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탈리아 알마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탈리아 알마다는 멕시코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성장한 멕시코계 미국인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이다. 그녀는 멕시코의 전 대통령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의 증손녀이며, 산타페 대학교에서 미술 학사 학위를,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학교에서 사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녀의 영화는 멕시코 유산, 가족사, 그리고 사회 정의 문제를 다루며, 비선형적 서사 방식을 통해 개인적이고 친밀한 이야기를 전달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올 워터 해즈 어 퍼펙트 메모리》(2001), 《알 오트로 라도》(2005), 《장군》(2009), 《엘 벨라도르》(2011) 등이 있으며, 맥아더 펠로우, 알퍼트상, 선댄스 영화제 감독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영화 감독 - 루이스 부뉴엘
    루이스 부뉴엘은 초현실주의 영화의 선구자이자 스페인과 멕시코에서 활동하며 칸 영화제 감독상과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영화 감독으로,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연출과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에 대한 탐구를 특징으로 한다.
  • 멕시코의 영화 감독 -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는 《아모레스 페로스》로 데뷔하여 《버드맨》과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2년 연속 수상한 멕시코 출신의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이다.
  • 미국의 사진가 - 제라드 말랑가
    제라드 말랑가는 미국의 사진작가, 영화감독, 시인이자 편집자로서, 앤디 워홀과의 협업을 통해 팝아트와 실험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영화 제작, 사진 작업, 편집 활동, 시집 발간 등 다방면으로 예술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사진가 - 에드워드 웨스턴
    에드워드 웨스턴은 20세기 미국의 사진작가로, 픽토리얼리즘을 버리고 스트레이트 사진을 통해 자연의 형태를 담아냈으며, F/64 그룹을 결성하고 구겐하임 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진 작업을 이어가다가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멕시코시티 출신 - 루이스 에체베리아
    루이스 에체베리아는 1922년 멕시코시티에서 태어나 멕시코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포퓰리즘 정책을 추진했으나 경제 위기와 정치적 폭력으로 논란을 겪었고, 2022년에 사망했다.
  • 멕시코시티 출신 - 펠리페 무뇨스
나탈리아 알마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탈리아 알마다
나탈리아 알마다
출생지멕시코 시날로아
국적멕시코-미국
직업사진가, 영화 감독
학력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수상2009 선댄스 영화제 다큐멘터리 감독상
2012 맥아더 펠로우 프로그램
웹사이트Altamura Films

2. 초기 생애 및 교육

나탈리아 알마다는 시날로아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멕시코인 아버지와 미국인 어머니와 함께 시카고로 이사했다.[7] 알마다는 멕시코의 전 대통령이자 매우 논란이 많았던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의 증손녀이며, 그는 결국 알마다의 영화 중 하나(''엘 헤네랄'')의 주제가 된다.[8] 12살 때부터 카메라를 통해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를 포착하는 데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것이 결국 그녀가 영화 경력을 쌓고 싶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7]

알마다는 산타페 대학교에서 미술 학사 학위를 받았고(1995), 전액 장학금을 받아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 사진학 석사(MFA, 2001) 학위를 받았다.[7]

알마다는 멕시코와 미국을 계절별로 오가며 완전히 상반된 경제, 사회, 정치적 환경에서 성장한 이중 국적자라는 자신의 위치에서 영감을 얻는다.[9] 멕시코계 미국인 여성으로서의 그녀의 관점은 다양한 관객들이 사회 정의 문제를 독특한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이끌며, 감독은 편견 없는 시각으로 영화 속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다.[10]

3. 작품 세계

나탈리아 알마다는 멕시코와 미국 국경, 멕시코 역사, 개인적인 기억, 그리고 이 세 가지 주제가 교차하는 지점을 다루는 영화를 제작한다. 다큐멘터리, 픽션, 실험 영화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자신만의 독특한 영화 세계를 구축했으며, 멕시코의 현실을 비추는 사회적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1. 주요 작품 특징

El Veladores(''엘 벨라돌'')은 멕시코의 묘지 야경꾼 마틴을 따라 멕시코의 심화되는 마약 문제를 이야기한다. 마틴이 지키는 묘지에는 멕시코에서 가장 악명 높은 마약 조직 보스들의 시신이 안치되어 있으며, 그들의 죽음은 모든 관련 당사자에게 마약 거래에 따르는 위험을 상징한다.[8] 이 영화는 나르코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점점 커지는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폭력적인 장면이나 이미지는 전혀 없이 폭력의 주제를 따른다. 동시에 묘지의 침울한 분위기를 존중한다.[13] 마약 전쟁의 확산과 마틴의 시야에서 묘지의 호화로움과 양의 증가는 상관관계가 있다. "묘지의 '발전'은 통제 불능 상태로 치닫는 폭력을 반영했다."[13] 이 영화는 느린 속도로 진행되며, 애도의 장소를 존중하고, 알마다가 제기한 문제에 대해 조용히 생각하고 숙고할 수 있는 공간을 관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대화는 최소한으로 사용된다.[14]

El Generales(''엘 제네랄'')은 알마다의 증조부인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의 이야기를 그녀의 할머니의 시각으로 보여준다.[11] 매우 논란이 많은 정치 지도자로서, 카예스는 대중들에게 독재자로 기억되고 있다.[11] 이 영화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카예스의 이야기를 그의 딸의 시각과 역사에 묘사된 방식으로 전달한다.[15] 이 다큐멘터리는 알마다의 할머니가 책을 쓰기 위해 녹음했던 음성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다.[15] 이 영화는 알마다 가문의 역사와 그것이 역사적, 현재의 멕시코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제공한다.[8] El Generales은 역사와 기억 사이의 모호함, 그리고 알마다의 할머니가 개인적인 기억과 대중의 기억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방식을 탐구한다.[11] 나탈리아는 2005년에 이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 크리에이티브 캐피탈 어워드를 수상했다.[12]

Al Otro Ladoes(《알 오트로 라도》)는 멕시코와 미국 간의 마약 거래와 불법 이민에 초점을 맞춘다.[16] 이 이야기는 전통적인 멕시코 코리도 음악과 병치되는데, 코리도 음악은 역사적으로 서술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이 경우에는 경쾌한 음악이 영화에 담긴 주제에 대한 아이러니로 사용된다.[16] 알마다는 경제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전개하며, 멕시코 시민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마약 거래와 불법 이민에 의존하게 되는 경제적 상황을 조명하기 위해 젊은 멕시코 노동자의 삶을 따라간다.[10] 끊임없이 증가하는 문제에 인간의 얼굴을 부여함으로써, 알마다는 일반적으로 정치적, 범죄적 관점에서 다루어지는 이야기에 인간적인 관점을 더한다.[10] Al Otro Ladoes는 알마다가 제작한 첫 번째 장편 영화이다.[16]

''All Water has a Perfect Memory''는 영화 제작자가 생후 3개월이었을 때 익사한 알마다의 언니 아나 린의 죽음에 대한 매우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8] 이 영화는 그녀의 이중 문화 가정 구성원들이 아나 린의 비극과 상실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녀의 죽음으로 영향을 받은 사람들을 직접 인터뷰한다.[8] 알마다의 미국인 어머니와 멕시코인 아버지가 이 비극에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젠더와 국적이 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한다.[8] 이 영화는 토니 모리슨의 에세이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이는 물과 기억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나 린의 죽음과 상징적,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17] 알마다의 영화 중 처음으로 공개된 작품이다.[8]

4. 주요 작품


  • 《올 워터 해즈 어 퍼펙트 메모리》 (2001)
  • 《알 오트로 라도》 (2005)
  • 《엘 헤네랄》 (2009)
  • 《엘 벨라도르》 (2011)
  • 《다른 모든 것들》 (2016)

4. 1. 엘 벨라도르 (El Velador, 2011)

《'''엘 벨라돌'''》(El Velador)은 멕시코의 묘지 야경꾼 마틴을 따라 멕시코의 심화되는 마약 문제를 이야기한다. 마틴이 지키는 묘지에는 멕시코에서 가장 악명 높은 마약 조직 보스들의 시신이 안치되어 있으며, 그들의 죽음은 모든 관련 당사자에게 마약 거래에 따르는 위험을 상징한다.[8] 이 영화는 나르코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점점 커지는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폭력적인 장면이나 이미지는 전혀 없이 폭력의 주제를 따른다. 동시에 묘지의 침울한 분위기를 존중한다.[13] 마약 전쟁의 확산과 마틴의 시야에서 묘지의 호화로움과 양의 증가는 상관관계가 있다. "묘지의 '발전'은 통제 불능 상태로 치닫는 폭력을 반영했다."[13] 이 영화는 느린 속도로 진행되며, 애도의 장소를 존중하고, 알마다가 제기한 문제에 대해 조용히 생각하고 숙고할 수 있는 공간을 관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대화는 최소한으로 사용된다.[14]

4. 2. 엘 헤네랄 (El General, 2009)

《엘 헤네랄》은 알마다의 증조부인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의 이야기를 그녀의 할머니의 시각으로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영화이다.[11] 카예스는 매우 논란이 많은 정치 지도자로, 대중들에게 독재자로 기억되고 있다.[11] 이 영화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카예스의 이야기를 그의 딸(알마다의 할머니)의 시각과 역사에 묘사된 방식으로 전달한다.[15] 특히, 알마다의 할머니가 책을 쓰기 위해 녹음했던 음성 기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15]

이 영화는 알마다 가문의 역사와 그것이 역사적, 현재의 멕시코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제공한다.[8] 역사와 기억 사이의 모호함, 그리고 알마다의 할머니가 개인적인 기억과 대중의 기억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방식을 탐구한다.[11] 나탈리아 알마다는 2005년에 이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 크리에이티브 캐피탈 어워드를 수상했다.[12]

4. 3. 알 오트로 라도 (Al Otro Lado, 2005)

《알 오트로 라도》(Al Otro Lado)는 멕시코미국 간의 마약 거래와 불법 이민에 초점을 맞춘 영화이다.[16] 이 영화는 전통적인 멕시코 코리도 음악을 병치시키는데, 코리도는 역사적으로 서술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여기서는 경쾌한 음악이 영화에 담긴 주제에 대한 아이러니로 사용된다.[16] 알마다는 경제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전개하며, 멕시코 시민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마약 거래와 불법 이민에 의존하게 되는 경제적 상황을 조명하기 위해 젊은 멕시코 노동자의 삶을 따라간다.[10] 알마다는 일반적으로 정치적, 범죄적 관점에서 다루어지는 이야기에 인간적인 관점을 더함으로써, 끊임없이 증가하는 문제에 인간의 얼굴을 부여한다.[10] 《알 오트로 라도》는 알마다가 제작한 첫 번째 장편 영화이다.[16]

4. 4. 모든 물은 완벽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 (All Water has a Perfect Memory, 2001)

이 영화는 영화 제작자가 생후 3개월이었을 때 익사한 알마다의 언니 아나 린의 죽음에 대한 매우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8] 영화는 그녀의 이중 문화 가정 구성원들이 아나 린의 비극과 상실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녀의 죽음으로 영향을 받은 사람들을 직접 인터뷰한다.[8] ''All Water''는 알마다의 미국인 어머니와 멕시코인 아버지가 이 비극에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젠더와 국적이 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한다.[8] 이 영화는 토니 모리슨의 에세이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물과 기억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아나 린의 죽음과 상징적,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17] ''All Water has a Perfect Memory''는 실험적인 다큐멘터리이며, 알마다의 영화 중 처음으로 공개된 작품이다.[8]

5. 수상 경력


  • 2012년 - 맥아더 펠로우
  • 2011년 - 알퍼트상
  • 2010년 - USA 아티스트 펠로우
  • 2009년 - 선댄스 감독상 (다큐멘터리 부문)
  • 2008년 - 구겐하임 펠로우
  • 2005년 - 크리에이티브 캐피탈 상[12]

6. 평가

로튼 토마토, IMDb, 메타크리틱에서 나탈리아 알마다의 작품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작품로튼 토마토IMDb메타크리틱
엘 벨라돌(El Velador, 2011)89%6.6/1082%
엘 제네랄(El General, 2009)-7.4/10-
알 오트로 라도(Al Otro Lado, 2005)75%7/1066%
모든 물은 완벽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All Water has a Perfect Memory, 2001)-6.9/10-


참조

[1] 웹사이트 Altamura Films http://www.altamuraf[...]
[2] 웹사이트 Natalia Almada - MacArthur Foundation https://www.macfound[...]
[3] 웹사이트 Natalia Almada's Borderlands: Life, Death, and Mexico's Drug War http://www.walkerart[...]
[4] 웹사이트 Watch Online Free: Natalia Almada {{!}} El General {{!}} POV {{!}} PBS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2012 MacArthur Foundation 'Genius Grant' Winners https://web.archive.[...] 2012-10-01
[6] 간행물 Natalia Almada Named a 2012 MacArthur Fellow: The First Latina Filmmaker to Win the Prestigious Grant http://www.prnewswir[...] POV 2016-03-05
[7] 논문 Natalia Almada: Independent Filmmaker
[8] 웹사이트 Natalia Almada https://art21.org/ar[...]
[9] 논문 Natalia Almada Recognized as a 2012 MacArthur Fellow ProQuest
[10] Youtube Natalia Almada: An IU Cinema Exclusive https://www.youtube.[...]
[11] Youtube Documentary Filmmaker Natalia Almada: 2012 MacArthur Fellow https://www.youtube.[...]
[12] 웹사이트 Creative Capital – Investing in Artists who Shape the Future http://www.creative-[...] 2018-01-22
[13] 웹사이트 El Velador https://www.pbs.org/[...] 2012-01-23
[14] 논문 Natalia Almada's El Velador and the Violence of Narcocapitalism
[15] 논문 El General (Review)
[16] 웹사이트 Al Otro Lado https://www.pbs.org/[...]
[17] 웹사이트 Mexico City https://www.pb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