL KING 2020-06-30
[156] 뉴스 みんなウッカリ?青木3ボールで四球 http://www.sponichi.[...] スポニチ Sponichi Annex 2007-07-29
[157] 뉴스 ヤクルト・青木が3ボールで四球得る 球審がカウント間違う http://www.sanspo.co[...] SANSPO.COM 2007-07-30
[158] 뉴스 3ボール四球で審判団に厳重戒告=セ・リーグ http://headlines.yah[...] 時事通信 2007-07-30
[159] 뉴스 中田、球も速いが 足はもっと速いぜ 4キロ走、2位中里に1分16秒差の圧勝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DRAGONS TOPICS 2005-11-21
[160] 뉴스 “オレ流ファイナル”17キロ走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DRAGONS TOPICS 2005-11-23
[161] 뉴스 ドラ・中田 オフ返上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DRAGONS TOPICS 2005-11-25
[162] 뉴스 中日、沖縄秋季C“20キロマラソン”締め https://web.archive.[...] 日刊スポーツなにわWEB 2005-11-24
[163] 뉴스 2巡目・中田、魅せるぞ賢投 頭脳派狙うはローテ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4-11-20
[164] 뉴스 2巡目・筋肉マン中田、1月完成 自主トレまでに疲れにくい体に改造だ! https://web.archive.[...] 中日スポーツ 2004-11-29
[165] 뉴스 落合博満氏 09年WBC出場熱望選手「いたよ」中日派遣ゼロも「外国人には通用する」右腕 https://www.sponichi[...] 2023-03-02
[166] 뉴스 ソフトバンク中田1500投球回&聖地11年ぶり○ https://www.nikkansp[...] 2021-10-27
[167]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9連勝!グラシアルがサヨナラ満弾 西武に3連勝で5差に接近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 2021-10-03
[168] 웹사이트 第33回 日米大学野球選手権大会 オールジャパンメンバー http://www.jubf.net/[...] 全日本大学野球連盟公式ホームページ 2017-04-16
[169] 문서 나카타 료지는 ‘부-짱’으로 불렸다.
[170] 뉴스 中田賢 初回4失点から別人好投!8回4失点で今季初勝利 http://www.sponichi.[...] 스포츠 닛폰 2013-04-30
[171] 뉴스 「応急処置」森野二塁起用も…中日、11年ぶり借金7 http://www.sponichi.[...] 스포츠 닛폰 2013-05-05
[172] 서적 2011 프로 야구 올사진 선수 명감 일본 스포츠 기획 출판사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