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징 안전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징 안전지대는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후, 외국인들이 중국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안전 구역이다. 욘 라베를 비롯한 외국인들은 난징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26개소의 피난처를 마련하여 약 20만에서 30만 명의 피난민을 수용했다. 그러나 일본군은 안전지대 내에서도 민간인 학살과 강간 등의 만행을 저질렀으며, 1938년 초 안전지대는 기능을 상실했다. 난징 안전지대는 난징 대학살 시기 수많은 생명을 구한 인도주의적 노력으로 평가받지만, 일본의 역사 왜곡 시도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정한 반성과 사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의 저항운동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저항운동 - 우크라이나 반란군
우크라이나 반란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및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활동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무장 조직으로, 우크라이나 독립을 목표로 독일, 폴란드, 소련 등에 맞서 싸웠으나, 홀로도모르, 독일 협력, 폴란드인 학살, 소련 저항 등으로 논란이 있으며, 로만 슈케비치의 지휘하에 조직되어 소련에 의해 궤멸되었지만 우크라이나 독립 후 재평가되고 있다. - 중일 전쟁 - 난징 대학살
난징 대학살은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후 6주 동안 자행한 대규모 학살 및 전쟁범죄로, 희생자 수에 대한 논쟁은 있지만 국제사회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혹한 범죄로 인정하고 있다. - 중일 전쟁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난징 안전지대 | |
---|---|
개요 | |
명칭 | 난징 안전지대 |
일본어 명칭 | 南京安全区 南京安全地帯 (난쿄 안젠치타이) |
위치 | 난징 |
기간 | 1937년 ~ 1938년 |
목적 | 난징 대학살로부터 민간인 보호 |
배경 | |
사건 | 난징 전투 이후 난징 대학살 발생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존 라베 국제 난징 안전지대 위원회 위원들 |
역할 및 활동 | |
역할 | 외국인들이 안전지대를 설립하여 민간인을 보호하고 개입 |
활동 기간 | 1937년 ~ 1938년 |
관련 사건 | |
관련 사건 | 난징 대학살 |
관련 단체 | |
관련 단체 | 국제 난징 안전지대 위원회 |
2. 난징 대학살 이전 상황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군은 파죽지세로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을 점령하게 된다. 난징 함락 직전, 지멘스에서 근무하던 독일인 욘 라베는 수많은 중국인들을 보호하고자 난징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주로 미국과 유럽 출신 선교사 및 기업인)과 협력하여 '국제안전지대'를 설치하였다.
1937년 11월, 상하이 전투에서 상하이가 일본군에게 점령된 후, 상하이 주재 프랑스 선교사가 주도하여 설치한 중립지대를 본떠 난징 안전지대 국제위원회가 결성되었다. 난징 사범 대학교를 중심으로 26개소의 피난처가 설치되었고, 안전지대는 사방이 도로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면적은 약 3.86제곱킬로미터였다.[3]
국제안전지대는 도로를 경계로 설정되었고, 욘 라베를 비롯한 외국인들과 일본군 사이에 맺어진 '구두 약정'이었기 때문에 담이나 외국 군대가 없어서 일본군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안전지대는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4] 일본군은 '피난처에 있는 중국군을 색출한다'는 명분으로 안전지대에 들어가 무고한 사람들을 잡아 가거나 여성들을 강간하는 등 만행을 저질렀다.
난징 안전지대는 약 20~30만 명의 피난민들을 수용했다.[5][6] 1938년 1월 말, 일본군은 안전지구 내 모든 피난민에게 귀가를 강요했고, "질서를 회복했다"라고 주장했다. 1938년 2월 18일, 난징 안전지구 국제위원회는 강제로 "난징 국제구제위원회"로 개칭되었고, 안전지구는 사실상 기능을 멈췄다. 마지막 난민 수용소는 1938년 5월에 폐쇄되었다. 욘 라베와 그의 국제위원회는 진행 중인 학살에도 불구하고 20만에서 25만 명의 생명을 구한 것으로 평가받았다.[5][6] 조지 애시모어 피치가 떠난 후, 허버트 라파예트 손이 난징 국제구제위원회 행정 이사로 선출되었다.[7]
1937년 중일 전쟁 당시 난징을 점령한 일본군의 잔혹한 학살에도 불구하고, 욘 라베와 국제위원회가 난징 국제안전지대를 통해 20만~25만 명의 중국인 생명을 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8]
난징 대학살과 난징 안전지대는 한국인들에게도 깊은 아픔을 주는 역사적 사건이다.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를 겪었던 한국인들은 난징 대학살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수많은 사람들의 고통에 깊이 공감하며, 일본의 잔혹한 전쟁 범죄에 분노한다.
[1]
서적
Documents of the Nanking Safety Zone
난징 국제안전지대는 1937년 11월, 상하이 전투 이후 상하이에 설치된 중립지대를 본따 만들어졌다. 상하이의 중립지대는 상하이 주재 프랑스 선교사가 주도하여 설치한 것이었다.
3. 난징 국제안전지대 설립
독일 사업가 욘 라베가 위원회 지도자로 선출되었는데, 이는 나치당 당원이었던 그가 독일과 일본 간의 반코민테른 협정을 통해 일본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난징 안전지대 국제위원회는 1937년 11월 22일에 결성되었다.[3]
4. 국제안전지대의 한계와 일본군의 만행
일본군의 이러한 만행에도 불구하고, 욘 라베를 비롯한 난징에 있던 외국인 선교사들과 기업인들은 수많은 중국인 피난민들을 보호하고자 힘썼으며, 일본군의 위협에 직접 몸으로 맞서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일본군은 안전지대에서 난징 대학살의 일환으로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국제위원회는 존 라베가 나치당 회원 자격을 사용하여 일본군에 여러 차례 호소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때때로 일본군은 안전지대에 강제로 들어가 수백 명의 남녀를 끌고 가 즉결 처형하거나 강간한 후 살해했다. 일본군은 제복을 입지 않은 사람이면 누구나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안전지대에 게릴라가 있다고 주장했다.[4]
5. 안전지대의 역할과 종료
6. 난징 국제안전지대에 대한 평가
중국과 서방 간의 관계가 정상화되기 전, 난징 안전지대 운영에 참여했던 서양인들은 중국 정부로부터 일본군의 잔학 행위를 방관하고 심지어 협력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일본 교과서 문제 등으로 일본이 공식적인 비난의 대상이 되고, 중국의 "미국 제국주의"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면서 중국 내 시각은 크게 변화하였다. 이제 서양인들은 일본에 맞서 중국인들을 보호한 적극적인 저항자로 묘사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일부 일본 우익 및 민족주의 작가와 정치인들은 난징 대학살과 안전지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있다. 야스쿠니 신사의 박물관은 난징 대학살을 언급하지 않고, "일본은 중국 민간인을 위한 안전지대를 설치했으며, 역사적, 문화적 유적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도시 내에서 주민들은 다시 평화롭게 생활할 수 있었다"라고 주장한다.[8] 이는 명백한 역사 왜곡이며,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과 사죄를 거부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7. 한국의 관점
한국의 역사학계와 시민사회는 난징 대학살을 비롯한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비판해왔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강제징용 문제 등 일제강점기 한국인들이 겪었던 고통은 난징 대학살과 마찬가지로 일본이 반드시 반성하고 책임져야 할 역사적 과제임을 강조한다.
한국은 일본이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과 사죄를 통해 동아시아의 평화와 화해를 위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 또한, 미래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 교육을 실시하여 비극적인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강조한다.
참조
[2]
웹사이트
Foreigners establish Safety Zone and intervene to save civilians during Nanking Massacre, 1937-1938 {{!}} Global Nonviolent Action Database
https://nvdatabase.s[...]
2021-01-06
[3]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Nanking Safety Zone: An Introduction
http://www.chinajapa[...]
[4]
서적
The Good man of Nanking, the Diaries of John Rabe
[5]
웹사이트
John Rabe
http://www.moreorles[...]
[6]
웹사이트
"John Rabe's letter to Hitler, from Rabe's diary"
http://www.jiyuu-shi[...]
[7]
서적
Documents on the Rape of Nanking
[8]
뉴스
Black museum of Japan's war crimes
The Sunday Times
2005-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