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불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불임은 피임을 하지 않고 1년 이상 정상적인 성관계를 가졌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산부인과학회 등에서 정의하고 있다. 불임은 남성, 여성, 또는 양쪽 모두에게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여성의 나이가 불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불임의 원인으로는 자궁내막증, 배란장애, 정자 생성 기능 장애 등이 있으며, 흡연,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불임은 개인에게 심리적 고통과 사회적 압박을 줄 수 있으며,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 수술 치료, 보조생식술 등이 있다. 불임 치료와 관련하여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논의가 존재하며, 많은 국가에서 불임 치료를 규제하기 위한 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임 - 가임력
    가임력은 인구 통계학에서 인간의 수태 능력을 의미하며, 문화, 나이, 개체 발생, 개체군 밀도, 위도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 생애사 패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개념이다.
  • 불임 - 미코플라스마
    미코플라스마는 세포벽이 없고 크기가 작은 세균의 한 속으로, 사람, 동물, 식물에 기생하며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세포 배양 시 오염원으로 작용한다.
  • 산육 - 쌍둥이
    쌍둥이는 하나의 자궁에서 동시에 자라는 두 명의 태아를 의미하며, 하나의 수정란에서 발생하는 일란성 쌍둥이와 두 개의 난자가 수정되는 이란성 쌍둥이로 나뉜다.
  • 산부인과 - 외음부
    외음부는 여성의 외부 생식기로, 성적 자극과 생애 주기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질환에 취약하고 문화적,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 산부인과 - 자궁경부
    자궁경부는 여성 생식 기관의 일부로 자궁의 하부 좁은 부분이자 자궁체와 질을 연결하는 부위이며, 생식 과정에서 정자의 이동 통로 역할, 임신 중 자궁 보호, 출산 시 태아의 통로 역할 등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자궁경부암 등 질병과 관련된 부위이다.
불임
개요
질병 분야비뇨기과, 부인과
관련 증상(정보 없음)
관련 합병증(정보 없음)
발병 시기(정보 없음)
지속 기간(정보 없음)
일반적인 여성 원인무배란
막힌 나팔관
호르몬 불균형
일반적인 남성 원인낮은 정자 수
비정상적인 정자 형태
위험 요인(정보 없음)
진단 방법(정보 없음)
감별 진단(정보 없음)
예방 방법(정보 없음)
치료 방법(정보 없음)
투여 약물(정보 없음)
예후(정보 없음)
발병 빈도2015년 1억 1300만 명
추가 정보
참고 문헌Carson, Sandra Ann; Kallen, Amanda N. (2021년 7월 6일).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fertility: A Review". JAMA. 326 (1): 65–76. doi:10.1001/jama.2021.4788. PMID 34228062; PMC 9302705.
Makar, R. S.; Toth, T. L. (2002년 6월). "The evaluation of infertilit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117 Suppl: S95-103. doi:10.1309/w8lj-k377-dhra-cp0b. PMID 14569805.
Himmel, W.; Ittner, E.; Kochen, M. M.; Michelmann, H. W.; Hinney, B.; Reuter, M.; Kallerhoff, M.; Ringert, R. H. (1997년 2월). "Management of involuntary childlessness".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47 (415): 111–118. PMC 1312893. PMID 9101672.
ART fact sheet (2014년 7월). 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4일에 확인함.
Cooper, T. G.; Noonan, E.; von Eckardstein, S.; Auger, J.; Baker, H. W.; Behre, H. M.; Haugen, T. B.; Kruger, T.; Wang, C.; Mbizvo, M. T.; Vogelsong, K. M. (2010). "World Health Organization reference values for human semen characteristics". Human Reproduction Update. 16 (3): 231–245. doi:10.1093/humupd/dmp048. PMC. PMID 19934213.
Causes of infertility. National Health Service. 2017년 10월 23일. 2016년 2월 21일에 확인함. 2016년 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Stuenkel, Cynthia A.; Gompel, Anne (2023년 1월 12일). "Primary Ovarian Insufficienc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8 (2): 154–163. doi:10.1056/NEJMcp2116488. PMID 36630623.
원문보기 - ScienceON. 2022년 2월 28일에 확인함.

2.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산부인과학회 등에서는 불임을 "피임을 하지 않고 1년 이상 정상적인 성관계를 가졌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로 정의한다.[117][118] 역학적 정의는 임신을 "시도하는" 기간 또는 임신까지의 "시간"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임신 가능성에 노출된 여성 인구를 대상으로 한다.[9]

불임의 정의는 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이는 국가 간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유병률 비교를 어렵게 만든다.[9] 세계보건기구(WHO)는 불임을 "12개월 이상 규칙적인 피임 없이 성관계를 가져도 임상적 임신에 실패하는 생식계 질환"으로 정의한다.[12] 일차 불임은 자녀가 없는 부부의 불임을, 이차 불임은 이전 임신 후 임신에 실패하는 것을 말한다.[12]

미국에서는 35세 미만 여성의 경우 피임을 하지 않고 12개월, 35세 이상 여성의 경우 피임을 하지 않고 6개월 동안 임신이 되지 않은 경우를 불임으로 본다. 일본산과부인과학회는 2015년 8월 29일 불임의 정의를 2년에서 1년으로 변경했다.

3. 원인

불임의 원인: 2009년 데이터 (UK)


불임의 원인은 남녀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남성 불임은 전체 불임 사례의 20~30%, 여성 불임은 20~35%, 부부 모두의 문제는 25~40%를 차지하며, 10~20%는 원인을 찾을 수 없다.[5][29][30]

WHO와 대한산부인과학회는 피임을 하지 않는 부부가 1년 이내에 임신에 이르지 못하는 상태를 불임으로 정의하며, 이는 임신을 원하는 부부의 10~15%에서 나타난다.

불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나이: 보건복지부는 불임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이를 꼽는다.[134] 여성은 태어날 때 난자 수가 정해져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여 폐경을 맞는다.
  • 유전적 요인: 반음양, 터너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선천성 부신피질증식증, 고환성 여성화 증후군 등은 불임의 원인이 된다.
  • 남성 요인: 남성 불임은 정자 생성 기능 장애, 정관 통과 장애, 부성선 장애, 성 기능 장애 등이 원인이다.
  • 여성 요인: 여성 불임은 자궁내막증, 배란장애, 난관 수종 및 유착, 자궁내막염, 자궁근종, 면역학적 이상 등이 원인이다.


항정자항체(ASA)는 불임 부부의 약 10~30%에서 불임의 원인으로 작용한다.[36] 항정자항체는 정자 운동성과 여성 생식기관을 통한 이동을 방해하여 수정 및 착상 과정을 어렵게 만든다.[36][37]

3. 1. 여성 불임



여성 불임은 여성의 생식 기관에 문제가 생겨 임신이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여성 불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175]

  • 자궁내막증: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서 자라는 질환이다.
  • 배란장애: 난자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현상으로, 여성 불임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 난관 수종 및 유착: 난관 끝이 막혀 물집이 생기거나 주변 조직과 들러붙는 현상이다.
  • 자궁내막염: 자궁 내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 자궁근종: 자궁 근육에 생기는 양성 종양이다.
  • 면역학적 이상: 면역 체계가 정자를 공격하는 등의 문제로 임신이 어려워진다.
  • 기혈허약, 신허, 간울, 습담, 어혈: 한의학에서 보는 불임의 원인들이다.
  • 나팔관 수술: 나팔관을 묶는 수술 등으로 인해 불임이 될 수 있다.


요오드 결핍증은 불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31] 클라미디아나 임질 같은 성병 감염은 생식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8][39] ''마이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 감염 또한 여성 생식기계 질환 및 불임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38][39]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여성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

  • DNA 손상: 흡연,[42] 방사선, 항암 화학 요법[43] 등으로 인해 난자의 DNA가 손상되면 수정 능력이 감소한다.[44]
  • 일반적인 요인: 당뇨병,[50][51] 갑상선 장애,[52] 셀리악병,[53][54][55][56] 부신 질환[57] 등이 있다.
  • 시상하부-뇌하수체 요인: 고프롤락틴혈증, 저뇌하수체기능저하증 등이 있다. 항갑상선 항체의 존재는 설명할 수 없는 불임 위험을 증가시킨다.[58]
  • 환경적 요인: 접착제, 휘발성 유기 용매, 실리콘, 난연제, 화학적 먼지, 폴리염화비페닐, 살충제와 같은 독소에 노출[59][60][61][62]되거나, 흡연하는 경우[63] 불임 가능성이 높아진다.
  • 체질량 지수(BMI) 이상: 비만은 여성의 불임 위험을 3배 증가시키며,[2] 저체중 또한 기능성 시상하부 무월경을 유발하여 불임을 일으킬 수 있다.[2]


여성이 임신하려면 질 성교가 배란 시기 즈음에 이루어져야 하고, 난자를 생산하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호르몬 균형이 맞아야 한다.[68] 여성 불임은 주로 난관이나 자궁의 구조적 문제, 또는 난자 배출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69] 배란 장애는 여성 불임의 약 25%를 차지하며, 과소배란 또는 무배란은 매달 난자가 배출되지 않아 불임으로 이어진다.[70]

세계보건기구(WHO)는 배란 장애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등급으로 분류한다.

  • 저환선성 저성선증 무배란 (시상하부 무월경)
  • 정상생식선성 정상에스트로겐성 무배란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 고환선성 저에스트로겐성 무배란 (조기난소부전)
  • 고프롤락틴혈증성 무배란 (뇌하수체 선종)[70]


다낭성난소증후군(PCOS)은 난자들이 난소 내에서 부분적으로만 발달하고 남성 호르몬이 과다 생성되는 경우이다.[72]

;내분비·배란 인자

: 무월경 등 월경 이상을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상하부-뇌하수체계 이상, 고프롤락틴혈증, 다낭성난소증후군, 조기난소부전, 황체기능부전 등이 알려져 있다.

:;시상하부성

:: 원발성으로는 칼만증후군, 프뢰리히증후군, 로렌스 문-비들 증후군 등이 있고, 속발성으로는 키아리-프롬멜 증후군, 알고르-델 카스티유 증후군, 신경성 식욕부진, 체중 감소성 무월경 등이 있다.

:;뇌하수체성

:: 원발성으로는 선천성 고나도트로핀 결손증 등이 있고, 속발성으로는 시한 증후군, 포브스-알브라이트 증후군, 뇌하수체 선종 등이 있다.

:;난소성

:: 원발성으로는 터너 증후군 등이 있고, 속발성으로는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조기난소부전, 난소 적출 등이 있다.

;난관 인자

: 난관 수종과 난관 간질부 폐색이 알려져 있다. 난관 수종은 성기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의해 발생하는 난관채 및 난관채 주변 유착이다. 난관 간질부 폐색은 자궁내막증이나 클라미디아 감염증 등으로 반복적인 염증에 이른 결과로 발생한다.

;자궁 인자

: 대부분 자궁 형태 이상이다. 자궁 기형,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애슈먼 증후군 등이 알려져 있다. 면역학적 이상으로 자궁경관에 항정자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통계에 따르면, 나이를 고려하지 않은 정자나 난소 질환 등의 불임 원인 중 여성에게만 원인이 있는 경우가 41%로 보고되고 있다.[120]

3. 1. 1. 여성의 연령에 따른 임신 능력 저하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산부인과학회는 불임을 “임신을 원하는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고 성관계를 갖고 있음에도 1년 이내에 임신에 이르지 못하는 상태”로 정의하며, 이는 임신을 희망하는 부부의 10~15%에서 나타난다.[104][105][106][107][108][109] 여성의 임신 능력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데, 이는 난자의 수와 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생리 주기당 임신율은 30세에 25%~30%, 35세에 18%, 40세에 5%, 45세에 1%로 감소한다.[104][105][106][107][108][109] 임신 준비 중 피임하지 않은 40세 여성의 한 번의 생리 기간 중 임신율은 5%에 불과하지만, 1년 동안 36%의 여성은 임신 자체는 가능하다.[104][105][106][107][108][109] 그러나 이는 유산이나 유전 질환 등의 가능성을 포함한 수치이다.

미국의 생식의학회는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인 경우, 6개월 동안 임신이 되지 않으면 검사를 권장한다.[104][105][106][107][108][109] 35세 이상의 임신은 “고위험 임신”이며, 국제산부인과연맹(FIGO)에서는 35세 이상의 초산 또는 40세 이상의 경산부의 출산을 “고령출산”으로 정의한다.[110]

보건복지부는 불임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이를 꼽고 있다.[134] 여성은 태어날 때 난자의 수가 정해져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난자의 수와 질이 저하되어 임신 능력이 감소한다. 난자는 여성과 함께 나이를 먹고 노화되어, 임신 확률은 20세 전후에 최고에 달한 후 30대에 들어서면 저하되고, 대략 45세에 "임신 능력을 잃는다"고 여겨진다.[135][136] 평균적으로 50세가 되면 폐경을 맞이하여 난소 내 난자의 수가 0이 된다.[135][136]

건강한 여성이라도 40세에 폐경을 경험할 수 있으며, 40세 이전에 폐경이 온 경우 조기난소부전(또는 조기폐경)으로 진단된다.[143]

나이가 들면서 자궁이 노화되는 것은 মূলত 난자가 노화되기 때문이며, 의학적으로는 난자 수 감소와 난자 질 저하를 의미한다. 40세 여성의 경우 시험관 아기 시술로 출산할 수 있는 가능성은 전체 치료 총수 대비 8.1%, 45세는 0.5%에 불과하다. 출산한 아이에게서 염색체 이상이 나타날 확률도 20세는 1/1667, 30세는 1/952, 40세는 1/106, 45세는 1/30으로, 나이가 들수록 급격히 증가한다.[133][137][138]

인류의 경험으로 볼 때, 여성은 10대 후반~30대 초반까지 임신과 출산 능력이 있으며,[139][140][141][142] 20대가 가장 임신하기 쉽고,[149] 30대 후반 이후는 난자와 자궁의 능력 저하로 점차 감소하며,[139][140] 40대 후반이 되면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고,[139][140] 50세 이상에서는 거의 0에 가까워진다.[139][140]

난자 냉동 보존은 난자의 노화로 인한 불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젊은 시절의 난자를 액체 질소로 냉동 보존하는 기술이다.[149] 그러나, 미성숙 난자나 미수정 난자는 냉동 보존 성공률이 낮아, 100% 출산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154][152]

불임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들은 “임신에는 반드시 적령기가 있다”, “난자의 회춘은 불가능하다”라고 말하며, 여성의 난자 노화와 불임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149]

그동안 일본의 성교육피임성병에 중점을 두어 난자의 노화 문제는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169][149] 또한, 미디어에서 40세를 넘어 출산한 연예인의 사례 등이 보도되면서, 고령 출산의 가능성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170][149]

만혼화 추세에 대해, 인생 설계에서 확실히 아이를 원한다면 20대에 결혼·임신·출산하는 것이 권장되며, 이를 지원하는 사회적 정비가 요구되고 있다.[171]

일본 참의원사무국은 “의학적으로 35세를 넘으면 난소 기능이 저하된다”, “불임 치료 중 시험관 아기 시술(체외수정)에서의 임신율은 32세를 넘으면서 급격히 저하되기 시작하며, 40세 이상의 임신은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172]

3. 2. 남성 불임

남성 불임은 최소 1년 이상 피임 없이 성관계를 가졌음에도 여성을 임신시키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부부 불임의 약 35%를 차지한다.[2] 남성 불임의 원인은 다양하며,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원인설명비율비고
정자 생성 기능 장애정자의 형성 및 성숙 과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정자 수 감소, 운동성 저하, 형태 기형 등이 해당. 내분비 문제, 약물, 방사선,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음.[74]90%[158]
정관 통과 장애정자의 수송 경로에 장애가 있는 경우. 정관 수술, 낭포성 섬유증으로 인한 정관 폐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음.[2]5%[158]
부성선 장애정낭이나 전립선의 염증으로 인해 정자가 영향을 받는 경우.
성 기능 장애성교나 사정이 불가능한 경우.3%[158]
기타 원인반음양, 터너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선천성 부신피질 과형성증, 정소성 여성화 증후군 등 Y 염색체 이상 등을 포함.2%[158]



이 외에도 항정자 항체에 의한 면역 불임,[36][33]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 감염,[76] DNA 손상,[47] 환경적 요인,[59][60][61][62] 흡연[63] 등이 남성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남성은 여성과 달리 나이만으로 불임의 경계를 정할 수 없지만,[156] 35~40세경부터 생식 기능과 정자의 질이 서서히 저하되기 시작한다.[108][133][157][116] 45세 남성의 생식 능력은 30세 남성에 비해 약 20% 감소한다.[158] 또한, 아버지의 고령화는 자녀의 신경발달장애,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 발병 위험률을 높일 수 있다.[159]

한국에서는 부부 10쌍 중 1쌍이 불임이며, 이 중 남성에게만 원인이 있는 경우는 24%, 남녀 모두에게 원인이 있는 경우는 24%이다.[160] 따라서 남성 불임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며, 특히 둘째 불임의 경우 남성의 정자 검사도 필요하다.[164][165]

3. 3. 원인 불명 불임

엽산 대사 경로 유전자에 유전자 다형성이 존재하는 것이 원인 불명 불임 여성에게서 불임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77] 정자의 후성적 변형 또한 원인 불명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다.[78][79]

4. 진단

의사나 여성 건강 간호사(WHNP)의 진료를 통해 불임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부부의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가 이루어지며, 임신에 실패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혈액 검사, B형 간염(HBV), C형 간염(HCV), HIV, 매독 및 풍진과 같은 감염을 감지하기 위한 혈청 검사가 일반적이다.[80] 여성의 경우, 난소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항뮬러관 호르몬(AMH),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프로락틴(PRL) 및 비타민 D 수치 측정 등이 이루어진다.[81][82]

세계보건기구(WHO)는 피임 없이 12개월 이상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불임으로 정의한다.[117][118] 35세 이상 여성은 6개월 이상 임신이 되지 않으면 의학적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117] 일본에서는 임신을 원하는 부부가 질내 사정을 했을 때, 6개월 이내에 65%, 1년 이내에 80%, 2년 이내에 90%, 3년 이내에 93%가 임신에 성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9]

불임의 원인은 남성에게만 있는 경우가 약 24%, 여성에게만 있는 경우가 41%, 남녀 모두에게 있는 경우가 24%, 원인 불명인 경우가 11%이다.[120]

여성 불임의 경우, 내분비·배란 인자, 난관 인자, 자궁 인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분비·배란 인자는 무월경 등 월경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낭성난소증후군, 조기난소부전 등이 해당된다. 난관 인자는 성기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의한 난관 수종, 자궁내막증 등에 의한 난관 간질부 폐색 등이 있다. 자궁 인자는 자궁 기형,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남성 불임은 정액 검사를 통해 정자 운동성 저하, 과소정자증, 무정자증 등을 진단하며, Y염색체 이상도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을 이용하여 진단한다.[160]

불임증 선별 검사(스크리닝 검사)는 브라이덜 체크라고도 불리며, 여성의 경우 기초 체온, 호르몬 부하 검사, 혈중 호르몬 측정, 클라미디아 검사, 자궁 난관 조영술, 초음파 검사, MRI 등이 있다. 남성의 경우 정액 검사가 우선적으로 실시된다.

5. 치료

불임 치료는 불임의 원인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며, 크게 약물 치료, 수술 치료, 보조생식술 등으로 나눌 수 있다.[83] 약물에는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인간 폐경기 난포자극호르몬(hMG), 난포자극호르몬(FSH),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 작용제, 아로마타제 억제제 등이 사용된다.[84]

클로미펜과 레트로졸은 배란 유도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클로미펜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로, 에스트로겐의 음성 피드백을 차단하여 황체형성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 증가를 유발한다. 이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황체형성호르몬(LH)과 FSH의 방출을 일으켜 난소에서 난포 성장과 배란을 유도한다.[2] 레트로졸은 아로마타제 억제제로 에스트라디올 수치를 낮추고 FSH와 LH 수치를 높여 난포 성숙과 배란을 자극한다.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불임 환자에게 선호되며, 다른 치료법보다 임신 성공률이 높다.[2] 클로미펜과 레트로졸 모두 다태 임신 위험이 있지만, 10% 미만이다.[2] 메트포르민은 불임 환자의 출산율을 높이지 않아 권장되지 않는다.[2]

시험관 아기 시술(IVF)은 유도된 난포 자극 후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하여 정자세포질내주입술(ICSI)을 통해 정자와 시험관 내에서 수정시키고, 수정된 난자를 배아 이식으로 자궁에 다시 넣는 방법이다.[2]

시험관 아기 시술 과정


생식 의학에서는 몇 가지 실험적인 줄기세포 치료법이 연구 중이다. 이론적으로 인공 배우자를 ''시험관 내''에서 생산할 수 있다.[87] 정원줄기세포 이식은 생식독성 치료로 정자가 파괴된 암 환자에게 사용되기도 한다.[88] 난소 줄기세포를 이용해 새로운 난자를 생성하여 시험관 수정 후 자궁에 이식하는 치료법은 아직 실험 단계이다.[89]

난관경하난관형성술(Falloposcopic Tuboplasty; FT)은 난관 폐쇄나 협착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풍선 카테터를 자궁 내에 삽입하고, 1mm 이하의 얇은 내시경인 난관경으로 난관 내부를 관찰하며 난관 입구부터 풍선을 확장하여 난관에 삽입, 폐쇄나 협착을 물리적으로 해소한다.

클로미펜 요법이나 고나도트로핀 요법은 배란을 유발하는 치료법이다. 클로미펜은 제1차 무월경, 희발월경, 무배란주기증,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일부에서 사용된다. 에스트로겐 유사체인 클로미펜을 투여하여 GnRH 분비를 촉진하고, 뇌하수체에서 FSH와 LH 분비를 유도하여 난소를 자극, 배란을 유발한다.

5. 1. 불임 치료와 관련된 한국의 특수한 상황

한국은 체외 수정(IVF) 시술 건수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지만, 출산 성공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이는 자연 주기 시험관 아기 시술의 높은 비율, 고령 임신 증가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불임 치료 종료 후 특별양자입양을 고려하는 경우가 있지만, 법적인 제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 2022년 4월부터 한국에서 불임 치료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경제적 부담이 완화되었다.

6. 심리적, 사회적 영향

불임은 개인에게 심리적 고통, 우울, 불안, 죄책감, 자존감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다.[17][20] 자녀 양육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성인기의 주요 전환점 중 하나이므로, 자녀를 원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분노, 우울증, 불안, 부부 문제 및 무가치함과 같은 정서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20]

부부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갈등, 성기능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다.[21] 임신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 성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21] 특히 의학적 결정을 내리라는 압력을 받을 때 부부 불화가 자주 발생한다.[22] 임신을 시도하는 여성의 우울증 발생률은 심장병이나 암 여성과 비슷하다.[22] 불임의 원인이 남성에게 있는 부부의 경우 정서적 스트레스와 부부 갈등이 더 크다.[23]

사회적 고립감, 가족 및 사회적 압박감을 느낄 수 있으며,[24]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자녀 출산에 대한 기대가 높아 불임 부부의 심리적 고통이 더욱 클 수 있다. 많은 문화에서 임신하지 못하는 것은 오명을 안고 있으며, 폐쇄적인 사회 집단에서는 거부(또는 부부에 의한 거부감)의 정도가 상당한 불안과 실망을 초래할 수 있다.[26]

불임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경제적 부담 등도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불임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치료를 받을수록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아지며,[18] 치료 실패 경험이 한 번 있는 환자는 불안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고, 두 번 실패한 환자는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와 비교하여 우울증을 더 많이 경험한다.[18] 좋은 예후를 가지고 있고 치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재정적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 중단이 대부분 심리적 이유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18]

7. 윤리적 문제

불임 및 불임 치료와 관련하여 여러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고가의 치료 비용: 일부 부부에게 경제적 부담을 안겨준다.
  • 건강보험 적용 논쟁: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건강보험 회사가 불임 치료 비용을 보장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이다.[99]
  • 의료 자원 배분 문제: 다른 곳에 사용될 수 있는 의료 자원이 불임 치료에 사용되는 것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있다.
  • 시험관 아기 시술 후 남은 배아 처리 문제: 임신의 시작 논쟁과 맞물려 법적 지위와 폐기 문제를 둘러싼 윤리적 논란이 있다.
  • 다태 임신과 조산 증가: 시험관 아기 시술과 같은 불임 치료는 다태 임신 가능성을 높여 조산 및 여러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윤리적 문제가 제기된다.
  • 종교계의 의견: 로마 가톨릭 교회 등 일부 종교에서는 불임 치료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 Y 염색체 DNA 결함으로 인한 불임의 유전 문제: ICSI과 같은 치료법은 Y 염색체의 결함을 다음 세대로 유전시킬 수 있다는 윤리적 문제를 안고 있다.
  • 대리모 출산 관련 문제: 특히 국가 간 대리모의 경우, 여러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00]


이러한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특별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 영국의 인간 수정 및 배아 권위(HFEA): 불임 치료 및 배아 연구를 규제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1980년대 메리 워녹이 주도한 조사 위원회를 거쳐 1991년에 설립되었다.
  • 유럽 연합: HFEA와 유사한 모델을 채택하여 EU 조직 및 세포 지침에 따라 불임 치료를 검사하고 면허를 부여하는 자체 기관을 두고 있다.[101]
  • 캐나다[102]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103]: 관련 규제 기관이 존재한다.


여성은 건강하더라도 나이가 들면서 임신 능력이 저하되고, 유산태아의 선천성 기형 발생률이 높아진다.[157] 여성의 난자 수는 태아기에 최대치에 도달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특히 26세, 32세를 기점으로 크게 감소하고, 40대 후반부터는 난자의 염색체 이상이 증가하여 폐경기에는 생식 능력을 잃게 된다.[133][157][137][138]

40세 여성의 시험관 아기 시술 성공률은 전체 치료 총수 대비 8.1%에 불과하며, 45세에는 0.5%로 더욱 낮아진다. 출산한 아이의 염색체 이상 발생률도 나이가 들수록 급격히 증가한다. (20세 1/1667, 30세 1/952, 40세 1/106, 45세 1/30)[133][137][138]

사이타마 의대의 이시하라 리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난자의 염색체 이상 비율이 높아져 임신율은 낮아지고 유산율은 높아진다"고 설명한다.[147] 요미우리 신문의 엔도 후미코 기자는 40대에 불임 치료를 시작하여 48세에 출산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성은 나이가 들면 난자의 노화 문제에 부딪히기 때문에 임신하기 쉬운 나이를 의식하여 라이프 플랜을 세우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147]

독일에서는 40세까지 불임 검사와 치료에 공적 건강 보험을 적용하고, 연령 제한을 두고 있다.[148] 일본에서도 난자의 노화가 26세 이후 임신을 어렵게 하는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건강한 남녀 커플이라도 난자의 노화로 인해 임신 가능성이 낮아진다.[149][150][151]

건강한 남성은 정자를 매번 새로 만드는 반면, 여성의 난자는 발생 시부터 분화 형성되어 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정자의 나이는 수정 시점에서 수일 정도지만, 난자의 나이는 여성의 나이에 1을 더한 값이 된다. 난자의 노화는 난자 기능 저하의 총칭으로, 난포 수 감소, 과립막 세포 수 감소, 염색체 분리 이상, 미토콘드리아 DNA 감소, 소포체의 칼슘 흡수 능력 저하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133][151]

젊은 시절의 난자를 액체 질소로 냉동 보존하는 기술은 난자의 노화로 인한 불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149] 20대 초반의 난자를 냉동하여 30대 초반에 출산에 성공한 사례도 있지만,[152] 미성숙 난자나 미수정 난자는 냉동에 취약하여 100% 출산 성공을 보장할 수는 없다.[154][152]

불임 치료 의사들은 "결혼 적령기는 지났지만, 임신 적령기는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하며,[155] 여성의 난자 노화와 불임의 상관관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불임 치료 시점의 난자 나이와 산모의 현재 나이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149]

8. 역사

세계보건기구(WHO)는 피임을 하지 않고 성관계를 갖는 건강한 남녀가 12개월 이상 임신하지 못하는 상태를 불임으로 정의한다.[117][118] 미국생식의학회도 1년 이상으로 정의하며, 35세 이상이라면 6개월 이상 피임 없이 성관계를 가져도 임신이 되지 않으면 의학적 검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권장한다.[117] 이전에 임신 및 출산 경험이 없는 경우를 원발성 불임, 한 번 이상 임신 및 출산 후 임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속발성 불임으로 구분한다.

2015년 8월 29일, 일본산과부인과학회는 불임의 정의를 기존 2년에서 다른 여러 국가들과 같이 1년으로 변경했다. 일본에서는 임신 능력이 정상적인 부부의 경우, 임신을 원하고 질내 사정을 했을 때, 6개월 이내에 65%, 1년 이내에 80%, 2년 이내에 90%, 3년 이내에 93%가 임신에 성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9]

일본에서는 시험관 아기 시술을 하는 여성의 나이가 높아지고 있으며, 난소에서 자연적으로 자란 난자만을 채취하는 “자연 주기” 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성공률이 낮아 다른 선진국에서는 시행되지 않으며, 영국 국립 의료 기술 평가 기관(NICE)의 진료 가이드라인에는 “자연 주기 시험관 아기 시술은 환자에게 제안하지 않는다”라고 명시되어 있다.[122] 이러한 이유로 국제생식보조수술감시위원회(ICMART)의 보고에 따르면, 시험관 아기 시술 시행 건수가 세계 최고이지만, 1회 채란 당 출산율은 세계 최저이며 “불임 치료로 출산할 수 없는 국가, 세계 1위”라고 보도되고 있다.[123]

불임 치료를 끝내기로 결정한 부부가 특별양자입양을 고려하는 경우가 있지만, 여러 제한 때문에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125][126]

불임의 원인은 남성, 여성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일 수 있으며, 여성만의 원인이 41%, 남성만의 원인이 24%, 남녀 모두의 원인이 24%를 차지한다.[127] 따라서 절반 이상에서 남성 쪽에도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127]

일본 생식의학회에 따르면, 건강 상태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45세를 넘은 여성은 대개 임신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35세 미만의 임신 성공률은 30%를 넘지만, 35세를 넘으면 25% 정도로 낮아진다.

1989년에는 일부 페미니스트들이 불임이 질병이라는 생각에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다.[130]

후생노동성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20세~49세 여성 중 불임에 대한 걱정이나 치료 경험, 검사 또는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비율은 16.4%이며,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고 있다.[131]

참조

[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1
[2]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fertility: A Review 2021-07-06
[3] 논문 The evaluation of infertility 2002-06-01
[4] 논문 Management of involuntary childlessness 1997-02-01
[5] 웹사이트 ART fact sheet (July 2014) https://www.eshre.eu[...]
[6] 논문 World Health Organization reference values for human semen characteristics
[7] 웹사이트 Causes of infertility http://www.nhs.uk/Co[...] 2017-10-23
[8] 논문 Primary Ovarian Insufficiency 2023-01-12
[9] 논문 Defining infertility--a systematic review of prevalence studies
[10] 서적 Diseases of the Human Body https://archive.org/[...] F.A. Davis Company
[11] 웹사이트 Subfertility Or Infertility: Is It Time To Consider IVF? https://www.rmia.com[...] 2021-10-20
[12] 웹사이트 WHO | Infertility https://www.who.int/[...] Who.int 2013-03-19
[13] 서적 Fertility: Assessment and Treatment for People with Fertility Problems http://www.nice.org.[...] RCOG Press
[14] 웹사이트 Fertility: assessment and treatment for people with fertility problems, section: Defining infertility http://guidance.nice[...] 2013-02-01
[15] 웹사이트 Infecundity, Infertility, and Childlessness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6] 웹사이트 WHO | Infertility definitions and terminology https://www.who.int/[...]
[17] 논문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2007-04-01
[18]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fertility 2018-03-01
[19] 논문 Antioxidants for female subfertility 2020-08-01
[20] 논문 Psychological aspects of infertility
[21] 서적 Donor insemi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논문 The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a comparison with patients with other medical conditions
[23] 서적 Donor insemi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Infertility around the Globe: New Thinking on Childlessness, Gender, and Reproductive Technolog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25] 서적 Infertility in a Crowded Country: Hiding Reproduction in India Indiana University Press 2022
[26] 논문 The social epidemiology of coping with infertility 2005-04-01
[27] 논문 Infertility: Why can't we classify this inability as disability?
[28] 논문 Sexual dysfunction and disorders as a consequence of inferti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academic.oup[...] 2023-01-05
[29] 서적 Infertility Wolters Kluwer
[30] 웹사이트 ART fact sheet (July 2014) https://www.eshre.eu[...]
[31] 논문 Iodine and fertility: do we know enough? 2021-01-01
[32] 웹사이트 Precocious Puberty http://kidshealth.or[...] KidsHealth
[33]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9 : 5 books in 1 Elsevier Health Sciences 2018-05-26
[34] 논문 The Genetic Basis of Delayed Puberty 2018-01-01
[35] 논문 Disorders of Puberty: An Approach to Diagnosis and Management 2017-11-01
[36] 논문 Antisperm antibodies and fertility association 2013-10-01
[37] 서적 Principles & Practic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3 Vols) https://books.google[...] JP Medical Ltd 2013-09-30
[38] 논문 Mycoplasma genitalium infection and female reproductive tract disease: a meta-analysis 2015-08-01
[39] 논문 Chlamydia trachomatis and Genital Mycoplasmas: Pathogens with an Impact on Human Reproductive Health 2014-01-01
[40] 논문 Steroidogenic factor-1 (SF-1, NR5A1) and human disease 2011-04-01
[41] 논문 Frequency of small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s in prenatal, newborn, developmentally retarded and infertility diagnostics 2007-05-01
[42] 논문 Smoking and reproduction: gene damage to human gametes and embryos
[43] 논문 Xenobiotic effects on ovarian preantral follicles 2011-11-01
[44] 논문 Eight-hydroxy-2'-deoxyguanosine in granulosa cells is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oocytes and embryos in an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program 2002-06-01
[45] 논문 The role of sperm oxidative stress in male infertility and the significance of oral antioxidant therapy 2011-07-01
[46] 논문 Impact of DNA damage on the frequency of sperm chromosomal aneuploidy in normal and subfertile men
[47] 논문 Sperm DNA integrity assays: diagnostic and prognostic challenges and implications in management of infertility 2011-11-01
[48] 논문 Relation of mammalian sperm chromatin heterogeneity to fertility 1980-12-01
[49] 논문 Presence of DNA strand breaks and increased sensitivity of DNA in situ to denaturation in abnormal human sperm cells: analogy to apoptosis of somatic cells 1993-07-01
[50] 논문 Diabetes mellitus induced impairment of male reproductive functions: a review 2014-05-01
[51] 논문 Fertility issues in women with diabetes 2009-11-01
[52] 논문 [Thyroid gland and fertility] 2014-01-01
[53] 논문 Celiac disease and reproductive disorders: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 associations and potential pathogenic mechanisms 2014-01-01
[54] 논문 Risk of infertility in patients with celiac disease: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14-01-01
[55] 논문 [Coeliac disease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reproduction] 2001-03-01
[56] 논문 Infertility, obstetric and gynaecological problems in coeliac sprue 1994-01-01
[57] 논문 Fertility in patients with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2014-02-01
[58] 논문 Significance of (sub)clinical thyroid dysfunction and thyroid autoimmunity before conception and in early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https://pure.rug.nl/[...] 2019-09-19
[59] 논문 Exposure to environmental toxins in males seeking infertility treatment: a case-controlled study 2008-06-01
[60] 논문 Occupational exposures and risk of female infertility 1997-02-01
[61] 논문 Persistent environmental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in ovarian follicular fluid and in 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outcome in women https://ujms.net/ind[...] 2020-04-02
[62] 논문 Follicular fluid and blood level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reproductive outcomes among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2022-05-01
[63] 웹사이트 Regulated fertility services: a commissioning aid http://www.dh.gov.uk[...] 2009-06-01
[64] 웹사이트 Infertility & STDs - STD Information from CDC https://www.cdc.gov/[...] 2017-09-09
[65] 웹사이트 STDs That Can Cause Infertility http://www.livestron[...] 2014-12-03
[66] 웹사이트 5 Most Common Causes of Infertility http://health.howstu[...] 2014-12-03
[67] 논문 Obesity and male infertility 2023-08-01
[68] 웹사이트 About infertility & fertility problems http://www.hfea.gov.[...]
[69] 논문 Medical management of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2000-06-01
[70] 서적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2020-03-01
[71] 웹사이트 Female Infertility https://www.mayoclin[...] Mayo Clinic 2020-09-21
[72] 논문 Should obes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receive treatment for infertility? 2006-02-00
[73] 서적 Male Infertility - StatPearls - NCBI Bookshelf StatPearls
[74] 논문 Impact of a second semen analysis on a treatment decision making in the infertile man with varicocele 2009-05-00
[75] 논문 Atypical centrioles during sexual reproduction 2015-04-00
[76] 논문 Detection of Adeno-associated Virus from Semen Suffering with Male Factor Infertility and Having Their Conception Partners with Recurrent Miscarriages 2012-00-00
[77] 논문 Variations in folate pathway genes are associated with unexplained female infertility 2010-06-00
[78] 논문 Aberrant sperm DNA methylation predicts male fertility status and embryo quality 2015-12-00
[79] 논문 Epigenetics and its role in male infertility 2012-03-00
[80] 웹사이트 Infertility Help: When & where to get help for fertility treatment http://www.hfea.gov.[...]
[81] 논문 Prepregnancy counseling https://www.acog.org[...] 2019-01-00
[82] 웹사이트 Endometriosis and Fertility - Brigham and Women's Hospital https://www.brighama[...]
[83] 논문 Failures (with some successes) of assisted reproduction and gamete donation programs
[84] 서적 Male Infertility: Problems and Solu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10-20
[85] 논문 Birth after the reimplantation of a human embryo https://pubmed.ncbi.[...] 2024-06-27
[86] 논문 Fertility tourism: circumventive routes that enable access to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substances https://pubmed.ncbi.[...] 2011-00-00
[87] 논문 Stem cells in reproductive medicine: ready for the patient? 2015-09-00
[88] 논문 Spermatogonial stem cell transplantation into rhesus testes regenerates spermatogenesis producing functional sperm 2012-11-00
[89] 논문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Stem Cell Therapy for Infertile Patients with Premature Ovarian Insufficiency 2024-02-19
[90] 서적 Human Reproduction
[91] 논문 ABC of subfertility: extent of the problem 2003-08-00
[92] 논문 Effects of age on male fertility 2013-08-00
[93] 웹사이트 HFEA Chart on reasons for infertility https://web.archive.[...]
[94] 서적 Core clinical cases in obstetrics and gynaecology: a problem-solving approach Hodder Arnold
[95] 웹사이트 Till spermadonator http://sahlgrenska.s[...]
[96] 웹사이트 The invisible infertile: how cultural beliefs can shape statistics https://theconversat[...] 2017-12-07
[97] 뉴스 Heartache of infertility shared on stage, screen http://www.chicagotr[...] 2009-06-21
[98] 논문 Up with ageing
[99] 서적 Transnational Reproduction: Race, Kinship, and Commercial Surrogacy in India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6
[100] 논문 The World's Back Womb?: Commercial Surrogacy and Infertility Inequalities in India 2014-00-00
[101] 웹사이트 Europa https://web.archive.[...]
[102] 웹사이트 Assisted Human Reproduction Canada http://www.hc-sc.gc.[...]
[103] 웹사이트 Independent Theatre Association http://www.ita.org.a[...]
[104] 문서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Monitor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CMART)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vised Glossary on ART Terminology, 2009 http://www.who.int/r[...]
[105] 뉴스 日本産科婦人科学会 不妊の定義を1年に見直し http://www3.nhk.or.j[...] NHKnewsweb 2015-08-29
[106] 웹사이트 自然妊娠の仕組みと不妊の原因|北見 不妊外来|中村記念愛成病院 https://www.kouwakai[...] 2020-10-04
[107] 웹사이트 不妊症(1)「1年以上妊娠しない」 様々な原因 https://www.asahi.co[...] 2020-10-04
[108] 웹사이트 実は思っているほど高くない「自然に妊娠できる確率」 https://www.fujinka-[...] 2020-11-24
[109] 웹사이트 https://sai-journal.[...]
[110] 웹사이트 https://twitter.com/i/events/1448814660350709762 https://twitter.com/[...] 2021-10-15
[111] 웹사이트 https://w-health.jp/[...]
[112] 웹사이트 女性の卵子の数は決まっている https://sset-clinic.[...] 2022-10-26
[113] 웹사이트 妊娠に適齢期はありますか。 https://www.healthca[...] 2022-10-26
[114] 웹사이트 晩婚化と男性不妊の切っても切れない関係 https://toyokeizai.n[...] 2016-07-02
[115] 웹사이트 高齢出産のリスクは男性側にもある?父親の年齢と精子の関係 https://www.prenatal[...] 2022-01-26
[116] 웹사이트 一般のみなさまへ - 生殖医療Q&A(旧 不妊症Q&A):Q25.男性の加齢は不妊症・流産にどんな影響を与えるのですか? http://www.jsrm.or.j[...] 2021-12-11
[117] 뉴스 「2年」から「1年」へ……不妊症の定義はなぜ変わる? http://www.zakzak.co[...] 마이너비뉴스 2015-06-16
[118] 웹사이트 不妊症 http://www.jsog.or.j[...] 公益社団法人日本産科婦人科学会 2020-05-06
[119] 서적 病気がみえるVol.9 「婦人科・乳腺外科」 메딕미디어
[120] 뉴스 増える不妊治療「子供を持つのは当たり前」なのか https://mainichi.jp/[...] 마이니치신문 2016-01-15
[121] 웹사이트 http://www.jsrm.or.j[...]
[122] 뉴스 日本は世界一の「不妊治療で出産できない大国」この残念な現状 https://gendai.media[...] 고단샤 2018-11-20
[123] 뉴스 イムリミットはすぐ!なのに……不妊治療「後進国」ニッポンの真実 https://gendai.media[...] 고단샤 2016-07-27
[124] 문서 민법상 가능한 최소, 최대 연령 차이
[125] 웹사이트 特別養子縁組制度について https://www.mhlw.go.[...] 후생노동성 2020-05-06
[126] 웹사이트 里親の種類と要件 https://www.zensato.[...] 公益財団法人全国里親会 2020-05-06
[127] 뉴스 「精子は回転しながら前進」 300年以上の定説を覆す イギリスなど研究 https://www.tv-tokyo[...] 2020-08-03
[128] 서적 「先生! 私は妊娠できますか? 」 2017
[129] 서적 『文化としての生殖技術』
[130] 서적 柘植あづみ 『文化としての生殖技術 - 不妊治療にたずさわる医師の語り』 松籟社 1999-12
[131] 웹사이트 출생동향기본조사 https://www.mhlw.go.[...] 후생노동성
[132] 웹사이트 卵子の老化は防げる?男性不妊って何?知らないと怖い不妊の基礎 https://headlines.ya[...]
[133]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1more Baby応援団,心配だからこそ知っておくべき 妊娠・出産の正しい知識 〜妊娠適齢期から考えるライフプラン 全4回②【妊娠率と流産率編】 http://www.1morebaby[...] 2019-04-20
[134] 뉴스 「不妊の一番の理由は堕胎」デヴィ夫人発言が物議 「事実と異なる」番組謝罪も、本人は反論(J-CAST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0-10-27
[135] 웹사이트 産みたいのに産めない ~卵子老化の衝撃~ https://www.nhk.or.j[...] NHK온라인 2012-02-14
[136] 뉴스 妊娠・出産は何歳まで可能?考えておくべきタイムリミットとは - Yahoo!ニュース https://headlines.ya[...] 2018-09-15
[137] 웹사이트 若い時期の月経不順の放置が不妊症の原因に-現代女性に多い「多嚢胞性卵巣症候群」と「やせ」による排卵障害 https://medicalnote.[...] 2020-09-08
[138] 웹사이트 心配だからこそ知っておくべき 妊娠・出産の正しい知識 〜妊娠適齢期から考えるライフプラン 全4回③【出産のリスク編】 https://www.1morebab[...] 2020-09-08
[139] 웹사이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인구통계자료집>2012년판>4.출생·가족계획 https://www.ipss.go.[...]
[140] 웹사이트 후생노동성>헤세이23년 인구동태통계월보년계 https://www.mhlw.go.[...]
[141] 웹사이트 不妊症:病気を知ろう:日本産科婦人科学会 http://www.jsog.or.j[...]
[142] 웹사이트 ARTデータ集 http://plaza.umin.ac[...]
[143] 웹사이트 早発卵巣不全(早発閉経)とは(症状・原因・治療など) https://doctorsfile.[...] 2022-10-26
[144]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1more Baby応援団,心配だからこそ知っておくべき 妊娠・出産の正しい知識 〜妊娠適齢期から考えるライフプラン 全4回②【妊娠率と流産率編】 http://www.1morebaby[...] 2019-04-20
[145] 웹사이트 若い時期の月経不順の放置が不妊症の原因に-現代女性に多い「多嚢胞性卵巣症候群」と「やせ」による排卵障害 https://medicalnote.[...] 2020-09-08
[146] 웹사이트 不妊治療をして出産できる確率 http://www.okanoueno[...]
[147] 뉴스 打ち明けられなかった妊娠 48歳で出産した記者が語る現実【高齢出産のリアル】(読売新聞オンライン) https://news.yahoo.c[...] 2022-02-21
[148] 웹사이트 産婦人科 Gynäkologie ドイツで受診する際や健康に暮らすためのヒント - ドイツ生活情報満載!ドイツニュースダイジェスト http://www.newsdiges[...] 2020-09-08
[149] 방송 産みたいのに産めない ~卵子老化の衝撃~ https://www.nhk.or.j[...] NHKオンライン 2012-02-14
[150]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1more Baby応援団,心配だからこそ知っておくべき 妊娠・出産の正しい知識 〜妊娠適齢期から考えるライフプラン 全4回②【妊娠率と流産率編】 http://www.1morebaby[...] 2019-04-20
[151] 간행물 妊娠を困難にする大きな原因の一つ 卵子の老化とは? 2012-10
[152] 뉴스 「赤ちゃん諦めず良かった」20歳で白血病…治療前に卵子凍結10年目、希望の出産 https://www.nishinip[...] 2019-08-21
[153] 논문 ウシの体外受精および卵子・胚の凍結保存に関する研究(The study of improvement of in-vitro development and post-cryopreservation survival of bovine IVM/IVF embryos and IVM oocytes) 2002-10
[154] 간행물 経腟採卵を用いた体外受精卵の生産技術~より多くの優良後継牛生産を目指して~ 富山県農林水産総合技術センター 畜産研究所 2010-02
[155] 뉴스 加齢で「卵子」老化 出産リミット何歳なのか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12-05-09
[156] 웹사이트 一般のみなさまへ - 生殖医療Q&A(旧 不妊症Q&A):Q25.男性の加齢は不妊症・流産にどんな影響を与えるのですか? http://www.jsrm.or.j[...] 2022-01-26
[157] 뉴스 女性が妊娠する能力は35歳で本当に急降下するのか? https://www.nikkei.c[...] 2023-03-06
[158] 웹사이트 30歳男性と45歳男性では妊娠率が20%低下する https://woman.nikkei[...] 2023-03-12
[159] 뉴스 老化で精子の遺伝子制御が変化、子の神経発達障害リスクに 東北大(Science Portal) https://news.yahoo.c[...] 2023-12-26
[160] 웹사이트 男性不妊-浅田レディースクリニック http://ivf-asada.jp/[...]
[161] 웹사이트 男性不妊症・性機能障害 - 主な疾患 - 兵庫医科大学 泌尿器科学教室 https://hyo-med-uro.[...] 2023-12-26
[162] 웹사이트 精子が少ない…その原因と対処法とは?│男性不妊の治療、検査、相談なら「エス・セットクリニック」 https://sset-clinic.[...] 2023-12-26
[163] 웹사이트 13)男性不妊 https://www.asa-hosp[...] 2023-12-26
[164] 논문 Science 1986-09-26
[165] 웹사이트 実は多い2人目不妊 早めに受診、子育てと仕事が壁に|WOMAN SMART|NIKKEI STYLE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社・日経BP社 2020-09-08
[166] 뉴스 加齢で「卵子」老化 出産リミット何歳なのか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12-05-09
[167]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1more Baby応援団,心配だからこそ知っておくべき 妊娠・出産の正しい知識 〜妊娠適齢期から考えるライフプラン 全4回②【妊娠率と流産率編】 http://www.1morebaby[...] 2019-04-20
[168] 웹사이트 Are older women undergoing ART more likely to use donor eggs or embryos? http://www.cdc.gov/a[...]
[169] 웹사이트 NHK生活情報ブログ https://web.archive.[...]
[170] 간행물 ジャガー横田の出産で膨れ上がった期待・妊娠に励むアラフォー世代『卵子老化』と戦う現実は
[171] 웹사이트 卵子が老化するって本当?高齢妊娠の真の問題点は? http://www.ngt.saise[...]
[172] 보고서 視点 妊娠・出産適齢期 https://www.sangiin.[...] 参議院事務局 企画調整室 2012-05-09
[173] 뉴스 妊娠・出産は何歳まで可能?考えておくべきタイムリミットとは https://headlines.ya[...] 2018-09-15
[174] 웹인용 원문보기 - ScienceON https://scienceon.ki[...] 2022-02-28
[175] 뉴스 쿠키뉴스 - 불임은 여성만의 문제” 이제 그만! http://news.kukinews[...] 2011-04-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