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생식 기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성의 생식 기관은 남성의 번식과 배뇨에 관련된 기관으로, 역사, 해부학적 구조, 생리적 기능, 관련 질환, 수술, 사회적 논쟁, 성 건강 증진 노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다뤄진다. 외부 생식기, 내부 생식기로 구성되며, 고환에서 정자가 생성되고, 남성 호르몬이 분비된다. 발기, 사정, 배뇨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질환과 기능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포경수술, 정관수술 등의 수술이 시행되며, 사회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남성의 생식 기관 | |
---|---|
개요 | |
![]() | |
상세 정보 | |
라틴어 이름 | systema genitale masculinum |
영어 이름 | Male reproductive system |
해부학 정보 | |
![]() | |
영어 | Penis |
라틴어 | Phallus |
기관 | 남성의 생식 기관 |
동맥 | 요도 동맥 |
2. 역사
고대 문명에서부터 남성 생식 기관에 대한 기록과 관습이 나타나며, 문화와 시대에 따라 그 의미와 중요성이 다르게 해석되었다.
2. 1. 고대 사회

2. 2. 중세 시대
중세 유럽에서는 아들을 낳기 위해 남성이 왼쪽 고환을 제거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당시의 잘못된 생식 지식에 기반한 것이다.2. 3. 한국의 역사
조선시대에는 남아선호 사상이 강하여 남아의 생식 기관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고환이 없는 내시가 궁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현대 한국에서는 포경수술이 위생상의 이유로 널리 시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그 필요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포경수술의 강제 시행에 반대하며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는 입장이다.3. 해부학적 구조
남성의 생식 기관은 음경(페니스)을 포함하여 남성의 생식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 전체를 의미한다.[21] 고환, 부고환, 정관, 사정관, 전립선, 정낭, 요도, 음경, 음낭 등이 이에 속하며, 크게 외부 생식 기관과 내부 생식 기관으로 나눌 수 있다.[22]
고환은 정자를 생성하는 타원형 기관으로, 음낭 안에 좌우 하나씩 존재한다. 세정관에서 정자를 생산하며, 부고환, 정관을 거쳐 요도로 정자를 보낸다. 잠복고환은 고환이 음낭 안에 없거나 음낭까지 내려오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음경은 평소에는 배뇨 기관이지만, 교미 시에는 정액을 배출하는 기관이다. 정액은 정자를 포함하는 체액으로, 사정을 통해 체외로 분출된다.
생식을 위해서는 남성 호르몬과 정자가 생성되어야 한다.[21] 수정에는 정자의 형성, 반송, 사정이 필요하다.[22] 성교 시 여성의 질에 삽입하기 쉽도록 음경이 발기하고, 음경에 자극을 받으면 뇌와 척수에 신호가 전달되어, 정자를 포함한 정액이 체외로 사출(사정)된다.[21] 전립선은 전립선액을 분비하여 그것을 정자와 함께 사정한다.[22] 발기에는 해면체로 유입되는 혈액량 증가가 필요하다.[22]
3. 1. 외부 생식 기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한 생식 기관에는 음경과 음낭이 있다.음경은 남성의 1차 성적 기관이자 외부 생식기이다. 요도를 통해 소변과 정액을 배출하는 기관이다.
음낭은 음경 뒤에 달린 피부 주머니로, 고환을 담고 보호하며 수많은 신경과 혈관이 들어있다. 기온에 따라 고환올림근과 다트스 근막이 수축하거나 이완되어 음낭을 몸에 가깝게 또는 멀리하여 온도를 조절한다.
3. 1. 1. 음경
음경(陰莖, penis)은 남성의 교미 기관이자 배뇨 기관이다. 평소에는 소변을 배출하고, 교미 시에는 정액을 배출하는 기관이다.[21] 음경이라는 단어는 꼬리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음경은 긴 음경체와 비대하고 둥근 모양의 귀두 끝, 보호를 위한 포피를 가진 삽입 기관이다. 음경 안에는 요도가 있는데, 이는 사정 시 정액을 배출하고 소변을 배설하는 데 사용된다. 두 물질 모두 요도구를 통해 배출된다.
남성이 성적 흥분을 느끼면, 음경의 발기 조직(해면체와 요도 해면체) 내의 동굴이 혈액으로 채워지면서 발기가 일어난다. 음경의 동맥이 확장되는 반면 정맥은 압축되어 혈액이 압력 하에 발기 연골로 흘러 들어간다. 음경은 음부 동맥에 의해 공급된다.
음경해면체는 음경의 뼈 대신 존재한다. 원래 음경골이라는 것이 있지만 인간에게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해면체로 인해 발기가 되는 원리는 스펀지같이 피를 빨아들여 음경을 딴딴하게, 세워지게 만들게 되지만 끝나면 피가 나감으로서 다시 말랑해진다.
귀두는 음경의 머리 부위에 해당되며 말랑한 해면체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성교 시 피스톤 이동의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원래 귀두는 발기 전 부피가 작고 포피에 싸여져 있고 발기 시 피가 모이게 되어 부피가 증가하고 외부로 돌출된다. 다량의 신경이 분포하고 성적 자극에 민감한 조직이다. 귀두에는 털이나 땀샘은 없지만, 지방성 분비물을 분비하는 포피선이 있다. 남성은 성행위나 자위행위 때 귀두에 반복된 마찰을 통한 자극으로 사정을 수반하는 오르가즘에 도달한다. 포경수술을 받은 경우 귀두는 항상 외부에 노출되며 각질화된다.
포피는 남성의 귀두를 덮는 피부와 점막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신축성이 있는 주름으로서 음경이 발기하지 않을 때 요도구를 보호한다.
할례(割禮) 또는 포경수술(包莖手術)은 포피를 제거해 귀두를 강제로 노출시키는 행위이다. 환상절제술(環狀切除術)이라고도 부르며 영어로 서컴시전(Circumcision)이라고 부른다.
3. 1. 2. 음낭
음낭(陰囊)은 음경 아래에 주머니처럼 늘어진 피부 조직이다. 고환과 부고환을 담고 있으며, 낭심(囊心)이라고도 불린다. 남성의 성감대 중 하나이며, 외부 충격에 심한 통증을 느낀다. 음낭의 피부는 얇고 멜라닌 색소 침착으로 인해 어두운 색을 띤다. 피하조직에는 지방이 없고, 민무늬근으로 된 얇은 근육층이 있어 수축 운동을 통해 주름이 생긴다. 땀샘이 많고, 음낭 중심을 따라 음낭봉선(陰囊縫線)이 있다. 내부에는 한 쌍의 고환, 부고환, 정관이 9겹의 조직막에 싸여 존재한다.음낭은 태아 발육 과정에서 뱃속에서 생성되어 아래로 처지면서 몸 밖으로 돌출된다. 불완전한 성장 과정에서는 음낭이 뱃속에 남는 경우도 있다. 성장하면서 음낭에 털, 즉 음모(陰毛)가 난다. 음낭은 정자를 생산하는 고환을 보호하며, 고환은 체온보다 2~3도 낮은 온도에서 정상적인 정자 생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낭을 압박하는 속옷이나 바지는 고환 온도 유지에 방해가 되어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 음낭은 발기나 체온 저하 시 수축하고, 체온 상승 시 이완된다. 왼쪽 고환이 오른쪽 고환보다 더 아래에 위치한다.[21][22]
음낭은 샅굴을 통해 복부 또는 골반강과 연결되어 있다.
3. 2. 내부 생식 기관
남성의 내부 생식 기관은 고환, 부고환, 정관, 사정관, 전립선, 정낭, 망울요도샘(쿠퍼샘)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정자의 생성, 이동, 성숙 및 남성 호르몬 분비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고환에서 생성된 정자는 부고환으로 이동하여 성숙 과정을 거치고 농축된다. 부고환을 지난 정자는 정관을 통해 서혜부를 지나 골반 안으로 이동하여 정낭에 도달한다.[22] 정낭은 정액의 상당 부분을 생성하며, 정자는 이곳에서 더욱 성숙한다.[22]
사정 시 정자는 사정관을 통해 요도로 배출되며, 이때 전립선에서 분비되는 전립선액과 정낭에서 생성된 액체가 정액과 섞인다.[22] 망울요도샘은 쿠퍼액을 분비하여 정자가 이동하기 쉽도록 요도를 매끄럽게 하고, 산성을 중화시킨다.[22]
3. 2. 1. 고환
고환(睾丸)은 남성의 생식 기관 중 하나로, 정자를 생성하고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타원형 모양의 기관이다. 흔히 '불알'이라고도 불리며, 정소(精巢)라고도 한다. 음낭 속에 좌우 각각 하나씩 있으며, 태아의 성장과 함께 음낭 속에 자리 잡는다.고환은 백막이라는 결합조직에 감싸여 있으며, 정자를 생산하는 세정관(細精管)이 붙어 있다. 세정관 내부에는 원형 세포가 겹겹이 겹쳐져 있고, 이 세포들이 증식과 분열을 반복하여 정자가 된다. 세정관 중심에는 완성된 정자를 볼 수 있으며, 이 정자는 세정관에서 부고환과 정관을 거쳐 요도로 보내진다.[1]
고환에는 세정관 벽에 접한 각세포와 세정관 밖의 결합조직 안에 간질세포(間質細胞, 라이디히 세포)가 있다. 각세포는 정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간질세포는 남성 호르몬을 분비한다.[1]
고환이 음낭 안에 들어 있지 않거나 음낭까지 내려오지 않은 경우를 잠복고환이라 부른다. 잠복고환은 외견상 음낭이 작거나 쪼그라져 있으며,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중세 시대에는 아들을 낳기 위해 왼쪽 고환을 제거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 이는 오른쪽 고환이 아들의 정자를, 왼쪽 고환이 딸의 정자를 생성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기원전 330년경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들을 원하는 남성이 왼쪽 고환을 묶어야 한다고 기술했다.
3. 2. 2. 부고환
부고환(副睾丸) 또는 부정소(副精巢)는 남성 생식 기관의 일부로, 모든 수컷 포유류에 존재한다. 이것은 각 고환에서부터 정관에 이르는 수출관들을 연결해주는, 빽빽하게 꼬아진 가느다란 관이다. 부고환은 머리, 몸통, 꼬리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2]- 머리: 부고환머리는 고환의 종격(고환종격)에서 나온 수출관을 통해 정자를 받는다. 정액의 농도가 이 부분에서 묽다.
- 몸통
- 꼬리: 이 부분은 흡수를 통해 정액의 농도를 짙게 하는 데 관련되어 있어, 머리 부분보다 더 두꺼운 근상피세포를 갖고 있다.
부고환은 길고 희끄무레한 덩어리로, 촘촘하게 꼬인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세관에서 생성된 정자는 부고환으로 흘러 들어간다. 부고환을 통과하는 동안 정자는 성숙 과정을 거치며, 부고환의 정단 막에 위치한 이온 채널의 작용으로 농축된다.[2] 고환 위에 있는 부고환 안에는 고환에서 보내진 정자가 통과하는 관이 들어있다.[22] 부고환은 정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정자가 통과하는 정관은 서혜부를 지나 골반 안으로 들어가 정낭까지 이어진다.[22] 정자는 정낭에서 성숙하며, 사정 시 사정관에서 요도 내로 사출되어 외요도구로부터 체외로 배출된다.[22]
3. 2. 3. 정관
정관(수정관)은 포유류 수컷의 기관으로, 사정 시 부고환에서 나오는 정자가 이동하는 관이다. 정관 수술은 남성의 영구적 피임 방법으로, 국소 마취 후 음낭 피부를 절개해 정자가 나오는 길인 정관을 잘라 묶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술 후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다.[22]부고환은 촘촘하게 꼬인 관으로 이루어진 길고 희끄무레한 덩어리이다. 정세관에서 생성된 정자는 부고환으로 흘러 들어가 성숙 과정을 거치고, 부고환 정단 막에 있는 이온 채널의 작용으로 농축된다. 부고환을 지난 정자는 정관을 통해 서혜부를 지나 골반 안으로 들어가 정낭까지 이동한다.[22]
3. 2. 4. 전립선(전립샘)
전립샘(전립선, Prostate영어)은 정액을 이루는 유백색 액체(전립샘 특이 항원)를 분비하는 남성 성기관이다.[22] 종에 따라 해부학적, 화학적, 생리학적으로 다르다. 여성의 스킨샘과 발생학적으로 상동기관이다. 전립선은 전립선액을 분비하여 정자와 함께 사정한다.[22]3. 2. 5. 정낭
정낭은 남성의 방광 뒤에 자리 잡은 한 쌍의 샘이다.[22] 각 정낭은 5 cm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어 한 쌍의 길이는 모두 10 cm 정도 되지만, 안쪽으로 휘어져 있다. 양쪽 정관의 팽대부 외벽에 각각 자리 잡고 있다. 정낭배출관은 정관을 향해 열려있고, 이는 전립선에 연결된다. 정낭은 정액으로 만들어지는 액체의 상당 부분을 분비한다. 죽은 상피세포로부터 나온 리포푸신은 이곳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노란빛을 띠게 한다. 인간이 만들어 내는 정액의 약 60% 정도가 정낭에서 만들어지지만, 사정시 처음 분출되는 분량은 전립선의 분비액이나 정자가 대부분이고 정낭의 분비액은 분출되지 않는다. 시험관을 이용한 연구 결과에서 정낭의 분비액과 같이 분출된 정자는, 운동성과 생존성이 떨어졌고, 정자 염색질이 덜 보호됐다. 그래서, 정낭 분비액의 생리학적 중요성은 불확실하다. 이것이 혹시 아직까지 일부 설치류에게서 사정 마지막에 분출되어 다른 수컷 정자의 접근을 막는 살정제 역할을 하는, 진화의 흔적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제기되어왔다.3. 2. 6. 사정관
사정관(射精管, ductus ejaculatoriila)은 남성의 생식기에서 정액을 내보내는 배출로이다. 남성의 수정관의 저정낭, 개구부에서 요도에 이르는 끝부분에서 관벽의 근육벽이 발달된 부분을 사정관이라 하며 수정관 주위의 근육 수축에 의하여 정액을 요도로 내는 역할을 한다.[22] 무척추동물에서는 거머리나 흡충류 등에서 볼 수 있다.3. 2. 7. 망울요도샘(쿠퍼샘)
망울요도샘(쿠퍼샘)은 인간 남성 생식 기관의 일부로, 두 개의 작은 외분비 기관이다. 이 샘의 이름은 영국의 해부학자 윌리엄 쿠퍼의 이름에서 따왔다. 여성의 바르톨린샘과 상동 기관이다. 망울요도샘은 회음부 안쪽, 요도막부분의 두 근막 사이, 음경이 시작되는 부분의 요도 막성부 뒤 양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요도괄약근의 가로무늬근으로 둘러싸여 있다.망울요도샘은 복합 대롱꽈리샘으로, 각각 완두콩 정도의 크기이며 섬유질로 덮여 뭉쳐있는 몇 개의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소엽은 둥글게 배치된 상피세포를 따라 자리 잡고 있고, 자신과 다른 소엽들로부터 나오는 관끼리 뭉쳐 하나의 배출관을 형성하는 소핵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배출관은 약 2.5 cm 길이로, 음경 시작 부분의 요도에 연결된다. 망울요도샘은 나이가 들면서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
성적 각성 중에 망울요도샘에서는 쿠퍼액이라고도 하는 맑은 점액질의 분비액을 만들어낸다. 이 액체는 정자가 지나가기 쉽게 요도를 매끄럽게 해주고, 요도에 남아있는 산도를 중화시키며, 요도에 남아있을 지 모르는 오줌이나 외부 유입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정 후 구부요도에 남아있는 정자를 운반해 다음 사정 이전에 밖으로 내보내도록 하기도 한다.
쿠퍼액은 남성의 성적 흥분 시 분비되는 소량의 맑은 액체로 투명하며, 윤활유 역할을 하여 성행위를 원활하게 하고 정액이 부드럽게 나올 수 있도록 돕는다. 쿠퍼액은 알칼리성의 점액성 물질로, 산성인 소변이 지나간 후 요도를 중화시켜 정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쿠퍼액에는 미량의 정자가 포함되어 있지만 임신 확률은 0.1%~1% 이하로 매우 희박하다. 어린이의 경우에도 자위 등을 했을 때 정액은 나오지 않더라도 쿠퍼액은 나온다.
4. 생리적 기능
남성 생식 기관은 정자 생성, 남성 호르몬 분비, 성교, 배뇨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남성 생식 기관은 음경을 포함한 남성의 생식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 전체를 가리키며, 고환, 부고환, 정관, 사정관, 전립선, 정낭, 요도, 음경, 음낭 등이 있다.[22] 이 중 음경과 음낭은 몸 바깥에 드러나 있어 '외음부'라고 불린다.[23] 남성 생식 기관은 주로 남성 호르몬을 만들고 분비하며, 성교와 배뇨 기능을 한다.[21]
생식을 위해서는 남성 호르몬과 정자가 만들어져야 한다.[21] 수정에는 정자의 형성, 이동, 사정이 필요하다.[22] 성교 시에는 음경이 발기하여 여성의 질에 삽입하기 쉬운 상태가 되며, 음경에 자극이 가해지면 뇌와 척수에 신호가 전달되어 정자를 포함한 정액이 몸 밖으로 나오는 사정이 일어난다.[21]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는 부고환을 거쳐 정관으로 이동한다.[22] 정관은 서혜부를 지나 골반 안으로 들어가 정낭에 이른다.[22] 정자는 정낭에서 성숙하며, 사정 시 사정관을 통해 요도로 배출되어 몸 밖으로 나간다.[22]
남성 생식기는 사춘기에 2차 성징에 의해 타너 단계에 따라 성장한다.[24] 남성 생식기의 타너 단계가 II에 도달하면 2차 성징, 즉 사춘기가 시작된 것으로 보며, 평균 11세 6개월(±1년 6개월) 정도에 해당한다.[25] 사춘기 초기에는 남성 생식기만 발달하고 다른 신체 부위의 발달은 늦어지기 때문에, 사춘기가 시작되었음을 알아차리기 어려울 수 있다.[26][27][28]
colspan="2" | | 정소 | 음낭 | 음경 | 음경 귀두 | |
---|---|---|---|---|---|
I (사춘기 전) | 유아형(미발달) | ||||
II | 사춘기 초래 | 증대하여 용적이 4ml 이상이 된다. 이에 의해 혈중 테스토스테론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10ng/dl 초과가 된다. | 증대하고, 주름이 고와지고 붉은 기를 띤다. | 유아형(미발달) | |
사춘기 초래 이후 | 용적이 더욱 증대한다 | ||||
III | 더욱 증대한다. | 길어지고 약간 굵어진다. | 유아형(미발달) | ||
IV | 더욱 증대하고, 검어진다. | 길어지고 굵어져 사람에 따라 포피가 벗겨진다. | 커진다. | ||
V | 성인형이 된다(성인형이라도 진성 포경, 감돈 또는 가성 포경, 상시 귀두 노출의 종류가 있다). |
4. 1. 정자 생성
고환의 세정관에서 정자가 생성된다. 세정관 내부에는 원형 세포들이 겹겹이 겹쳐져 있으며, 고환에 접한 세포가 증식과 분열을 반복하여 정자가 된다. 세정관 중심부에는 완성된 정자를 볼 수 있다. 이 정자는 세정관에서 부고환과 정관을 거쳐 요도로 보내진다. 정자 생성은 사춘기부터 시작되어 평생 지속된다. 생성된 정자는 부고환에서 성숙 과정을 거쳐 운동성을 획득한다.4. 2. 남성 호르몬 분비
고환의 간질세포(라이디히 세포)에서는 남성 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분비된다. 간질세포에서 분비되는 주요 안드로겐은 테스토스테론이며, 임신 8~10주 후에 분비가 시작된다.[17] 테스토스테론 분비는 12~14주에 최고조에 달하고, 임신 2분기 말(약 21주)까지 매우 낮은 수준으로 감소한다.[17][18] 출생 후 4~6개월이 지나면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거의 감지되지 않는다.[17][18] 사춘기까지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19]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2차 성징 발현, 성욕, 근육 발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 3. 발기 및 사정
성적 자극을 받으면 음경 내의 해면체가 충혈되어 비대해지고 길이와 경도가 증가하여 발기가 된다. 발기된 성기는 여성의 질에 삽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21] 발기에는 해면체로 유입되는 혈액량의 증가가 필요하다.[22]남성이 성교를 통해 쾌감을 느껴 오르가슴에 도달하면, 사정이 일어난다. 사정은 정자를 포함한 정액이 요도를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 현상이다.[21] 정낭에서 성숙된 정자는 사정 시 사정관에서 요도 내로 사출되어 외요도구로부터 체외로 배출된다.[22] 전립선은 전립선액을 분비하여 정자와 함께 사정한다.[22]
4. 4. 배뇨
요도(尿道, urethra)는 방광에 모인 오줌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기관으로 오줌길이라고도 한다. 신장에서 만들어진 오줌은 수뇨관을 통해 방광에 저장되어 있다가 일정한 양이 되면 요도를 통해 배출된다. 남성의 요도는 전립선 부분에서 정자를 운반하는 사정관과 합쳐져서 정액의 통로 역할도 하며 동시에 오줌의 배출구 역할도 수행한다.[21]남성의 요도는 평균 길이가 약 20cm이며 음경을 통하여 외(外)요도 구멍을 끝으로 위치한다.
5. 남성 생식 기관 관련 질환
남성 생식 기관에는 여러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생식 능력, 성 기능, 배뇨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관련 질환은 크게 감염성 질환, 비감염성 질환, 기능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5. 1. 감염성 질환
요도염, 귀두포피염, 부고환염, 전립선염 등은 세균, 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성 매개 감염병(성병)은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질환으로, 임질, 클라미디아, 매독, 에이즈 등이 있다.5. 2. 비감염성 질환
전립샘비대증, 전립선암, 고환암, 음경암, 잠복고환, 정계정맥류, 음낭수종 등이 있다.5. 3. 기능 이상
남성 생식 기관의 기능 이상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발기부전, 조루, 지루, 역행성 사정, 무정자증, 희소정자증 등이 대표적이다.[21][22] 이 외에도 음경측만증, 곤지름, 귀두염(포경수술을 안 했을 때만), 진주 양구진, 귀두포피염, 고환염증, 고환 꼬임, 음경암, 고환암 등이 발생할 수 있다.6. 남성 생식 기관 관련 수술
남성의 생식 기관과 관련된 수술로는 포경수술과 정관수술이 있다. 포경수술은 귀두를 덮는 포피를 제거하는 수술이고, 정관수술은 정자의 이동 통로인 정관을 차단하는 피임 수술이다.
6. 1. 포경수술
포경수술은 귀두를 덮고 있는 포피를 제거하는 수술로, 환상절제술이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서컴시전(Circumcision)이라고 한다.[4] 위생, 종교적 이유 등으로 시행되지만, 최근에는 그 필요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포경은 귀두가 포피로 덮여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포피가 뒤로 젖혀지거나 발기 시 귀두가 노출되는 경우를 가성포경, 여러 원인으로 포피를 뒤로 젖혀도 귀두가 제대로 노출되지 않거나 무리해서 노출시킬 경우 심한 고통이 따르는 경우를 진성포경이라고 한다.[4] 어렸을 때부터 성관계나 자위를 하며 귀두에 자극을 주면 포경이 될 가능성이 높다.[4] 포경수술을 받은 경우 귀두는 항상 외부에 노출되며 각질화된다.[2]6. 2. 정관수술
정관 수술은 남성이 할 수 있는 영구적 피임 방법으로, 국소 마취 후 10분 정도 진행된다. 국소 마취를 하고 나서 음낭의 피부를 절개해 정자가 나오는 길인 정관을 잘라서 묶는 방식으로 진행된다.[1] 한 번 시술하고 나서도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다.[1]7. 남성 생식 기관과 관련된 사회적 논쟁
대한민국에서는 남성 생식 기관과 관련하여 다양한 사회적 논쟁이 존재한다.
7. 1. 포경수술 논쟁
할례 또는 포경수술은 바빌로니아인, 아시리아인을 제외한 셈계(系) 민족 및 이집트인에게 일반적인 음경의 포피 절제 의식이자, 포피를 제거해 귀두를 강제로 노출시키는 행위이다. 환상절제술이라고도 부르며 영어로는 서컴시전(Circumcision)이라고 부른다. 기원적(起源的)으로는 결혼을 앞둔 남성으로서의 생리적 이유, 혹은 사회 성원(成員)으로서의 자격을 얻는다는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유대인에 있어서는 어느 시기에 생후 8일째 되는 유아에게 시술하도록 개정되어 신(神) 야훼(Jahweh:여호와)와 이스라엘 민족간에 체결된 '계약의 표징'으로 해석되었다. 포경은 귀두가 포피로 덮여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포피의 후퇴나 발기 시 등 필요에 따라 귀두가 노출되는 경우를 가성포경, 여러 원인으로 포피를 후퇴시켜도 귀두가 제대로 노출되지 않거나 무리해서 노출시킬 경우 심한 고통이 수반되는 경우를 진성포경이라 한다.8. 결론
남성의 생식 기관은 음경, 고환, 부고환, 정관, 사정관, 전립선, 정낭, 요도, 음낭 등으로 구성된다.[22] 이들은 남성 호르몬 생성 및 분비, 성교, 배뇨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21] 특히, 고환은 정자를 생성하고, 전립선은 정액의 일부를 분비하여 생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음낭은 고환을 보호하며, 음경은 배뇨와 사정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기관이다.[21] 이처럼 남성 생식 기관은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와 기능을 통해 남성의 생식 능력을 유지하고 건강에 기여한다.
참조
[1]
논문
Localizat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the germinal epithelium of the testis, Sertoli cells, and spermatozoa.
[2]
논문
Mapping the sites of localizat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segments of the mammalian epididymis.
[3]
웹사이트
Differentiation of the urogenital sinus in males
http://www.embryolog[...]
[4]
웹사이트
The external genitalia, indifferent stage
http://www.embryolog[...]
Human Embryology: Organogenesis
2015-03-03
[5]
웹사이트
Differentiated stage of the male genitalia
http://www.embryolog[...]
Human Embryology Organogenesis
2015-03-03
[6]
웹사이트
Hydroceles and Inguinal Hernia: Symptoms, Diagnosis & Treatment - Urology Care Foundation
https://www.urologyh[...]
2024-04-17
[7]
논문
DNA Damage and Repair in Human Reproductive Cells
null
2018-12
[8]
웹사이트
Embryo Images Online
https://syllabus.med[...]
[9]
서적
CliffsNotes AP Biolog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10]
서적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An Integrated Approach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11]
웹사이트
Help is here!
https://www.hartnell[...]
[12]
웹사이트
Secondary Characteristics
http://www2.hu-berli[...]
[13]
논문
A gene from the human sex-determining region encodes a protein with homology to a conserved DNA-binding motif
http://rcin.org.pl/C[...]
1990-07-19
[14]
웹사이트
Rediscovering Biology, Unit 11 - Biology of Sex and Gender, Expert interview transcripts
http://www.learner.o[...]
[15]
서적
Larsen's human embryology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09
[16]
논문
A sex-chromosome anomaly in a case of gonadal dysgenesis (Turner's syndrome)
1959-04-04
[17]
논문
Evidence of testicular activity in early infancy
1973-07
[18]
논문
The neonatal testosterone surge: a comparative study
[19]
논문
Sexual differentiation of the human brain in relation to gender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20]
간행물
Embryology, Mullerian Ducts (Paramesonephric Duct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4-18
[21]
웹사이트
”男性器”ってペニスのことですか? 【専門医が回答!男性の体Q&A①】
https://medical.jiji[...]
集英社 yoi
2024-05-10
[22]
웹사이트
男性性器の構造とはたらき 家庭の医学
https://medical.jiji[...]
時事通信
2024-05-10
[23]
웹사이트
外陰部(ガイインブ)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9-01
[24]
논문
思春期の発現
https://doi.org/10.3[...]
山梨大学看護学会
[25]
웹사이트
たなか成長クリニック・思春期
http://tanaka-growth[...]
[26]
웹사이트
お母さんの基礎知識(思春期・男の子編)(もっと詳しく…)
http://www.pref.kana[...]
神奈川県ホームページ
[27]
웹사이트
「思春期早発症」とは
https://www.takeda.c[...]
武田薬品工業
[28]
웹사이트
思春期早発症の症状
https://www.takeda.c[...]
武田薬品工業
[29]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 1more Baby応援団,心配だからこそ知っておくべき 妊娠・出産の正しい知識 〜妊娠適齢期から考えるライフプラン 全4回②【妊娠率と流産率編】 {{!}} ワンモア・ベイビー・ラボ
https://www.1morebab[...]
null
2019-04-20
[30]
웹사이트
睾丸摘出・陰嚢切除とは
http://gid-cli.com/s[...]
東京ジェンダークリニック
2023-10-01
[31]
웹사이트
睾丸摘出・陰嚢切除なら
https://sakae-c-c.jp[...]
AMORE CLINIC(アモーレクリニック)
2023-10-01
[32]
웹사이트
性別適合手術 性別適合手術(GRS・SRS)の種類
https://kazuki-pc.co[...]
KAZUKIPRIVATE CLINIC
2023-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