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레이테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레이테 주는 필리핀 레이테 섬의 남쪽 1/4을 차지하는 주로, 1960년에 설립되었다. 이 지역은 과거 레이테 주의 일부였으나, 섬 관할의 어려움으로 인해 분리되었다. 1521년 리마사와 섬에서 필리핀 최초의 미사가 거행된 역사적 의미를 지니며, 다양한 비사야족, 세부아노족 등이 거주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코코넛, 마닐라 삼 등을 재배하며, 관광 산업도 발달했다. 남레이테 주는 18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도시(마아신)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0년 인구는 429,573명이다.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 일행이 필리핀 리마사와섬(Limasawa)에서 최초로 미사를 거행한 것으로 여겨진다.
레이테 섬의 남쪽 1/4을 차지하는 남레이테 주는 북쪽으로는 레이테주, 동쪽으로는 수리가오 해협, 남쪽으로는 보홀 해, 서쪽으로는 보홀 건너편의 카니가오 해협과 접한다. 총 면적은 1km2이다.[9] 주의 중앙 부분은 섬 깊숙이 뻗어 있는 긴 만인 소고드 만이 차지하고 있다.
2. 역사
레이테주의 일부였던 남레이테주는 주도 타클로반에서 섬 전체를 관할하기 어려워 분리 제안이 나왔다. 1959년 필리핀 국회에서 남레이테주 설립 법안(Republic Act 2227)이 통과되었고, 1960년 주가 발족했다.[9][6][7]
2. 1. 초기 역사
남레이테 주는 레이테 섬의 일부로서, 역사적인 지역 사회 마이레테의 통치자였던 '다투 에테'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마이레테는 '에테의 땅'이라는 뜻으로, 타클로반에 중심지를 두었다. 남레이테 주 지역은 보홀에서 온 토착 신앙을 가진 비사야족에 의해 점령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북동부 레이테를 점령했던 사마르의 토착 애니미즘 신봉자 와라이족이 남레이테를 점령했다는 증거는 없다.
남레이테 주 서남쪽에 있는 섬 리마사와 섬(Limasawa)은 인구 5,100여 명의 리마사와 시 하나가 있는 작은 섬으로, 1521년 향료 제도를 찾아 항해 중이던 페르디난드 마젤란 일행에 의해 필리핀에서 최초의 미사가 거행된 장소로 여겨진다.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898년 초 스페인과 미국 시대에, 팔롬폰에서 히누난간까지의 자치구로 구성된 "하위 지방"이 존재했으며, 마아신이 중심지였다. 일부 정부 기관은 레이테 남서부의 마아신에 이미 설립되어 이 지역을 통치했다.[6]
역사적으로, 관할 도시는 팔롬폰에서 히누난간까지의 ''세둘라'' 세금 징수처였다. 이는 ''아드미니스트라도 데 아시엔다''(Administrado de Hacienda) 사무소에서 관리했으며, ''세크레타리오 데 아시엔다''(Secretario de Hacienda) 산하의 지방 재무관에 해당한다.
마아신에는 또한 제1심 법원이 설립되었으며, 당시에는 팔롬폰에서 히누난간까지의 모든 사소한 행정 및 기타 사건을 심리하는 프로모터 피스칼(Promoter Fiscal)로 알려졌다.[7]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이 지역의 인구가 희소했다. 모로족 노예의 지속적인 약탈은 이 지역의 성장과 발전을 저해했다. 그러나 19세기에 보홀과 세부와 같은 인접 지역에서 이민자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남레이테주 서남쪽에 있는 섬 리마사와섬(Limasawa)은 인구 5,100여 명의 리마사와 시 하나가 있는 작은 섬으로, 1521년 향료 제도를 찾아 항해 중이던 페르디난드 마젤란 일행에 의해 필리핀에서 최초의 미사가 거행된 장소로 여겨진다.
2. 3. 일본 점령 시대
1942년, 루페르토 캉글레온은 소고드에서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는 동쪽에 있는 말리트보그에서 처음 시도되었으나 많은 지도자들이 불참하여 실패하였다. 루페르토 캉글레온은 태평양 전쟁 당시 필리핀 연방 군대를 돕는 모든 게릴라들을 통합하려 했다.[8]
1944년부터 1945년까지, 연합군 필리핀 연방 육군 병사들과 필리핀 게릴라들은 남레이테를 해방시키기 위해 일본 제국군을 공격했으며, 1944년 10월 20일에는 미군이 레이테에 상륙했다.
2. 4. 필리핀 독립
과거에는 레이테주의 일부였지만, 주도 타클로반에서 섬 전체를 관할하는 것이 어려워 주를 둘로 나누는 제안이 이루어졌다. 필리핀 국회에서 1959년 남레이테주 설립을 결정하는 법안(Republic Act 2227)이 통과되었고,[9] 1960년에 주가 발족했다.[6][7]
2. 5. 현대
2003년 12월, 남레이테 주 산프란시스코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마을 대부분이 파괴되어 200명이 사망했다.[10][11]
2006년 2월 17일, 200cm 이상의 폭우와 소규모 지진으로 발생한 여러 차례의 산사태로 인해 최소 한 마을과 많은 상업 및 주거 기반 시설이 파괴되어 수백 명이 사망했다. 남레이테 주 생베르나르는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 중 하나로, 23명의 사망자가 확인되었고 최대 200명의 사망자와 1,500명의 실종자가 발생했다. 2,5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해당 자치구의 산악 마을인 바랑가이 긴사우곤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어 주민 1,857명 중 1,800명이 사망했다. 국내외에서 많은 구조대가 사고에 대응했으나, 열악한 도로 상태와 중장비 부족으로 구조 활동이 크게 방해받았다. 생존자들은 또한 구조 활동의 조정 부족을 보고했다. 산사태에서 벗어난 긴사우곤 시민들은 수백만 달러 상당의 기부금을 국립 정부에서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영양과 관리를 받지 못한 채 긴급 대피소에 수용되었다.
3. 지리
주의 남쪽에는 파나온 섬이 있는데, 릴로안을 비롯한 4개의 마을이 있는 남북 30km 길이의 섬이다.
3. 1. 지형
남레이테 주는 인구가 밀집된 해안 지역을 따라 비교적 평평한 지형을 보이지만, 내륙으로 갈수록 험준한 산악 지형을 이룬다.
이 지역에는 내륙 수계가 발달해 있다. 국가 데이터에 따르면, 총 93개의 강이 있으며, 그 중 18개가 주요 강이다. 주요 강으로는 마크로혼의 암파로 강, 마아신의 칸투링 강, 히눈간의 다사-이 강과 폰돌 강, 본톡의 디비소리아 강, 생트 버나드의 히퉁가오 강과 라위간 강, 실라고의 마악 강, 그리고 가장 큰 강인 소고드의 수방다쿠 강이 있다.[12] 또한 동부 지역의 산 후안과 아나하완 산에는 호수인 다나오 호가 있다.
수방다쿠 강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강으로, 여러 개의 하천이 얽혀 흐르는 땋은 강 형태를 띠며, 넓은 범람원을 가진 충적 부채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폭우 후 태풍 기간 동안 범람하여 릴로안과 산 비센테 등 저지대 마을에 큰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13][14] 2001년에는 강을 따라 바랑가이 산 미겔의 도로와 둑의 일부, 필리핀 국도 일부가 파괴되기도 했다.[13] 지방 관리들은 강의 측면에서 진행된 재수로화와 통제되지 않은 채석으로 인한 자갈 및 모래 채취를 홍수의 원인으로 지목했다.[16] 2002년 3월 18일 회의에서 한 정부 기관 대표는 강에서 발생한 홍수 및 기타 환경 문제의 원인이 "필리핀 단층"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단층은 지질학적 특징일 뿐 당시 발생한 환경 문제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있었다.[13]
나콜로드 산은 히눈간 마을에 있으며 해발 948m로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화산암이 지형 지역에서 발견되며, 태평양 지역의 마운트 카발리안 산과 파나온 지역의 마운트 넬랑카판 산 정상을 덮고 있다.[7]
이 지역은 필리핀 단층계 내에 위치해 있다. 주요 단층선은 소고드, 리바곤, 생트 버나드, 산 후안을 거쳐 파나온 섬까지 이어진다. 광업지질국 제8지역 데이터에 따르면, 이 지역은 1907년과 1948년에 각각 규모 6.9의 강진을 겪었으며, 1984년 7월 5일에는 규모 6.4의 리히터 규모 지진을 겪었다.[7] 광업지질국은 남레이테 주의 자연 및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해 산사태와 홍수에 취약하다고 경고했다.[17] 유례없는 폭우, 수많은 단층과 심하게 부서진 암석, 가파른 경사, 그리고 효과적인 식생 덮개의 부재가 그 원인으로 제시되었다.[4]
이 지역에는 다양한 유형의 토양이 분포한다. 마아신 점토, 구임발라온 점토, 히마양안 점토, 볼리나오 점토, 킹구아 점토 및 말리트복 점토 계열의 토양은 지역 주민들이 만드는 세라믹과 도자기의 원료로 사용된다.
3. 2. 기후
남레이테 주는 Coronas 분류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기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유형 II와 유형 IV이다.
유형 II는 건기가 없고 강우량이 11월부터 1월까지 가장 많은 기간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유형은 소고드, 리바곤, 릴로안, 산프란시스코, 핀투얀, 산리카르도, 생 베르나르도, 산 후안, 아나하완, 히눈다얀, 히누낭간 및 실라고를 포함하는 주의 동쪽 절반에서 나타난다. 반면 유형 IV는 연중 강우량이 거의 균등하게 분포한다. 이 유형은 마아신 시와 마크로혼, 파드레 부르고스, 리마사와, 말리트보그, 토마스오푸스, 본톡 및 소고드의 작은 부분을 포함하는 주의 서쪽 부분에서 나타난다.
2004년, 이 지역은 최고 기온 30.95°C, 최저 기온 24.09°C를 기록했다. 평균 최저 기온은 25.24°C였다. 이 지역은 연간 163일의 강우일과 총 1729.2mm의 강수량을 보인다.
3. 3. 식생 및 생물 다양성
남레이테 주민들은 쌀, 흰 옥수수, 바나나, 뿌리 작물, 사탕수수, 코코넛, 마닐라 삼을 재배하며,[26] 다양한 종류의 채소도 재배한다.[18]
''남레이테 산호초 보존 프로젝트''(SLCRCP)는 소고드 만 일대의 산호초를 조사하기 위해 3년짜리 프로젝트를 설립했다. 이 사업은 지역 주민들에게 남레이테주의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는 지식을 갖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19]
4. 행정 구역
남레이테 주는 18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도시로 세분화되며, 총 500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된다.[7]
2000년에는 마아신이 남레이테의 도시로 전환되었다.[20] 소고드는 소고드 만 내 지방 자치체 간 무역, 상업, 산업 중심지이며 2급 지방 자치체이다. 히누낭안은 "이 주의 쌀 창고"로 불린다. 릴로안, 말리트보그, 생트 베르나르, 마크로혼은 4급, 나머지는 5급 지방 자치체이다.
도시 또는 지방 자치체 | 인구 (2020년) | 면적 (km²) | 인구 밀도 (명/km²) | 바랑가이 수 |
---|---|---|---|---|
마아신 시 | 87,446 | 211.71km2 | 410 | 70 |
아나하완 | 8,429 | 58.09km2 | 140 | 14 |
본토크 | 29,799 | 102.1km2 | 290 | 40 |
히누낭안 | 29,149 | 170.58km2 | 170 | 40 |
히눈다얀 | 12,398 | 59.9km2 | 210 | 17 |
리바곤 | 15,244 | 98.62km2 | 150 | 14 |
릴로안 | 24,800 | 50.3km2 | 490 | 24 |
리마사와 | 6,191 | 6.98km2 | 890 | 6 |
마크로혼 | 26,580 | 126.39km2 | 210 | 30 |
말리트보그 | 23,256 | 74.97km2 | 310 | 37 |
파드레 부르고스 | 11,159 | 25.65km2 | 440 | 11 |
핀투얀 | 10,202 | 36.98km2 | 280 | 23 |
생트 베르나르 | 28,414 | 100.2km2 | 280 | 30 |
산 프란시스코 | 13,436 | 68.6km2 | 200 | 22 |
산 후안 | 14,912 | 96.12km2 | 160 | 18 |
산 리카르도 | 10,500 | 47.56km2 | 220 | 15 |
실라고 | 13,116 | 215.05km2 | 61 | 15 |
소고드 | 47,552 | 192.7km2 | 250 | 45 |
토마스 오푸스 | 16,990 | 56.11km2 | 300 | 29 |
4. 1. 도시
남레이테 주는 18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16개의 지방 자치체와 349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었으며, 파나온 섬, 리마사와 섬, 산 페드로 섬, 산 파블로 섬 등 4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7] 주 출범 후, 3개의 지방 자치체가 추가로 생성되었다.[7] 2000년에는 마아신이 남레이테의 도시로 전환되었다.[20]도시 또는 지방 자치체 | 인구 (2020년) | 면적 (km²) | 인구 밀도 (명/km²) | 바랑가이 수 |
---|---|---|---|---|
마아신 시 | 87,446 | 211.71km2 | 410 | 70 |
아나하완 | 8,429 | 58.09km2 | 140 | 14 |
본토크 | 29,799 | 102.1km2 | 290 | 40 |
히누낭안 | 29,149 | 170.58km2 | 170 | 40 |
히눈다얀 | 12,398 | 59.9km2 | 210 | 17 |
리바곤 | 15,244 | 98.62km2 | 150 | 14 |
릴로안 | 24,800 | 50.3km2 | 490 | 24 |
리마사와 | 6,191 | 6.98km2 | 890 | 6 |
마크로혼 | 26,580 | 126.39km2 | 210 | 30 |
말리트보그 | 23,256 | 74.97km2 | 310 | 37 |
파드레 부르고스 | 11,159 | 25.65km2 | 440 | 11 |
핀투얀 | 10,202 | 36.98km2 | 280 | 23 |
생트 베르나르 | 28,414 | 100.2km2 | 280 | 30 |
산 프란시스코 | 13,436 | 68.6km2 | 200 | 22 |
산 후안 | 14,912 | 96.12km2 | 160 | 18 |
산 리카르도 | 10,500 | 47.56km2 | 220 | 15 |
실라고 | 13,116 | 215.05km2 | 61 | 15 |
소고드 | 47,552 | 192.7km2 | 250 | 45 |
토마스 오푸스 | 16,990 | 56.11km2 | 300 | 29 |
4. 2. 읍
읍 | 인구 (2020년) | 면적 (km²) | 인구 밀도 (명/km²) | 바랑가이 수 |
---|---|---|---|---|
아나하완 | 8,429 | 58.09km2 | 145 | 14 |
본토크 | 29,799 | 102.1km2 | 292 | 40 |
히누낭안 | 29,149 | 170.58km2 | 171 | 40 |
히눈다얀 | 12,398 | 59.9km2 | 207 | 17 |
리바곤 | 15,244 | 98.62km2 | 155 | 14 |
릴로안 | 24,800 | 50.3km2 | 493 | 24 |
리마사와 | 6,191 | 6.98km2 | 887 | 6 |
마크로혼 | 26,580 | 126.39km2 | 210 | 30 |
말리트보그 | 23,256 | 74.97km2 | 310 | 37 |
파드레 부르고스 | 11,159 | 25.65km2 | 435 | 11 |
핀투얀 | 10,202 | 36.98km2 | 276 | 23 |
생트 베르나르 | 28,414 | 100.2km2 | 284 | 30 |
산 프란시스코 | 13,436 | 68.6km2 | 196 | 22 |
산 후안 | 14,912 | 96.12km2 | 155 | 18 |
산 리카르도 | 10,500 | 47.56km2 | 221 | 15 |
실라고 | 13,116 | 215.05km2 | 61 | 15 |
소고드 | 47,552 | 192.7km2 | 247 | 45 |
토마스 오푸스 | 16,990 | 56.11km2 | 303 | 29 |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남레이테주의 인구는 429,573명이었으며, 인구 밀도는 240km2였다.[21]
1980년 인구 조사에서는 1903년 72,369명에서 296,294명으로 증가했다. 1990년에는 인구 유입과 출생률 증가로 321,940명으로 늘었다. 2000년에는 360,160명이 되었지만, 1995년 317,565명에 비해 -2.7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1995년 인구 조사가 학생들이 학업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떠난 9월에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더 나은 고용과 생계 기회를 찾아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도 인구 감소의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가구 수는 1995년보다 7,327가구 증가한 72,894가구였다. 남레이테는 동비사야 6개 주 중 인구 규모는 5위였지만, 인구 성장률은 가장 높았다. 필리핀 전체 인구의 0.47%를 차지했다.[21]
5. 1. 민족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남레이테 주의 총 인구 359,738명 중 비사야가 290,460명(80.74%)으로 가장 많았고, 보홀라노가 45,458명(12.64%), 세부아노가 18,543명(5.15%), 와라이가 711명(0.20%), 타갈로그가 536명(0.15%)이었다.[21]민족 | 인구 | 비율(%) |
---|---|---|
비사야 | 290,460 | 80.74 |
보홀라노 | 45,458 | 12.64 |
세부아노 | 18,543 | 5.15 |
와라이 | 711 | 0.20 |
타갈로그 | 536 | 0.15 |
기타 | 2,689 | 0.75 |
기타 외국 민족 | 76 | 0.02 |
보고되지 않음 | 1,265 | 0.35 |
남레이테 주 최남단의 파나온 섬에서는 현지에서 "콩킹"으로 알려진 특정 원주민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산악 민족"을 의미하는 "마만와"라고도 불린다.[22] 이들은 1980년대 초 군사화와 벌목 및 광산 기업의 침략을 피해 섬에서 민다나오 섬으로 이주한 후 아구산 지역에 거주한 이주민으로 여겨진다.[23][24] 마만와족은 어두운 피부색과 곱슬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키가 작다. 수렵과 채집, 돗자리 짜기 및 등나무 공예는 마만와족의 주요 경제 활동 중 하나이므로, 그들은 새로 발견된 남레이테 산의 숲 지역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러나 최근 이 지방의 산사태로 다시 이주하게 되었다.[23]
5. 2. 언어
주민의 모어는 비사야 제도 일대에서 널리 사용되는 세부아노어이다. 세부아노어의 보홀라노 방언 변종을 사용하며, 와라이어는 아부욕 및 마하플라그와 같은 마을 근처의 일부 바리오에서 때때로 사용된다. 타갈로그어와 영어는 제2언어로 널리 통용된다. "희귀하고 독특한 언어"의 일종인 키나발리안어는 산 후안과 아나하완 마을에서 세부아노어와 함께 사용된다.[1]5. 3. 종교

리마사와는 필리핀 남부에 있는 섬 자치구로, 필리핀에서 최초의 기독교 미사가 열린 곳이자 필리핀 기독교의 발상지로 여겨진다. 1521년 3월 28일, 포르투갈 출신의 항해사이자 탐험가인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상륙했다. 최초의 성찬 미사는 1521년 3월 31일에 열렸으며,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사제였던 페드로 데 발데라마 신부가 집전했다. 이 미사는 필리핀에 기독교가 전파되는 시작을 알렸다.[25]
6. 문화
남레이테 주 주민 대부분은 기독교 신자이지만, 외딴 마을에 사는 소수의 사람들은 스페인 이전 시대의 영향을 받아 농작물을 심기 전에 제물과 희생을 바친다.[26] 농부들은 풍작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정령에게 보답을 받기 위해 닭과 돼지를 의례적으로 희생한다.[26]
''피에스타''(Fiesta)는 "축제"를 뜻하는 스페인어로, 이 지역에서는 기도, 음식, 음주, 춤, 음악과 함께 기념된다. 이 지역의 모든 마을, 모든 바랑가이는 자체적인 기념일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히누난간은 6월 29일에 마을 축제를 기념하며, 그 전날에는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를 기리는 선상 퍼레이드가 열린다.[27] ''쿠라차''(kuratsa)는 모든 행사의 하이라이트이다.[28]
이 지역에서는 "시눌로그 사 말리트보그"(Sinulog sa malitbog), 리마사와 기념 행사,[29] 마아신의 ''파그카무그나 축제''(Pagkamugna Festival)와 ''파불혼 축제''(Pabulhon Festival), 베우나비스타(Beunavista)와 핀투얀의 ''카로마타 축제''(Karomata Festival), 파드레 부르고스 탕칸(Tangkaan)에서 열리는 ''탕카-탕카 축제''(Tangka-tangka Festival), 마크로혼에서 열리는 ''만하온 축제''(Manhaon Festival) 등 자체적인 축제도 열린다.
6. 1. 신앙
남레이테 주 주민 대부분은 기독교 신자이지만, 외딴 마을에 사는 소수의 사람들은 스페인 이전 시대의 영향을 받아 농작물을 심기 전에 제물과 희생을 바친다.[26] 농부들은 풍작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정령에게 보답을 받기 위해 닭과 돼지를 의례적으로 희생한다.[26]6. 2. 종교 행사
''피에스타''(Fiesta)는 "축제"를 뜻하는 스페인어로, 이 지역에서는 기도, 음식, 음주, 춤, 음악과 함께 기념된다. 이 지역의 모든 마을, 모든 바랑가이(필리핀의 행정 구역 단위)는 자체적인 기념일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히누난간은 6월 29일에 마을 축제를 기념하며, 그 전날에는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를 기리는 선상 퍼레이드가 열린다.[27] ''쿠라차''(kuratsa) - 구애 춤 드라마 - 는 모든 행사의 하이라이트이다.[28]이 지역에서는 자체적인 축제도 열린다. "시눌로그 사 말리트보그"(Sinulog sa malitbog)는 말리트보그에서 열리는 연례 종교 거리 퍼레이드로, 마을의 수호 성인인 성스러운 아기 예수(산토 니뇨)에게 경의를 표한다. 마찬가지로, 스페인 사람들의 역사적이고 종교적인 도래를 기념하는 행사가 매년 3월 31일 리마사와에서 문화 공연과 "시누그단"(Sinugdan, "시작"을 의미)이라는 기념 프로그램으로 열린다.[29] 이 지역에서 열리는 다른 축제로는 마아신의 ''파그카무그나 축제''(Pagkamugna Festival)와 ''파불혼 축제''(Pabulhon Festival), 베우나비스타(Beunavista)와 핀투얀의 ''카로마타 축제''(Karomata Festival), 파드레 부르고스 탕칸(Tangkaan)에서 열리는 ''탕카-탕카 축제''(Tangka-tangka Festival), 마크로혼에서 열리는 ''만하온 축제''(Manhaon Festival)가 있다.
7. 경제
남레이테주의 경제는 농업, 관광, 산업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남레이테주의 빈곤율은 다음과 같다.[39]
연도 | 빈곤율 (%) |
---|---|
2000 | (데이터 없음) |
2003 | (데이터 없음) |
2006 | (데이터 없음) |
2009 | (데이터 없음) |
2012 | (데이터 없음) |
2015 | (데이터 없음) |
2018 | (데이터 없음) |
농업, 관광, 산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7. 1. 농업
남레이테주 주민들은 코코넛과 마닐라 삼 재배에 종사한다.독일 개발 협력 기구인 GIZ는 레이테와 남레이테주를 중심으로 코코넛에 대한 가치 사슬 연구를 시작했다.[30] 2004년에는 대나무잎벌레가 비사야 제도를 포함한 필리핀 코코넛 산업을 위협하여, 묘목과 성숙한 코코넛 나무, 관상용 야자수에 큰 피해를 입혔다.[31]
남레이테주는 카탄두아네스, 레이테, 다바오 오리엔탈, 북사마르, 소르소곤, 술루, 다바오델수르, 수리가오델수르와 함께 필리핀의 주요 마닐라 삼 섬유 생산지 중 하나이다.[32] 1990년부터 1999년까지 남레이테는 17%의 비율로 마닐라 삼을 생산했다.[33] 2003년, ''마닐라 삼 뭉치 정상 바이러스''가 이 주의 마닐라 삼 산업을 위협했다. 파나온 섬의 자치단체를 제외한 거의 모든 마닐라 삼 생산 자치단체가 바이러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34]
7. 1. 1. 코코넛
남레이테주 주민 대부분은 코코넛 재배 산업에 종사하며, 이 산업은 특히 산악 지역과 평야 지역에서 두드러진다. 독일 개발 협력 기구인 GIZ는 레이테와 남레이테주를 중심으로, 지역 8에서 가장 중요한 제품 중 하나인 코코넛에 대한 가치 사슬 연구를 시작했다.[30]2004년에는 딱정벌레 해충이 비사야 제도를 포함한 필리핀 코코넛 산업을 위협했다. 대나무잎벌레는 묘목과 성숙한 코코넛 나무, 관상용 야자수에 큰 피해를 입혀 어린 잎을 죽이고 결국에는 나무 전체를 고사시킨다.[31]
7. 1. 2. 마닐라 삼
남레이테 주민들도 마닐라 삼 재배에 종사한다. 이 주는 카탄두아네스, 레이테, 다바오 오리엔탈, 북사마르, 소르소곤, 술루, 다바오델수르, 수리가오델수르와 함께 이 나라의 주요 마닐라 삼 섬유 생산지 중 하나이다. 레이테와 이 주에서 생산되는 섬유는 최고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32] 1990년부터 1999년까지 남레이테는 17%의 비율로 마닐라 삼을 생산했다.[33]2003년, ''마닐라 삼 뭉치 정상 바이러스''가 이 주의 마닐라 삼 산업을 위협했다. 마아신, 파드레 부르고스, 말리트보그, 토마스 오푸스, 본톡, 소고드, 세인트 버나드, 산후안, 히누난간, 실라고 등 이 지역의 거의 모든 마닐라 삼 생산 자치단체가 파나온 섬의 자치단체를 제외하고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특히 소고드 마을의 이 주의 마닐라 삼의 80%가 큰 영향을 받았고 마아신은 약 30%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었다.[34]
7. 2. 관광
남레이테주에는 매년 약 2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국내 관광객은 주로 해안선을 따라 있는 모래 해변, 호텔 및 리조트를 즐기려는 사람들이다. 또한 시눌로그 및 리마사와와 같은 종교 축제를 보기 위해 상당수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대부분의 국제 여행객은 마아신 시 외곽에서 시작하여 소고드 만을 거쳐 파드레 부르고스까지 이어지는 지역에서 암초 수중 다이빙 및 스노클링을 즐기기 위해 남레이테주를 방문한다. 또한 10월부터 4월 사이에 고래상어를 보기 위해 방문하는 다이버가 아닌 관광객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 지역의 관광을 촉진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마아신의 바랑가이 다나오에는 새로운 동물원 및 야생 공원이 있다. 소고드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다리 위에 있는 짚 라인이 있다.
이러한 관광객 수의 증가와 함께 해안선을 따라 새로운 호텔들이 많이 생겨났다.
7. 3. 산업
아바카 섬유는 이 지역의 생계에 도움이 된다. 일부 지역 여성들은 아바카를 이용해 수공예품을 제작하는데, 이 지역에서는 '타가크' 또는 스풀 아바카 섬유로 널리 알려져 있다. 원주민들은 보통 '티나가크' 또는 연속 스풀 아바카 섬유라고 부른다. 반제품은 '시나메이', 즉 '티나가크'로 만든 수직물로 만들어져 다른 '시나메이' 기반 제품을 만들 준비가 된다.[36] 제품은 레이테에서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다. '타가크' 산업이 널리 보급되면서 지방 부문에서는 농민들에게 현지에서 '라이라이'라고 불리는 적합한 품종을 재배하는 방법을 가르쳤다.본톡에서는 RKKMAFTI 단지에 11개 부화 탱크를 갖춘 갯벌 게 부화장이 성공적으로 설립되었다. 처음에 25개 산란기가 이 프로젝트에 투입되었다.[37]
아바카 기반 제품 외에도, 도자기와 코코넛 및 대나무로 만든 수공예품도 이 지역의 산업이다. 이 지역의 경제 활동으로는 어업, 축산업, 가금류 사육 등이 있다.[38]
8. 교통
남레이테주에는 총 11개의 항구가 있으며, 그중 마아신 항구와 릴로안 항구 2개는 국립 항구로 지정되었고, 나머지 10개는 시립 항구이다. 시립 항구 중에서는 마아신, 릴로안, 생 베르나르도, 산 후안, 소고드 5개의 항구가 운영되고 있다. 마아신 항구에서 세부까지 배로 평균 6시간, 최대 2시간이 걸린다. 릴로안에서 수리가오까지 가는 페리 보트는 3시간이 걸린다.[12]
마아신에는 파난-아완 공항이라는 공항이 하나 있다. 그러나 2019년 12월 현재 이 공항은 상업 항공편을 운항하지 않는다. 터미널이 없으며, 낮 동안에만 약 5443.10kg 이하의 가벼운 항공기만 다닐 수 있다. 총 활주로 길이는 1200m이고 폭은 30m인 피더 공항으로 간주된다.
8. 1. 도로
남레이테주의 도로망은 레이테주와 연결되는 주요 간선 고속도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주요 출구를 통과한다. 서쪽 부분은 마아신 - 마하플라그 - 바비이며, 중앙 부분은 마할리카 하이웨이를 경유하는 마하플라그-소고드 도로이다. 2019년 12월 아부욕-실라고 도로가 새로 개통되어 남레이테주 동쪽 마을로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마할리카 도로는 남레이테주의 발전에 기여한다.남레이테주에는 마아신, 릴로안, 소고드, 산 후안, 히누난간, 실라고에 6개의 지정된 버스 터미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터미널은 건물이나 기타 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고, 버스가 주차 공간으로 사용하는 열린 공간이다.
8. 2. 버스 터미널
남레이테주에는 다음과 같은 6개의 지정된 버스 터미널이 있다.버스 터미널 |
---|
마아신 |
릴로안 |
소고드 |
산 후안 |
히누난간 |
실라고 |
그러나 이러한 터미널은 버스가 주차 공간으로 사용하는 열린 공간일 뿐, 건물이나 기타 시설은 갖춰져 있지 않다.
8. 3. 항구
남레이테 주에는 총 11개의 항구가 있다. 그중 마아신 항구와 릴로안 항구 2개는 국립 항구로 지정되었고, 나머지 10개는 시립 항구이다. 시립 항구 중에서는 마아신, 릴로안, 생 베르나르도, 산 후안, 소고드 5개의 항구가 운영되고 있다. 마아신 항구에서 세부까지 배로 평균 6시간, 최대 2시간이 걸린다. 릴로안에서 수리가오까지 가는 페리 보트는 3시간이 걸린다.[12]남레이테 주는 필리핀 국내 섬들을 잇는 해상 교통망의 중요한 결절점이다. 섬 남부 리로안의 페리 항구에서는 바다를 사이에 둔 민다나오섬북수리가오주 수리가오로 사람과 물자가 왕래한다.
8. 4. 공항
마아신에 파난-아완 공항이라는 공항이 하나 있다. 그러나 2019년 12월 현재 이 공항은 상업 항공편을 운항하지 않는다. 터미널이 없으며, 낮 동안에만 약 5443.10kg 이하의 가벼운 항공기만 다닐 수 있다. 총 활주로 길이는 1200m이고 폭은 30m인 피더 공항으로 간주된다.9. 교육
학교 | 위치 |
---|---|
마아신 칼리지 | 마아신 |
마아신 시티 칼리지 | 마아신 |
세인트 제임스 칼리지 | 파드레 부르고스 |
세인트 조셉 칼리지 | 마아신 |
세인트 토마스 아퀴나스 칼리지 | 소고드 |
남레이테 비즈니스 칼리지 | 마아신 |
남레이테 주립대학교 본톡 캠퍼스 | 본톡 |
남레이테 주립대학교 히눈안간 캠퍼스 | 히눈안간 |
남레이테 주립대학교 산 후안 캠퍼스 | 산 후안 |
남레이테 주립대학교 소고드 본교 | 소고드 |
남레이테 주립대학교 토마스 오푸스 캠퍼스 | 토마스 오푸스 |
STI 칼리지 | 마아신 |
마아신 크리스찬 아카데미 | 마아신 |
10. 주요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7-02
[2]
웹사이트
Mapa ng mga Wika (Rehiyon) – Rehiyon VIII
https://kwf.gov.ph/m[...]
Commission on the Filipino Language
2021-09-23
[3]
웹사이트
Travel; Southern Leyte
http://www.globalpin[...]
2016-07-28
[4]
웹사이트
Policy and Advocacy
http://www.haribon.o[...]
[5]
웹사이트
House Bill No. 6408
http://www.congress.[...]
Congress of the Philippines
2018-05-07
[6]
웹사이트
Southern Leyte: Attractions
http://www.evis.net.[...]
2003-10-24
[7]
웹사이트
The Province of Southern Leyte
http://www.nscb.gov.[...]
2016-07-10
[8]
서적
They Never Surrender
Vera-Reyes Inc.
[9]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2227; An Act Creating the Province of Southern Leyte
http://www.lawphil.n[...]
2016-01-10
[10]
뉴스
Landslide tragedy stuns Philippines
http://news.bbc.co.u[...]
2016-04-18
[11]
뉴스
200 feared dead in Philippine landslides
https://www.theguard[...]
2016-04-18
[12]
웹사이트
Province of Southern Leyte
http://darfu8.tripod[...]
2016-07-28
[13]
웹사이트
Stop Quarrying and Rechanneling Subang Daku of Sogod, Southern Leyte
http://geocities.com[...]
2016-07-28
[14]
뉴스
Tornado destroys village 50 die in Southern Leyte
http://www.samarnews[...]
Samar News
2016-07-28
[15]
웹사이트
PIA Information Services –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http://www.pia.gov.p[...]
[16]
뉴스
Landslides kill 200 in SLeyte
http://www.manilasta[...]
2016-07-28
[17]
뉴스
Geologists had warned on Leyte mudslide danger
http://www.taipeitim[...]
2016-07-28
[18]
뉴스
The potential of Southern Leyte's Vegetable Industry
http://philippinen.d[...]
Deutscher Entwicklungsdienst
2016-07-28
[19]
뉴스
Southern Leyte Coral Reef Conservation Project: July 2006 update
http://www.coralcay.[...]
Coral Cay Conservation
2016-07-28
[20]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8796 – An Act Converting the Municipality of Maasin into a Component City of the Province of Southern Leyte to be Known as the City of Maasin
https://web.archive.[...]
2016-04-17
[21]
웹사이트
Southern Leyte: from Negative to a Positive Growth Rate in the Late 90S
https://www.census.g[...]
2016-07-28
[22]
웹사이트
Mamanwa
http://www.ncca.gov.[...]
2016-07-28
[23]
뉴스
Victims of the Killer Landslide
http://www.bulatlat.[...]
2016-07-28
[24]
웹사이트
Places of Interest
http://www.maasincit[...]
2016-07-28
[25]
웹사이트
A short Philippine History before the 1898 Revolution
http://sspxasia.com/[...]
2016-07-28
[26]
웹사이트
The Provincial Profile of Southern Leyte
http://www.geocities[...]
2016-07-28
[27]
웹사이트
Southern Leyte Philippines
http://www.selectphi[...]
2016-07-28
[28]
웹사이트
The Islands of Leyte and Samar
http://www.ncca.gov.[...]
2016-07-28
[29]
웹사이트
Southern Leyte Is Famous For...
http://www.tourism.g[...]
2016-07-28
[30]
뉴스
German council embarks on Region 8 value chain study on coconut
https://web.archive.[...]
Nov 20, 2006
2016-07-28
[31]
뉴스
Beetle threatens survival of RP's coconut industry
http://luzon.wowphil[...]
2016-07-28
[32]
뉴스
Genetic Engineering Eyed to Solve Problems of Abaca Industry
http://www.newsflash[...]
STAR
2016-07-28
[33]
뉴스
Abaca Industry Situationer Report
http://www.da.gov.ph[...]
Department of Agriculture – Agribusiness and Marketing Assistant Service
2016-07-28
[34]
웹사이트
Bunchy top virus in Southern Leyte scales down abaca production
http://www.pia.gov.p[...]
PIA Information Services –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35]
웹사이트
Tourism in Southern Leyte
https://web.archive.[...]
SouthernLeyte.com
2012-09-10
[36]
웹사이트
Poverty-free zones in Southern Leyte
http://sunshinephili[...]
2005-07-27
[37]
웹사이트
2002 Annual Report; Highlights of Accomplishments
http://region8.dost.[...]
2016-07-28
[38]
웹사이트
Region VIII; Leyte—Northern Samar
http://www.livingint[...]
2016-07-28
[39]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0]
Wikidata
[41]
Wikidata
[42]
Wikidata
[43]
Wikidata
[44]
Wikidata
[45]
Wikidata
[46]
Wiki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